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969Y1 - Vhf발진회로 - Google Patents

Vhf발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969Y1
KR890004969Y1 KR2019860007755U KR860007955U KR890004969Y1 KR 890004969 Y1 KR890004969 Y1 KR 890004969Y1 KR 2019860007755 U KR2019860007755 U KR 2019860007755U KR 860007955 U KR860007955 U KR 860007955U KR 890004969 Y1 KR890004969 Y1 KR 890004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ion
band
vhf
circuit
varacto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임경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임경춘 filed Critical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7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9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69Y1/ko

Links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VHF발진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진부 2 : 밴드절환부
TR : 트랜지스터 VD1-VD3: 바랙터다이오드
VT : 튜닝조정전압단 LB, HB, SB : 절환신호입력단
본 고안은 텔레비젼수상기의 튜너부에 사용되는 VHF(Very High Frequency)발진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VHF대역의 전반에 걸쳐서 양호한 상태의 발진주파수를 출력시킬수 있도록 된 발진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수상기의 튜너부에 사용되는 VHF발진회로는 로우밴드(Low Band)와 하이밴드(High Band)및 수퍼밴드(Super Band)로 되는 3개의 대역으로 구분되어지는데, 발진주파수의 대역폭이나 왜곡등을 고려하여 로우밴드와 하이밴드에 대해서는 하나의 VHF발진회로를 사용하고 수퍼밴드는 별도의 VHF발진회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2개의 VHF발진회로를 사용하게되므로써 회로가 복잡해지고 제품가격도 높아지게 되었다.
그렇게 상기 3개의 대역에 대한 VHF발진주파수를 하나의 발진회로도로써 발진출력시키면 상기 문젯점은 해결될수는 있지만 실제에 있어서 VHF전대역에 걸쳐 발진주파수를 출력시키도록 하는 경우에 발진신호의 세기가 크게되면 불필요한 기생파인 고주파수가 발생되어 발진회로의 출력특성을 저하시키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3개의 바랙터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발진신호의 세기가 커지더라고 과부하로 인한 불필요한 고주파가 발생되지 않도록 된 VHF발진회로를 제공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트랜지스터(TR)와 저항(R1-R4), 및 콘덴서(C1-C4)로 구성되는 발진부(1)와, 코일(L1-L4)과 다이오드(D1)(D3), 콘덴서(C5-C7)및 저항(R5)(R6)으로 구성되는 밴드절환부(2), 커플링콘덴서(C8)(C9)및 상기 발진부(1)와 튜닝조정전압단(VT)사이에 연결되는 바랙터다이오드(VD1)(VD2)로 구성된 VHF발진회로에 있어서. 상기 궤환용 바랙터 다이오드(VD1)와 튜닝조정전압단(VT)사이에 바랙터다이오드(VD2)(VD3)를 병렬로 연결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LB, HB, SB는 로우밴드와 하이밴드, 수퍼밴드에따라 절환신호가 공급되는 절환신호입력단을 나타낸다.
제1도는 위와같은 구조로 되어있는 본 고안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절환신호입력단(NB)(HB)(SB)의 입력신호에따라 코일(L1))L2)(L3)의 합성용량값이 변환되어 발진주파수의 대역이 결정되고, 튜닝조정전압단(VT)의 입력전압에 따라 궤환용 바랙터다이오드(VD1)와 바랙터다이오( VD2)의 용량이 변환되어 발진부(1)에서 발진되는 주파수가 변환되므로써 절환신호입력단 (LB)(HB)(SB)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대역에서 튜닝조정전압단(VT)의 전압에 해당되는 VHF발진주파수가 출력되게되는 것이다.
여기서 발진부(1)는 2개의 트랜지스터(TR)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발진회로로써, 튜닝조정전압단(VT)에 의해 역전압을 받게되는 바랙터다이오드(VD1)(VD2)의 정전용량에 의해 발진부(1)의 발진주파수가 변환된다.
또한 밴드절환부(2)에서는 절환신호입력단(LB)(HB)(SB)으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용 다이오드 (D1)(D2)가 턴온되어 각 코일(L1)(L2)(L3)의 접속점을 고주파적으로 접지시켜주게되므로써 유도용량을 변환시켜주게 되는데, 이렇게 변화된 유도용량에 따라 발진부(1)의 발진주파수대역이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밴드절환부(2)에 의해 결정된 대역에서 튜닝조정전압(VT)의 전압레벨로 발전주파를 변환시켜줌에 있어서 발진신호의 진폭이 커지게되면 궤환용 바랙터다이오드(VD1)을 통해궤환되는 신호가 바랙터다이오드(VD2)에 과부하로써 작용되어 불필요한 기생파가 발생되게 된다.
이기생파는 2차,3차등의 고조파로서 밴드절환부(2)에 의해 결정된 대역의 주파수보다 훨씬높은 고주파수로 되어 발진부(1)의 발진주파수출력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 바랙터다이오드(VD3)인데, 바랙터 다이오드(VD2)에 걸리는 궤환된 발진신호가 바랙터다이오드(VD3)에도 같이 걸리게 되므로써 바랙터다이오드(VD2)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발진부(1)의 발진주파수특성은 발진신호의 레벨이 조금 커지더라도 양호한 상태의 발진주파수를 출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3개의 바랙터다이오드를 사용하므로써 발진신호가 커지더라고 VHF전대역에서 기생파의 발생이 없는 양호한 상태의 발진주파수를 출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발진부(1)와 밴드절환부(2), 커플링콘덴서(C8)(C9)및 바랙터다이오드(VD1)(VD2)로 구성된 VHF발진회로에 있어서, 상기 궤환용 바랙터다이오드(VD1)와 튜닝전압조정단(VT)사이에다 바랙터다이오드(VD2)(VD3)를 병렬로 연결시켜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VHF발진회로.
KR2019860007755U 1986-05-31 1986-05-31 Vhf발진회로 KR890004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755U KR890004969Y1 (ko) 1986-05-31 1986-05-31 Vhf발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755U KR890004969Y1 (ko) 1986-05-31 1986-05-31 Vhf발진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69Y1 true KR890004969Y1 (ko) 1989-07-28

