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931Y1 -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 - Google Patents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931Y1
KR200196931Y1 KR2019960008095U KR19960008095U KR200196931Y1 KR 200196931 Y1 KR200196931 Y1 KR 200196931Y1 KR 2019960008095 U KR2019960008095 U KR 2019960008095U KR 19960008095 U KR19960008095 U KR 19960008095U KR 200196931 Y1 KR200196931 Y1 KR 200196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ompressor
machine room
refrigerator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380U (ko
Inventor
한인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08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931Y1/ko
Publication of KR970059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3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8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이웃하는 파이프(16a)가 접촉되도록 사각형 터널형의 콘덴서(16) 일측단에 팬모터(20)의 송풍팬(1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팬모터(20)의 송풍팬(18)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콘덴서(16)의 파이프(16a) 내측에만 접촉되고 외부측은 전혀 송풍이 미치지 않으므로 원활한 송풍이 이뤄지지 못하였고, 결과적으로 콘덴서(16)의 적절한 방열(냉각)이 이뤄지지 않음으로 인하여 냉동사이클의 성능저하 즉, 냉각성능에 악영향을 끼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해결수단은 기계실의 일측에 콤프레셔가 설치되고 이 콤프레셔와 근접된 위치에 사각 터널형의 콘덴서가 설치되며 이 콘덴서와 콤프레셔를 향하여 송풍팬이 설치되어져 있는 냉장고 기계실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를 이루는 파이프 중앙부는 밀착되고 그 내부에 송풍팬이 설치되며 그 양단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흡입측의 일측단이 판재로 막혀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
본 고안은 냉장고의 기계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밀착되게 감겨진 방열 파이프의 중앙부에 송풍팬을 설치하고 그 양단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일단부가 폐쇄된 콘덴서를 마련하여 송풍팬의 가동시 공기흐름이 방열 파이프의 전면과 접촉되도록 통과시킴으로써 방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실만을 갖는 소형 냉장고와, 냉동실 및 냉장실을 갖는 중대형 냉장고로 대분된다. 이러한 냉장고 중에서 중대형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가 냉동실 및 냉장실으로 구획 분리되어 있고, 전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단열처리되어져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의 냉동실과 냉장실의 전면에는 일측의 상.하단이 연결 지지된 힌지에 의해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의 하단 배면에는 기계실이 마련되어져 있고, 이 기계실에는 냉동사이클의 냉매를 압축하는 콤프레셔(Compressor)와 냉매 압축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콘덴서(Condenser)가 설치되어져 있다.
이러한 선행 기술과 관련된 냉장고의 기계실에 대하여 참고적으로 제1도에 나타내었다.
냉장고 본체(10) 하단 배면의 기계실(12)에는 콤프레셔(14)가 일측에 설치되어져 있고, 이 콤프레셔(14)와 근접된 위치에 콘덴서(16)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이 콘덴서(16)의 일측에 콘덴서(16)와 콤프레셔(14)를 향하여 송풍팬(18)이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콘덴서(16)는 냉매유로인 방열 파이프(16a)가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되어져 있고, 서로 이웃하는 방열 파이프(16a) 상호간에 접촉되도록 사각 터널형으로 감겨져 있다.
이 송풍팬(18)은 상용전원(AC110-220V)을 사용하는 팬모터(Fan Motor, 20)의 축에 장착되어져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냉장고가 가동되면 콤프레셔(14)는 이베퍼레이터(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흡열하여 되돌아온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콘덴서(16)를 이루는 방열 파이프(16a)로 보내어진다. 이때,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 열이 발생되므로 콤프레셔(14)는 물론 콘덴서(16)에서 충분히 방열시켜야 한다.
상기 기계실(12)의 팬모터(20)가 구동됨에 의해 송풍팬(18)이 고속으로 회전됨으로써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콤프레셔(14)와 콘덴서(16)를 방열(냉각)시키게 된다. 이때는 팬모터(20)의 송풍팬(18)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콘덴서(16)의 방열 파이프(16a) 내측만이 접촉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선행 기술에 의한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는 서로 이웃하는 방열 파이프(16a)가 접촉되도록 사각형 터널형의 콘덴서(16) 일측단에 팬모터(20)의 송풍팬(1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팬모터(20)의 송풍팬(18)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콘덴서(16)의 방열 파이프(16a) 내측에만 접촉되고 외부측은 전혀 송풍이 미치지 않으므로 원활한 송풍이 이뤄지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콘덴서(16)의 적절한 방열(냉각)이 이뤄지지 않음으로 인하여 냉동사이클의 성능저하 즉, 냉각성능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콘덴서의 방열 파이프 양단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그 일측단이 판재로 폐쇄하여 송풍팬의 가동시 공기흐름이 흡입측 방열 파이프 사이의 통로를 흡입하고 타단의 개방부와 파이프 사이로 배출함으로써 파이프의 전면과 접촉 통과되므로 방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콤프레셔의 성능 또한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선행 기술에 대한 냉장고의 기계실을 나타낸 구조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냉장고 본체 12 : 기계실
14 : 콤프레셔 16,160 : 콘덴서
16a,160a-160c : 방열 파이프 18 : 송풍팬
20,24 : 팬모터 22 : 송풍팬
162 : 판재 164 : 브라켓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계실의 일측에 콤프레셔가 설치되고 이 콤프레셔와 근접된 위치에 사각 터널형의 콘덴서가 설치되며 이 콘덴서와 콤프레셔를 향하여 송풍팬이 설치되어져 있는 냉장고 기계실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를 이루는 파이프가 중앙부는 밀착되고 그 내부에 송풍팬이 설치되며 그 양단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흡입측의 일측단이 판재로 막혀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를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고안은 기계실(12) 일측의 콤프레셔(14)는 선행 기술과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콤프레셔(14)와 근접된 위치에 콘덴서(160)가 설치되어져 있고, 이 콘덴서(160)는 냉매유로인 방열 파이프(160a-160c)가 일정한 형상(즉 사각 터널형)으로 감겨져 있다.
상기 콘덴서(160)는 중앙부가 서로 이웃하는 방열 파이프(160a)끼리 접촉되도록 설치되어져 있고 그 양단의 방열 파이프(160b,160c)는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져 있다.
상기 방열 파이프(160b,160c)의 간격은 서로 일정하게 이격되면 족하나, 기계실(12)의 공간확보를 감안하여 5-10mm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콘덴서(160)는 일측단이 폐쇄되도록 판재(162)에 의해 막혀져 있다.
상기 콘덴서(160)의 중앙부, 즉 방열 파이프(160a)가 접촉 배열된 내부에는 팬모터(20)가 브라켓트(164)에 의해 장착되어져 있고, 이 팬모터(20)는 선행 기술과 마찬가지로 상용전원(AC110-220V)을 사용한다. 이 팬모터(20)의 축에는 송풍팬(18)이 장착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는, 선행 기술과 마찬가지로 냉장고가 가동되면 콤프레셔(14)는 이베퍼레이터(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흡열하여 되돌아온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콘덴서(160)로 보낸다. 이때,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콤프레셔(14)는 물론 콘덴서(160)에서 충분히 방열시켜야 한다.
따라서, 기계실(12)의 팬모터(20)가 구동됨에 의해 송풍팬(18)이 고속으로 회전됨으로써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콤프레셔(14)와 콘덴서(160)를 방열 (냉각)시키게 된다.
이때는 팬모터(20)의 송풍팬(18)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은 판재(162)로 폐쇄된 흡입측의 방열 파이프(160b)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흡입되고 타단의 배출측 개방부와 방열 파이프(160c) 사이의 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콘덴서(160)전체에 송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콘덴서(160) 일측의 콤프레셔(14)에 이르기까지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는 서로 이웃하는 파이프(16a)끼리 접촉되도록 감겨진 선행 기술과는 달리, 콘덴서(160)의 방열 파이프(160b,160c) 양단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그 일측단이 판재(162)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팬(18)의 가동시 공기흐름이 파이프(160b)의 전면과 접촉 통과되므로 방열효과의 극대화와 콤프레셔(14)의 성능향상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에 의하면, 콘덴서의 파이프 양단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그 일측단이 판재로 폐쇄하여 송풍팬의 가동시 공기흐름이 판재로 폐쇄된 파이프 사이의 통로를 통해 흡입하고 타단의 개방부와 파이프 사이로 배출함으로써 파이프의 전면과 접촉 통과되므로 방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콤프레셔의 성능 또한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끝으로, 본 고안은 특정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시켜도 본 고안의 기술범주에 속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

