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315B1 -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315B1
KR100564315B1 KR1020020067738A KR20020067738A KR100564315B1 KR 100564315 B1 KR100564315 B1 KR 100564315B1 KR 1020020067738 A KR1020020067738 A KR 1020020067738A KR 20020067738 A KR20020067738 A KR 20020067738A KR 100564315 B1 KR100564315 B1 KR 100564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information
delete delete
time
sto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610A (ko
Inventor
박종헌
심현식
임승국
김성우
문성채
임재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티스
Priority to KR1020020067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3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31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정보 안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정보 시스템의 안내기 구성을 다양하게 하여 버스 이용자의 편의를 향상할 수 있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버스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된 버스 정보 중 노선별 버스 번호와 도착시간정보와 막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부들과, 상기 제 1 표시부들에 표시된 상기 노선별 버스 번호에 대응하는 버스들의 위치정보, 도착 예정시간 정보와 운행 종료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표시부들로 구성된다.
버스 정보 안내

Description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Bus information announcement apparatus and bus information announcement method using the sam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9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제 6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 제 7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한 환승 정류장 서비스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도 13은 본 발명 제 8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보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200 : 정류장 안내기 20,300 : 실시간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
600 : 버스 정보 시스템 610 : 교통정보 시스템
620 : 웹 서버 700 : 기지국
800 : 휴대용 무선통신기기
본 발명은 버스 정보 안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류장 안내기나 승객용 안내기와 같은 버스정보 안내 장치의 구성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의 대명사인 노선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시민의 발로써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지하철은 배차의 정시성이 보장되어 이용자들이 별다른 사전 정보없이도 이용에 불편을 겪지 않으며, 우수한 배차 신뢰성과 함께 각 정류장마다 지하철의 운행정보를 전광판과 음성 정보를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등 이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살리고 있는 교통 방식이다.
이에 반해 일반 시내 버스는 교통상황에 많은 영향을 받아, 배차의 정시성이 확보되고 있지 못하지만, 지하철이 다니지 못하는 대부분의 지역을 운행하고 있으 므로 시민들의 발이라 불리우고 있으며, 버스 역시 버스 승객들에게 기 녹음된 음성을 통해 정류장 안내 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버스 정류장의 시민들은 대부분 자신들이 타야할 버스가 언제 도착하느냐와 버스가 어느 정류장에 있느냐, 그리고 막차, 운행종료 등에 관한 부가정보들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거의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정류장에서 안내할 버스 노선의 수가 많아질수록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
또한 버스내의 승객 중 일정 구간에서 환승하고자 하는 경우 역시 자신들이 타야할 버스가 어느 정류장에 언제 도착하고, 얼마나 기다려야 환승할 수 있거나 혹은 이미 운행이 종료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역시 궁금해하고 있으나 이 역시 아직까지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안내를 위한 정류장 안내기 또는 승객용 안내기는 한번에 많은 정보를 표출하게 구성하는 경우 비용, 크기 면에서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노선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서비스할 정보가 많아지고, 그에 따라 시민들이 버스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정된 정보로 축약해서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해야한다.
