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364B1 -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364B1
KR100562364B1 KR1020030083531A KR20030083531A KR100562364B1 KR 100562364 B1 KR100562364 B1 KR 100562364B1 KR 1020030083531 A KR1020030083531 A KR 1020030083531A KR 20030083531 A KR20030083531 A KR 20030083531A KR 100562364 B1 KR100562364 B1 KR 100562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straight pipe
soft material
hard material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794A (ko
Inventor
이은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프라스틱
Priority to KR102003008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3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21Rigid pipes made of sound-absorbing materials or with sound-absorbing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1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with three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욕조, 변기, 세면대 등의 하수배관에 연결되어 사용하거나 빗물 등을 흘러 보내는 직관의 제조방법 및 직관에 관한 것으로, 직관의 구성을 제일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관과, 내측관의 외경에 위치하는 중간관과, 중간관의 외경에 위치하는 외측관으로 3중 구성하되, 상기 내측관과 외측관은 경질의 재질로 성형하고, 중간관은 발포층을 형성한 연질의 재질로 성형하여, 물이 내려질 때에 발생하는 배수소음은 연질의 중간관에 의해 방지하고, 내측관과 외측관에 의해 배수의 충격에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경질의 내-외측관과 연질의 중간관을 동시에 성형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삼중직관을 제조할 수 있는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삼중, 소음방지, 저소음, 직관, 배수소음, 성형장치, 사출기, 연질, 경질.

Description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 {the a manufacturing process and forming system of noise prevention type triple straight p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삼중 직관을 보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직관의 성형장치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직관 2: 내측관
3: 중간관 4: 외측관
10: 성형장치 11: 성형부
12: 경질 재료 투입구 13: 연질 재료 투입구
14, 14a: 성형틀 15: 코어 축
16: 중공성형코어 17: 경질재료유통공
18: 연질재료유통공 19: 경질재료유통공
20: 성형 콘 21: 3중관 성형부
22: 협소부
본 발명은 욕조, 변기, 세면대 등의 하수배관에 연결되어 사용하거나 빗물 등을 흘러 보내는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직관의 구성을 제일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관과, 내측관의 외경에 위치하는 중간관과, 중간관의 외경에 위치하는 외측관으로 3중 구성하되, 상기 내측관과 외측관은 경질의 재질로 성형하고, 중간관은 발포층을 형성한 연질의 재질로 성형하여, 물이 내려질 때에 발생하는 배수소음은 연질의 중간관에 의해 방지하도록 하고, 내측관과 외측관에 의해 배수의 충격에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경질의 내-외측관과 연질의 중간관을 동시에 성형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삼중직관을 제조할 수 있는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쾌적한 주거환경을 요구하게 되었고, 특히 아프트 등 다세대가 공동으로 거주하는 주택에서는 층간의 소음을 줄이는데 노력을 하게 되었다.
특히 변기, 욕조, 세면대 등에서 내려지는 배수소음이 다른 층에 전달되어 타인에게 스트레스를 주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우수관용 직관의 경우에는 단일 재질로 성형하는 것으로 별다른 소음을 줄일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다.
보다 개량된 것으로는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관 또는 삼중 관을 제작하거나 직관의 내측에 배수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별도의 소재를 끼워 넣어 제작하였다.
즉 상기 종래의 직관은 내측관과 외측관을 일체로 형성하여 내측관과 외측관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경질의 PVC재질로 단일 사출하여 형성하고, 별도로 제조한 연질의 흡음재를 직관의 내경에 수작업으로 끼워 넣어 구성한 것이다.
