KR100566130B1 -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130B1
KR100566130B1 KR1020040001987A KR20040001987A KR100566130B1 KR 100566130 B1 KR100566130 B1 KR 100566130B1 KR 1020040001987 A KR1020040001987 A KR 1020040001987A KR 20040001987 A KR20040001987 A KR 20040001987A KR 100566130 B1 KR100566130 B1 KR 10056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portion
filling cap
coupled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039A (ko
Inventor
김영동
Original Assignee
제일종합안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종합안전(주) filed Critical 제일종합안전(주)
Priority to KR102004000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1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본체부의 내부로 보강 철판이 매입된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되, 그 저면 공간부에는 보강 철판이 매입된 충진캡을 결합하고, 본체부의 저부에는 보강 강관이 매입된 수직 기둥을 결합하여 지면상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표지병의 본체부와 충진캡이 일층 강화되어 내구성이 증대되고, 충격 시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본체부(10)와 반사체부(20), 충진캡(30) 및 수직 기둥(40) 등으로 구성되며, 측면에 반사체부(20)가 결합된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된 상측은 좁고 하측은 넓은 직사각 형태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저면 공간부에 볼트(35)를 통해 결합되는 충진캡(30)과, 본체부(10)의 저면 중앙부에 나사산(42)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수직 기둥(40)으로 구성되며, 이를 지중에 매설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수직기둥의 내부로 보강 철판 및 보강 강관이 매입된 이중 사출구조로 성형하고, 본체부 저면 공간부에 결합되는 충진캡 내부에도 보강 철판이 매입된 형태로 형성하여, 내구성과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표지병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자원 절약 및 보수비용이 절약되는 효과 가 있다.
또한, 본체부와 충진캡의 결합을 충진캡 저부로부터 볼트를 통해 결합함으로서 조립이 견고하며, 본체부의 하부 중앙에 하나의 수직 기둥을 결합하거나, 본체부의 하부 양측으로 두 개의 수직 기둥을 결합함으로써 설치되는 장소와 설치 강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로 표지병, 충진캡, 반사체, 보강 철판, 수직 기둥

Description

도로 표지병 { road stud }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도로 표지병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본체부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 보강 철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충진캡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 및 설치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조립 및 설치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1, 36 : 보강 철판 12, 13, 14 : 너트
20 : 반사체부 30 : 충진캡 31 : 가로홈
32 : 세로홈 33 : 돌기 34 : 원형 통공
35 : 볼트 37 : 에폭시 가이드 돌조 38 : 홈부
40 : 수직 기둥 41 : 보강 강관 42 : 나사산
43 : 돌기 50 : 노면 51 : 매립공
본 발명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본체부의 내부로 보강 철판이 매입된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되, 그 저면 공간부에 보강 철판이 매입된 충진캡을 결합하고, 본체부의 저부로는 보강 강관이 매입된 수직 기둥을 결합하여 지면상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표지병의 본체부와 충진캡이 일층 강화되어 내구성이 증대되고, 충격 시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구획된 도로의 구획차선에 설치하여 주간에는 물론, 야간에도 도로 표지병의 반사체가 불빛을 반사하여 운전자가 도로의 구획선을 뚜렷이 식별하도록 함으로서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역할과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 표지병은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제작되어 포장된 도로의 구획차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박아 고정하는 방법에 의거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 이를 살펴보면, 외측면에 반사체(2)를 구비된 사다리꼴의 몸체(1)를 도로 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3)로 구성된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포장된 도로 면에 구획차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멍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멍에 볼트(3)를 박아 고정하되, 보다 완벽한 고정을 위하여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를 몸체(1) 저면에 도포하여 도로 면과 일체로 접착 고정하고 있다.