본 발명은 버스정보시스템(BIS)의 대민 서비스중의 하나인 정류장 또는 승객용 안내기와 같은 버스 정보 안내 장치의 구성을 최대한 효율적이고, 다양하게 하여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한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 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버스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된 버스 정보 중 노선별 버스 번호와 도착시간정보와 막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부들과, 상기 제 1 표시부들에 표시된 상기 노선별 버스 번호에 대응하는 버스들의 위치정보, 도착 예정시간 정보와 운행 종료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표시부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무선 통신 장치는 비콘, 블루투스, 무선랜, 모뎀 및 xDS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버스 정류장과, 버스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가 상기 버스내에 설치된 경우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상기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의 식별자가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가 상기 버스내에 설치된 경우,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비콘(Beacon), GPS 중 어느 하나가 더 구성되고, 상기 유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파악된 현재 위치를 상기 버스정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제 2 표시부는 유기 발광 소자(EL), 발광 다이오드(LED), 액정 표시 소자(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상기 제 1, 제 2 표시부들에 표시되는 문자를 음성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은 운행중인 버스들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갱신, 저장 및 분석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버스 회사 및 버스 식별번호에 따른 정류장, 노선도, 다음버스 도착시간, 노선에 위치한 정류장들에 대한 예상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버스 정보 데이터를 정류장 식별자에 따라 관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버스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 장치와, 버스의 노선번호 정보, 버스 위치 정보, 소요시간 정보를 문자로 나타내기 위한 복수의 표시부와, 잠시 후 도착 정보, 운행 종료 정보를 온/오프로 표시하는 램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버스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된 버스 정보 중 버스 정류장에 도착될 노선 버스의 도착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표시부들과, 상기 제 1 표시부들에 표시된 상기 노선버스의 도착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버스들의 번호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표시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버스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된 버스 정보 중 버스 정류장에 도착될 노선 버스 의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표시부들과, 상기 제 1 표시부들에 표시된 상기 노선버스의 현재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버스들의 번호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표시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버스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유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된 버스 정보 중 버스 정류장에 도착될 노선 버스의 도착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표시부들과, 상기 제 1 표시부들에 표시된 상기 노선버스의 도착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버스들의 번호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표시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스의 도착시간 정보는 곧 도착, 1분 이상의 설정된 시간 단위 후 도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버스 정보 시스템에서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버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에서 유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버스 정보 중 노선별 버스 번호 정보와 도착시간정보와 막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 1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표시부들에 표시된 상기 노선별 버스 번호에 대응하는 버스들의 위치정보, 도착 예정시간 정보와 막차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제 2 표시부에 상기 버스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버스정보를 음성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버스 정보 시스템에서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버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에서 유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버스 정보 중 노선별 버스 번호 정보를 문자로 표시하고, 상기 버스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버스 위치 정보와 정류장 도착시간 정보는 문자로 표시하고, 상기 버스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잠시 후 도착 정보 및 운행 종료 정보는 램프의 온/오프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버스 정보 시스템에서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버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에서 상기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버스 정보 중 버스 정류장에 도착될 노선버스의 도착 시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노선버스들의 도착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버스 번호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스의 도착 정보는 곧 도착, 1분 이상의 설정된 시간 후 도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버스 정보 시스템에서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버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에서 상기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버스 정보 중 버스 정류장에 도착될 노선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노선버스들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버스 번호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는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되는 버스가 상기 버스 정류장으로부터 몇 정류장 이전의 정류장에 위치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버스 정보 시스템에서 버스에 내장된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버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에서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버스 정보 중 도착/환승 정류장 식별자 정보와,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버스 번호 정보와, 상기 버스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버스의 위치정보와 도착 예정시간 정보 및 막차 정보 중 하나 이상의 도착/환승 정보를 복수개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노선 버스에 구비되어 상기 노선 버스의 진행 방향에 있는 임의의 버스 정류장에 대한 도착 시간 정보와, 상기 노선 버스가 임의의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경우에 상기 임의의 버스 정류장에 정차할 다른 노선 버스의 환승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버스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버스의 위치정보와 도착 예정시간 정보 및 막차 정보는 환승 정보이며, 상기 버스 정보는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노선의 안내하고자 하는 버스 정류장 식별자를 상기 버스정보 안내 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와 함께 버스 정보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에서 상기 버스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과,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에서 상기 버스 식별 정보에 따라 노선버스들의 정류장 도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노선버스들마다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지국을 통해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스 정보는, 현재 버스 위치로부터 안내하는 환승 정류장까지의 버스 도착 예정시간을 A라 하고, 상기 알고자 하는 버스노선의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들의 도착 예정시간들을 순서에 따라 B1, B2라 하고, 정류장 대기시간을 C라 할때, A<B1 이면 C=B1-A이고, A>=B1이면 A<B2, C=B2-A로 나타내고, 상기 A보다 도착예정시간이 긴 버스가 있을 때가지 반복하며 만약 없다면 그때의 C는 도착예측 불가와 환승 불가 중 하나로 판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가 기지국을 통해 버스정보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안내 메뉴에 따라 탑승중인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 승차중인 노선 버스 번호 정보, 환승할 정류장 정보 및 환승할 버스 번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에서 상기 탑승중인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와 승차중인 노선 버스 번호, 환승 정류장 정보 및 환승할 버스 번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로 상기 환승할 정류장 및 버스들의 현재 위치 정보와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버스 정류장에서의 노선별 버스들의 위치와 도착예정시간, 막차 등의 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정류장 자체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이용자에게 정류장에 도착할 차량에 대한 안내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의 이용자에게 버스의 현재 위치와 도착예정시간 정보를 제공하고자 일반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버스정보 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 이하 BIS라 약칭 함)을 이용하며,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이용자에게 버스의 운행정보를 전광판을 이용하여 그래픽 및 음성(전광판에 스피커를 구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궁금증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정류장에서 시민들이 원하는 서비스는 대부분 자신들이 타야할 버스가 언제 도착하느냐와 버스가 어느 정류장에 있느 냐, 그리고 막차 정보, 운행종료 정보 등과 같은 부가정보들이다. 버스의 시간과 위치 등에 대한 정보는 교통정보를 수집 및 운용하는 BIS에서 수집한 버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센터에서 계산하여 정류장에 설치된 실시간 버스도착 안내 시스템(정류장 안내기)에 전송되며 안내 시스템에서는 그 정보를 표출하게 된다.
