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589B1 -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589B1
KR100561589B1 KR1020040003628A KR20040003628A KR100561589B1 KR 100561589 B1 KR100561589 B1 KR 100561589B1 KR 1020040003628 A KR1020040003628 A KR 1020040003628A KR 20040003628 A KR20040003628 A KR 20040003628A KR 100561589 B1 KR100561589 B1 KR 10056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late
electrical equipment
equipment box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735A (ko
Inventor
가네꼬요시아끼
나까지마겐이찌
구사마요시미
사또스스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5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 E04B2/786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I - section with web perpendicular to plane of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2Cross connections
    • E04B2/765Cross connections with one continuous profile, the perpendicular one being interrupted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천정판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라도 천정판의 움푹 패임을 방지하여 밀봉재를 배치하는 가이드벽에 의해 타흔이 천정판에 생기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한 실외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하우징을 구성하는 바닥판(3) 상에 구획판(5)을 세워 설치하고, 이 구획판을 경계로 하여 열교환기(15) 및 송풍기(17) 등을 수납한 열교환실(A)과 압축기(9) 등을 수납한 기계실(B)을 설치하고, 구획판의 천정부에 대략 수평으로 전장 상자(13)를 설치하고, 이 전장 상자의 천정면(55)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벽(59A, 59B)을 설치하고, 이들 가이드벽 사이에 열교환실측과 기계실측을 수밀하게 구획하는 밀봉재(57)를 개재시키고, 이 밀봉재 상에 하우징을 구성하는 천정판(23)을 배치하고, 이 천정판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 부재(63A 내지 63D)를 가이드벽과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전장 상자의 천정면(55)에 설치한 구성이다.
하우징, 가이드벽, 리브 부재, 천정면, 구획판, 열교환실, 압축기, 송풍기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OUT 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실외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2는 실외 유닛의 정면도.
도3은 전장 상자의 사시도.
도4는 전장 상자의 천정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외 유닛
3 : 바닥판
5 : 구획판
13 : 전장 상자
21 : 측판
23 : 천정판
25 : 전방판
31 : 보강판
53 : 방열판
55 : 전장 상자의 천정면
57 : 밀봉재
59A, 59B, 61A, 61B : 가이드벽
63A, 63B, 63C, 63D : 리브 부재
63I, 63J : 리브 부재의 단부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의 전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으로서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기 등을 하우징 내에 수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것에서는, 하우징은 바닥판과 강판제의 커버로 구성되고, 바닥판의 주위에 전방판과 측판과 배면판을 배치하고, 이 전방판, 측판 및 배면판 상에 천정판을 적재하여 조립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바닥판에 세워 설치된 구획판에 의해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획되어 있고, 열교환실에는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기 등이 배치되고, 기계실에는 압축기 및 어큐뮬레이터 등이 배치되고, 또한 구획판의 천정부에는 대략 수평으로 전장 상자가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경우,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는 밀봉재를 배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벽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벽 사이에 배치된 밀봉재를 전장 상자의 천정면과 실외 유닛의 천정판으로 협입하여 열교환실과 기계실을 수밀하게 밀봉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201110호 공보
그러나, 종래 구성의 실외 유닛에서는 전방판이나 측판 등, 천정판의 주연부 이외에 천정판을 지지하는 부분이 없으므로, 천정판에 큰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는 천정판이 움푹 패여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설치된 밀봉재를 배치하는 가이드벽으로 하중을 받게 되어, 천정판에 타흔이 생기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여 천정판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라도 천정판의 움푹 패임을 방지하고, 밀봉재를 배치하는 가이드벽에 의해 타흔이 천정판에 생기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한 실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여 천정판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라도 천정판의 움푹 패임을 방지하고, 천정판에 밀봉재를 배치하는 가이드벽에 의해 타흔이 생기지 않는 실외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을 구성하는 바닥판 상에 구획판을 세워 설치하고, 이 구획판을 경계로 