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679B1 -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로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직물 - Google Patents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로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679B1
KR100564679B1 KR1020030050554A KR20030050554A KR100564679B1 KR 100564679 B1 KR100564679 B1 KR 100564679B1 KR 1020030050554 A KR1020030050554 A KR 1020030050554A KR 20030050554 A KR20030050554 A KR 20030050554A KR 100564679 B1 KR100564679 B1 KR 10056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inting
hologram
minutes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442A (ko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김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호 filed Critical 김기호
Priority to KR102003005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6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52Dyeing with polymeric dyes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로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직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라바(Ruber) 30중량%와, 폴리졸(Polysol)30중량%와, 폴리코드(Polycord) 2중량%와, 글리세린 3중량%를 15∼30분 믹싱하고,
상기 혼합물에 소포제(Anti foaming) 2중량%와, 요소(Urea) 1중량%와, 바인더(Binder) 20중량%를 투입하여 5∼15분 믹싱하고,
안료염료(Pikment,dye)(coler) 10중량%와, 밀매(멜라민수지(Polysaiole)) 1중량%와, 균염제(Y-pinol) 1중량%를 5∼15분 믹싱한 후 이를 상기 혼합물들과 믹싱한 후 12∼24시간 숙성하여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얻는다.
또한 홀로그램이 인쇄될 직물위에 원하는 식자 또는 도안이 디자인된 스크린을 밀착시킨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프린트 나염한 후 2∼4시간 후에 홀로그램 박을 부착하고 이에 5∼10분동안 130∼150℃의 열을 가하면서 5∼10분간 가압한 후 홀로그램박피를 분리시켜 홀로그램이 인쇄된 직물을 얻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는 본 발명은, 홀로그램인쇄를 위한 접착제가 적은 양으로도 높은 접착력을 발휘하고, 직물에 번짐현상이 없으며, 물이나 습기에 강함에 따라 홀로그램의 홀로그램 인쇄후 인쇄두께가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높은 유연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세탁에 의한 구김이나 마찰 및 습기에도 인쇄된 홀로그램의 탈락됨 없이 최상의 인쇄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정밀한 홀로 그램 인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빛이나 열에 의해 탈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물의 바탕색과 무관하게 고유의 색상을 표출할 수 있으므로 그 표현을 더욱 다양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들에 의해 기존의 직물에 인쇄된 홀로그램과는 확연히 차별화되고 또 그에 따라 제품의 고급화를 이룰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방법의 홀로그램 인쇄를 간판 및 현수막에 적용하면 더욱더 차별화된 광고를 할 수 있으며, 또 그로인한 광고 효과를 높일 수가 있게 된다.
직물, 홀로그램, 인쇄, 스크린, 접착제

Description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로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직물{Hologram printing Adhesives and printing method for textile fabrics and the dry goods}
본 발명은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함에 있어서, 인쇄후 인쇄두께가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유연성을 유지하여 세탁에 의한 구김이나 마찰 및 습기에도 홀로그램의 탈락됨 없이 최상의 인쇄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정밀한 홀로그램 인쇄가 가능하고, 빛이나 열에 의해 탈색되지 않으며, 직물의 바탕색과 무관하게 고유의 색상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로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및 홀로그램이 인쇄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홀로그램은 빛의 간섭을 통해 평면에서 입체감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산업부분에서 널리 활용하고 있는데, 직물에는 그 특성상 홀로그램을 인쇄가 어려워 지금까지는 직물에 홀로그램의 인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 이유는, 직물의 특성상 홀로그램의 인쇄가 가능하도록 하는 접착제이 직물에 스며들어 퍼지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인쇄 