시간과 위치의 정보를 표출하는 방식은 크게 음성에 의한 안내방식과 시각에 의한 안내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안내기(이하, 실시간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20)이라 함)로써, 도 1 내지 도 3의 실시간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20)에 복수개의 표시부,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6 표시부(21,22,23,24,25,26)를 구성한 후, 각각의 표시부 중 도 1의 제 1, 제 2 표시부(21,22)에는 '30-1번 13분후','6번째 전 정류소'와 같은 현재 운행 중이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할 버스의 운행 상태를 표시하는 문구를 나타내도록 하고, 도 2의 제 3, 제 4 표시부(23,24)에는 '30-1번 막차', '15분후 도착예정'이라는 막차안내 정보 문구를 나타내도록 하며, 도 3의 제 5, 제 6 표시부(25,26)에는 '30-1번 버스', '오늘 운행종료'라는 노선 버스의 운행 종료 문구를 나타내도록 한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의 경우에는 실시간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20)의 크기에 따라서 한 노선 또는 2-3 노선에 대한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구성하거나 도 1 내지 도 3을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할 노선수가 많은 경우에는 노선별로 정해진 시간에 따라 번갈아 가며 서비스를 하게 구성한다. 이때 한번에 표출되는 시간은 시민들이 인지할 수 있는 시간과 정류장에서 서비스해야 할 전체 노선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해야 하며 그 시간을 센터에서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시민들이 인지할 수 있는 시간과 정류장에서 서비스해야 할 전체 노선수에 따라 결정은 현장 경험(FIELD TEST) 또는 다양한 실험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표출되는 정보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BIS로부터 제공받으며, 이를 위해 실시간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20)에는 BIS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송/수신) 장치를 내장한다.
이와 같은 유무선 통신 장치로는 비콘, 블루투스, 유무선랜, 모뎀, xDSL(Digital Subscriber Line and its variations ; 디지털 가입자 회선 및 변종들, 예를 들면 ADSL, CDSL, DSL Lite, DSLAM, G.Lite, HDSL, IDSL, RADSL, SDSL, UDSL, VDSL 등) 중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장치를 이용한다. 그리고 실시간 버스도착 안내 시스템(20)은 시각 표시 장치로써, 유기 발광 소자(유기 EL), 발광 다이오드(LED), 액정 표시 소자(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등을 이용해서 문자 또는 그림 등의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스피커를 내장시켜 음성으로도 현재 표시되는 내용을 출력하도록 한다.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간 버스도착 안내 시스템(20)이 자신의 식별자를 기지국을 통해 BIS 센터로 전송하여 그에 관련된 정보를 다시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BIS 센터에서 직접 또는 정보를 전송해주는 기지국에서 버스에서 안내하고자 하는 정류장에 관련된 모든 정보에 실시간 버스도착 안내 시스템(20)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전송하면 이를 실시간 버스도착 안내 시스템(20)에서 선택적으로 표출시키는 방법이다.
