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872B1 - 냉장고의 기계실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기계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872B1
KR101202872B1 KR1020050126028A KR20050126028A KR101202872B1 KR 101202872 B1 KR101202872 B1 KR 101202872B1 KR 1020050126028 A KR1020050126028 A KR 1020050126028A KR 20050126028 A KR20050126028 A KR 20050126028A KR 101202872 B1 KR101202872 B1 KR 101202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machine room
refrigerator
guide flow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512A (ko
Inventor
손원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8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5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using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와 기계실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가이드플로우를 응축기에 끼움결합하여 응축기의 방열성능을 향상기키고 제품의 작업공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냉장고의 기계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기계실(100)이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0)와;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 일측에서 상기 압축기(2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20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00)와;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를 상기 응축기(300)를 향하여 강제 송풍하여 응축기(300)를 방열시키는 팬모터어셈블리(500)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300)의 외측과 상기 기계실 내측 벽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가이드플로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 효율이 증가하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기계실, 응축기, 가이드플로우, 열교환

Description

냉장고의 기계실 { Machine room for refrigerator }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응축기와 가이드플로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기계실 공기 흐름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기계실 120. 기계실커버
122. 공기흡입구 124. 공기배출구
200. 압축기 300. 응축기
320. 냉매관 340. 방열핀
360. 장착브라켓 362. 삽입부
362'. 삽입구 364. 장착부
400. 가이드플로우 420. 후측부
440. 상측부 460. 고정부
500. 팬모터어셈블리 520. 송풍팬
540. 모터 560. 모터브라켓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기와 기계실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가이드플로우를 응축기에 끼움결합하여 응축기의 방열성능을 향상기키고 제품의 작업공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냉장고의 기계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상태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제품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압축기와 응축기, 증발기, 팽창장치를 구성요소로 하는 냉동사이클에 의해서 냉매의 상태를 변화시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냉기를 발생할 수 있게 되며, 냉기의 순환에 의해 냉장고의 내부온도를 저온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냉장고 본체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개구된 전면에는 냉장실도어와 냉동실도어가 구비되어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측 후반부에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일부가 구비되는 기계실이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상태의 냉매를 열교환시켜 액체상태의 냉매로 상태변화시키는 응축기와,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를 상기 응축기로 강제 송풍하여 상기 응축기의 방열을 촉진하는 팬모터어셈블리 등이 구비된다.
근래에는 상기 팬모터어셈블리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응축기와 기계실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들 중 대표적인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56266호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00-0015917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응축기와 기계실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기 위해 상기 응축기의 전체둘레면 또는 일부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막음부재(또는 차단부재)를 장착하였으나, 상기 막음부재(또는 차단부재)의 형성에 따른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막음부재(또는 차단부재)는 상기 기계실의 내측면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므로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막음부재(또는 차단부재)가 별도의 결합수단이 없이 상기 기계실의 내측에 구비될 경우, 상기 응축기와 기계실 사이의 공간에서 정위치를 유지하기가 어렵게 되어 소음발생 및 공기의 흐름을 악화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응축기와 기계실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가이드플로우를 응축기에 끼움결합하여 응축기의 방열성능을 향상기키고 제품의 작업공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냉장고의 기계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기계실이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 일측에서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를 상기 응축기를 향하여 강제 송풍하여 응축기를 방열시키는 팬모터어셈블리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의 외측과 상기 기계실 내측 벽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가이드플로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플로우는 상기 응축기의 후측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응축기의 후단과 기계실 후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후측부와; 상기 응축기의 상측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응축기의 상단과 기계실 상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로우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된 응축기 냉매관의 사이 간격과 동일하거나 다소 큰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는 상기 응축기의 일측과 상기 기계실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응축기의 고정 장착을 보조하는 장착브라켓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플로우는 난연성 및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며 제조비용 및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응축기와 가이드플로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본체 하측의 후반부에는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가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계실(100)이 구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에는 압축기(200)와 응축기(300), 팬모터어셈블리(500) 그리고 가이드플로우(400) 등이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200)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저온저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 좌측에 설치되며, 그 상세한 구성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200)와 인접한 측방(도 1 에서 우측방)에는 응축기(300)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300)는 상기 압축기(200)에서 압축된 냉매가 열교환에 의해 상온고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로 상변화 시키기 위한 것으로,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관상의 냉매관(320)이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응축기(300)는 상기 냉매관(320)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사행상(蛇行狀)으로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냉매관(320)의 반복된 절곡에 의해 상기 응축기(3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300)의 냉매관(320)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상하방으로 다수개의 방열핀(340)이 장착된다. 상기 방열핀(340)은 외부공기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상기 냉매관(320)을 통한 냉매의 열교환효율을 향상기키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300)의 전면에는 장착브라켓(360)이 장착된다. 상기 장착브라켓(360)은 상기 응축기(300)가 상기 기계실(1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300)의 냉매관(320)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부(362)와 상기 기계실(100)의 하면과 결합되는 장착부(364)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장착브라켓(360)의 삽입부(362)는 상기 응축기(300)의 측면의 면적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62)에는 상기 냉매관(320)의 절곡된 측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천공 형성되는 삽입구(36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362')는 다수개가 형성되어 다수의 냉매관(3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64)는 상기 기계실(100)의 하면과 면접촉하며, 스크류(Screw)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기계실(100)의 하면에 상기 응축기(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300)에는 가이드플로우(400)가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플로우(400)는 상기 응축기(300)의 외측과 상기 기계실(100)의 내측 벽면의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팬모터어셈블리(50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의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플로우(4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측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300)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는 냉매관(320) 사이에 끼움결합된다.