하여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을 수납한 열교환실과 압축기 등을 수납한 기계실을 설치하고, 상기 구획판의 천정부에 대략 수평으로 전장 상자를 설치하고, 이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벽을 설치하고, 이들 한 쌍의 가이드벽 사이에 열교환실측과 기계실측을 수밀하게 구획하는 밀봉재를 개재시키고, 이 밀봉재 상에 하우징을 구성하는 천정판을 배치하고, 이 천정판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 부재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벽과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벽은 상기 구획판의 상부와 대응하도록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열교환실측으로 연장되는 한 쪽 모서리가 모따기된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 모서리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을 구성하는 바닥판 상에 구획판을 세워 설치하고, 이 구획판을 경계로 하여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을 수납한 열교환실과 압축기 등을 수납한 기계실을 설치하고, 구획판의 천정부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전장 상자를 설치하고, 이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한 쌍의 가이드벽을 설치하여 이 가이드벽 사이에 열교환실측과 기계실측을 수밀하게 구획하는 밀봉재를 설치하고, 이 밀봉재 상에 하우징을 구성하는 천정판을 배치하고, 이 천정판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 부재를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에 열교환실측으로 연장되는 한 쪽 모서리를 모따기한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를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 모서리 근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실외 유닛이고, 이 실외 유닛(1)은 강판제의 바닥판(3) 상에 마찬가지로 강판제의 구획판(5)이 세워 설치되고, 이 구획판(5)의 좌우 양측에는 한 쪽에 열교환실(A)이, 또한 다른 쪽에 기계실(B)이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B)에는 냉동 사이클의 일부를 구성하는 압축기(7), 어큐뮬레이터(9), 냉매 배관(11), 또는 전장 상자(13) 등이 배치되고, 한편 상기 열교환실(A)에는 실외 열교환기(15), 실외 송풍기(17)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실(A) 및 기계실(B)은 양 사이드가 한 쌍의 강판제의 측판(21)으로 씌워지고, 바닥부가 바닥판(3)으로 씌워지고, 상부가 강판제의 천정판(23)으로 씌워지고, 전방부가 마찬가지로 강판제의 전방판(25)으로 씌워져 있다. 이 전방판(25)과 천정판(23)은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일체 성형된 것이다. 그리 고, 열교환실(A) 및 기계실(B)의 배면측은 개방되고, 이 개방된 배면측에는 실외 열교환기(15)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바닥판(3), 좌우의 측판(21, 21), 천정판(23) 및 전방판(25)이 상기 열교환실(A) 및 기계실(B)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실외 열교환기(15)의 상부에 보강판(31)이 배치되고, 이 보강판(31)은 열교환실(A) 및 기계실(B)의 대략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천정판(23)은 한 쌍의 측판(21)과 실외 열교환기(15)의 상부에 배치된 보강판(31) 상에 적재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천정판(23)은 주연부가 일체 성형된 전방판(25)과 한 쌍의 측판(21)과 보강판(31)으로 지지되지만, 천정판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는 지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상기 전장 상자(13)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판(5)의 천정부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고, 구획판(5)을 걸쳐서 기계실(B)측으로부터 열교환실(A)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장 상자(13)는 그 내부에 제어 부품이 수납되고, 그리고 열교환실(A)측으로 연장 돌출된 측면(51A)에는 복수의 방열판(5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방열판(53)은 알루미늄으로 성형되어 열교환실(A)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전장 상자(13) 내의 제어 부품이 발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 상자(13)에는 그 천정면(55)으로부터 전방면(51B)에 걸쳐서 스폰지형의 밀봉재(57)가 배치된다. 이 밀봉재(57)는 상기 구획판(5)이 배치된 위치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상기 구획판(5)의 상부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리 고 이 밀봉재(57)를 전장 상자(13)의 천정면(55) 및 전방면(51B)과, 실외 유닛(1)의 천정판(23) 및 전방판(25)으로 협입함으로써, 이 밀봉재(57)로 상기 열교환실(A)과 기계실(B)의 수밀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장 상자(13)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방면(51B) 및 측면(51C)에 개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기계실(B)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유닛(1)의 천정판(23), 전방판(25) 및 측판(21)에 의해 씌워져 있으므로, 전장 상자(13)에 빗물이 직접 침입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전장 상자(13)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천정면(55)으로부터 전방면(51B)에 걸쳐서 상기 밀봉재(57)를 배치하는 각 한 쌍의 가이드벽(59A, 59B 및 61A, 61B)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한 쌍의 가이드벽(59A, 59B 및 61A, 61B)은 상기 구획판(5)의 상부와 대응하도록 전장 상자(13)의 천정면(55)으로부터 전방면(51B)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천정면(55)에 설치된 가이드벽(59A)과 전방면(51B)에 설치된 가이드벽(61A)은 서로 연결되고, 또한 천정면(55)에 설치된 가이드벽(59B)과 전방면(51B)에 설치된 가이드벽(61B)도 서로 연결되는 구성이고, 이 구성에 의해 상기 가이드벽(59A, 59B) 사이 및 가이드벽(61A, 61B) 사이에는 상기 밀봉재(57)를 개재시키는 1개의 홈이 형성되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홈에 밀봉재(57)가 배치된다.