상기 흡음재는 연질의 재질로서 작업자가 흡음재를 움켜쥐게 되면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데, 직관 내면에 붙여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유지되도록 접착제를 도포하고, 삽입을 좀 더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열을 가하여 삽입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직관의 내측관에 강제로 밀어 넣게 되는데, 움켜쥔 손을 놓게 되면 직관의 내경부에서 펼쳐지게 되며, 작업자는 유관으로 흡음재의 형태를 확인해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일 재질의 직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직관의 설치한 직후 초기에는 연질의 흡음재에 의해 배수소음을 줄이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수의 충격으로 인하여 연결의 흡음재가 찢어지는 등의 폐단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연결부위에 틈이 발생하며, 아울러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흡음재가 찢겨져 완전히 분리되었을 때엔 유지보수를 실시하여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문제점을 발견하고 조치를 취하는데 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조치가 완료될 때까지의 배수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감수해야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흡음재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직관은 견고하지 못하고, 흡음재의 훼손으로 인하여 소음제거 기능을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상실하며, 동절기에 직관 내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한 표면의 결로현상(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여 직관이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질의 흡음재를 수작업으로 끼워 넣음으로서 많은 인건비가 투입되어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결국 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흡음재를 직관의 내부에 끼워 넣는 공정은 삽입내관이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조절하여야 하는 것으로 초보자가 실시하기에는 난해하고, 숙련된 기술자를 요구하게 되어 더더욱 가격 상승요인을 부추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흡음재 및 직관은 열이 가해진 상태로서 삽입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고, 접착제가 도포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삽입시켜야 함으로 삽입작업이 수월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견고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경질의 재질이 필요하고, 흡음 및 결로 방지를 위해서는 연질의 재질이 필요한데, 경질의 재질과 연질의 재질은 성형되는 온도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경질 재질과 연질의 재질을 동시에 성형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예컨대 경질 재질의 소재를 성형할 때에는 연질의 재질은 젤 형태의 점성이 강한 액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경질의 재질과 연질의 재질을 동시에 성형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의 충격에 직접 영향을 받는 부위에는 경질의 내측관에 의해 배수충격을 견디도록 견고하게 형성하고, 내측관과 외측관의 사이에는 연질의 중간관을 성형하여 소음발생을 억제시키며, 외측관은 경질로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에 강성을 갖도록 하고, 상기 중간관은 발포층으로 형성함으로서 결로 방지 및 소음을 억제시키도록 하는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질의 수지와 연질의 수지를 동시에 성형하되 배합의 성분비, 배합온도 및 성형되는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설정하여 경질의 수지와 연질의 수지를 동시에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삼중직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출 성형기에 의해 자동으로 사출 성형시키도록 함으로서 과다한 인건비 투입을 억제하여 가격경쟁력을 갖추도록 하는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목적들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삼중 직관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직관의 성형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관(1)은 첨부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하되, 내측관(2)과 중간관(3)과 외측관(4) 3중관으로 성형한 것으로, 내측관(2)과 외측관(4)은 강성을 갖는 경질의 재질로 성형하고, 중간관(3)은 발포층을 형성한 연질의 재질로 성형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직관(1)은 통상적인 합성수지를 성형하는 과정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은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그 외의 일반적인 사항은 생략키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직관(1)의 제조공정은, 원료를 입고하는 제1단계(S1), 상기 원료를 배합하는 제2단계(S2), 상기 배합된 원료를 냉각시키는 제3단계(S3), 상기 냉각한 원료를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4단계(S4),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된 직관(1)을 냉각시키는 제5단계(S5), 냉각된 직관(1)을 인취하는 제6단계(S6), 상기 인취한 직관(1)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제7단계(S7), 절단된 직관(1)을 포장하는 단계(S8)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를 입고하는 제1단계(S1)에서는, 경질의 소재와 연질의 소재를 투입하게 되는데, 본원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재는 경질재료(제품명:P-1300), 연질재료(제품명:P-700)를 투입시키는 것이다.
상기 원료를 배합하는 제2단계(S2)에서는, 원료를 배합함에 있어서, 경질재료의 배합비율은 P-1300이 100 중량부일 때, 안정제는 2.5 내지 3.5 중량부이고, 충격보강제는 7.5 내지 8.5 중량부이며, 충진제는 5.5 내지 6.5 중량부로 배합한 것이다.
연질재료의 배합비율은, P-700이 100 중량부일 때, 안정제는 3.5 내지 4.5 중량부이고, 가소제(DOP)는 35 내지 45 중량부이며, 충격보강제는 5.5 내지 6.5 중량부로 배합한 것이다.
상기 경질재료의 배합환경은, 온도를 125℃ 내지 135℃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750RPM 내지 850 RPM으로 하고, 상기 연질재료의 배합환경은 온도를 105℃ 내지 115℃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500RPM 내지 600RPM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예컨대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면, 경질재료의 배합은, P-1300이 100kg일 때 안정제: 2.5 ~ 3.5 kg, 충격보강제: 7.5 ~ 8.5kg, 충진제: 5.5 ~ 6.5 kg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연질재료의 배합은, P-700이 100 kg일 때, 안정제: 3.5 ~ 4.5 kg, 가소제(DOP): 35 ~ 45 kg, 충격보강제 5.5 ~ 6.5kg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배합비율은 합성수지 제품을 성형할 때에 사용목적 및 성형조건 등에 따라 적절하게 배합하는 것으로, 성형틀의 온도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구성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냉각시키는 제3단계(S3)에서는, 상기 배합한 원료를 38 ~ 42도까지 냉 각시키는 것이다.
상기 성형하는 제4단계(S4)에서는, 트윈스크루(Twin Screw)에 의해 공압출 성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성형장치(10)는 차후 상세하게 설명키로 한다.