또한, 몸체(1)와 하부 매설체(4)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표지병도 제시되어 있고, 이 역시 도로 상의 천공된 구멍에 강제 타입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설치된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몸체를 합성수지재 등으로 단순 사출 형성함으로 인해, 주행하는 자동차가 잘못 차선을 넘게 되면서 자동차 바퀴에 깔리게 될 경우, 자동차의 하중으로 의해 몸체가 파손되어 지속적으로 보수를 하여야 함은 물론, 그로 인한 자원을 낭비 및 보수비용의 과도한 지출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 저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강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그 위를 지나는 자동차의 주행 충격으로 인해 본체가 파손될 경우, 볼트만 남게되고, 또 후자의 경우에도 탈리되어 표지병이 뒤집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매설체가 돌출됨으로써 그 위를 지나는 후속 차량은 자동차 타이어 펑크가 나게되어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체부와 수직기둥의 내부로 보강 철판 및 보강 강관이 매입된 이중 사출구조로 성형하고, 본체부 저면 공간부에 결합되는 충진캡 내부에도 보강 철판이 매입된 형태로 형성하여, 내구성과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표지병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자원 절약 및 보수비용이 절약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부와 충진캡의 결합을 충진캡 저부로부터 볼트를 통해 결합함으로서 조립이 견고하며, 본체부의 하부 중앙에 하나의 수직 기둥을 결합하거나, 본체부의 하부 양측으로 두 개의 수직 기둥을 결합함으로써 설치되는 장소와 설치 강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본체부의 내부로, 보강 철판이 매입된 상태의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되, 그 저면 공간부에 보강 철판이 매입된 충진캡을 결합하고, 본체부의 저부로는 보강 강관이 매입된 수직 기둥을 결합하여 지면상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표지병의 본체부와 충진캡이 일층 강화되어 내구성이 증대되고, 충격 시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본체부(10)와 반사체부(20), 충진캡(30) 및 수직 기둥(40) 등으로 구성되며, 측면에 반사체부(20)가 결합된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된 상측은 좁고 하측은 넓은 직사각 형태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저면 공간부에 볼트(35)를 통해 결합되는 충진캡(30)과, 본체부(10)의 저면 중앙부에 나사산(42)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수직 기둥(40)으로 구성되며, 이를 지중에 매설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본체부(10)는 직사각형태로 구성되되, 상측은 좁고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단면이 사다리꼴의 형태로 구성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 저면에는 공간부(10a)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충진캡(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공간부(10a) 내에는 격자형태의 보강 힘살(10b)이 구비되어 본체부(10)가 일층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체부(10)의 내부에 매입되는 보강 철판(11)은 일정 두께를 가진 직사각 그릇 형태의 철판으로써, 본체부(10)에 매입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됨으로서 본체부(10)를 보다 견고하게 보강하도록 구성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철판(11)의 저면 중앙으로는 후술하는 수직 기둥(40)과 결합 가능하도록 너트(13)가 설치되고, 그 양측으로는 후술하는 충진캡(30)을 볼트(35)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너트(12, 14)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반사체부(20)는 사다리꼴 형태의 얇은 합성수지판 형태로, 그 형태는 일측면에 미세한 정사각체의 모서리부가 상측으로 연속적으로 돌설 ·배열된 형태로,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될 시 그 빛을 반사시켜서 운전자에게 표지병 및 차선의 위치를 확인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본체부(10)의 전 ·후면 또는 네 방향면에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본체부(10)의 공간부(10a) 내에 설치되는 충진캡(30)은, 그 형태가 도 6에 잘 도시된 바, 이를 살펴보면, 그 재질은 고무 혹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 전제적인 형상은 직사각판 형태에 가로 및 세로홈(31, 32)이 형성되어 사각형 돌기(33)가 다수개 형성되며, 이는 상기 공간부(10a)에 형성된 격자형태의 보강 힘살(10b)과 부합되는 형태로, 에폭시 접착제를 통해 공간부(10a)에 삽착되도록 형성되고, 충진캡(30)의 중앙부와 양측에는 원형 통공(34)이 천공되어 수직 기둥(40)과 볼트(35)가 관통되도록 구성되며, 충진캡(30)의 내부에는 보강 철판(36)이 일체로 매입된 형태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 충진캡(30)의 저면에는 중앙부의 원형 통공(34)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에폭시 가이드 돌조(37)가 형성되어 표지병의 설치 시 에폭시 접착제가 에폭시 가이드 돌조(37) 사이의 홈부(38)를 따라서 골고루 퍼져 나가도록 함으로써 노면(50)과 일층 기밀하게 접착되고, 에폭시 접착제가 응고된 후에는 충진캡(30)의 저면과 노면(50)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충진캡(30)의 결합은 접시머리 볼트(35)를 이용하여 충진캡(30)의 저부로부 터 상기 본체부(10)의 보강 철판(11) 저부 양측에 형성된 너트(12, 14)와 나사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10)의 저부에 결합되는 수직 기둥(40)은, 보강 강관(41)이 일체로 매입된 이중관 형태로 제작되되, 보강 강관(41)의 상부로는 상기 보강 철판(11)의 중앙부 너트(13)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42)이 가공되어 있으며, 수직 기둥(40)의 외주면에는 매립 시 이탈 방지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돌기(43)가 형성되고, 보강 강관(41)의 하부로는 너트(44)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립 및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 ·후측 경사면에 반사체부(20)가 부착된 본체부(10)의 저면 공간부(10a)에 충진캡(30)을 결합하되, 충진캡(30) 저면 양측에 볼트(35)를 끼워서 본체부(10) 내의 보강 철판(11)에 형성된 너트(12, 14)와 체결 고정한 다음, 수직 기둥(40)의 