후 세탁이나 구김에 의해 인쇄된 홀로그램액이 직물로부터 쉽게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직물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홀로그램이 쉽게 점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직물의 바탕색이 진할 경우에는 홀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상이 바탕색에 의해 변질 되어 원하는 홀로그램 인쇄를 실시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고, 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홀로그램 접착제를 많이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그 인쇄부분이 외부에서도 쉽게 확인 할 수 있을 정도로 두께가 발생하게 되어 미관이 불량하게 되며, 또 유연성이 떨어져 세탁 및 구김에 의해 쉽게 홀로그램이 손상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원인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을 정밀하게 인쇄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고, 또 빛이나 열이 가해지게 되면 홀로그램이 쉽게 변색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직물에 홀로그램 인쇄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인쇄상태가 불량함에 따른 상업적 가치가 떨어지게 되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홀로그램 인쇄후 인쇄두께가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유연성을 유지하여 세탁에 의한 구김이나 마찰 및 습기에도 홀로그램의 탈락됨 없이 최상의 인쇄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정밀한 홀로그램 인쇄가 가능하고, 빛이나 열에 의해 탈색되지 않으며, 직물의 바탕색과 무관하게 고유의 색상을 표출할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상의 질을 갖는 홀로그램 인쇄로 그 직물의 고급화 및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는 홀로그램이 인쇄된 직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 본 발명은,
라바(Ruber) 30중량%와, 폴리졸(Polysol)30중량%와, 폴리코드(Polycord) 2중량%와, 글리세린 3중량%를 15∼30분 믹싱하고,
상기 혼합물에 소포제(Anti foaming) 2중량%와, 요소(Urea) 1중량%와, 바인더(Binder) 20중량%를 투입하여 5∼15분 믹싱하고,
안료염료(Pikment,dye)(coler) 10중량%와, 밀매(멜라민수지(Polysaiole)) 1중량%와, 균염제(Y-pinol) 1중량%를 5∼15분 믹싱한 후 이를 상기 혼합물들과 믹싱한 후 12∼24시간 숙성하여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얻는다.
또한 홀로그램이 인쇄될 직물위에 원하는 식자 또는 도안이 디자인된 스크린을 밀착시킨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프린트 나염한 후 2∼4시간 후에 홀로그램 박을 부착하고 이에 5∼10분동안 130∼150℃의 열을 가하면서 5∼10분간 가압한 후 홀로그램박피를 분리시켜 홀로그램이 인쇄된 직물을 얻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홀로그램 인쇄를 위한 접착제 조성물은, 라바(Ruber) 30중량%와, 폴리졸(Polysol)30중량%와, 폴리코드(Polycord) 2중량%와, 홀로그램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글리세린 3중량%를 15∼30분 믹싱하여 제1혼합물을 얻는다.
소포제(Anti foaming) 2중량%와, 요소(Urea) 1중량%와, 바인더(Binder) 30중 량%를 5∼15분 믹싱하여 제2혼합물을 얻는다.
상기 제1,제2혼합물들과 함께 밀매(Polysaiole) 즉, 멜라민수지 2중량%를 5∼15분간 믹싱하여 12∼24시간 숙성하여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얻는다.
이때 밀매는 막을 형성하는 접착제 기능을 하며, 상기 글리세린은 투과효율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스크린 투과 용이제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홀로그램 인쇄를 위한 접착제 조성물은, 라바(Ruber) 30중량%와, 폴리졸(Polysol)30중량%와, 폴리코드(Polycord) 2중량%와, 글리세린 3중량%를 15∼30분 믹싱하여 제1혼합물을 얻는다.
또 소포제(Anti foaming) 2중량%와, 요소(Urea) 1중량%와, 바인더(Binder) 30중량%를 5∼15분 믹싱하여 제2혼합물을 얻는다.
그리고 밀매(멜라민수지(Polysaiole)) 1중량%와, 균염제(Y-pinol) 1중량%를 5∼15분 믹싱하여 제3혼합물을 얻은 후 상기 제1,제2,제3 혼합물들을 혼합하여 5∼15분간 믹싱한 후 12∼24시간 숙성하여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득하게 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홀로그램 인쇄를 위한 접착제 조성물은, 라바(Ruber) 30중량%와, 폴리졸(Polysol)30중량%와, 폴리코드(Polycord) 2중량%와, 글리세린 3중량%를 15∼30분 믹싱하여 제1혼합물을 얻는다.
또 소포제(Anti foaming) 2중량%와, 요소(Urea) 1중량%와, 바인더(Binder) 20중량%를 5∼15분 믹싱하여 제2혼합물을 얻는다.
그리고 안료염료(Pikment,dye)(coler) 10중량%와, 밀매(멜라민수지(Polysaiole)) 1중량%와, 균염제(Y-pinol) 1중량%를 5∼15분 믹싱하여 제3혼합물을 얻은 후 상기 제1,제2,제3혼합물들을 5∼15분간 믹싱한 후 12∼24시간 숙성하여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득하게 된다.