  1. 기계실의 일측에 콤프레셔가 설치되고 이 콤프레셔와 근접된 위치에 사각 터널형의 콘덴서가 설치되며 이 콘덴서와 콤프레셔를 향하여 송풍팬이 설치되어져 있는 냉장고 기계실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를 이루는 파이프가 중앙부는 밀착되고 그 내부에 송풍팬이 설치되며 그 양단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흡입측의 일측단이 판재로 막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
KR2019960008095U 1996-04-15 1996-04-15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 KR200196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095U KR200196931Y1 (ko) 1996-04-15 1996-04-15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095U KR200196931Y1 (ko) 1996-04-15 1996-04-15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380U KR970059380U (ko) 1997-11-10
KR200196931Y1 true KR200196931Y1 (ko) 2000-10-02

Family

ID=1945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095U KR200196931Y1 (ko) 1996-04-15 1996-04-15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9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380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605B1 (ko) 냉장고
KR10037001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소음 저감구조
JPH0743060A (ja) 冷蔵ショーケース
KR200196931Y1 (ko) 냉장고 기계실의 콘덴서
KR20110083913A (ko) 냉장고
JPH0791811A (ja) 冷蔵庫
KR20040107252A (ko) 냉장고의 기계실 유로 구조
KR100594421B1 (ko) 냉장고 기계실의 공기순환모터 장착구조
KR200335271Y1 (ko) 에어콘 실외기의 공기가이드구조
KR20010037825A (ko) 소음저감 창문형 에어컨
KR200264492Y1 (ko)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JPH11230661A (ja) 冷蔵庫
KR200200684Y1 (ko) 냉장고
KR20000014015U (ko) 고주파 소음저감 구조의 냉장고 기계실
KR200142503Y1 (ko) 냉장고
KR200212593Y1 (ko)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냉장고의 기계실
KR0139230Y1 (ko) 냉장고
KR200217728Y1 (ko) 냉장고의 기계실 흡음구조
JP2023041133A (ja) 冷蔵庫
KR20030021809A (ko)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
KR900004912Y1 (ko) 에어컨 소비전력 감소장치
KR20000014017U (ko) 냉각팬 풍량증대 구조의 냉장고 기계실
KR20050078424A (ko) 냉장고
KR0129991Y1 (ko) 냉장고 기계실의 공기 순환구조
KR100581824B1 (ko) 냉장고용 콘덴서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415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415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7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4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