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772B1 - 광마우스 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마우스 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772B1
KR100562772B1 KR1020040032652A KR20040032652A KR100562772B1 KR 100562772 B1 KR100562772 B1 KR 100562772B1 KR 1020040032652 A KR1020040032652 A KR 1020040032652A KR 20040032652 A KR20040032652 A KR 20040032652A KR 100562772 B1 KR100562772 B1 KR 100562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ptical mouse
coating film
surface lay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654A (ko
Inventor
김시원
Original Assignee
김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원 filed Critical 김시원
Priority to KR102004003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77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5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regnant wom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층과 표면층 사이에 고분자 특수코팅막을 도포하여 인쇄층과 표면층을 접착시키고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을 정반사시킬 수 있도록 한 광마우스 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수지, 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중 단독 혹은 2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에 가소제, 안정제, 색소, 경탄, 또는 발포제가 혼합된 조성물이 도포된 후, 발포 및 경화되어 책상 등에 밀착되는 바닥층, 폴리표면층, 그림이나 문양이 새겨진 인쇄층, 광마우스가 이동하는 표면층으로 차례로 형성되어 상기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광마우스용 패드에 있어서, 안정제와 가소제 및 색소를 혼합한 조성물 50~20중량부와 접착제 50~80중량부로 혼합되어 상기 인쇄층에 도포된 고분자 특수코팅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을 정반사시킴과 더불어, 상기 인쇄층과 표면을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컴퓨터, 광마우스, 패드, 정반사, 난반사, 접착제

Description

광마우스 패드 및 그 제조방법{Pad for optical mouse and the meth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패드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패드에 의한 빛의 정반사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패드의 제조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층 20 : 폴리표면층
30: 인쇄층 40 : 고분자 특수코팅막
50: 표면층
본 발명은 광마우스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층과 표면층 사이에 고분자 특수코팅막을 도포하여 인쇄층과 표면층을 접착시키고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을 정반사시킬 수 있도록 한 광마우스 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또는 사무용으로 널리 보급된 퍼스털 컴퓨터에는 주변 기기로서 볼마우스나 광마우스가 사용되고, 각각은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우스 패드가 별도로 사용된다.
볼마우스는 민감하게 회전하는 마우스 볼의 슬립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확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무재를 사용하거나 고무재의 표면으로 부직포를 접착형성한 것으로 주로 사용하였다.
반면에, 광마우스 패드는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표면층을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광마우스 패드에 있어서, 표면층은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이 정반사되지 않고, 난반사 또는 광마우스 패드에 흡수됨으로써 광마우스에 설치된 광센서를 통한 광마우스의 위치 측정이 부정확하고, 광마우스 패드 표면에 인쇄되는 각종 문양의 색상과 해상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쇄층과 표면층 사이에 고분자 특수코팅막을 도포하여 인쇄층과 표면층을 접착시키고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을 정반사시킬 수 있도록 한 광마우스 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패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수지, 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중 단독 혹은 2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에 가소제, 안정제, 색소, 경탄, 또는 발포제가 혼합된 조성물이 도포된 후, 발포 및 경화되어 책상 등에 밀착되는 바닥층, 폴리표면층, 그림이나 문양이 새겨진 인쇄층, 광마우스가 이동하는 표면층으로 차례로 형성되어 상기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광마우스용 패드에 있어서, 안정제와 가소제 및 색소를 혼합한 조성물 50~20중량부와 접착제 50~80중량부로 혼합되어 상기 인쇄층에 도포된 고분자 특수코팅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을 정반사시킴과 더불어, 상기 인쇄층과 표면을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패드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수지, 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중 단독 혹은 2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에 가소제, 안정제, 색소, 경탄, 또는 발포제를 혼합한 조성물을 책상 등에 밀착되는 바닥층, 폴리표면층, 그림이나 문양이 새겨진 인쇄층, 광마우스가 이동하는 표면층으로 차 례로 도포한 후, 발포 및 경화시켜 상기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광마우스용 패드에 있어서, 안정제와 가소제 및 색소를 혼합한 조성물 50~20중량부와 접착제 50~80중량부으로 혼합한 고분자 특수코팅막 조성물을 상기 인쇄층에 도포하여, 상기 인쇄층과 표면층과 접착시킴과 더불어, 상기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고분자 특수코팅막에서 정반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층에 상기 고분자 특수코팅막을 도포함과 동시에 상기 고분자 특수코팅막에 상기 표면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고분자 특수코팅막 조성물이 상기 인쇄층에 도포된 상태로 공기에 노출되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패드의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패드에 의한 빛의 정반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패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층(10), 폴리표면층(20), 인쇄층(30), 고분자 특수코팅막(40), 및 표면층(50)으로 이루어진다.
