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231B1 -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231B1
KR100565231B1 KR1020040011469A KR20040011469A KR100565231B1 KR 100565231 B1 KR100565231 B1 KR 100565231B1 KR 1020040011469 A KR1020040011469 A KR 1020040011469A KR 20040011469 A KR20040011469 A KR 20040011469A KR 100565231 B1 KR100565231 B1 KR 100565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ing
defrost
defrost water
water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867A (ko
Inventor
이동훈
이태희
김용구
윤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231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2Convertible garments in their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케이스의 상면에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제상수수용부와; 상기 압축기케이스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제상수수용부의 하측에 상기 제1제상수수용부로부터 유동된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제상수수용부와; 제상시 발생되는 제상수를 상기 제1제상수수용부로 안내하는 제상수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상수로 주변 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어 온도상승에 기인한 부품의 강제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동사이클의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DEFROST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영역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압축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압축기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영역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압축기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압축기케이스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영역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압축기영역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압축기케이스영역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 : 기계실 15 : 제상수배출관
21 : 압축기케이스 25 : 제1제상수수용부
27 : 제2제상수수용부 28 : 저부
29 : 측벽부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상수로 주변 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어 온도상승에 기인한 부품의 강제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동사이클의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본체(11)의 후방 하부영역에는 후방으로 개구된 기계실(13)이 형성되어 있다. 기계실(13)의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와, 압축기(20)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방열을 통해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기(40)와, 응축기(40)의 방열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응축기(40)의 일측에 배치되는 송풍팬(5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기계실(13)의 상부영역에는 제상시 발생되는 제상수가 배출되는 제상수배출관(14)이 하향 연장되어 있으며, 응축기(40) 및 송풍팬(50)의 하측에는 낙하되는 제상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상수트레이(32)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제상시 발생되는 제상수는 응축기(40) 및 송풍팬(50)의 하측에 배치된 제상수트레이(32)에 수용되어 단순히 증발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 일부에서는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제상수트레이(32)의 내부를 경유하면서 제상수와 열교환된 후 응축기(40)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제상수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하고 있으나, 압축기(20)와 연결되고 제상수트레이(32)의 저부에 제상수와 열교환가능하게 수용되는 냉매유로(미도시)가 제상수트레이(32)와 접촉되면서 진동하게 되어 진동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상수로 주변 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어 온도상승에 기인한 부품의 강제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동사이클의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압축기케이스의 상면에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제상수수용부와; 상기 압축기케이스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제상수수용부의 하측에 상기 제1제상수수용부로부터 유동된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제상수수용부와; 제상시 발생되는 제상수를 상기 제1제상수수용부로 안내하는 제상수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제상수수용부는 상기 압축기케이스의 외측으로 소정 연장되고 상향 절곡된 단면을 가지고 상기 압축케이스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응축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상수를 수용하는 제상수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제상수수용부에는 내부의 제상수가 상기 제상수트레이로 유동될 수 있도록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상수를 수용하는 제상수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영역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압축기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압축기케이스의 측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후방 하부영역에는 기계실(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계실(13)의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도록 압축기(20)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기(20)의 일측에는 압축된 냉매를 방열을 통해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기(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응축기(40)의 일측에는 응축기(40)를 향해 송풍함으로써 응축기(40)의 방열작용을 촉진시키는 송풍팬(50)이 구비되어 있다.
압축기(20)에는 제상시 발생되는 제상수(10)가 압축기(20)를 냉각시키면서 증발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가 구현되어 있다.
