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903B1 -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903B1
KR100561903B1 KR1020030087803A KR20030087803A KR100561903B1 KR 100561903 B1 KR100561903 B1 KR 100561903B1 KR 1020030087803 A KR1020030087803 A KR 1020030087803A KR 20030087803 A KR20030087803 A KR 20030087803A KR 100561903 B1 KR100561903 B1 KR 10056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conveyor belt
rice
pottery
laser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411A (ko
Inventor
권영모
Original Assignee
권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모 filed Critical 권영모
Priority to KR102003008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903B1/ko
Publication of KR2005005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의 표피층에 실선형태의 홈선을 마킹하여 홈선을 통해 내측의 백미층으로 수분이 전달 및 흡수되도록 함에 따라, 영양분이 많은 현미의 표피층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백미로 밥을 지은 것과 동일하게 부드럽고 영양가 높은 현미밥을 만들 수 있도록 한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도정기(10)에서 도정된 현미(3)가 도정기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어 진동기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정리기(30)에서 얇게 펼쳐져 이송하게 되고, 요동정리기(30)에서 얇게 펼쳐진 현미(3)는 정리부(40를 지나면서 상·하로 포게어짐 없이 낱개로 펼쳐져서 콘베이어벨트(20)에 얹혀져 이송하게 되며, 콘베이어벨트(20)에 얹혀져 이송하는 현미(3)에 콘베이어벨트(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레이져발진기(50)에서 발생된 레이져 광선이 조사되어 표피층에 실선형태의 홈선이 마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는 다음과 같다.
벼를 투입하는 투입구(11)와, 도정되어진 현미(3)를 배출하는 도정기 배출구(12) 를 일측으로 가지는 도정기(10)와, 상기 도정기(10)의 도정기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어진 현미(3)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콘베이어벨트(20)와, 상기 도정기배출구(12)의 근접된 부위를 요동시키기 위해 도정기배출구(12)와 근접된 부위의 콘베이어벨트(20)에 연결 설치되어서, 상기 도정기배출 구(12)를 통해 콘베이어벨트(20) 상으로 배출되어진 현미를 얇게 펼쳐지게 하는 요동정리기(30)와, 상기 요동정리기(30)에서 얇게 펼쳐져 콘베이어벨트(20)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현미(3)를 상하로 포게어짐이 없게 하기 위해 요동정리기(30)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정리부(40)와, 상기 정리부(40)의 후방으로 설치되며 콘베이어벨트(20)의 상부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저면으로 현미(3)의 표피층(4)으로 레이져 광선을 조사시켜 실선형태의 홈부를 마킹하는 레이져조사부(51)를 가지는 레이져발진기(50)와, 상기 레이져발진기(50)의 후방측 콘베이어벨트(20)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콘베이어벨트(20)를 타고 이송되어진 현미(3)내의 돌과 같은 이물질을 골라내는 석발기(60)와, 상기 도정기(10)와 요동정리기(30), 레이져발진기(50) 및 석발기(60)의 구동부에 연결되어서 각 구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70)로 구성되어진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현미, 도정기, 콘베이어벨트(20), 레이져발진기(50)

Description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Processing equipment of uncleaned rice and processing method of uncleaned rice}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현미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3a 및 도3b는 본발명의 레이져발진기의 레이져조사부의 저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되어진 현미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현미 4 ; 표피층
삭제
5 ; 홈선 10 ; 도정기
11 ; 투입구 12 ; 도정기배출구
20 ; 콘베이어벨트 30 ; 요동정리기
40 ; 정리부 50 ; 레이져발진기
51 ; 레이져조사부 52 ; 플레이트
60 ; 석발기 61 ; 호퍼
62 ; 배출구 70 ; 콘트롤러
본 발명은 현미의 표피층에 실선형태의 홈선을 마킹하여 홈선을 통해 내측의 백미층으로 수분이 전달 및 흡수되도록 함에 따라, 영양분이 많은 현미의 표피층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백미로 밥을 지은 것과 동일하게 부드럽고 영양가 높은 현미밥을 만들 수 있도록 한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미는 수확한 벼를 건조하여 탈곡한 후 고무 롤러로 된 기계로 왕겨층을 벗긴 쌀을 말한다.
