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595B1 -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 - Google Patents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595B1
KR100563595B1 KR1020020015410A KR20020015410A KR100563595B1 KR 100563595 B1 KR100563595 B1 KR 100563595B1 KR 1020020015410 A KR1020020015410 A KR 1020020015410A KR 20020015410 A KR20020015410 A KR 20020015410A KR 100563595 B1 KR100563595 B1 KR 10056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resonator
high frequency
frequency signal
capacitance
ult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926A (ko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일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일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일하이텍
Priority to KR1020020015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595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6Dielectric waveguides, i.e. without a longitudinal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4Coaxial resonators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초고주파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주파신호를 발진하는 유전체 공진기; 결합선로를 통하여 정보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정보신호에 따라 정전용량을 가변하는 정전용량 가변 수단; 가변된 정전용량에 따라 상기 유전체 공진기에 변화된 정전용량에 따른 발진주파수의 공진을 유도하는 믹서;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에서 발진된 초고주파 신호를 안테나로 출력하는 출력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믹서의 유도에 따라 정보신호에 동기된 초고주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가 제공된다.
유전체 공진기, 고주파신호, 믹서

Description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High frequency generator using dielectric resonator}
도 1은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로 구성되는 증폭기와 공진기를 이용한 공진주파수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건다이오드를 이용한 고주파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 신호 발생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전체 공진기와 도체를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32 : 결합선로 33 : 버렉터 다이오드
34 : 접지저항 35 : 도체
36 : 유전체 공진기 37, 38 : 직렬 귀환 선로
39 : 저항 40 : 커패시터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초고주파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리미터파 이상의 고주파를 발생하는 장치로는 건(gun) 다이오드나 칼륨 아세나이드(GaA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와 같은 능동소자에 여러가지 형태의 공진기를 연결하여 원하는 공진주파수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바 제1과 도 2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고주파 발생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제1 도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로 구성되는 증폭기(11)와 공진기(12)를 이용한 공진주파수를 발생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프이트 증폭기(11)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주파수 성분의 신호 중에서 공진기(12)를 통하여 소정 대역의 신호만이 정귀환(Positive feedback)되어 출력단자에는 특정 고주파신호가 계속적으로 출력된다.
도 2는 건다이오드를 이용한 고주파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다이오드(21)에서 발생되는 신호 중 공진기(22)에서 공진하는 주파수 성분만이 출력단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는 제품이 좋아 고급 방송 장비에 사용하지만 고가이고 회로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건 다이오드 방식은 저렴하고 간단하지만 성능이 좋지 못하고 주 파수 안정도가 좋지 않아 화질의 상태가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믹서시켜 고주파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비용이 저렴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믹서시켜 고주파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단순화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믹서시켜 고주파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주파수 안정도가 좋은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고주파신호를 발생하는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결합선로를 통하여 정보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정보신호에 따라 정전용량을 가변하는 정전용량 가변 수단과,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결합선로에 접속되어 있는 얇은 판형의 도체로서, 가변된 정전용량에 따라 상기 유전체 공진기에 변화된 정전용량에 따른 발진주파수의 공진을 유도하는 믹서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에서 발진된 초고주파 신호를 안테나로 출력하는 출력회로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믹서의 유도에 따라 정보신호에 동기된 초고주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를 제공한다.
이제, 도 3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 신호 발생기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는, 결합선로(31, 32)와, 버렉터 다이오드(33), 접지저항(34), 도체(35), 유전체 공진기(36), 직렬 귀환 선로(37, 38), 저항(39), 커패시터(40)를 구비하고 있다.
정보 신호가 결합선로(31)를 통하여 입력되면 버렉터 다이오드(33)의 정전용량은 입력되는 정보신호의 진폭에 따라 가변되게 된다.
그리고, 가변된 정전용량에 따라 도체(35)는 유전체 공진기(36)에 변화된 정전용량에 따른 발진주파수의 공진을 유도한다.
여기에서 정보신호로는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체(35)의 재질로는 바람직하게는 동판이 사용되지만 알루미늄, 기타 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35)는 도체(35)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의하여 발진을 하게 되며, 발진 주파수는 버랙터 다이오드(33)와 결합선로(35)의 정전용량 및 리액턴스값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출력회로는 유전체 공진기(36)에서 발진된 발진 주파수를 안테나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출력회로는 결합선로(32)와 결합선로(32)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접지저항(34), 결합선로(32)의 엔드부에 게이트가 연결되어 있는 FET(41), FET(41)의 드레인 또는 소스에 연결되어 있는 직렬귀환선로(37, 38), 직렬귀환선로(37)와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39), 직렬귀환선로(38)와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40)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유전체 공진기와 도체를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체(35)는 유전체 공진기(36)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도체의 높이는 발진주파수에 따라 조절되며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공식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도체의 모양은 직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믹서시켜 고주파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비용이 저렴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믹서시켜 고주파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단순화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믹서시켜 고주파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주파수 안정도가 좋은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고주파신호를 발생하는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결합선로를 통하여 정보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정보신호에 따라 정전용량을 가변하는 정전용량 가변 수단;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결합선로에 접속되어 있는 얇은 판형의 도체로서, 가변된 정전용량에 따라 상기 유전체 공진기에 변화된 정전용량에 따른 발진주파수의 공진을 유도하는 믹서;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에서 발진된 초고주파 신호를 안테나로 출력하는 출력회로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믹서의 유도에 따라 정보신호에 동기된 초고주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20015410A 2002-03-21 2002-03-21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 KR10056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410A KR100563595B1 (ko) 2002-03-21 2002-03-21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410A KR100563595B1 (ko) 2002-03-21 2002-03-21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926A KR20030075926A (ko) 2003-09-26
KR100563595B1 true KR100563595B1 (ko) 2006-03-23

