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840U -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01840U KR20000001840U KR2019980011643U KR19980011643U KR20000001840U KR 20000001840 U KR20000001840 U KR 20000001840U KR 2019980011643 U KR2019980011643 U KR 2019980011643U KR 19980011643 U KR19980011643 U KR 19980011643U KR 20000001840 U KR20000001840 U KR 2000000184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 supply
- heat exchanger
- pipe
- circul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팽창밸브로 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일측에 내부에 형성된 격판에 의하여 제 1공급부와 제 2공급부로 구획되는 원통형의 냉매공급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격판에 의하여 순환부와 토출부로 구획된 냉매토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공급관과 냉매토출관 사이에는 일면에 다수번 절곡된 냉각핀이 설치되는 다수의 원통형 순환관이 설치되게 구성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냉매공급관의 제 1공급부에 다수의 분할판을 형성하여 다수의 분할공급부를 형성하고, 이 분할공급부에는 하나의 몸체에 상기 분할공급부와 상응되는 다수의 분배관이 형성되어 연결되게 설치된 냉매 분배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를 제공하므로서, 에어콘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에 팽창밸브로 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열교환기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많은 열교환 효과를 갖을 수 있도록 한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에어콘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에 팽창밸브로 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열교환기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많은 열교환 효과를 갖을 수 있도록 한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어콘은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냉동싸이클과 연동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실내기와 실외기로 나누어지고, 이 실내기와 실외기가 한 몸체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일체형 에어콘이라 하며, 각각 별도로 설치된 것을 분리형 에어콘이라 한다.
전자인 일체형 에어콘의 대표적인 것에는 창문형 에어콘이 대표적이고, 후자인 분리형 에어콘에는 벽걸이형과 패캐지형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원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류된 에어콘 중에 근래에 들어 많이 사용되는 패캐지 에어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패캐지 에어콘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는 데, 전자인 실내기에는 열교환기(증발기)와 브로워 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후자인 실외기에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냉각팬이 형성되어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패캐지 에어콘은 냉동 싸이클의 원리 즉, 열교환기 내에서의 흡열작용에 의하여 기화된 냉매가스는 압축기 내에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고온고압의 가스가 되고, 이 가스는 응축기를 거쳐 응축되면서 액체가 되고 다시 팽창밸브에서 열교환기로 보내면 재차 열교환되면서 흡열작용이 반복되어 실내 공기를 저온으로 낮추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패캐지 에어콘에서 열교환기가 설치된 실내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열교환기(90)와 구동모터(80)에 의하여 구동되는 브로워 팬(82)이 내장되어 지고, 전면부(70)에는 토출그릴부가 형성된 토출그릴판(72)과 컨트럴부가 설치되는 프론트판넬(74) 및 흡입그릴부가 형성된 흡입그릴판(76)이 상측에서 순차적으로 상부커버(78)와 측면판넬(79)에 설치되어 베이스커버(도시되지 않음)와 같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그릴판(72)의 후방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태핑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브레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패캐지 에어콘의 실내기(100)는 프론트판넬(74)의 후방에 설치되어 구동모터(80)에 의하여 구동되는 브로워 팬(82)에 의해 흡입그릴판(76)의 흡입그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흡입되면서 열교환기(90)를 거치게 되고, 이 열교환기(90)를 거친 실내공기는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각공기로 변환되며, 이 변환된 냉각공기는 다시 브로워 팬(82)에 의하여 상부 토출그릴판(72)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스태핑모터로 구동되는 작동브레이드에 의하여 토출그릴판(72)의 토출그릴부를 통하여 실내로 냉각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실내기(100)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열교환기(90)는 냉동 싸이클에 의하여 팽창밸브로 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데, 