상기 전장 상자(13)는, 도3 및 도4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천정면(55)에 복수의 리브 부재(63A 내지 63D)를 구비한다. 이 리브 부재(63A 내지 63D)는 천정면(55)의 길이 방향의 양 모서리 근방에 설치되고, 리브 부재(63A 내지 63D)의 높이(H1)는 천정면(55)에 설치된 가이드벽(59A, 59B)의 높이(H2)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리브 부재(63A 내지 63D)는 상기 전장 상자(13)의 천정면(55)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 모서리 근방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벽(59A, 59B)과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천정판(23)에 하중이 가해져 밀봉재(57)가 찌부러진 경우라도 가이드벽(59A, 59B)의 상면(59C, 59D)에다가 리브 부재(63A 내지 63D)의 상면(63E 내지 63H)으로 천정판(23)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벽(59A, 59B)의 상면(59C, 59D)으로만 천정판(23)을 지지하는 경우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천정판(23)을 지지할 수 있어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천정면(55)의 길이 방향의 양 모서리 근방에 리브 부재(63A 내지 63D)를 설치함으로써, 전장 상자(13)의 강도도 향상되게 된다.
또한, 리브 부재(63B 및 63C)는 열교환실(A)측의 한 쪽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라운딩 형상으로 하는 단부(63I 및 63J)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천정판(23)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라도 리브 부재(63B 및 63C)의 단부(63I 및 63J)가 라운딩하고 있으므로, 타흔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브 부재(63A 내지 63D) 및 가이드벽(59A, 59B)에 의해 전장 상자(13)의 천정면(55)과 천정판(23) 사이에는 항상 공간이 생겨 천정면(55)은 방열면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장 상자(13)의 천정면(55)에 밀봉재(57)를 배치하는 가이 드벽(59A, 59B)에다가 이 가이드벽(59A, 59B)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리브 부재(63A 내지 63D)를 배치함으로써, 천정판(23)에 하중이 가해져 밀봉재(57)가 찌부러진 경우라도 가이드벽(59A, 59B)의 상면(59C, 59D)에다가 리브 부재(63A 내지 63D)의 상면(63E 내지 63H)으로 천정면(23)을 지지하므로, 천정판(23)에 움푹 패임이나 타흔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일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실외 유닛의 천정판에 큰 하중이 가해진 경우라도 천정판에 움푹 패임이나 타흔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7)

  1. 하우징을 구성하는 바닥판 상에 구획판을 세워 설치하고, 이 구획판을 경계로 하여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을 수납한 열교환실과 압축기 등을 수납한 기계실을 설치하고, 상기 구획판의 천정부에 대략 수평으로 전장 상자를 설치하고, 이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벽을 설치하고, 이들 한 쌍의 가이드벽 사이에 열교환실측과 기계실측을 수밀하게 구획하는 밀봉재를 개재시키고, 이 밀봉재 상에 하우징을 구성하는 천정판을 배치하고, 이 천정판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 부재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벽과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벽은 상기 구획판의 상부와 대응하도록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열교환실측으로 연장되는 한 쪽 모서리가 모따기된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전장 상 자의 천정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 모서리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5. 하우징을 구성하는 바닥판 상에 구획판을 세워 설치하고, 이 구획판을 경계로 하여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을 수납한 열교환실과 압축기 등을 수납한 기계실을 설치하고, 구획판의 천정부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전장 상자를 설치하고, 이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한 쌍의 가이드벽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벽 사이에 열교환실측과 기계실측을 수밀하게 구획하는 밀봉재를 설치하고, 이 밀봉재 상에 하우징을 구성하는 천정판을 배치하고, 이 천정판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 부재를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에 열교환실측으로 연장되는 한 쪽 모서리를 모따기한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유닛.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를 전장 상자의 천정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 모서리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유닛.