각각의 방법은 기지국의 통신 용량 문제, 통신 비용, 사용하는 무선망의 종류에 따라서 현장경험(FIELD TEST)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방식으로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버스 정류장에서 안내하고자 하는 노선 버스수가 많은 경우에는 실시간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20)에서 한번에 안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노선번호별로 번갈아 가며 안내를 해주며 그 표출시간은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표출 시간은 안내기에서 임의로 세팅할 수 도 있으며 BIS 센터에서 전송하는 메시지에 안내기 표출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BIS 센터에서 바꿀 수 도 있게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류장 안내기는 버스 정보 시스템의 정류장 안내기(10)의 구성을 노선번호, 버스위치, 소요시간, 잠시후 도착, 운행 종료 등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한 번에 여러 노선의 버스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에도 정류장 안내기(10)의 크기에 따라 표출할 수 있는 정보의 수가 달라진다. 이때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선번호 정보, 버스 위치 정보, 소요시간 정보 등은 문자로 나타내고, 잠시 후 도착 정보, 운행 종료 정보를 램프의 온/오프에 따라 표출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에도 노선번호 정보, 버스 위치 정보, 소요시간 정보 등은 유기 발광 소자(유기 EL), 발광 다이오드(LED), 액정 표시 소자(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버스 정류장 안내기의 구성을 시간대별로 분류한 경우이다.
즉 정류장 안내기(100)에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3 표시부(110,120,130)를 구성하고, 각각의 표시부(110,120,130)에는 곧 도착(제 1 표시부(110)), 5분 이내(제 2 표시부(120)), 15분 이내(제 3 표시부(130))와 같은 버스 도착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과, 각 표시부에 대응되는 버스 노선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제 4 내지 제 6 표시부(140,150,160)를 구성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버스 정류장 안내기의 구성을 버스의 현재 위치 별로 구분한 것이다.
즉 정류장 안내기(200)에 정류장에 도착할 버스의 현재 위치, 그 중에서 현정류장보다 몇 정류장 이전에 있는가에 대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3 표시부(210,220,230)를 구성하고,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표시부(210,220,230)에는 전 정류장(제 1 표시부(210)), 3정류장 이내(제 2 표시부(220)), 5정류장 이내(제 3 표시부(230))와 같은 현정류장에 정차할 노선 버스의 도착과 관련된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과, 제 1 내지 제 3 표시부(210,220,230)에 각각 대응되는 노선 버스의 번호(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한 제 4 내지 제 6 표시부(240,250,260)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3 내지 제 4 실시예의 장점은 시민들이 원하는 노선의 버스를 바로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 3 및 제 4 실시예 역시 정류장 안내기(100,200)의 크기 등의 제약으로 인해 많은 분류를 보여줄 수 없는 경우에는 분류별로 번갈아 가며 표출한다. 이때 도 5 및 도 6의 분류방법(시간이냐 위치냐), 분류단위(5분 또는 2정류장 단위로 등)와 표출시간은 마찬가지로 센터에서 다양한 실험에 의해 최적화할 수 있도록 조정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음성안내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안내기에 버스 정보와 관련된 문자가 표시부에 표시되면, 표시된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시민들에게 서비스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6에서의 정류장 안내기(100,200)의 서비스 방법은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하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제 6 및 제 7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이 버스 정류장에서 대기 중인 시민(승객)을 이용한 버스 정 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것이라면, 도 7 내지 도 11에서는 BIS의 정보를 이용해서 버스에 승차 중인 승객을 대상으로 한 버스 정보 안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본 발명 제 5 및 제 7 실시예의 배경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버스내에서의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는 대부분이 기술적인 한계 또는 서비스 내용의 한계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버스 정류장 안내로써, 버스가 정차할 정류장을 음성 또는 안내기의 문자로 버스내 승객에게 알려준다. 이 서비스는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두 번째는 광고로써, 뉴스, 생활정보부터 지역광고 등을 음성이나 문자로 안내를 해준다.