그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일측에 내부에 형성된 격판(911)에 의하여 제 1공급부(912)와 제 2공급부(914)로 구획되는 냉매공급관(9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격판(911a)에 의하여 순환부(922)와 토출부(924)로 구획된 냉매토출관(920)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공급관(910)과 냉매토출관(920) 사이에는 일면에 열교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수번 절곡된 냉각핀(932)이 설치되는 다수의 원통형 순환관(930)이 설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90)에서 팽창밸브로 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순환은 도 4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내부에 격판(911)(911a)에 의하여 구획된 냉매공급관(910)과 냉매토출관(920)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순환관(930)을 통하여 제 1공급부(912)에서 순환부(922)로, 순환부(922)에서 제 2공급부(914)로, 제 2공급부(914)에서 토출부(924)로 순환되면서 토출되어 실내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90)에 있어서는 팽창밸브로 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하나의 관에 의하여 냉매공급관(910)의 제 1공급부(912)로 공급된 후, 다시 다수의 순환관(930)으로 냉매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많은 압력차가 발생되어 다수의 순환관(930)으로 공급되는 냉매가 균일하게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불균일하게 공급되어 열교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에어콘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에 팽창밸브로 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열교환기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많은 열교환 효과를 갖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냉매 분배기가 열교환기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패캐지 에어콘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 에어콘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분할공급부 12 : 분할판
20 : 냉매 분배기 22 : 몸체
24 : 분배관 90 : 열교환기
910 : 냉매공급관 911, 911a : 격판
912 : 제 1공급부 914 : 제 2공급부
920 : 냉매토출관 922 : 순환부
924 : 토출부 930 : 순환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팽창밸브로 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일측에 내부에 형성된 격판에 의하여 제 1공급부와 제 2공급부로 구획되는 원통형의 냉매공급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격판에 의하여 순환부와 토출부로 구획된 냉매토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공급관과 냉매토출관 사이에는 일면에 다수번 절곡된 냉각핀이 설치되는 다수의 원통형 순환관이 설치되게 구성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냉매공급관의 제 1공급부에 다수의 분할판을 형성하여 다수의 분할공급부를 형성하고, 이 분할공급부에는 하나의 몸체에 상기 분할공급부와 상응되는 다수의 분배관이 형성되어 연결되게 설치된 냉매 분배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를 제공하므로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냉매 분배기가 열교환기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팽창밸브로 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일측에 내부에 형성된 격판(911)에 의하여 제 1공급부(912)와 제 2공급부(914)로 구획되는 냉매공급관(9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격판(911a)에 의하여 순환부(922)와 토출부(924)로 구획된 냉매토출관(920)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공급관(910)과 냉매토출관(920) 사이에는 일면에 다수번 절곡된 냉각핀(932)이 설치되는 다수의 순환관(930)이 설치되게 구성된 열교환기(90)에, 상기 냉매공급관(910)의 제 1공급부(912)에 다수의 분할판(12)을 형성하여 다수의 분할공급부(10)를 형성하고, 이 분할공급부(12)에는 하나의 몸체(22)에 상기 분할공급부(12)와 상응되는 다수의 분배관(24)이 형성되어 연결되게 설치된 냉매 분배기(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팽창밸브를 거친 냉매는 도 1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열교환기(90)의 냉매공급관(910)에 형성된 제 1공급부(912)로 유입되어지고, 이 제 1공급부(912)에서 다시 순환관(930)을 거쳐 냉매토출관(920)의 순환부(922)로, 이 순환부(922)에서 순환관(930)을 통해 다시 냉매공급관(910)의 제 2공급부(914)로, 이 제 2공급부(914)에서 다시 순환관(930)을 거쳐 냉매토출관(920)의 토출부(924)로 토출되면서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냉매공급관(910)의 제 1공급부(912)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다수의 분할판(12)으로 나누어지는 다수의 분할공급부(10)가 형성되고, 이 분할공급부(10)에는 하나의 몸체(22)에 상기 분할공급부(10)와 상응되는 다수의 분배관(24)이 형성되어 연결되게 설치된 냉매 분배기(20)가 설치되어 있어, 팽창밸브를 거친 냉매가 상기 냉매 분배기(20)의 몸체(22)에서 냉매공급관(910)의 제 1공급부(912)에 형성된 다수의 분할공급부(10)에 연결된 분배관(24)을 통하여 공급되어 진다.