이와 같은 쌀은 벼의 최외곽에 있는 왕겨층을 도정(搗精 ; 곡식을 찧거나 쓿는 일.)하여 만들어지는데 왕겨층을 한 번 벗겨낸 것이 현미이고 10회 정도 도정하여 제조된 것이 바로 백미인 흰쌀인 것이다.
현미는 과피, 종피, 호분피로 이루어진 표피층을 갖게 되며, 비타민 B1, B2, 당질, 단백질, 지방질, 광물질, 인, 철분, 식물성섬유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백미와 비교하면 식물성 섬유와 비타민 B1은 4배, 비타민 B2는 2배, 지방질과 인, 철분은 2배가 들어있다. 그리고 각기병 예방에 좋은 비타민 B1은 쌀의 당질을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작용이 있어 피로회복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현미는 어린이에게는 소아 비만을 방지주고 체질을 개선시켜주며, 성인들에게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정상화 시켜 주는 한편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만성변비, 비만, 심장병 등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크게 기여하며, 현대인의 난 치병인 암 예방과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다량의 식이 섬유가 들어있어 과다한 영양소를 흡착하여 배설하여 비만의 고통을 덜어주며, 중금속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노폐물과 같은 독소를 흡수하여 몸 외부로 배출 시켜주는 작용을 하므로 중금속 등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영향이 풍부한 현미로 현미밥을 매일 지어먹는다면 내장의 작용이 활발해지고 체질개선에도 효과가 있으며 건강에 매우 도움이 된다 하겠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현미는 영양소가 거의 그대로 유지되어 건강에 매우 유익함에도 불구하고 사용하기가 번거로우며, 밥을 지어먹을 때 물 맞추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밥알이 입에 닿는 순간 까칠까칠한 느낌을 주어 식욕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소화가 잘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일부의 사람들 즉 일부 환자의 치료 목적의 의료 보조용 건강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혹은 일반 가정에서 가족의 건강을 위해 잡곡으로서만 사용되어져 오고있는 실정이어서, 건강에 아주 유익한 현미를 식생활에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현미의 표피층에 실선형태의 홈선을 마킹하여 홈선을 통해 내측의 백미층으로 수분이 전달 및 흡수되도록 함에 따라, 영양분이 많은 현미의 표피층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백미로 밥을 지은 것과 동일하게 부드럽고 영양가 높은 현미밥을 만들 수 있도록 한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정기(10)에서 도정된 현미(3)가 도정기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어 진동기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정리기(30)에서 얇게 펼쳐져 이송하게 되고, 요동정리기(30)에서 얇게 펼쳐진 현미(3)는 정리부(40를 지나면서 상·하로 포게어짐 없이 낱개로 펼쳐져서 콘베이어벨트(20)에 얹혀져 이송하게 되며, 콘베이어벨트(20)에 얹혀져 이송하는 현미(3)에 콘베이어벨트(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레이져 발진기(50)에서 발생된 레이져 광선이 조사되어 표피층(4)에 실선형태의 홈선(5)이 마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기능성 현미가공장치는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현미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레이져발진기의 레이져조사부의 저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되어진 현미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면에 기재된 부호 3은 현미, 4는 표피층, 5는 홈선, 6은 백미층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의 부호는 10은 도정기, 11은 투입구, 12는 도정기배출구, 20은 콘베이어벨트, 30은 요동정리기, 40은 정리부, 50은 레이져발진기, 51은 레이져조사부, 52는 플레이트, 60은 석발기, 61은 호퍼, 62는 배출구, 70은 콘트롤러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정기(10)는 상부로 투입구(11)를 가지며, 일측면으로 도정기배출구(12)를 갖게 된다.
상기 도정기(10)는 벼의 최 외곽을 이루는 왕겨층을 도정 처리함에 의해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정기(10)로부터 왕겨층이 도정되어서 얻어진 현미(3)는 도정기(10)의 일측으로 구비된 도정기배출구(12)를 통해 콘베이어벨트(20)로 배출되게 된다.