본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는, 압축기케이스(21)의 상면에 제상수(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향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제상수수용부(25)와, 제상시 발생되는 제상수(10)가 제1제상수수용부(25)로 유동될 수 있도록 기계실(13)의 천장에 형성 되는 제상수배출관(1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제상수수용부(25)는 압축기케이스(21)의 상면에 제상수배출관(15)으로부터 낙하되는 제상수(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통상 금속부재로 형성되는 압축기케이스(21)의 상면을 가압하여 소정 깊이로 하향 함몰되게 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제상수수용부(25)의 하측에는 제1제상수수용부(25)로부터 흘러 넘치는 제상수(10)를 수용함과 아울러 압축기(20)의 냉각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제2제상수수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제2제상수수용부(27)는 압축기케이스(21)의 외측으로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저부(28)와, 저부(28)의 돌출방향을 따라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고 압축기케이스(21)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측벽부(29)를 구비한 채널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상주기가 도래하여 도시않은 제상히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상수(10)가 발생되고, 제상수(10)는 제상수배출관(15)을 통해 제1제상수수용부(25)로 낙하되어 수용된다. 제1제상수수용부(25)에 수용된 제상수(10)는 압축기케이스(21)와 열교환되어 압축기케이스(21)를 냉각시킴과 아울러 증발이 촉진된다. 제1제상수수용부(25)의 용량을 초과한 제상수(10)는 압축기케이스(21)의 표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면서 압축기케이스(21)를 냉각시키고 제2제상수수용부(27)에 수용되어 증발되면서 압축기케이스(21)를 냉각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영역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압축기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압축기케이스의 단면 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는, 압축기케이스(21)의 상면에 소정 깊이로 하향 함몰되어 제상수(10)를 수용하는 제1제상수수용부(25)와, 기계실(13)의 천장에 제상수(10)가 제1제상수수용부(25)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상수배출관(15)과, 압축기케이스(21)의 둘레에 제1제상수수용부(25)로부터 하향 유동되는 제상수(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제상수수용부(27)와, 압축기케이스(21)의 하측에 제상수(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상수트레이(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케이스(21)의 상면에는 제1제상수수용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제상수수용부(25)의 하측에는 제1제상수수용부(25)로부터 흘러 넘치는 제상수(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저부(28) 및 측벽부(29)를 구비한 제2제상수수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압축기케이스(21)의 저부(28)에는 압축기(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운트브래킷(22)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마운트브래킷(22)에는 진동 전달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방진고무(23)가 결합되어 있다.
방진고무(23)의 하측에는 제상수(10)가 이상(異常)적으로 증가되어 제2제상수수용부(27)를 흘러 넘치게 되는 경우 제상수(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상수트레이(3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2제상수수용부(27) 및 제상수트레이(33)는 압축기(20)의 종류 및 특성과 냉장고의 제품별 제상수(10)의 배출 정도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제상수수용부(25) 및 제2제상수수용부(27)의 수용용량에 따라 제상수트레이(33)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제1제상수수용부(25) 및 제상수트레이(33)를 구성하고 제2제상수수용부(27)를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상시 발생된 제상수(10)는 제상수배출관(15)을 통해 제1제상수수용부(25)로 낙하되고, 압축기케이스(21)와 접촉되어 압축기케이스(21)를 냉각시키게 된다. 제상수(10)가 계속해서 낙하되면 제1제상수수용부(25)를 초과한 제상수(10)는 압축기케이스(21)의 표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어 제2제상수수용부(27)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압축기케이스(21)와 접촉되어 압축기케이스(21)를 냉각시킴과 아울러 증발된다. 한편, 제상수트레이(33)에는 제상수(10)가 이상(異常)적으로 증가된 경우 제2제상수수용부(27)를 초과한 제상수(10)가 수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영역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압축기영역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압축기케이스영역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는, 압축기케이스(21)의 상면에 제상수(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하향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제상수수용부(25)와, 제1제상수수용부(25)의 하측에 제1제상수수용부(25)로부터 흘러 넘치는 제상수(1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2제상수수용부(27)와, 제상시 발생된 제상수(10)가 제1제상수수용부(25)로 낙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상수배출관(15)과, 응축기(40)의 