상기 성형품의 냉각하는 제5단계(S5)에서는, 냉각수의 온도를 23 ~ 27℃를 유지한 상태에서 진공도 50으로 진공환경에서 냉각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성형품을 꺼내는 제6단계(S6)에서는, 고무롤러를 이용하는 케타필타 방식의 인장기를 이용하여 인취하는 것이다.
상기 성형품을 절단하는 제7단계(S7)에서는, 원형 톱을 사용하여 규격 길이로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절단된 성형품은 포장하는 제8단계(S8)에서는, 통상의 비닐 팩을 씌워서 출하하는 것이다.
상기 성형장치(10)는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장치(10)는, 성형부(11)의 일측에는 경질 재료를 주입하는 경질재료주입구(12)를 형성하고, 성형부(11)의 상측에는 연질 재료를 주입하는 연질재료주입구(13)를 형성하며, 성형부(11)의 타측에는 상기 연질재료와 경질재료가 층을 이루어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이 이루어지는 성형틀(14)을 장착한 것이다.
상기 경질재료주입구(12)와 연질재료주입구(13)에는 35 ~ 45도까지 냉각시킨 수지혼합물을 투입시키는 것이고, 트윈스크루(Twin Screw)에 의해 강제로 밀어 넣는 것이다.
상기 성형부(11)는, 성형틀(14a)의 내부 중앙에 중공성형코어(16)를 장착하고, 일측의 성형틀(14)의 중앙에는 코어 축(15)을 장착하며, 코어 축(15)의 선단에는 성형콘(20)을 장착하되 성형콘(20)의 선단부는 상기 중공성형코어(16)의 중앙에 형성한 경질재료 유통공(17)의 출구 쪽에 밀착되어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성형틀(14a)의 내부에 장착한 중공성형코어(16)는 중앙에 관통하는 경질재료 유통공(17)을 형성하고, 중공성형코어(16)의 출구 쪽으로 연질재료유통로(18)를 형성하되 연질재료유통로(18)는 중공성형코어(16)의 외표면과 연통시켜 연질 재료 공급로(13a)와 연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성형틀(14)은 내부 중앙에 코어 축(15)을 구비하되 그 단면형상은 창날 끝 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 출구 쪽에는 성형틀(14)의 내벽 면과 코어 축(15)사이의 간격이 좁은 협소부(22)를 형성한 것이다.
이하 상기 성형장치(10)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배합의 제1단계(S1)와 냉각하는 제2단계(S2)를 통과한 경질재료와 연질재료는 성형하는 제3단계(S3)인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10)에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경질재료는 경질재료 주입구(12)를 통해 주입되고, 연질재료는 연질재료 주입구(13)를 통해 주입된다.
주입된 경질재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질재료 공급로(12a)를 통해 성형부(11)의 성형틀(14a)에 유입되고, 유입된 경질재료는 일부가 중공성형코어(16)의 중앙에 형성한 경질재료 유통공(17)에 통과하고, 나머지는 중공성형코어(16)의 외경과 성형틀(14a)의 내면사이의 틈 사이인 경질재료유통로(19) 를 통하여 이동하며, 중공성형코어(16)의 출구 쪽에 밀접하게 위치한 성형콘(20)에 의해 경질재료는 파이프형상으로 중앙이 벌어져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질재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질재료 공급로(13a)를 통해 성형부(11)의 성형틀(14a)에 유입되는데 곧바로 중공성형코어(16)의 일측에 연통하여 성형한 연질재료 유통로(18)로 유입되고, 계속적으로 이동하여 중공성형코어(16)의 출구 쪽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결국, 중공성형코어(16)의 출구 쪽에서는 경질재료와 연질재료와 다시 경질재료의 순서로 층을 이루게 되어 성형콘(20)을 막 통과하는 부분에 이르러서는 3중관을 이루되며 이때에 수지(경질재료 및 연질재료)는 3중관 성형부(21)를 통과하면서 성형틀(14)로 이어지는 것이다.
즉, 외측관(2)에 해당하는 경질재료, 중간관(3)에 해당하는 연질재료, 내측관(4)에 해당하는 경질재료로 구성되는 것이다.
성형틀(14a)의 내부에 진입하는 과정에서는 수지가 식혀지지 않는 상태로서 물성이 있는 것으로 계속 밀리듯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특히 경질재료가 고안의 성형틀(14a)(14)에 직접 닿는 것이고, 연질재료는 고온의 성형틀(14a)(14)에 직접 닿지 않는 것으로, 고안에 의해 연질재료가 성형틀(14a)(14)의 내부 달라붙거나 타지 않는 것이다.