상기 균염제는 인프로바(In Prover) 즉, 번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홀로그램 인쇄를 위한 접착제 조성물은, 라바(Ruber) 30중량%와, 폴리졸(Polysol)30중량%와, 폴리코드(Polycord) 2중량%와, 글리세린 3중량%를 15∼30분 믹싱하여 제1혼합물을 얻는다.
또 상기 혼합물에 소포제(Anti foaming) 2중량%와, 요소(Urea) 1중량%와, 바인더(Binder) 20중량%를 투입하여 5∼15분 믹싱하여 제2혼합물을 얻는다.
그리고 안료염료(Pikment,dye)(coler) 10중량%와, 밀매 1중량%와, 균염제(Y-pinol) 1중량%를 5∼15분 믹싱하여 제3혼합물을 얻은 후 상기 제1,제2,제3 혼합물들 전체를 5∼10분간 믹싱한 후 12∼24시간 숙성하여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얻는다.
이때, 최종혼합물을 믹싱하는 방법은, 제1,제2 및 제3 혼합물은 순차적으로 제조하여 최종 믹싱할 수도 있고, 또 동시에 제1,제2,제3 혼합물을 얻은 후 이들을 최종 믹싱할 수도 있다. 그리고, 1혼합물에 2차혼합물을 제조하여 1믹싱하고, 이 믹싱된 혼합물에 제3차혼합물을 제조하여 믹싱하는 방법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 가지의 경우 모두 가능하며 그 효과 또한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한 방법으로 취급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은, 홀로그램이 인쇄될 직물위에 원하는 식자 또는 도안이 디자인된 스크린을 밀착시킨 상기 접착제 조성물들 중 어느 한 접착제 조성물을 프린트 나염한 후 2∼4시간 후에 홀로그램 박을 부착하고 이에 5∼10분동안 130∼150℃의 열을 가하면서 5∼10분간 가압한 후 홀로그램박피를 분리시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프린트할 때,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1차 프린트한 후5∼15분간 건조한 후 다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2차 프린트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접착제 조성물에 안료염료를 사용하는 것은 직물의 이면에 홀로그램이 아닌 또다른 색상을 내기 위한 목적이 있고, 또 안료의 색상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홀로그램의 고유의 색상이 직물의 색상에 관계없이 표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홀로그램이 인쇄되는 직물은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100%원단이 좋다. 그리고 그 원단은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남색(Blue), 분홍(Pink), 노랑(Yellow), 보라(Violet), 미색(Pastel)의 칼라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홀로그램이 인쇄될 직물에 홀로그램이 인쇄된 직물은 매우 정교한 홀로그램 인쇄상태를 이룰 수가 있고, 또 물이나 습기에도 그 인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접착력이 뛰어나 접착제를 얇게 도포하여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 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의 프린트에 의한 두께가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된다. 또 접착제 조성물에 글리세린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성이 매우 뛰어난 성질을 가지고 있고 또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세탁이나 구김에 의해 인쇄된 홀로그램이 탈락되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전술된 내용 중 본 발명은 수치를 한정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다수의 실험을 통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최적치를 찾아낸 것이다. ㅂ
그럼 상기한 구성요소(건)인 라바, 폴리졸, 폴리코드, 소포제, 바인더, 균염제의 물성 및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졸의 경우 목공용이나 섬유용으로 다양한 화학성분이 혼합된 화합물이다.
통상 이 화합물은 PVAC가 주 성분이며 많이 공지되어 주지된 물질이다.
또한 폴리코드의 경우도 폴리졸과 유사하나, 그 접착성면에서 더욱 뛰어난 강력접착제로 사용하고 있다.
즉, 폴리코드는 목공용이나 섬유용으로 다양한 화학성분에 혼합된 화합물이며, 이 화합물은 PVAC가 주성분인 주지된 강력접착제입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라바의 경우 일반적인 액상의 러버이다.
이 러버는 인쇄가 되었을 경우, 직물이 겹쳐지거나 구겨지는 현상에 의해 직물의 외부에 프린트된 도형이 부서지거나 떨어지는 현상을 막기위해 투입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액상러버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소포제(消泡劑 antifoaming agent)는 발포(發泡)를 억제하거나 생긴 거품을 파괴하는 작용을 하는 약제 즉, 계면활성제의 일종이다.