콘베이어벨트(20)는 일정의 폭을 가지며, 도정기배출구(12)측에는 요동정리기(30)가 연결 설치되고, 요동정리기(30)의 후방측 상부면으로는 정리부(40)가 설치되는 한편, 정리부(40)의 후방으로는 레이져발진기(50)가 설치되게 된다.
이때의 요동정리기(30)는 전기 전원에 의해 미세하게 진동하는 바이브레이터 내지는 콘베이어벨트(20)를 상하로 미세하게 반복해서 요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계적 구조를 사용한다.
상기 콘베이어벨트(20)의 후방으로 설치된 정리부(40)는 콘베이어벨트(20)의 상부에서 콘베이어벨트(20)와는 대략 현미(3) 한개의 높이 정도로 하단부가 익겨되게 함으로써 정리부(40를 통과한 현미(3)는 상하로 포개어짐 없이 콘베이어벨트(20)에서 낱개로 얇게 펼쳐지도록 한다. 이러한 정리부(40)의 재질은 현미(3)와의 지속적인 마찰에 의해서도 부서지거나 손상을 입지 않는 고무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도록 하고, 그 직후방에 구비되는 레이져발진기(50)에 고정설치되어진 플레이트(52)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레이져발진기(50)는 상기 정리부(40)를 통과하여 콘베이어벨트(20) 상에 포개어짐 없이 낱개로 얇게 펼쳐지도록 하여 정리된 상태로 이송되어진 현미(3)의 표피층(4)에 레이져 광선을 조사하게 되는 구성이다.
레이져발진기(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베이어벨트(20)의 상부에서 현미(3)의 표피층(4)으로 레이져 광선을 하향 조사시키기 위한 레이져조사부(51)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레이져발진기(50)의 레이져조사부(51)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레이져 광선이 조사되어지는 부위의 형태를 도 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 격자무늬 등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되게 하여 현미(3)에 조사되는 다양한 형태의 레이저 광선에 의해 현미(3)의 표피층(4)에 마킹되는 실선형태의 홈선(5)이 다양한 무늬모양을 갖도록 한다.
석발기(60)는 통상의 석발기(60)를 이용하되, 그 설치위치는 콘베이어벨트(20)의 후방측 단부의 하부측에 설치하여 콘베이어벨트(20)를 따라 이송되어진 현미(3)가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상기 석발기(60)는 통상의 석발기(60)와 같이 상부로 현미(3)를 투입하는 호퍼(61)를 가지며, 일측으로 배출구(62)를 구비한 후, 현미(3)를 호퍼(61)를 통해 투입한 후, 돌 고르기 작업이 완료된 현미(3)는 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콘트롤러(70)는 도정기(10)와 요동정리기(30), 레이져발진기(50) 및 석발기(60)의 각 구동장치에 연결되면서 각 구성부의 전기적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도정기(10)의 투입구(11)를 통해 벼를 투입하여 도정한 후, 도정되어진 현미(3)를 도정기배출구(12)를 통해 콘베이어벨트(20)로 배출하게 된다.
도정기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어진 현미(3)는 도정기배출구(12)에 근접한 부위의 콘베이어벨트(20)에 연결 설치되어진 요동정리기(30)를 통과하면서 콘베이어벨트(20) 상에 얇게 펼쳐지게 된다.
상기 요동정리기(30)를 통과하면서 콘베이어벨트(20)에 펼쳐지게 되는 현미(3)는 콘베이어벨트(2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정리부(40)를 통과하게 되고,이때 현미(3)는 상하로 포개어짐이 없이 낱개로 펼쳐지면서 후방으로 설치되어진 레이져발진기(5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레이져발진기(50)의 레이져조사부(51)에서 조사되는 레이져 광선에 의해 현미(3)의 표피층(4)에 실선형태의 홈선(5)이 마킹되는바 이때의 홈선(5)은 레이저조사부(51)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선의 조사 강도와 콘베이어벨트(20)의 구동 속도에 따라 그 깊이나 형상을 조절할 수가 있다. 즉 동일한 깊이와 형상의 홈선(5)을 형성하더라도 레이저 광선의 조사 강도를 강하게 할 때에는 콘베이어벨트(20)의 구동 속도를 빠르게 진행하고, 반대로 레이저 광선의 조사 강도가 약할 때에는 콘베이어벨트(20)의 구동 속도를 늦추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므로 원하고자 하는 홈선(5)의 깊이와 형상을 얻기 위해서는 이를 적절히 조절해야만 한다.
