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492Y1 -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492Y1
KR200264492Y1 KR2019970041551U KR19970041551U KR200264492Y1 KR 200264492 Y1 KR200264492 Y1 KR 200264492Y1 KR 2019970041551 U KR2019970041551 U KR 2019970041551U KR 19970041551 U KR19970041551 U KR 19970041551U KR 200264492 Y1 KR200264492 Y1 KR 200264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condenser
machine room
compressor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913U (ko
Inventor
권영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41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492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4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3Condensers made by assembling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using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방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응축기관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풍안내부와 송풍구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서 방열기능과 동시에 송풍안내기능을 하도록 한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는, 외부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방열되는 압축기, 그리고상기 송풍수단과 압축기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에 송풍구가 형성되며 송풍수단에 의한 외부공기를 안내하는 송풍안내부를 이루고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방열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있다. 상기와 같이 응축기가 송풍안내부의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송풍안내부가 필요하지 않아 재료의 절감효과와, 송풍수단에 의한 응축기의 직접 방열로 인하여 방열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
본 고안은 냉장고의 방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실에 설치된 응축기 관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풍안내부와 송풍구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서 방열기능과 동시에 송풍안내기능을 하도록 한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하부에는 기계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계실 내에는 압추기 등의 여러 설비들이 위치하고 있는바, 이러한 종래 냉장고 기계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 냉장고의 기계실 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기계실(M) 하부바닥면에는 베이스부재(1)가 설치되는데, 이는 기계실(M)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기(2) 등의 여러설비들의 하중으로 인한 냉장고 저면의 케이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재(1) 상면은 상기 설비부재들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탱하기 위하여 요철구조(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의 상면 일측에는 냉동실 후방의 증발기(미도시)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증발기 주위에서 생성된 제상수를 모으는 제상수받이(3)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2)와 제상수받이(3) 사이에는 송풍장치(4)가 설치되는데, 상기 송풍장치(4)는 송풍팬지지부(5a)에 의해 지지되는 송풍팬(5)과 상기 송풍팬(5)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압축기(2)측으로 유도하는 송풍안내부(6)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5)의 전방에 위치한 송풍안내부(6)의 중앙에는 송풍구(6a)가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5)의 작동에 의한 공기가 상기 송풍구(6a)를 통해 압축기(2)측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7)가 압축기(2)의 일측에서 송풍안내부(6)를 지나 제상수받이(3)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응축기(7)는 제상수받이(3)에서 증발되는 제상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효율적인 응축이 이루어 지도록 여러번 굴곡져 형성되며, 상기 굴곡진 형상에 역시 재상수와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개의 응축기핀(7a)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기계실(M)의 구조하에서 송풍장치(4)의 작동에 의해 기계실(M) 내부의 설비부재가 방열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냉장고 외부의 공기가 냉장실 후방을 통하여 기계실(M)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에 의해 제상수받이(3)에 담겨있는 제상수가 증발하게 된다. 상기 공기의 유입은 송풍팬(5)의 구동에 의해 보다 원활히 이루어 지게 되고, 공기의 유입이 활발할수록 제상수의 증발이 원활히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증발한 제상수와 섞여있는 공기는 제상수받이(3) 상부에 위치한 굴곡진 형상의 응축기(7) 부분과 응축기핀(7a)에 접촉되어 응축기(7)를 냉각시키고, 그 후 송풍안내부(6)의 송풍구 (6a)를 통해 압축기(2)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압축기(2)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압축기(2)를 냉각시키고 냉장고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냉장고의 방열기용 송풍장치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기계실 내부에는 송풍팬의 구동에 의한 공기를 안내하는 송풍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안내부가 없다면, 제작원가의 절감 및 조립공정의 감소가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송풍안내부가 없을 경우 압축기측으로 송풍된 공기가 기계실 상하부를 통하여 다시 송풍팬 후방으로 역류되고, 이에 따라 외부의 찬 공기 유입이 적어지게 되어 압축기와 응축기의 방열이 잘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송풍안내부는 반드시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은 응축기가 송풍팬의 후방측에 위치하므로 외부공기 유입에 의하여 제상수가 증발됨에 따라 상기 제상수의 증발잠열에 의해서만 응축기가 응축될 뿐 송풍팬의 구동에 의한 직접적인 응축기의 냉각이 이루어 지지 않아 응축기가 효율적으로 응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제상수받이와 송풍팬이 별도로 따로 제작 설치되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팬의 구동에 의한 직접적인 응축기의 응축이 이루어 지도록 하며, 또한 송풍안내부를 제거하고 제상수받이와 송풍팬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원가의 절감 및 조립공정의 감소를 도모한 냉장고의 방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냉장고의 기계실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방열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기계실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B-B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부재 20 : 압축기
30 : 응축기 32 : 통공
40 : 제상수받이 50 : 송풍팬