KR1020040003628A 2003-01-20 2004-01-19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KR100561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10999 2003-01-20
JPJP-P-2003-00010999 2003-01-20
JP2003369719A JP2004245568A (ja) 2003-01-20 2003-10-30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JP-P-2003-00369719 2003-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735A KR20040066735A (ko) 2004-07-27
KR100561589B1 true KR100561589B1 (ko) 2006-03-20

Family

ID=3303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628A KR100561589B1 (ko) 2003-01-20 2004-01-19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245568A (ko)
KR (1) KR100561589B1 (ko)
CN (1) CN10037018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695B1 (ko) 2007-06-14 2012-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5289078B2 (ja) * 2009-01-27 2013-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ユニット
CN201787701U (zh) * 2010-04-13 2011-04-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电器装置及空调器
JP5873995B2 (ja) * 2011-04-28 2016-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03363597B (zh) * 2013-07-26 2016-05-25 广东科龙空调器有限公司 一种空调器室外机
JP6375173B2 (ja) * 2014-08-08 2018-08-15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室外機および空気調和機
BR102016029389B1 (pt) * 2016-12-14 2023-01-17 Electrolux Do Brasil S.A Unidade de ar condicionado externa e sistema de ar condicionad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6171B2 (ja) * 1999-09-30 2009-10-2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020432B2 (ja) * 2000-08-04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チップ型積層コンデンサ
JP2002243210A (ja) * 2001-02-20 2002-08-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735A (ko) 2004-07-27
JP2004245568A (ja) 2004-09-02
CN1517619A (zh) 2004-08-04
CN100370184C (zh)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768B1 (ko) 냉장고
JP492310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EP1302638A2 (en) Engine generator
KR100561589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JP474686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006220386A (ja) 冷蔵庫
EP2840327B1 (en) Air conditioner
JP5259271B2 (ja) 冷却ユニット
JP4102285B2 (ja) 冷蔵庫
JP5706819B2 (ja) トレーラ用冷凍装置
JP2565293Y2 (ja) 冷却貯蔵庫
JP2004084648A (ja) パッケージ型圧縮機
KR10057335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21082669A (ja) 電気機器用ケース
JP434989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10986464A (zh) 一种冷藏风道结构及风冷冰箱
JP4493230B2 (ja) 冷却貯蔵庫
CN214994232U (zh) 储物箱和工程机械
JP2002353656A (ja) 空冷形電子制御装置格納箱の防水構造
JP2007064536A (ja) 冷却貯蔵庫
JP7483336B2 (ja) ダクト及びそれを備えた電装ユニット
CN219602164U (zh) 一种冷藏集装箱
CN219222994U (zh) 冰箱机械室和冰箱
JP3630969B2 (ja) 温度計
JPH0731114Y2 (ja) コンテナ用冷凍装置のコントロールボック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