발포는 식품·발효공업, 제지·섬유공업, 도료·고분자공업 등에서의 합성과 제품처리 과정에 장해가 되는 경우가 많고, 또 폐수처리 등에도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소포제의 경우 긴사슬알코올, 탄화수소, 동·식물유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계면활성제로 보통 HLB(친수-친유기평형값)가 적고 친유성이 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共重合體;혼성중합체),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다가(多價) 알코올지방산 부분에스테르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 일련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도 이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다음의 바인더는 에멀죤 등이 사용되며 이 역시 접착제의 일종으로 부드러운 접착을 위해 투입되는 화합물이다.
다음으로 균염제의 경우, 그 화학성분이 POE Alkyamine & anion compounds와 Alkyl aryl ethoxylate로 구성된 형태의 것이 있는데, 전자의 경우 Nylon 및 그 혼방품을 위한 산성염료 균염제입니다. 즉, 염료친화성과 섬유친화성을 동시에 갖는 균염제로써, 적당한 이염력과 완염력이 있어 우수한 균염성을 갖추고 있다.
이에 반하여 후자는 염료에 대한 완염력을 부여하여 균염 효과를 나타내며 고온에서도 안정한 침투 균염제로서 극히 우수한 품질이다.
특히 산성염료와 염기성염료의 동욕 염색시 침전방지 효과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결국 이상의 균염제는 본 발명에 투입되어 골고루 착색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홀로그램인쇄를 위한 접착제가 적은 양으로도 높은 접착력을 발휘하고, 직물에 번짐현상이 없으며, 물이나 습기에 강함에 따라 홀로그램의 홀로그램 인쇄후 인쇄두께가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높은 유연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세탁에 의한 구김이나 마찰 및 습기에도 인쇄된 홀로그램의 탈락됨 없이 최상의 인쇄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정밀한 홀로그램 인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빛이나 열에 의해 탈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물의 바탕색과 무관하게 고유의 색상을 표출할 수 있으므로 그 표현을 더욱 다양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들에 의해 기존의 직물에 인쇄된 홀로그램과는 확연히 차별화되고 또 그에 따라 제품의 고급화를 이룰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방법의 홀로그램 인쇄를 간판 및 현수막에 적용하면 더욱더 차별화된 광고를 할 수 있으며, 또 그로인한 광고 효과를 높일 수가 있게 된다.

Claims (7)

  1. 라바(Ruber) 30중량%와, 폴리졸(Polysol)30중량%와, 폴리코드(Polycord) 2중량%와, 글리세린 3중량%를 15∼30분 믹싱하고,
    소포제(Anti foaming) 2중량%와, 요소(Urea) 1중량%와, 바인더(Binder) 30중량%를 5∼15분 믹싱하고,
    상기 혼합물들과 함께 밀매(멜라민수지(Polysaiole)) 2중량%를 혼합하여 12∼24시간 숙성하여 된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
  2. 라바(Ruber) 30중량%와, 폴리졸(Polysol)30중량%와, 폴리코드(Polycord) 2중량%와, 글리세린 3중량%를 15∼30분 믹싱하고,
    소포제(Anti foaming) 2중량%와, 요소(Urea) 1중량%와, 바인더(Binder) 30중량%를 5∼15분 믹싱하고,
    밀매(멜라민수지(Polysaiole)) 1중량%와, 균염제(Y-pinol) 1중량%를 5∼15분 믹싱한 후 상기 혼합물들을 전체 믹싱한 후 12∼24시간 숙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
  3. 라바(Ruber) 30중량%와, 폴리졸(Polysol)30중량%와, 폴리코드(Polycord) 2중량%와, 글리세린 3중량%를 15∼30분 믹싱하고,
    소포제(Anti foaming) 2중량%와, 요소(Urea) 1중량%와, 바인더(Binder) 20중 량%를 5∼15분 믹싱하고,
    안료염료(Pikment,dye)(coler) 10중량%와, 밀매(멜라민수지(Polysaiole)) 1중량%와, 균염제(Y-pinol) 1중량%를 5∼15분 믹싱한 후 상기 혼합물들을 전체 믹싱한 후 12∼24시간 숙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
  4. 라바(Ruber) 30중량%와, 폴리졸(Polysol)30중량%와, 폴리코드(Polycord) 2중량%와, 글리세린 3중량%를 15∼30분 믹싱하고,
    상기 혼합물에 소포제(Anti foaming) 2중량%와, 요소(Urea) 1중량%와, 바인더(Binder) 20중량%를 투입하여 5∼15분 믹싱하고,
    안료염료(Pikment,dye)(coler) 10중량%와, 밀매(멜라민수지(Polysaiole)) 1중량%와, 균염제(Y-pinol) 1중량%를 5∼15분 믹싱한 후 이를 상기 혼합물들과 믹싱한 후 12∼24시간 숙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
  5. 홀로그램이 인쇄될 직물위에 원하는 식자 또는 도안이 디자인된 스크린을 밀착시킨 후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프린트 나염한 후 2∼4시간 후에 홀로그램 박을 부착하고 이에 5∼10분동안 130∼150℃의 열을 가하면서 5∼10분간 가압한 후 홀로그램박피를 분리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프린트 작업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1차 프린트한 후5∼15분간 건조한 후 다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2차 프린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7. 홀로그램을 직물에 인쇄함에 있어서,