1. 바닥층(10)
바닥층(10)은 책상 등과 밀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패드가 책상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품에 따라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프로필렌, 우레탄 중 단독 혹은 2이상 혼합한 혼합물의 100중량부당 가소제 65~75중량부, 안정제 1~5중량부, 색소 6~10 중량부, 경탄 3~9중량부, 발포제 3~7중량부로 혼합한 혼합물을 0.35~3.0mm 두께로 일정하게 도포한 후 발포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발포공정을 거친 바닥층(10)은 0.7~0.6mm 두께로 교정되어진다.
한편, 폴리염화비닐수지를 발포시킨 발포체로 형성된 바닥층(10)은 책상과의 접촉되는 면이 조면조직을 형성하게 되므로 책상과의 마찰력이 향상시키므로 책상에 견고히 밀착되어 바닥면이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2. 폴리표면층(20)
폴리표면층(20)는 상기한 바닥층(10) 상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주성분인 우레탄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수지 중 단독 혹은 2이상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당 가소제 65~75중량부, 안정제 3~7중량부, 색소 6~10 중량부로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 및 경화시켜 형성된다.
한편, 폴리표면층(20)의 주성분으로는 전술한 우레탄 뿐만 아니라 경질 또는 연질의 폴리염화비닐수지가 이용될 수도 있고, 우레탄과 폴리염화비닐수지를 서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등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3. 인쇄층(30)
인쇄층(30)은 폴리표면층(20)의 상면에 각종 문양이 170~500선으로 고해상인쇄되어 반사율을 높인 인쇄물로서, 폴리염화비닐수지로 만들어지며, 이 인쇄층(30)에 인쇄된 문양은 투명한 고분자 특수코팅막(40)과 표면층(50)을 통해 외부로 투과된다.
4. 고분자 특수코팅막(40)
고분자 특수코팅막(40)은 인쇄층(30)의 상면에 코팅되는 것으로서, 접착제 50~80중량부당 안정제와 가소제, 및 색소를 50~20중량부로 혼합한 혼합물이다.
특히, 고분자 특수코팅막(40)은 액체상태로서 폴리에틸렌이나, 상기한 인쇄층(30)을 형성하는 폴리염화비닐, 또는 종이재에 도포되어 공기에 노출되면 휘발되므로, 휘발되지 않도록 인쇄층(30) 상면에 코팅함과 동시에 표면층(50)을 형성한다.
이 고분자 특수코팅막(4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한 표면층(50)에 의해 약 50~80%의 빛이 정반사된 후 입사된 잔여 빛을 정반사시켜 상기한 인쇄층(30)에 잔여 빛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함으로서, 광마우스에 내장된 광센서(도시되지 않음)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고분자 특수코팅막(40)은 빛을 정반사시켜 빛이 인쇄층(30)에 닿지 않도록 하여 인쇄층(30)에 의해 빛이 난반사나 흡수되지 않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인쇄층(30)과 후술한 표면층(50)을 접착시키는 접착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한다.
5. 표면층(50)
표면층(50)은 고분자 특수코팅막(40)의 상면에 형성되어 광마우스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0.3~0.5mm 두께의 얇은 박판 형태로 형성되며, 주성분인 폴리염화비닐수지, 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 단독 혹은 2이상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당 가소제 65~75중량부, 안정제 3~7중량부, 색소 6~10중량부로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 및 경화시켜 형성된다.
여기서, 표면층(50)은 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투명도가 50~80%로 형성되어 광마우스에서 조사된 빛이 흡수 또는 난반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광센서의 감도가 향상된다.