세 번째로는 도착 예정 시간 안내로써, 최근 BIS가 도입되면서 현재 타고 있는 버스의 정류장 도착 예정시간을 대략 안내해준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모두 현재 승객이 타고 있는 버스에만 관련된 정보라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현재 승차하고 있는 버스의 노선 중 임의의 정류장에서 환승하고자 하는 고객에 대하여는 다른 버스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서는 버스내에서 환승할 정류장의 다른 노선 버스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방법과 구성에 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정보 안내 장치와 일부 유사하다.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버스내에 설치되는 승객용 안내기(이하, 실시간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300))로써, 도 7 내지 도 9의 실시간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300)에 복수개의 표시부,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6 표시부(321,322,323,234,325,326)를 구성한 후, 각각의 표시부 중 도 7의 제 1, 제 2 표시부(321,322)에는 '30-1번 13분후', '6번째 전 정류소'와 같은 현재 운행 중이며, 지금 승차하고 있는 버스가 정차할 버스 정류장에 현재 승차하고 있는 버스 이외의 노선버스의 운행 상태를 표시하는 문구를 나타내고, 도 8의 제 3, 제 4 표시부(323,324)에는 '30-1번 막차', '15분후 도착예정'와 같은 막차안내 정보 문구를 나타내며, 도 9의 제 5, 제 6 표시부(325,326)에는 '30-1번 버스', '오늘 운행종료'와 같은 노선 버스의 운행 종료 문구를 나타낸다. 이때 지금 승차하고 있는 버스가 정차할 버스 정류장의 이름을 제 7 표시부(320)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도 7 내지 도 9의 경우에는 실시간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300)의 크기에 따라서 하나의 버스 또는 2-3개의 버스 노선에 대한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할 노선수가 많은 경우에는 노선별로 정해진 시간에 따라 번갈아 가며 서비스를 하게 구성한다. 이때 한번에 표출되는 시간은 시민들이 인지할 수 있는 시간과 정류장에서 서비스해야 할 전체 노선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해야 하며 그 시간은 BIS 센터에서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시민들이 인지할 수 있는 시간과 정류장에서 서비스해야 할 전체 노선수에 따라 결정은 현장 경험(FIELD TEST) 또는 다양한 실험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때, BIS를 이용하여 버스 정보를 수집하고 기타의 여러 무선망을 통해서 정보들을 버스내에 있는 실시간 버스도착 안내 시스템(300)에 전달하는 방법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버스내의 실시간 버스도착 안내 시스템(300)에는 비콘이나 GPS등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자신의 현재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주기적으로 BIS 센터로 송신한다. 또한 메모리 등에 노선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버스가 진행하고 있는 방향의 정류장(정류장명)을 미리 알 수 있다.
즉 현재 타고 가는 버스가 앞으로 정류할 정류장(환승정류장)에 대한 현재의 버스를 제외한 다른 노선 버스의 도착예정 시간 또는 위치(전정류장 출발, 전전 정류장 출발 등), 막차, 운행종료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를 해주거나 문자 등으로 표출해준다.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간 버스도착 안내 시스템(300)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노선의 안내하고자 하는 정류장 번호를, 버스 서비스 정보를 전송해주는 기지국 또는 BIS 센터를 통해 전송하여 그에 관련된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BIS 센터에서 직접 또는 정보를 전송해주는 기지국에서 버스에서 안내하고자 하는 정류장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전송하여 임의의 버스가 항상 수신하는 방법이다. 즉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에서 상기 버스 식별 정보에 따라 노선버스들의 정류장 도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 여 상기 노선버스들마다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지국을 통해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각각의 방법은 기지국의 통신 용량 문제, 통신 비용, 사용하는 무선망의 종류에 따라서 현장경험(FIELD TEST)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방식으로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안내하고자 하는 정류장의 통과 노선수가 많은 경우에는 안내기에서 한번에 안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노선번호별로 번갈아 가며 안내를 해주며 그 표출시간은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표출 시간은 안내기에서 임의로 세팅할 수 도 있으며 센터에서 전송하는 메시지에 안내기 표출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센터에서 바꿀 수 도 있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서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서비스에 추가로 다음 번 도착하는 정류장들의 도착예정시간까지 같이 서비스할 수 있다. 