Family

ID=1925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755U KR890004969Y1 (ko) 1986-05-31 1986-05-31 Vhf발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9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1361A (en) Voltage controlled push-push oscillator with parallel resonant tank circuits
GB1428720A (en) Variable-frequency oscillator having at least two frequency ranges
US4376918A (en) Overtone crystal oscillating circuit
US3983489A (en) Doubling mixer
US6097258A (en) Oscillator having a resonator coupled to an amplifier by a series resistance
JP3522283B2 (ja) 周波数変化可能な発振器装置
US4731592A (en) Voltage controllable oscillator
KR880006845A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동조장치
JPS61244133A (ja) 発振器タンク回路
KR890004969Y1 (ko) Vhf발진회로
EP0270298B1 (en) Wide range oscillator
US6384693B1 (en) Frequency-switching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A1234414A (en) Frequency multiplying circuit
US3775698A (en) A circuit for generating a high power rf signal having low am and fm noise components
US3324412A (en) Dual mode oscillator circuit with phase shift circuit to prevent band jumping
US3384836A (en) Transistor microwave oscillator having second harmonic coutput
KR900010618Y1 (ko) 전자동조식 튜너의 국부발진출력 안정화회로
KR100226284B1 (ko) 고주파 발진장치
KR100563595B1 (ko)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신호 발생기
KR200218584Y1 (ko) 튜너의발진회로
JPH0628841Y2 (ja) 多バンド受信機
KR900002652Y1 (ko) 고주파 발진기
KR820002239B1 (ko) 자려 진동형 혼합단
JP2903934B2 (ja) 発振回路と、この発振回路を用いたbsチューナ
KR0130837Y1 (ko) 튜너의 혼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