한편 상기 도정기(10)와 요동정리기(30), 레이져발진기(50) 및 석발기(60)는 콘트롤러(70)의 작동에 의해서 구동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일단 도정기(10)에서 도정된 현미(3)가 도정기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어 진동기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정리기(30)에서 얇게 펼쳐져 이송하게 되고, 요동정리기(30)에서 얇게 펼쳐진 현미(3)는 정리부(40)를 지나면서 상·하로 포게어짐 없이 낱개로 펼쳐져서 콘베이어벨트(20)에 얹혀져 이송하게 되며, 콘베이어벨트(20)에 얹혀져 이송하는 현미(3)에 콘베이어벨트(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레이져발진기(50)에서 발생된 레이져 광선이 조사되어 표피층(4)에 실선형태의 홈선(5)이 마킹 됨에 의해 기능성 현미의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현미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레이져발진기의 레이져조사부의 저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가공되어진 현미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면에 기재된 부호 1은 벼, 2는 왕겨층, 3은 현미, 4는 표피층, 5는 홈선, 6은 백미층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의 부호는 10은 도정기, 11은 투입구, 12는 도정기배출구, 20은 콘베이어벨트, 30은 요동정리기, 40은 정리부, 50은 레이져발진기, 51은 레이져조사부, 52는 플레이트, 60은 석발기, 61은 호퍼, 62는 배출구, 70은 콘트롤러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정기(10)는 상부로 투입구(11)를 가지며, 일측면으로 도정기배출구(12)를 갖게 된다.
상기 도정기(10)는 벼(1)의 최 외곽을 이루는 왕겨층(2)을 도정 처리함에 의 해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정기(10)로부터 왕겨층(2)이 도정되어서 얻어진 현미(3)는 도정기(10)의 일측으로 구비된 도정기배출구(12)를 통해 콘베이어벨트(20)로 배출되게 된다.
콘베이어벨트(20)는 일정의 폭을 가지며, 진동기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진동기의 후방측 상부면으로 정리부(4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정리부(40)의 후방으로는 레이져발진기(50)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콘베이어벨트(20)의 후방으로 설치된 정리부(40)는 콘베이어벨트(20)의 상부로 설치되며, 콘베이어벨트(20)와의 간격은 대략 현미(3) 한개의 높이 정도로 하여 정리부(40를 통과한 현미(3)는 상하로 포게어짐 없이 낱개로 펼쳐지도록 하되, 그 재질은 현미(3)가 부서지는 등의 손상을 입지 않도록 고무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하는 한편 레이져발진기(50)에 고정설치되어진 플레이트(52)에 고정 설치토록 한다.
레이져발진기(50)는, 상기 정리부(40)를 통과하여 콘베이어벨트(20)상에 포게어짐 없이 낱개로 펼쳐지게 정리된 상태로 이송되어진 현미(3)의 표피층(4)에 레이져 광선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레이져발진기(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베이어벨트(20)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되, 저면으로 현미(3)의 표피층(4)으로 레이져 광선을 조사시키기 위한 레이져조사부(51)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레이져발진기(50)의 레이져조사부(51)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레이져 광 선이 조사되어지는 부위의 형태를 도 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 격자무늬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현미(3)로 조사되는 레이져 광선이 다양한 형태로 조사되도록 함에 따라, 현미(3)의 표피층(4)에 마킹되는 실선형태의 홈선(5)이 다양한 무늬모양을 갖게 된다.