즉,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의 두께(도 2 에서 T)는 상기 응축기의 냉매관(320) 사이의 거리(도 2 에서 D)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플로우(400)를 상기 응축기(300)의 내측으로 억지끼움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플로우(400)는 후측부(420)와 상측부(440) 그리고 고정부(460)로 구성된다.
상기 후측부(420)는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단이 상기 응축기(300)의 후측에 끼움결합되고 다른 일측단은 상기 기계실(100) 내부의 후측 벽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부(440)는 상기 후측부(420)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응축기(300)의 상측에 끼움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기계실(100) 내부의 상측 벽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측부(420)와 상측부(440)의 폭은 상기 응축기(300)의 후측단 및 상측단과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 후면 및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후측부(420)와 상측부(440)가 상기 응축기(300)의 내측으로 끼움결합 되더라도 상기 응축기(300)의 후측단 및 상단과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 후면 및 상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측부(420)와 상측부(440)가 접하는 모서리의 바깥쪽은 상기 기계실(100)의 내측 벽면과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다소 경사지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형상은 상기 기계실(100)의 내측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상기 상측부(440)의 일측 단부(도 1 에서 우측 단부)에는 고정부(46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60)는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의 장착시 상기 응축기(300)의 상부 일부분을 구속하여 상기 응축기(300)의 상부를 고정함과 동시 에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의 장착을 보조하는 것으로, 상기 상측부(440)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이드플로우(400)는 상기 비교적 고온인 응축기(300)의 냉매관(320)과 밀착되므로 난연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의 용이한 장착과 상기 응축기(300) 및 기계실(100)의 내측 벽면과의 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펀지 또는 합성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며, 이 경우 냉동사이클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300)의 측방(도 1 에서 우측방)에는 팬모터어셈블리(500)가 형성된다. 상기 팬모터어셈블리(500)는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응축기(300)로 강제 송풍하는 것으로, 송풍팬(520)과 모터(540) 그리고 모터브라켓(5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520)은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팬이 채용되며, 상기 송풍팬(520)은 상기 모터(54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브라켓(560)은 상기 모터(540)의 장착을 지지함은 물론 상기 송풍팬(520)의 회전에 의한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계실(100)의 개구된 전면은 기계실커버(12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기계실커버(120)는 상기 기계실(10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실(100)의 개구된 전면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스크류(Screw) 에 의해 상기 기계실(100)의 선단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커버(120)의 좌측과 우측 즉, 상기 응축기(300)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는 상기 기계실커버(120)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공기흡입구(122)와 공기배출구(124)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구(122)는 상기 팬모터어셈블리(50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이며, 상기 공기배출구(124)는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를 거치면서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122)와 공기배출구(124)는 상기 기계실(100) 내부에 구비되는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를 비롯한 전장부품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위치가 다소 변경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100) 공기 흐름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기계실 공기 흐름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에 전원이 인가되면 냉동사이클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 냉동사이클의 동작으로 상기 압축기(200)는 유입되는 저온저압의 기체상태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 냉매로 압축하게 된다. 압축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200)와 연결된 응축기(300)로 유동하여 상기 응축기(300)의 냉매관(320)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팬모터어셈블리(500)가 작동하게 되며, 상기 송풍팬(520) 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커버(120)의 공기흡입구(122)를 통해 상기 기계실(1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기계실(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520)에 의해 상기 응축기 방향으로 강제 송풍되며, 대부분의 공기가 상기 응축기(300)의 냉매관(320) 사이 또는 상기 방열핀(340)을 지나면서 상기 냉매관(320) 내부의 냉매와 열교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응축기(300)의 상방 또는 후방으로 흐르는 공기는 상기 응축기(300)와 기계실(100)의 내부 벽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에 의해 차단되어 모두 상기 응축기(30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는 상온고압의 액체상태로 상태변화 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의 본체 일측에 구비된 팽창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는 다시 압축기(200)로 공급되어 압축되며, 냉매는 이러한 냉동사이클을 지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300)와 가이드플로우(400)의 장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계실(100)에 응축기(300)의 장착을 위해서 우선, 상기 응축기(300)의 해당위치 예컨데 대략 중앙부에 상기 가이드플로우(400)를 끼우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의 후측부(420)는 상기 응축기(300)의 후측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 냉매관(320)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상측부(440)는 상 기 응축기(300)의 상측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 냉매관(320)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의 고정부(460)는 상기 응축기(300)의 상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300)의 전면 상부 대략 중앙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300)의 후측과 상측 그리고 전면 일측은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와 접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플로우(400)가 장착된 상기 응축기(300)를 상기 기계실(100) 내부의 해당위치에 가져가게 되면,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의 후측부(420)와 상측부(440)가 각각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 후측 벽면과 상측 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응축기(300)의 외측과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 벽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응축기(300)의 전방에는 기계실커버(120)가 인접하도록 장착될 뿐만 아니라 응축기(300)의 절곡된 부분이 위치하여 공기의 흐름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에 의한 공간의 차폐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한편, 상기 응축기(300)의 전면에는 상기 장착브라켓(360) 삽입부(362)의 삽입구(362')에 상기 냉매관(320)의 절곡된 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장착브라켓(360)의 장착부(364)는 상기 기계실(100)의 하면에 스크류결합되어 상기 응축기(300)의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계실(100)의 전면을 차폐하는 기계실커버(120)를 상기 기계 실(100)의 전단부에 스크류체결하여 결합하게 되면, 상기 응축기(300)의 장착 및 기계실(100)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계실(100)에서 상기 응축기(300)가 장착된 부분은 상기 가이드플로우(400)에 의해서 상기 응축기(300)의 후단 및 상단과 상기 기계실(100)의 내측 후면 및 상면 사이의 공간을 완전하게 차폐하게 되어 상기 팬모터어셈블리(50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외부공기는 필연적으로 모두 상기 응축기(300)를 통과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기계실에서는, 가이드플로우가 판상으로 형성되어 응축기의 후측과 상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플로우의 장착으로 팬모터어셈블리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외부공기가 모두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의 열교환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는 물론 동일성능의 발휘를 위해 상기 응축기의 배관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재료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로우를 판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응축기 전체를 감싸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제조비용을 한층 더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 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로우를 응축기에 끼움으로써 안정적으로 장착가능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플로우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부재가 필요치 않게 됨은 물론 가이드플로우의 장착 작업 자체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작업공수의 절감효과는 물론 응축기의 장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Claims (5)