    홀로그램이 인쇄될 직물에 상기 제5항 또는 제6항의 방법으로 홀로그램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인쇄된 직물.
KR1020030050554A 2003-07-23 2003-07-23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로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직물 KR10056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554A KR100564679B1 (ko) 2003-07-23 2003-07-23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로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554A KR100564679B1 (ko) 2003-07-23 2003-07-23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로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442A KR20050011442A (ko) 2005-01-29
KR100564679B1 true KR100564679B1 (ko) 2006-03-29

Family

ID=3722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554A KR100564679B1 (ko) 2003-07-23 2003-07-23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로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478B1 (ko) 2009-05-29 2011-09-0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입체적 무늬가 형성된 자동차 시트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4925B1 (ko) 2019-09-18 2021-03-09 (주)윤텍스타일 홀로그램 무늬를 가지는 다층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14B1 (ko) * 2009-03-04 2009-10-27 주식회사화인인더스트리 홀로그램 시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478B1 (ko) 2009-05-29 2011-09-0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입체적 무늬가 형성된 자동차 시트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4925B1 (ko) 2019-09-18 2021-03-09 (주)윤텍스타일 홀로그램 무늬를 가지는 다층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442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693B1 (ko) 건식 소거(dry erase)되는 마커에 사용적합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US11629265B2 (en) Low-friction images by inkjet printing
US4539056A (en) Release sheet and a method for making thereof
KR100564679B1 (ko) 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접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로홀로그램을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직물
US2067435A (en) Article of manufacture for continuous embossing
RU2768204C1 (ru) Печатная подложка и способ печати на подложке
US9624390B2 (en) Inkjet printing on dyed synthetic fabrics
CN101072913A (zh) 用于胶版印刷纸的涂料组合物
JP4163710B2 (ja) 色紙又は色板紙
KR100651634B1 (ko) 솔벤트 잉크젯 프린팅 배너원단용 용제형 코팅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배너원단
TW200301330A (en) Method for textile printing, pre-treating fluid for textile printing and fiber sheet for textile printing
US6040014A (en) Fabric treatment composition
KR20100037474A (ko) 프린터 및 플로터로 출력이 가능한 리본원단 및 코팅액
US20040139566A1 (en) Method for forming colored cellulosic materials
KR100740537B1 (ko) 솔벤트 잉크젯 프린팅 배너원단용 수용성 코팅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배너원단
US9102181B2 (en) Method for printing designs on sandpaper
CN209352812U (zh) 一种数码喷绘打印布
DE102005009269B3 (de)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ruckvorlagen und Druckträger
DE2557002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ansferdrucken auf synthesefasern
US2234648A (en) Process of making colored paper
US1849996A (en) Transfer printing and transfer pattern therefor
KR100716311B1 (ko) 솔벤트 잉크젯 프린팅 배너원단의 제조방법
JP2649915B2 (ja) 模様着色塗被紙
JPH04151555A (ja) 酸素インジケーターラベル
JPH07102734B2 (ja) 紙、板紙の塗被層または繊維層の文字、模様などの発現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