석발기(60)는 통상의 석발기(60)를 이용하되, 그 설치위치는 콘베이어벨트(20)의 후방측 단부의 하부측에 설치하여 콘베이어벨트(20)를 따라 이송되어진 현미(3)가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상기 석발기(60)는 통상의 석발기(60)와 같이 상부로 현미(3)를 투입하는 호퍼(61)를 가지며, 일측으로 배출구(62)를 구비한 후, 현미(3)를 호퍼(61)를 통해 투입한 후, 돌 고르기 작업이 완료된 현미(3)는 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다음 콘트롤러(70)는 도정기(10)와 요동정리기(30), 레이져발진기(50) 및 석발기(60)의 각 구동장치에 연결되어서 각 구성부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도정기(10)의 투입구(11)를 통해 벼를 투입하여 도정한 후, 도정되어진 현미(3)를 도정기배출구(12)를 통해 콘베이어벨트(20)로 배출하게 된다.
도정기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어진 현미(3)는 도정기배출구(12)의 근접된 부위의 콘베이어벨트(20)에 연결 설치되어진 요동정리기(30)를 통과하며, 콘베이어벨트(20) 상에 얇게 펼쳐지게 된다.
상기 요동정리기(30)를 통과한 현미(3)는 콘베이어벨트(2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어서 정리부(40)를 통과하며 상하로 포게어짐이 없이 낱개로 펼쳐진 상태에서 이의 후방으로 설치되어진 레이져발진기(50)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레이져발진기(50)의 레이져조사부(51)에서 조사되는 레이져 광선에 의해 현미(3)의 표피층(4)에 실선형태의 홈선(5)이 마킹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정기(10)와 요동정리기(30), 레이져발진기(50) 및 석발기(60)는 콘트롤러(70)의 작동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일단 도정기(10)에서 도정된 현미(3)가 도정기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어 진동기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정리기(30)에서 얇게 펼쳐져 이송하게 되고, 요동정리기(30)에서 얇게 펼쳐진 현미(3)는 정리부(40)를 지나면서 상·하로 포게어짐 없이 낱개로 펼쳐져서 콘베이어벨트(20)에 얹혀져 이송하게 되며, 콘베이어벨트(20)에 얹혀져 이송하는 현미(3)에 콘베이어벨트(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레이져발진기(50)에서 발생된 레이져 광선이 조사되어 표피층(4)에 실선형태의 홈선(5)이 마킹 됨에 의해 기능성 현미의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현미(3)의 표면을 이루는 표피층(4) 표면에 마킹되어진 홈부(5)를 통해 수분이 백미층(6)까지 전달 및 흡수됨에 따라, 현미(3)의 표피층(4)을 그대로 남겨 놓은 채로 백미로 밥을 지은 것과 같이 부드럽고 영양가 높은 현미밥을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현미 표면을 이루는 표피층에 레이져 광선을 조사하여 미세한 홈부를 마킹한 후, 홈부를 통해 백미층으로 수분이 전달 및 흡수되도록 하여 현미의 표피층을 그대로 남겨 놓은 채로 백미로 밥을 지은 것과 같이 부드럽고 영양가 높은 현미밥을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현미는 기존의 현미밥보다도 밥알이 부드러우며 밥맛은 백미에 떨어지지 않고 소화에 있어서도 위장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가장 중요한 현미의 영양분을 손실 하나 없이 그대로 유지시켜주는 아주 유익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정기에서 도정된 현미가 도정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진동기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정리기에서 얇게 펼쳐져 이송하게 되고, 요동정리기에서 얇게 펼쳐진 현미는 정리부를 지나면서 상·하로 포게어짐 없이 낱개로 펼쳐져서 콘베이어벨트에 얹혀져 이송하게 되며, 콘베이어벨트에 얹혀져 이송하는 현미에 콘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레이져발진기에서 발생된 레이져 광선이 조사되어 표피층에 실선형태의 홈선이 마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2. 벼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도정되어진 현미를 배출하는 도정기배출구를 일측으로 가지는 도정기;
    상기 도정기의 도정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진 현미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콘베이어벨트와;
    상기 도정기배출구의 근접된 부위를 요동시키기 위해 도정기배출구와 근접된 부위의 콘베이어벨트에 연결 설치되어서, 상기 도정기배출구를 통해 콘베이어벨트 상으로 배출되어진 현미를 얇게 펼쳐지게 하는 요동정리기와;
    상기 요동정리기에서 얇게 펼쳐져 콘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현미를 상하로 포게어짐이 없게 하기 위해 요동정리기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정리부와;
    상기 정리부의 후방으로 설치되며 콘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저면으로 현미의 표피층으로 레이져 광선을 조사시켜 실선형태의 홈부를 마킹하는 레이져조사부를 가지는 레이져발진기와;
    상기 레이져발진기의 후방측 콘베이어벨트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콘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되어진 현미내의 돌과 같은 이물질을 골라내는 석발기와;