한편, 표면층(10)의 주성분으로는 전술한 우레탄 뿐만 아니라 경질 또는 연질의 폴리염화비닐수지가 이용될 수도 있고, 우레탄과 폴리염화비닐수지를 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등 다양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표면층(10)은 그 표면에 대전처리를 하여 광마우스의 표면에 발생될 수 있는 정전기 현상을 차단함으로서, 광마우스의 오작동을 예방하고 이와 더불어, 100~500nm의 반경을 갖는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엠보싱처리하여 광마우스가 표면층(10)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패드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패드 제조과정은 바닥층 조성물, 폴리표면층 조성물, 인쇄층, 고분자 특수코팅막 조성물, 및 표면층 조성물 제조(S10), 바닥층 조성물 도포(S12), 폴리표면층 조성물 도포(S14), 인쇄층 도포(S16), 고분자 특수코팅막 조성물 도포(S18), 표면층 조성물 도포(S20), 대전처리 및 엠보싱처리(S22), 발포(S24), 경화(S26), 및 절단(S28) 순서로 이루어진다.
1. 조성물 제조공정(S10)
1-1. 바닥층 조성물
바닥층 조성물은 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수지 중 단독 혹은 2 이상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가소제 90~100중량부, 안정제1~5중량부, 색소6~10중량부, 경탄 3~9중량부, 발포제 3~7중량부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3 내지 10 시간 반응시켜 반죽상태로 제조한다.
발포제는 폴리염화비닐수지를 발포하여 바닥밀착층의 조면조직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서 아조티카르본아미드 등의 아조계 화합물, 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 등의 니트로소계 화합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P-톨루엔술포닐히드라진, 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디아조아미노아조벤젠, 톨루엔 설포닐 하이드라지드, 그라스비드, 스치렌비드 등이 사용된다.
이 때, 발포제를 주성분인 폴리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당 발포제 3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발포정도가 미약하여 조면조직이 형성되지 않고, 반면에 폴리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당 7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는 경우에는 바닥층의 강도가 작아진다.
1-2. 폴리표면층 조성물 제조
폴리표면층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우레탄,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에틸렌 중 단독 혹은 2이상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당 가소제 65~75중량부, 안정제 3~7중량부, 색소 6~10중량부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3 내지 10 시간 반응시켜 반죽상태로 형성한다.
여기서, 가소제와 안정제, 및 색소는 전술한 바닥층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3. 인쇄층
인쇄층 제조공정은 그림이나 문양 등이 인쇄된 인쇄물로서, 폴리염화비닐수지로 제작되며, 인쇄층 조성물을 제작하고 그 표면에 각종 그림이나 문양을 고해상인쇄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4. 고분자 특수코팅막 조성물
고분자 특수코팅막 조성물은 접착제 50~80중량부당 안정제와 가소제, 및 색소를 50~20중량부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1-5. 표면층 조성물
표면층 조성물은 상기한 폴리표면층 조성물의 제조공정과 동일하다.
2. 이후, 바닥층 조성물, 폴리표면층 조성물, 인쇄층, 고분자 특수코팅막 조성물, 표면층 조성물을 겔(Gel)화 시켜 차례로 도포(S12~S20)한 후, 표면층 조성물의 표면을 대전처리 및 엠보싱처리(S22)한다. 예를 들어, 이형지를 도포하였을 경우 이를 제거한다.
특히, 상기한 고분자 특수코팅막 조성물은 액체상태로서 폴리에틸렌이나, 상기한 인쇄층을 형성하는 폴리염화비닐, 또는 종이재에 도포된 상태로 공기에 노출되면 휘발되므로, 인쇄층(30) 상면에 코팅함과 동시에 표면층(50)을 형성한다.
3. 상기한 바닥층 조성물, 폴리표면층 조성물, 인쇄층, 고분자 특수코팅막 조성물, 표면층 조성물의 도포가 완료되면,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발포(S24)시키고, 경화(S26)시켜 조면조직을 안정화시킨 후, 일정한 크기로 절단(S28)하여 공정을 완료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광마우스 패드에 조사된 빛이 정반사되도록 함과 더불어, 표면에 인쇄되는 문양의 색상과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표면층에 대전처리가 됨으로써, 먼지가 묻지 않고 정전기처리됨으로써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게다가, 탁상용 깔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마우스 패드와 탁상용 깔판으로도 겸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수지, 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중 단독 혹은 2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에 가소제, 안정제, 색소, 경탄, 또는 발포제가 혼합된 조성물이 도포된 후, 발포 및 경화되어 책상 등에 밀착되는 바닥층, 폴리표면층, 그림이나 문양이 새겨진 인쇄층, 광마우스가 이동하는 표면층으로 차례로 형성되어 상기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광마우스용 패드에 있어서,
    안정제와 가소제 및 색소를 혼합한 조성물 50~20중량부와 접착제 50~80중량부로 혼합되어 상기 인쇄층에 도포된 고분자 특수코팅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을 정반사시킴과 더불어, 상기 인쇄층과 표면을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용 패드.