이렇게, 분할공급부(10)에 공급된 냉매는 다시 냉매공급관(910)에 연결된 다수의 순환관(930)을 거쳐 상기와 같은 순환과정을 거쳐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팽창밸브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냉매 분배기(20)를 통하여 냉매공급관(910)의 제 1공급부(912)에 분배하여 공급하므로서, 냉매공급관(910)의 제 1공급부(912)에서 많은 압력차가 발생되지 않아, 순환관(930)으로 공급되는 냉매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순환관(930)으로 순환되는 냉매가 균일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열교환 과정에서 보다 많은 열교환을 시킬 수 있는 여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팽창밸브로 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열교환기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냉매 공급관을 설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열교환기가 보다 많은 열교환 효과를 갖을 수 있는 바람직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 팽창밸브로 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일측에 내부에 형성된 격판에 의하여 제 1공급부와 제 2공급부로 구획되는 냉매공급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격판에 의하여 순환부와 토출부로 구획된 냉매토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공급관과 냉매토출관 사이에는 일면에 다수번 절곡된 냉각핀이 설치되는 다수의 순환관이 설치되게 구성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냉매공급관(910)의 제 1공급부(912)에 다수의 분할판(12)을 형성하여 다수의 분할공급부(10)를 형성하고, 이 분할공급부(10)에는 하나의 몸체(22)에 상기 분할공급부(10)와 상응되는 다수의 분배관(24)이 형성되어 연결되게 설치된 냉매 분배기(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643U KR20000001840U (ko) | 1998-06-30 | 1998-06-30 |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643U KR20000001840U (ko) | 1998-06-30 | 1998-06-30 |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1840U true KR20000001840U (ko) | 2000-01-25 |
Family
ID=6951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1643U Withdrawn KR20000001840U (ko) | 1998-06-30 | 1998-06-30 |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01840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2541A (ko) * | 2002-05-30 | 2003-12-06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에어콘용 응축기 |
KR100497429B1 (ko) * | 2002-07-18 | 2005-06-29 | 주식회사 케스 | 휜앤 플랫 튜브형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증발기 |
-
1998
- 1998-06-30 KR KR2019980011643U patent/KR20000001840U/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2541A (ko) * | 2002-05-30 | 2003-12-06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에어콘용 응축기 |
KR100497429B1 (ko) * | 2002-07-18 | 2005-06-29 | 주식회사 케스 | 휜앤 플랫 튜브형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증발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99823B1 (ko) | 창문형공기조화기의덕트 | |
EP3462111B1 (en) | Heat dissipation assembly and refrigeration device | |
CN212657801U (zh) | 电器盒和空调室外机 | |
KR20000001840U (ko) | 냉매 분배기를 구비한 열교환기 | |
KR20050058136A (ko) | 열효율이 개선된 창문형 에어컨 | |
KR20000001841U (ko) | 에어콘의 열교환기 | |
KR20000004185A (ko) | 에어콘의 냉매 분배기 | |
CN219454105U (zh) | 空调器 | |
JP3315073B2 (ja) | 局所冷房用空調機 | |
KR200265904Y1 (ko) |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의 열교환 장치 | |
KR100429987B1 (ko) | 에어콘의 실내기 | |
KR20010000831U (ko) | 창문형 에어컨의 열교환기 냉각구조 | |
KR200264492Y1 (ko) |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 |
KR100229646B1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219556Y1 (ko) | 공기 조화기 | |
JPH05296643A (ja) | 冷却ユニット | |
KR200340245Y1 (ko) | 패캐지에어컨실내기의베이스결합장치 | |
KR200249513Y1 (ko) | 실외기 없는 냉난방기의 열교환용 공기 공급 장치 | |
KR100437774B1 (ko) | 독립냉각 냉장고 | |
JP2001108260A (ja) | 一体空冷式冷凍装置の室外機 | |
KR20020076614A (ko) | 창문형 에어컨 | |
KR200164943Y1 (ko) |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 |
KR19990015947U (ko) | 에어컨의 실외기 | |
KR200274097Y1 (ko) | 냉장고용 응축기 | |
KR20010018414A (ko) |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630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