상부 나사산(42)을 충진캡(30)의 저부 중앙에 끼워서 본체부(10) 내의 보강 철판(11)에 형성된 너트(13)와 결합한 후, 수직 기둥(40)의 하단에 너트(44)를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 다음, 설치 예정위치의 노면(50) 상에 매립공(51)을 천공한 다음, 본체부(10)의 하부에 결합된 수직 기둥(40)을 매립공(51)에 수장하되, 충진캡(30)의 저부에 에폭시 접착제를 발라서 노면(50)에 일층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 8과 도 9에 잘 도시된 바, 상기 제 1실시 예와 대동소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특히, 본체부(10)의 하단에 결합된 수직 기둥(40)이 두 개로 구성되어 있음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며, 그 조립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 ·후측 경사면에 반사체부(20)가 부착된 본체부(10)의 저면 공간부(10a)에 충진캡(30)을 결합하되, 충진캡(30)의 중앙부 원형 통공(34)에 볼트(35)를 끼워서 본체부(10) 내의 너트(13)와 결합한 다음, 수직 기둥(40)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42)을 충진캡(30)의 저부 양측 원형 통공(34)에 끼워서 본체부(10) 내의 너트(12, 14)와 결합한 후, 수직 기둥(40)의 하단에 너트(44)를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 다음, 설치 예정위치의 노면(50) 상에 매립공(51)을 천공한 다음, 본체부(10)의 하부에 결합된 수직 기둥(40)을 매립공(51)에 수장하되, 충진캡(30)의 저부에 에폭시 접착제를 발라서 노면(50)에 일층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수직기둥의 내부로 보강 철판 및 보강 강관이 매입된 이중 사출구조로 성형하고, 본체부 저면 공간부에 결합되는 충진캡 내부에도 보강 철판이 매입된 형태로 형성하여, 내구성과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표지병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자원 절약 및 보수비용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와 충진캡의 결합을 충진캡 저부로부터 볼트를 통해 결합함으로서 조립이 견고하며, 본체부의 하부 중앙에 하나의 수직 기둥을 결합하거나, 본체부의 하부 양측으로 두 개의 수직 기둥을 결합함으로써 설치되는 장소와 설치 강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측면에 반사체부(20)가 결합된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된 상측은 좁고 하측은 넓은 직사각 형태의 본체부(10)와,
    내부에 보강 철판(36)이 일체로 매입된 형태로 사출 ·성형되되, 상기 본체부(10)의 저면 공간부(10a)에 볼트(35)를 통해 결합되는 충진캡(30)과,
    본체부(10)의 저면에 결합되는 보강 강관(41)이 매입된 수직 기둥(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직사각 그릇 형태의 보강 철판(11)이 일체로 매입되어 사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3. 제 1항에 있어서,
    충진캡(30)은,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그 상면으로는 가로 및 세로홈(31, 32)이 형성되어 사각형 돌기(33)가 형성되며, 저면으로는 중앙부의 원형 통공(34)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에폭시 가이드 돌조(37)가 형성되어 에폭시 접착제가 홈부(38)를 따라서 골고루 퍼져 나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4. 제 1항에 있어서,
    수직 기둥(40)은, 충진캡(30)의 저면 중앙을 관통하여 본체부(10) 내의 보강 철판(11)에 형성된 너트(13)와 수직 기둥(40)의 상부 나사산(42)이 결합되어 하나의 수직 기둥(40)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5. 제 1항에 있어서,
    수직 기둥(40)은, 충진캡(30)의 저면 양측을 관통하여 본체부(10) 내의 보강 철판(11)에 형성된 너트(12, 14)와 수직 기둥(40)의 상부 나사산(42)이 결합되어 두 개의 수직 기둥(40)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KR1020040001987A 2004-01-12 2004-01-12 도로 표지병 KR100566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987A KR100566130B1 (ko) 2004-01-12 2004-01-12 도로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987A KR100566130B1 (ko) 2004-01-12 2004-01-12 도로 표지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767U Division KR200347873Y1 (ko) 2004-01-12 2004-01-12 도로 표지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039A KR20040013039A (ko) 2004-02-11
KR100566130B1 true KR100566130B1 (ko) 2006-04-05

Family

ID=3732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987A KR100566130B1 (ko) 2004-01-12 2004-01-12 도로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1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039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2082B2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KR100736862B1 (ko)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KR100475463B1 (ko) 도로 표지병
KR200347873Y1 (ko) 도로 표지병
KR100566130B1 (ko) 도로 표지병
JP2006249723A (ja) 可撓性路面標識物
KR200327757Y1 (ko) 도로 표지병
KR200304306Y1 (ko) 도로표지병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0300090B1 (ko) 도로매설용차선표시구
KR200385479Y1 (ko) 보ㆍ차도용 경계블록
KR200248484Y1 (ko)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도로경계석
JP3914376B2 (ja) 道路鋲
KR100657561B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223964Y1 (ko) 도로 표지병
KR200287820Y1 (ko) 안전 유도대
KR100660804B1 (ko)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KR200216852Y1 (ko) 도로 중앙 분리대
KR200229403Y1 (ko) 도로용 충격흡수형 차량 충돌방지장치
JP5417121B2 (ja) 道路用標示体
CN218894009U (zh) 一种安全型高速公路施工用防撞墩装置
KR102042634B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병
KR200234664Y1 (ko) 도로경계블럭
KR200208133Y1 (ko) 완충구조를 갖는 도로 표지병
KR200370448Y1 (ko)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