  2.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수지, 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중 단독 혹은 2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에 가소제, 안정제, 색소, 경탄, 또는 발포제를 혼합한 조성물을 책상 등에 밀착되는 바닥층, 폴리표면층, 그림이나 문양이 새겨진 인쇄층, 광마우스가 이동하는 표면층으로 차례로 도포한 후, 발포 및 경화시켜 상기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광마우스용 패드에 있어서,
    안정제와 가소제 및 색소를 혼합한 조성물 50~20중량부와 접착제 50~80중량부으로 혼합한 고분자 특수코팅막 조성물을 상기 인쇄층에 도포하여, 상기 인쇄층과 표면층과 접착시킴과 더불어, 상기 광마우스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고분자 특 수코팅막에서 정반사되도록 한 광마우스용 패드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에 상기 고분자 특수코팅막을 도포함과 동시에 상기 고분자 특수코팅막에 상기 표면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고분자 특수코팅막 조성물이 상기 인쇄층에 도포된 상태로 공기에 노출되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광마우스용 패드 제조방법.
KR1020040032652A 2004-05-10 2004-05-10 광마우스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62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52A KR100562772B1 (ko) 2004-05-10 2004-05-10 광마우스 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52A KR100562772B1 (ko) 2004-05-10 2004-05-10 광마우스 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654A KR20050107654A (ko) 2005-11-15
KR100562772B1 true KR100562772B1 (ko) 2006-03-21

Family

ID=3728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652A KR100562772B1 (ko) 2004-05-10 2004-05-10 광마우스 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0129B (zh) 2010-12-15 2017-04-12 雷蛇(亚太)私人有限公司 基于用户运动跟踪的照明装置及方法
KR200482557Y1 (ko) 2016-05-26 2017-02-07 정환기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9103A (ja) * 1992-10-01 1994-04-28 Nisshin Koki Kk 透光性マウス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91231Y1 (ko) 2002-07-08 2002-10-09 김시원 광마우스용 패드
KR200328764Y1 (ko) 2003-07-05 2003-10-01 한계수 광마우스용 패드
KR200346046Y1 (ko) 2003-12-15 2004-03-26 천병국 마우스 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9103A (ja) * 1992-10-01 1994-04-28 Nisshin Koki Kk 透光性マウス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91231Y1 (ko) 2002-07-08 2002-10-09 김시원 광마우스용 패드
KR200328764Y1 (ko) 2003-07-05 2003-10-01 한계수 광마우스용 패드
KR200346046Y1 (ko) 2003-12-15 2004-03-26 천병국 마우스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654A (ko) 200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3179A (en) Electrographic imaging process
US5370960A (en) Electrographic imaging process
EP1274570A2 (en) Adhesive sheet and floor surface covered structure
KR20170037498A (ko)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KR100562772B1 (ko) 광마우스 패드 및 그 제조방법
GB1059185A (en) Temporary transfer support
KR20170108508A (ko) 입체 패턴을 갖는 실리콘 디자인 전사지
JP2020020220A (ja) 建築部材
JP7067193B2 (ja) 加飾成形品、画像表示装置及び転写シート
JP2005288780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転写材
JP4039493B2 (ja) 写真画像が形成された三次元物品の形成方法及び形成材料
JP2964590B2 (ja) 離型紙
JP5515227B2 (ja) 光学フィルム
JP5515228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433332B2 (ja) 転写シート
JP2589276Y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US830374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film
JP2005121811A (ja) 光拡散層転写シート及び光拡散層の形成方法
JP2658212B2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230590B1 (ko) 곡면형 터치윈도우용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05300B1 (ko) 위치 선정성 및 재부착 특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6996389B2 (ja) 画像表示装置
JP2549800B2 (ja) 画像読取用シート材及びそれを用いた複写機
JP2000148387A (ja) マウスパッド及びマウスパッドの表面側形成部材
KR20210156139A (ko) 빛 반사용 전사지 및 이를 이용하여 전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