    상기 도정기와 요동정리기, 레이져발진기 및 석발기의 구동부에 연결되어서, 각 구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1020030087803A 2003-12-04 2003-12-04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10056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803A KR100561903B1 (ko) 2003-12-04 2003-12-04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803A KR100561903B1 (ko) 2003-12-04 2003-12-04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087U Division KR200343553Y1 (ko) 2003-12-05 2003-12-05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411A KR20050054411A (ko) 2005-06-10
KR100561903B1 true KR100561903B1 (ko) 2006-03-23

Family

ID=3724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803A KR100561903B1 (ko) 2003-12-04 2003-12-04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9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036B1 (ko) 2007-08-31 2009-02-18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100899595B1 (ko) * 2008-07-15 2009-05-27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100997705B1 (ko) 2008-08-08 2010-12-02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WO2013024953A1 (ko) * 2011-08-17 2013-02-21 주식회사 레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한 식품의 건조 또는 불림 장치, 건조 또는 불림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가공된 식품.
KR101302502B1 (ko) * 2013-01-11 2013-09-02 오시민 고속회전 미러를 이용한 레이저 곡물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6397A1 (zh) * 2017-09-25 2019-03-28 陈响 大米加工用抛光色选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036B1 (ko) 2007-08-31 2009-02-18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100899595B1 (ko) * 2008-07-15 2009-05-27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WO2010008171A2 (ko) * 2008-07-15 2010-01-21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WO2010008171A3 (ko) * 2008-07-15 2010-05-14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100997705B1 (ko) 2008-08-08 2010-12-02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WO2013024953A1 (ko) * 2011-08-17 2013-02-21 주식회사 레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한 식품의 건조 또는 불림 장치, 건조 또는 불림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가공된 식품.
KR101302502B1 (ko) * 2013-01-11 2013-09-02 오시민 고속회전 미러를 이용한 레이저 곡물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411A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311B1 (ko) 경피투여약물전달 피부 마사지기
KR100982027B1 (ko) 호두 탈피기
KR101296710B1 (ko) 현미 가공장치
KR100561903B1 (ko) 기능성 현미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JP5731006B2 (ja) 腸の蠕動運動を具現するための蠕動装置
KR101865910B1 (ko) 생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생식 제조방법
WO2003084463A2 (en) Apparatus for moxa cautery
KR200343553Y1 (ko)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19990016358U (ko) 약쑥과 솔잎을 내장한 토굴형태의 황토찜질방구조
KR20210000017A (ko) 기능성현미 제조방법 및 장치
CN205947079U (zh) 板栗去壳机用下料装置
EP1316261B1 (en) Improved batter and breading machine
KR100899595B1 (ko)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CN101167572B (zh) 果蔬五谷杂粮排毒抗衰养生食品的制备方法
JP2008522819A (ja) 機能性玄米加工装置
KR200377533Y1 (ko)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100997705B1 (ko)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100884036B1 (ko)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100670712B1 (ko)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CN102669508A (zh) 无花果保健果酱的制备方法
KR200343550Y1 (ko) 현미
KR20050045536A (ko) 현미 제조방법 및 현미
KR101285480B1 (ko) 가정용 현미 가공기
KR100451561B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곡물의 제조 방법
CN111184315B (zh) 一种用于鞋垫制作的杨梅核粘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