성형틀(14)의 협소부(22)를 통과하면서 공간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으로 외측관(2)에 해당하는 경질재료, 중간관(3)에 해당하는 연질재료, 내측관(4)에 해당하는 경질재료는 압착되면서 성형틀(14)의 외측부로 밀려나가면서 파 이프형상으로 직관(1)이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관(3)인 연질재료는 가소제를 첨가한 것으로 발포충이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발포층으로 인하여 방음, 결로 방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직관(1)을 성형한 직후에는 곧바로 제5단계(S5)인 냉각단계에 이어지는 것으로 50% 정도의 진공환경, 냉각수온도 대략 20 ~ 30 ℃ 정도에서 성형냉각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진공환경에서 성형냉각을 실시하는 것은 물성을 갖는 직관(1)이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에서 굳혀지도록 하는 것이고, 특히 냉각과정에서 일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배수를 위한 배관에 본 발명에 따른 직관(1)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배수가 유입되어 발생하는 배수의 충격은 경질의 내측관(2)관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배수소음은 중간관(13)에서 흡수하게 되어 외부로 배수소음이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관(3)의 외면에는 경질의 외측관(4)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충격에 견디는 것이다.
또한, 중간관(3)에 의해 보온되어 이음관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 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중 직관은 관을 삼중으로 형성하되, 중간관은 연질재질로서 발포층으로 형성하여 발포층에 의해 배수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고, 아울러 보온효과로 인하여 겨울철에 이음관의 내 외부 온도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수의 충격의 영향을 직접 받는 부위는 경질의 내측관으로 구성함으로서 내구성이 강하게 되고, 연약한 발포층의 중간관은 외측관에 의해 보호되어 결국 견고한 직관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원 발명에 따른 직관 제조방법에 의한 직관은 사출기에 의해 사출함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낮출 수 있고, 사출기계에 의해 사출함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직관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합성수지 재료에 안정제, 충격보강제, 충진제 및 가소제를 배합하여 성형하는 사출물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료(P-1300, P-700)를 입고하는 제1단계(S1),
    입고한 재료를 경질재료와 연질재료로 배합하되, 경질재료의 배합은 P-1300이 100 중량부일 때, 안정제는 2.5 내지 3.5 중량부, 충격보강제는 7.5 내지 8.5 중량부, 충진제는 5.5 내지 6.5 중량부이고, 연질재료의 배합은 P-700이 100 중량부일 때, 안정제는 3.5 내지 4.5 중량부, 가소제(DOP)는 35 내지 45 중량부, 충격보강제는 5.5 내지 6.5 중량부이며,
    상기 경질재료의 배합환경은 온도 125℃ 내지 135℃, 교반기의 회전속도는 750RPM 내지 850 RPM으로 하고, 상기 연질재료의 배합환경은 온도는 105℃ 내지 115℃, 교반기의 회전속도는 500RPM 내지 600RPM으로 설정하는 제2단계(S2),
    상기 제2단계(S2)에서 배합된 배합물(경질재료 및 연질재료)을 35 내지 45℃ 까지 냉각하는 제3단계(S3),
    상기 제3단계(S3)에서 냉각한 경질재료와 연질재료를 성형부(11)에 투입시키되, 경질재료는 성형틀(14a)의 중공성형코어(16)의 중심부와 외표면을 따라 이동시키고, 연질재료는 성형틀(14a)의 중공성형코어(16)의 중앙으로 투입하여 중공성형코어(16)의 출구 쪽에서는 경질재료, 연질재료 및 경질재료의 순으로 층을 이루도록 성형하는 상기 제4단계(S4),
    상기 제4단계(S4)에서 사출된 사출물 직관(1)을 냉각시키되 냉각시키는 환경은 냉각수온도 20 내지 30℃에서 냉각시키고, 50% 이상의 진공환경에서 냉각시키는 제5단계(S5),
    상기 제 5단계(S5)에서 냉각된 직관(1)을 인취하는 제6단계(S6),
    상기 제6단계(S6)에서 인취한 직관(1)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제7단계(S7),
    상기 절단된 직관(1)을 포장하는 단계(S8)로 이루어져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3. 합성수지를 물성이 강한 상태로 가공하여 수지를 성형틀에 주입하고, 성형틀의 형상 모양 등 조건에 따라 수지 성형제품을 제조하는 성형장치에 있어서,
    성형틀(14a)의 일측에서는 트윈스크루(Twin Screw)에 의해 강제로 경질 재료를 주입하는 경질재료주입구(12)를 형성하고, 성형틀(14a)의 상측에서는 트윈스크루(Twin Screw)에 의해 강제로 연질 재료를 주입하는 연질재료주입구(13)를 형성한 성형부(11)와,
    상기 성형부(11)의 성형틀(14a)내부에는 장착하되, 중앙에 관통하는 경질재료 유통공(17)을 형성하고, 출구 쪽으로 연질재료유통로(18)를 형성하되 연질재료유통로(18)는 외표면과 연통시켜 연질 재료 공급로(13a)와 연통하도록 하는 중공성형코어(16)와,
    상기 성형틀(14a)의 일측에 연속 설치하되, 내부 중앙에는 창날 모양의 코어 축(15)을 장착하고, 출구 쪽에는 내벽 면과 코어 축(15)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협소부(22)를 형성하는 성형틀(14)과,
    상기 성형틀(14)의 코어 축(15)전방에 장착하되 상기 중공성형코어(16)의 출구 쪽 중심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는 성형콘(2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성형장치.