즉 제 7 표시부(320)에는 도착하는 정류소명(식별자)을 표시하고, 제 1 내지 제 6 표시부(321,322,323,324,325,326) 중 하나에는 도착 예정 시간을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제 6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 10에서는, 버스내 승객들에게 환승하고자 하는 정류장에서 환승할 버스의 탑승 대기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제 6 실시예에 따른 승객용 안내기(400)는 현재 승차한 버스가 정차하는 곳의 정류소명(식별자)을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3 표시부(410,420,430)와,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표시부(410,420,430)에 대응되는 노선 버스 번호 및 탑승 대기 시간을 표시하는 제 4 내지 제 6 표시부(440,450,460)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A는 현재 버스 위치로부터 안내하는(환승하는) 정류장까지의 버스 도착 예정시간이고, B는 알고자 하는 버스노선이 안내하는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들의 예정시간들, 이때 그 노선에 운행하는 버스가 1대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의 시간을 가리킨다. 즉, B1이 제일 먼저 도착하는 버스의 예정시간, B2가 그 다음에 도착하는 예정시간. 마지막으로 C를 정류장 대기시간이라 하면,
1) A<B1 이면 C=B1-A
2) A>=B1이면 A<B2, C=B2-A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A보다 도착예정시간이 긴 버스가 있을 때가지 반복하며 만약 없다면 그때의 C는 도착예측 불가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대기시간을 구하게 되면 그 정보는 도 10과 같이 표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대기시간 계산은 BIS 센터와, 승객용 안내기를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우선, BIS 센터에서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계산하여 버스에서 요청시 또는 설정된 시간마다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방식으로 승객용 안내기(4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대기시간 서비스를 위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승객용 안내기(400)를 계산능력이 떨어지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객용 안내기(400)를 이용하여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은, 승객용 안내기(400)에서 버스의 도착예정시간과 정류장별 도착예정시간 두 가지 정보가 모 두 수신되었을 때 자체 장치(연산장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원천정보가 모두 있으므로 버스 도착예정시간, 정류장의 안내 서비스, 대기시간등 3가지 서비스를 모두 서비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제 7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 11은 버스내 승객들에게 환승하고자 하는 정류장에서 환승할 버스의 탑승 예정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 7 실시예는 현재 시간부터 환승할 정류장에서 타고자하는 버스의 탑승 예정 시간을 서비스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현재 버스 위치로부터 안내하는 환승 정류장까지의 버스 도착 예정시간이고, B는 안내하는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노선버스의 예정시간으로써 노선에 운행하는 버스가 1대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의 시간을 표시한다. 이때, B1은 안내하는 버스 정류장에 제일 먼저 도착하는 버스의 예정시간, B2는 그 다음에 도착하는 예정시간을 나타낸다.
그러면, 버스 탑승 예정시간은 C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A<B1 이면 C=B1
2) A>=B1이면 A>B2 C=B2
이때, A보다 도착예정시간이 긴 버스가 있을 때가지 반복확인하며 만약 없다면 그때의 C는 탑승 불가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대기시간을 구하게 되면 그 정보는 도 11과 같이 표출할 수 있다.
이 계산도 마찬가지로 BIS 센터에서 하거나 안내기에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통신기기(예를 들면, 핸드 폰과 POST PC(예를 들면, PDA) 등)를 이용한 환승 정류장 서비스 안내가 가능하다.
즉 기본적으로 승객용 안내기(400)는 버스내에 구비된 것으로 원하는 정류장에 대한 정보들이 승객이 원하는 시점에서 조회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승객이 어느 위치, 시간에서라도 위에서 정의한, 정류장안내서비스, 대기시간 서비스, 탑승예정시간 서비스 등을 쉽게 하는 방법은 핸드폰이나 같은 개인 단말장치를 통해서이다.
휴대용 무선 통신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센터 또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우선 첫 번째로 현재 위치(정류장기준)를 입력하고, 두 번째로는 승차한 버스 번호를 입력하고, 세 번째로는 환승할 정류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환승할 버스 번호를 입력한다.
이 네가지의 정보를 전송하면 서비스 서버에서는 필요한 계산을 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 할 수 있다.