52 : 송풍팬지지부 M : 기계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제상수받이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을 구비하여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방열되는 압축기, 상기 송풍수단과 압축기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며 중앙에 송풍구가 형성되어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안내하는 송풍안내부를 이루고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방열되는 판상의 응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는, 내부로 냉매가 유동되는 관이 나선형으로 절곡되어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서는 응축기가 송풍안내부의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송풍안내부가 필요하지 않아 재료의 절감효과와, 송풍수단에 의한 응축기의 직접 방열로 인하여 방열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다음,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송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기계실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냉장고 하부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기계실(M)이 형성되며, 상기 기계실(M) 하부바닥면에는 베이스부재(10)가 설치되는데, 이는 기계실(M)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기 등의 여러 설비들의 하중으로 인한 냉장고 저면의 케이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재(10) 상면은 상기 설비들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탱하기 위하여 요철구조(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M) 후방에는 기계실커버(미도시)가 부착되는데, 상기 기계실커버상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기계실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10) 상면 일측을 통하여 증발기(미도시)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2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증발기 주위에서 발생된 제상수를 모으는 제상부받이(4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상수받이(40) 내부의 일측에 송풍팬지지부(52)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지지부(52)에 송풍팬(5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송풍팬(50)을 제상수받이(40) 내부에 설치하게 됨에 따라 제상수받이(40)의 크기가 보다 크게 형성될 수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20)와 제상수받이(40) 사이에는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30)가 위치한다. 상기 응축기(30)는 긴 관이 동일 면상에서 나선형으로 여러번 굽어져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선형 판상의 중앙부는 넓은 통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30)가 나선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압축기(20)와 송풍팬(50) 사이를 구획하여 상기 통공(32)이 상기 송풍팬 (5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상기 압축기(20) 측으로 안내하는 송풍안내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냉장고 방열장치의 설치 및 작동과정을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종래에는 압축기, 송풍안내부 및 응축기를 설치하고, 제상수받이와 송풍팬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였으며, 이때 기계실 내부의 좁은 공간에 송풍안내부를 설치하고 응축기를 송풍안내부를 거쳐 제상수받이 상부로 설치하는데 어려우며 또한 응축기에 응축기팬을 부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제상수받이와 송풍팬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였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기계실(M) 내부 일측에 압축기(20)와 나선형판상으로 이루어진 응축기(3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나선형판상의 응축기(30)가 종래의 송풍안내부의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송풍안내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의 설치가 끝난 다음 기계실 (M) 내부의 타측에 송풍팬(50)이 결합된 제상수받이(4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역시 종래와는 달리 송풍팬(50)과 제상수받이(40)를 한 번에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 상기 방열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냉장고 외부의 찬 공기가기계실(M) 후면에 장착된 기계실(M) 커버(미도시)의 통공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외부공기에 의하여 제상수받이(40) 내부의 제상수가 증발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제상수받이(40)의 크기가 종래보다 크게됨에 따라 증발면적이 보다 넓어지고, 또한 송풍팬(50)이 구동함에 따라 냉장고의 외부에서 송풍팬(50)의 후방측으로 외부공기의 유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어 제상수의 증발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증발한 제상수와 섞여있는 외부공기는 송풍팬(50)의 구동에 의해 압축기측으로 전달된다. 이때 송풍팬(50)의 전방에 위치한 나선형 판상의 응축기(30)가 송풍안내부의 역할을 하므로 상기 외부공기는 응축기(30)에 부딪치게 되고, 이때 응축기(30)는 차가운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 응축기(30)는 열을 빼앗겨 응축이 된다. 또한 상기 외부공기는 응축기(3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송풍구를 이루는 통공(32)과 응축기(30)의 각 나선형의 틈을 통하여 압축기(20)측으로 전달되어 압축기(20)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응축기(30)와 압축기(20)를 냉각시킨 외부공기는 냉장고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서는 응축기가 송풍안내부를 이루도록 하여 송풍 안내부를 없애고, 송풍팬과 제상수받이를 일체로 형성함에 의해 제료비 절감과 조립공정이 간단해 지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로는 송풍팬의 구동에 의한 외부공기가 응축기에 직접 접촉되므로서 응축기의 열 교환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제상수받이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을 구비하여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방열되는 압축기; 그리고
    상기 송풍수단과 압축기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며 중앙에 송풍구가 형성되어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안내하는 송풍안내부를 이루고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방열되는 판상의 응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내부로 냉매가 유동되는 관이 나선형으로 절곡되어 판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
KR2019970041551U 1997-12-27 1997-12-27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KR200264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51U KR200264492Y1 (ko) 1997-12-27 1997-12-27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51U KR200264492Y1 (ko) 1997-12-27 1997-12-27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13U KR19990028913U (ko) 1999-07-15
KR200264492Y1 true KR200264492Y1 (ko) 2002-06-24

Family

ID=5389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551U KR200264492Y1 (ko) 1997-12-27 1997-12-27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4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13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13713A1 (en) Refrigerator
EP1384963B1 (en) Built-in refrigerator
KR200264492Y1 (ko)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JP2003287342A (ja) 冷蔵庫
KR100540436B1 (ko)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KR101202872B1 (ko) 냉장고의 기계실
KR0124288Y1 (ko) 냉장고의 증발접시
KR100484661B1 (ko) 내부용적이 증가된 냉장고
US20100115982A1 (en) Evaporator integrated duc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142503Y1 (ko) 냉장고
KR100226417B1 (ko) 간냉식 냉장고의 증발기구조
KR10044110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KR20030021809A (ko)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
KR200273002Y1 (ko) 냉장고의 기계실 구조
KR200196931Y1 (ko)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
KR200232028Y1 (ko) 냉장고
KR100546680B1 (ko) 냉장고 기계실의 냉각구조
KR200212593Y1 (ko)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냉장고의 기계실
KR19990012957U (ko) 냉장고의 기계실 냉각구조
KR0125629Y1 (ko) 공기조화기
KR19990012770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900008150Y1 (ko) 룸 에어콘
KR0129991Y1 (ko) 냉장고 기계실의 공기 순환구조
KR20000001841U (ko) 에어콘의 열교환기
KR20000001840U (ko)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