KR1020030083531A 2003-11-24 2003-11-24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 KR100562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531A KR100562364B1 (ko) 2003-11-24 2003-11-24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531A KR100562364B1 (ko) 2003-11-24 2003-11-24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794A KR20050049794A (ko) 2005-05-27
KR100562364B1 true KR100562364B1 (ko) 2006-03-21

Family

ID=3866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531A KR100562364B1 (ko) 2003-11-24 2003-11-24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554B1 (ko) * 2005-03-02 2006-12-22 주식회사 진안 이중압출되는 저소음 배관재
KR100968081B1 (ko) * 2010-03-23 2010-07-08 주식회사 고리 점성이 다른 3중관 제조용 코엑스 중심 다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4424A (ja) 1985-08-22 1987-02-26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合成樹脂製複合管製造装置の口金
JPH10180912A (ja) 1996-12-10 1998-07-07 Alphacan Sa 音響特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パイプとその製造方法
KR19980021824U (ko) * 1996-10-24 1998-07-15 이종호 강화배수파이프
KR200198021Y1 (ko) 2000-01-29 2000-10-02 주식회사지주 폴리 프로필렌 방음 파이프
KR200241442Y1 (ko) 2001-05-07 2001-10-12 성기필 배수용 파이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4424A (ja) 1985-08-22 1987-02-26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合成樹脂製複合管製造装置の口金
KR19980021824U (ko) * 1996-10-24 1998-07-15 이종호 강화배수파이프
JPH10180912A (ja) 1996-12-10 1998-07-07 Alphacan Sa 音響特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パイプとその製造方法
KR200198021Y1 (ko) 2000-01-29 2000-10-02 주식회사지주 폴리 프로필렌 방음 파이프
KR200241442Y1 (ko) 2001-05-07 2001-10-12 성기필 배수용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794A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9847B (zh) 一种pvc-u中空壁内螺旋消音管材制备方法及管材
DE102014224610B4 (de) Produkt geformt aus Polyolefinharz, Verfahren zum Ausbilden desselben und Luftkanal, welcher dieses verwendet
KR100562364B1 (ko) 소음방지 삼중 직관의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
KR102033461B1 (ko) 발포 성형체의 제조 방법
CN102690476B (zh) 一种耐高温材料及其制备方法、基站天线外罩
KR20120057431A (ko) 압출-사출-발포 연속성형 공법을 이용한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CN103423524A (zh) 一种pvc双壁消音管
JP2007283733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発泡管、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10406222A (zh) 一种发泡pvc共挤耐候花箱型材及其制备方法
CN105020542B (zh) 一种油田用玻璃钢管外保温层结构
CN106221058A (zh) 改性pvc以及利用该改性pvc为原料制作波纹管的方法
CN203940132U (zh) 一种upvc空壁内螺旋管
JP6709079B2 (ja) 発泡管継手
RU2700869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композиция прокладок для защиты от каменистой породы из вспененного пвх-п
CN107189297A (zh) 一种水溶性可降解材料、制备方法及打印支撑
KR101203143B1 (ko) 다층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200278713Y1 (ko) 전선보호관의 제조장치
JP6704757B2 (ja) 樹脂サッシの製造方法
KR101570196B1 (ko) 친환경 녹색성으로 제조된 고강성 하수관과 그 장치 및 방법
JP3492444B2 (ja) 樹脂管状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5778328A (zh) 一种玻璃纤维增强废旧pvc建筑模板及其制备方法
KR100568774B1 (ko) 일체형 플라스틱 문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70840B1 (ko) 전선 등의 보호관
JP3206943U (ja) 合成樹脂製排水管
KR100660554B1 (ko) 이중압출되는 저소음 배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