만약 휴대용 무선 통신기기에 GPS등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비가 구비되어 있다면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대신 현재 좌표가 자동으로 전송되게 하여 서비스 서버에서 가장 가까운 정류장을 검색하여 서비스를 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한 환승 정류장 서비스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 템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행 중인 버스들의 현재 상태 정보를 갱신, 저장 및 분석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버스들의 현재상태 정보 데이터(버스 회사 및 버스 식별번호에 따른 정류장, 노선도, 다음 버스 도착시간, 예상 소요시간 계산 등)를 정류장 식별자에 따라 관리하는 버스정보시스템(600)과, 상기 버스정보 시스템(600)에 무선 접속하여 정류장에 따른 버스 정보 데이터를 확인하는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800)와, 상기 버스정보 시스템(600)과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800) 사이에 구성되어 정류장에 따른 버스들의 현재 상태 정보 데이터를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800)로 전송하는 기지국(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800)와 버스 정보 시스템(600) 사이의 기지국(700)은 버스 정보 시스템(600)과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800)간의 무선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과, 무선 랜과의 연결을 위한 기지국과 버스 정보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버스정보 시스템(600)에는 기본적으로 버스들의 현재상태 정보 데이터(버스 회사 및 버스 식별번호에 따른 정류장, 노선도, 다음 버스 도착시간, 예상 소요시간 계산 등)를 분석, 갱신 및 저장하는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610)와, 기지국(700)과 버스 정보 시스템(600)의 연결을 위한 웹 서버(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노선 버스는 버스 정보 시스템(600)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800)는 휴대폰, PDA 또는 무선 모뎀이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 제 8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 제 8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가 기지국(700)을 통해 버스정보 시스템에 접속한다(S10).
이어서 버스 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안내 메뉴에 따라, 현재 위치, 승차중인 버스 번호, 환승할 정류장 및 환승할 버스 번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한다(S11). 이때, 버스 정류장에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민 또는 관에서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도록 하고, 각각의 식별자에 따라 해당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 버스 정보가 버스정보 시스템의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노선 버스 정보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노선 버스가 일정 주기로 버스정보 시스템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GPS 또는 노선 버스에 탑재되어 일정주기로 버스 정보 시스템에 자신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을 이용한다.
버스 정보 시스템(600)은, 노선 버스로부터 위치 정보가 보고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이때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 정류장에는 고유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으며, 고유 식별자 정보를 설정된 영역으로 발신하도록 하는 고유 식별자 발신 장치가 상기 버스 정류장의 고유 식별자를 설정된 시간 단위로 무선(air) 발신하고 있다. 또한 버스에는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자신의 식별자 정보와 함께 무선 기지국을 통해 버스 정보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차량 탑재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버스 정보 시스템(60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버스 정류장의 고유 식별자에 따라 교통정보를 검색한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교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 버스들의 현재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한다(S12). 이때 가공하는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버스 정류장 식별자에 따른 버스들의 현재 위치 정보와 도착 예정시간 정보로 한다.
이어서 수집 및 가공한 노선 버스들의 현재 상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S13).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알고자 했던 정보를 자신의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800)를 이용하여 확인하게 된다(S14).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대민 서비스중의 하나인 정류장 또는 승객용 안내기와 같은 버스 정보 안내 장치의 구성이 다양해짐으로써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둘째, 버스에 승차중인 승객들이 자신이 하차할 정류장에 대한 도착시간을 알 수 있고, 버스내의 승객용 안내기 또는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환승할 정류장에 도착되는 환승 버스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2)

  1. 운행중인 버스들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갱신, 저장 및 분석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버스 회사 및 버스 식별번호에 따른 정류장, 노선도, 다음버스 도착시간, 노선에 위치한 정류장들에 대한 예상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버스 정보 데이터를 정류장 식별자에 따라 관리하는 버스 정보 시스템;
    비콘, 블루투스, 무선랜, 모뎀 및 xDS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버스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 장치;
    상기 유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된 버스 정보 중 노선별 버스 번호와 도착시간정보와 막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부들;