  1. 본체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기계실(100)이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0)와;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 일측에서 상기 압축기(2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20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며, 냉매관(320)이 연속하여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응축기(300)와;
    상기 기계실(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를 상기 응축기(300)를 향하여 강제 송풍하여 응축기(300)를 방열시키는 팬모터어셈블리(500)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300)의 외측과 상기 기계실 내측 벽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가이드플로우(4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로우(400)는 상기 냉매관(32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냉매관(320)의 사이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기계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로우(400)는,
    상기 응축기(300)의 후측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응축기(300)의 후단과 기계실(100) 후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후측부(420)와;
    상기 응축기(300)의 상측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응축기(300)의 상단과 기계실(100) 상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상측부(440)와;
    상기 상측부(440)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응축 기(300)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기계실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300)의 일측에는,
    상기 응축기(300)의 일측과 상기 기계실(100)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응축기(300)의 고정 장착을 보조하는 장착브라켓(36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기계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로우(400)는 난연성 및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기계실.
KR1020050126028A 2005-12-20 2005-12-20 냉장고의 기계실 KR101202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028A KR101202872B1 (ko) 2005-12-20 2005-12-20 냉장고의 기계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028A KR101202872B1 (ko) 2005-12-20 2005-12-20 냉장고의 기계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512A KR20070065512A (ko) 2007-06-25
KR101202872B1 true KR101202872B1 (ko) 2012-11-19

Family

ID=3836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028A KR101202872B1 (ko) 2005-12-20 2005-12-20 냉장고의 기계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24389B (zh) * 2007-06-13 2011-11-09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冷凝器及使用该冷凝器的家用电器
BR102012019634A2 (pt) * 2012-08-06 2016-05-31 Whirlpool Sa dispositivo de controle e direcionamento de fluxo de ar para condensado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558A (ja) * 2000-06-23 2002-01-09 Hitachi Ltd 冷蔵庫及び冷蔵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558A (ja) * 2000-06-23 2002-01-09 Hitachi Ltd 冷蔵庫及び冷蔵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512A (ko) 200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045B1 (en) Kimchi refrigerator
US7155926B2 (en) Refrigerator having cross flow fan
KR10112331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US10436459B2 (en) Air guide for air conditioner
KR101202872B1 (ko) 냉장고의 기계실
KR20080065088A (ko) 냉장고 응축기의 방열구조
KR100593086B1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KR20220012109A (ko) 냉장고
US20030029189A1 (en) Refrigerator condenser system
KR100608128B1 (ko) 공기조화기
KR100484661B1 (ko) 내부용적이 증가된 냉장고
KR10060269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20100115982A1 (en) Evaporator integrated duc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3850980B2 (ja) 冷却貯蔵庫
KR10041919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02865B1 (ko) 냉장고용 증발기 장착구조
KR200342809Y1 (ko) 강제 공냉식 냉장고
JP5259235B2 (ja) 冷却ユニット
KR200264492Y1 (ko)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KR0124288Y1 (ko) 냉장고의 증발접시
JPH09292188A (ja) 熱交換器
KR100436274B1 (ko) 냉장고
KR20040091475A (ko) 냉장고용 팬모터의 리드와이어 걸이구조
CN115993028A (zh) 在冰箱下部设置倾斜排水管的冰箱
KR20220032262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