Family

ID=3222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410A KR100563595B1 (ko) 2002-03-21 2002-03-21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05B1 (ko) * 2007-02-06 2008-10-13 주식회사 싸이트론 15GHz 주파수 대역의 위상 고정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이용한 주파수 합성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2511A (en) * 1978-12-19 1980-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Modulator
JPS63233601A (ja) * 1987-03-20 1988-09-29 Fujitsu Ltd 電圧制御発振器
JPH02185121A (ja) * 1989-01-12 1990-07-19 Fujitsu Ltd マイクロ波帯位相同期発振器
JPH0529835A (ja) * 1991-07-24 1993-02-05 Yokogawa Electric Corp 誘電体発振器
JPH11239012A (ja) * 1998-02-24 1999-08-31 Murata Mfg Co Ltd 共振回路および発振回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2511A (en) * 1978-12-19 1980-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Modulator
JPS63233601A (ja) * 1987-03-20 1988-09-29 Fujitsu Ltd 電圧制御発振器
JPH02185121A (ja) * 1989-01-12 1990-07-19 Fujitsu Ltd マイクロ波帯位相同期発振器
JPH0529835A (ja) * 1991-07-24 1993-02-05 Yokogawa Electric Corp 誘電体発振器
JPH11239012A (ja) * 1998-02-24 1999-08-31 Murata Mfg Co Ltd 共振回路および発振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926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76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hase noise in oscillator circuits
US4581592A (en) Saw stabilized oscillator with controlled pull-range
JP2002141751A (ja) 集積回路実装用出力段付きミキサ回路
JPH05122259A (ja) Mmic遠隔測定用送信機
US5699021A (en) Balanced and buffered oscillator and transmitter arrangement
KR100563595B1 (ko)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
KR19990088599A (ko) 완충증폭회로
US6724274B2 (en) Frequency-switching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490904B1 (ko) 포토닉 밴드갭 구조와 피드포워드 회로를 이용한 전압제어 발진기
JP2008182681A (ja) 逓倍発振回路及びこれを搭載した無線装置
JP4476941B2 (ja) 注入同期発振器
JP4447813B2 (ja) 誘電体共振発振器及び音声制御装置
JP2002217727A (ja) 注入同期発振器、発振器、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高周波通信装置
KR0168957B1 (ko) 송수신겸용 전압제어발진기를 구비한 송수신기
JP2002314340A (ja) 高周波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KR100638642B1 (ko) 결합전송선로를 이용한 유전체 공진기
JP4285923B2 (ja) 周波数逓倍器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KR890004969Y1 (ko) Vhf발진회로
JPH104315A (ja) 高周波発振回路
JP2000151275A (ja) 電圧制御発振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JP2564074B2 (ja) パルスレーダの受信装置
KR950010314B1 (ko) 초고주파 전압 제어발진회로
JP2005217675A (ja) 高周波発振器機能回路
KR200218584Y1 (ko) 튜너의발진회로
KR200220461Y1 (ko) 900MHz 대역 무선 전화기의 전압 제어 발진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