    상기 제 1 표시부들에 표시된 상기 노선별 버스 번호에 대응하는 버스들의 위치정보, 도착 예정시간 정보와 운행 종료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표시부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표시부는 유기 발광 소자(EL), 발광 다이오드(LED), 액정 표시 소자(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보 안내 장치는 상기 제 1, 제 2 표시부들에 표시되는 문자를 음성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보 안내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020067738A 2002-11-04 2002-11-04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564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738A KR100564315B1 (ko) 2002-11-04 2002-11-04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738A KR100564315B1 (ko) 2002-11-04 2002-11-04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610A KR20040039610A (ko) 2004-05-12
KR100564315B1 true KR100564315B1 (ko) 2006-03-29

Family

ID=3733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738A Expired - Lifetime KR100564315B1 (ko) 2002-11-04 2002-11-04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3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3853A (zh) * 2014-08-08 2014-10-2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获取到站时间的方法和装置
KR101479663B1 (ko) 2012-05-16 2015-01-08 한국과학기술원 버스 정류소의 공용 스피커를 이용한 목적지 안내 방법 및 목적지 안내 시스템
CN105139684A (zh) * 2015-07-24 2015-12-09 长安大学 一种基于ZigBee网络的公交进站引导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33B1 (ko) * 2005-04-13 2007-03-22 김주현 시각 장애인을 위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KR100780184B1 (ko) * 2006-11-21 2007-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차량 하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8276B1 (ko) * 2008-12-04 2009-09-18 (주)비앤지로티스 외국인 태그 인식 버스 안내 시스템
KR100918275B1 (ko) * 2008-12-04 2009-09-18 (주)비앤지로티스 교통약자 태그 인식 버스 안내 시스템
US8976044B2 (en) * 2012-04-27 2015-03-10 Luminator Holding, L.P. Transit station geographical location sign with handicap access
KR101370507B1 (ko) * 2012-11-08 2014-03-06 (주)휴먼케어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140080012A (ko) * 2012-12-20 2014-06-30 이흥수 버스 정차순서를 반영한 버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84264B1 (ko) * 2014-07-10 2016-12-09 넥시스 주식회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버스도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프로그램
KR102114407B1 (ko) * 2018-04-26 2020-05-25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확장 가능한 버스 정보 터미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281A (ko) * 1998-03-03 1998-06-05 이연재 노선버스 자동정보안내장치(BUS Automatic information guide system)
KR20010036842A (ko) * 1999-10-12 2001-05-07 편동현 지피에스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의 위치 및 운행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281A (ko) * 1998-03-03 1998-06-05 이연재 노선버스 자동정보안내장치(BUS Automatic information guide system)
KR20010036842A (ko) * 1999-10-12 2001-05-07 편동현 지피에스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의 위치 및 운행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63B1 (ko) 2012-05-16 2015-01-08 한국과학기술원 버스 정류소의 공용 스피커를 이용한 목적지 안내 방법 및 목적지 안내 시스템
CN104123853A (zh) * 2014-08-08 2014-10-2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获取到站时间的方法和装置
CN104123853B (zh) * 2014-08-08 2016-03-30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获取到站时间的方法和装置
CN105139684A (zh) * 2015-07-24 2015-12-09 长安大学 一种基于ZigBee网络的公交进站引导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610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315B1 (ko) 버스 정보 안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 방법
CN104200696B (zh) 一种交通信息的推送方法及装置
CN201465300U (zh) 公交智能调度系统
CN101546480A (zh) 公交智能调度系统
CN207367382U (zh) 一种带有路线规划的公交站牌
JP2000082199A (ja) 車両配車システム
JP422765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広告配信方法
KR10084994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철역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1349007B1 (ko) 통합 지역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N101556164A (zh) 一种数字路标和数字门牌地址及电子道路指引系统及其应用
JP6611747B2 (ja) バス検索システム
JP200214806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20120044437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예약 방법
KR20020045793A (ko) 차량 운행정보 안내 장치
KR20000054620A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의 정보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Tsuchiya et al. Route-choice support system for passengers in the face of unexpected disturbance of train operations
KR20090055541A (ko) 지능형 택시 정류장 시스템
KR100779313B1 (ko) Uwb 휴대통신단말을 이용한 대중교통 승객 목적지알림시스템 및 그 알림방법
JP2004359154A (ja) 駅構内案内システム
JP2008239005A (ja) 車両案内システム、車両案内方法および車両案内プログラム
JP2006107147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事業者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268710A (zh) 基于rfid/wsn精准公交到站队列导乘牌系统及工作方法
CN110992860B (zh) 一种车站客流动态引导系统和方法
KR20060070831A (ko) 버스(차량)와 정류장안내기의 무선통신을 통한정류장에서의 버스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KR20210085432A (ko)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50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