하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상수(10)를 수용하는 제상수트레이(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제상수수용부(27)는, 압축기케이스(21)의 측연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 이로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저부(28)와, 저부(28)의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측벽부(29)를 구비한 채널단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29)의 응축기(40)측에는 내부에 수용된 제상수(10)가 응축기(40)의 하측에 배치된 제상수트레이(34)로 유출될 수 있도록 배출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상수트레이(34)에는 내부에 수용된 제상수(10)와 접촉되어 열교환가능하도록 응축기(40)가 수용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상시 제상수배출관(15)을 통해 낙하된 제상수(10)는 제1제상수수용부(25)에 수용되어 압축기케이스(21)를 냉각시키고, 제1제상수수용부(25)를 흘러 넘쳐 하향 유동되면서 압축기케이스(21)를 냉각시키게 된다. 하향 유동된 제상수(10)중 일부는 제2제상수수용부(27)의 내부에 소정량 수용되어 증발되면서 압축기케이스(21)를 냉각시키고, 일부는 배출부(30)를 통해 제상수트레이(34)로 유출된다. 제상수트레이(34)에 수용된 제상수(10)는 응축기(40)와 접촉되어 열교환되어 응축기(40)의 방열을 촉진시키면서 증발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케이스의 상면에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제상수수용부와, 제상수가 제1제상수수용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상수배출관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제상수로 주변 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어 온도상승에 기인한 부품의 강제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냉동사이클의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상수를 증발시킬 수 있도록 제상수트레이에 배치된 냉매유로의 진동에 기인하여 소음이 발생되던 종래와는 달리, 제상수의 증발을 위한 별도의 냉매유로를 배제할 수 있어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상수트레이를 배제하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어 기계실 내부 공간을 축소 또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압축기케이스의 상면에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제상수수용부와; 상기 압축기케이스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제상수수용부의 하측에 상기 제1제상수수용부로부터 유동된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제상수수용부와; 제상시 발생되는 제상수를 상기 제1제상수수용부로 안내하는 제상수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상수수용부는 상기 압축기케이스의 외측으로 소정 연장되고 상향 절곡된 단면을 가지고 상기 압축케이스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응축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상수를 수용하는 제상수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상수수용부에는 내부의 제상수가 상기 제상수트레이로 유동될 수 있도록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상수를 수용하는 제상수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KR1020040011469A 2004-02-20 2004-02-20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KR100565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469A KR100565231B1 (ko) 2004-02-20 2004-02-20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469A KR100565231B1 (ko) 2004-02-20 2004-02-20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867A KR20050082867A (ko) 2005-08-24
KR100565231B1 true KR100565231B1 (ko) 2006-03-30

Family

ID=3726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469A KR100565231B1 (ko) 2004-02-20 2004-02-20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2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867A (ko)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459B1 (ko) 냉장고
KR101559787B1 (ko) 냉장고
US6718793B2 (en) Refrigerator incorporating condenser functioning as backcover
KR101520704B1 (ko) 냉장고
KR20110021128A (ko) 냉장고
JP2009079778A (ja) 冷蔵庫
KR20090114044A (ko) 냉장고
JP4644580B2 (ja) 冷却貯蔵庫
KR100565231B1 (ko)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JP2008032339A (ja)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の処理構造
WO2019053879A1 (ja) 冷蔵庫及び冷蔵庫の蒸発皿
KR101306508B1 (ko) 냉장고용 증발기 설치구조
JP4621567B2 (ja) 冷蔵庫
JP2003172575A (ja) 冷蔵庫
JP2001021257A (ja) 冷蔵庫
JP6265584B2 (ja) 冷蔵庫
JP5328623B2 (ja) 冷蔵庫
KR100524654B1 (ko) 김치저장고의 응축기와 냉각팬 설치구조
JP5694697B2 (ja) 冷却装置
KR100569934B1 (ko)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장치
KR200176277Y1 (ko) 냉장고
KR100661837B1 (ko) 냉장고
JP2009014262A (ja) 冷蔵庫
KR200264492Y1 (ko)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KR100995034B1 (ko) 냉장고의 응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