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268B1 - 토크전달시스템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토크전달시스템의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1268B1 KR100561268B1 KR1019970709634A KR19970709634A KR100561268B1 KR 100561268 B1 KR100561268 B1 KR 100561268B1 KR 1019970709634 A KR1019970709634 A KR 1019970709634A KR 19970709634 A KR19970709634 A KR 19970709634A KR 100561268 B1 KR100561268 B1 KR 1005612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rque
- function
- creeping
- clutch
- transmission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6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20 mathematical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47 magnetic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8 unit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6—Control of fluid pressure, e.g. using an accumul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27—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63—Creep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06—Clutch position
- F16D2500/10412—Transmission line of a vehi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7—Speed of the eng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8—Signal inputs from the transmission
- F16D2500/30806—Engaged transmission ratio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Signal inputs from the vehicle
- F16D2500/3108—Vehicle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06—Signal inputs from the user input from pedals
- F16D2500/31426—Brake pedal pos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06—Signal inputs from the user input from pedals
- F16D2500/31426—Brake pedal position
- F16D2500/31433—Brake pedal position threshold, e.g. switc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06—Signal inputs from the user input from pedals
- F16D2500/3144—Accelerator pedal pos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6—Other signal inputs not covered by the groups above
- F16D2500/3166—Detection of an elapsed period of tim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06—Creep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45—Calibration or recalibration of the clutch touch-poi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22—Clutch parameters
- F16D2500/70438—From the output shaft
- F16D2500/7044—Output shaft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전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엔진,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 및 변속기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가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가 센서들 및 전자유니트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가 독일특허 제 DE-OS 40 11 850 호, 제 DE-OS 44 26 260 호 및 제 DE-OS 195 04 847 호에 공개된다. 상기 장치로 구성된 차량은 내연기관 또는 다른 구동유니트 예를 들어, 내연기관 및 에너지 저장장치 또는 전기 모터를 가진 하이 브리드 시스템(hybrid system)을 가진다. 구동상태를 전달하기 위하여 파워트레인내에 배열된 토크전달시스템은 위한 작동유니트와 같은 액터(actor)를 이용하여 연결 및 분리작용을 자동으로 제어된다. 변속기는 자동제어식 기어 변속기능을 가지고 자동화된 변속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기어변속기이다. 변속기들은 인장력(pulling force)의 유무에 상관없이 작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개시(starting), 크리핑(creeping) 또는 션팅(shunting)과 같은 편안한 주행을 허용하고, 여러 가지 가능한 작동조건들사이에서 안락한 전환이 이루어지는 방법 및 상기 주행특성을 가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적정비용으로 생산가능하고 실제사용시 차량작동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안락성을 가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종래기술을 따르는 장치를 개선하고, 사용시 더 높은 신뢰성 및 마모감소를 보장해 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자동차의 파워트레인을 나타낸 도면.
도 3a-3d 는 다이어그램.
도 4 는 다이어그램.
도 5 는 다이어그램.
도 6 은 다이어그램.
도 7 은 블록선도.
도 7a 는 블록선도.
도 8 은 블록선도.
도 9 는 블록선도.
도 10 은 블록선도.
도 11 은 블록선도.
도 12 는 블록선도.
도 13 은 블록선도.
도 14 는 블록선도.
도 15 는 블록선도.
도 16 은 블록선도.
도 17 은 다이어그램.
도 18 은 다이어그램.
도 19 는 다이어그램.
도 20 은 다이어그램.
도 21 은 다이어그램.
도 22 는 다이어그램.
도 23 은 다이어그램.
도 24 는 다이어그램.
도 25 는 다이어그램.
도 25a 는 다이어그램.
도 26 은 다이어그램.
도 26a 는 다이어그램.
* 부호 설명
1...자동차 3...토크전달시스템
4...변속기 5...출력축
6...액슬 6a...차륜
7...입력부 8...출력부
11...마스터실린더 12...원동기
13...제어유니트 15...스로틀 밸브센서
16...엔진 RPM 센서 18...변속레버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유니트는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brake)가 작동되지 않으며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크리핑(creeping)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이 크리핑운동을 수행하도록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함수들에 따라 제어유니트가 클러치토크(clutch torque)를 확인하고 선택한다.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용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제어 유니트는 주행개시운동(starting movement)을 제어하고 차량이 주행개시되도록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함수에 따라 클러치토크가 확인된다.
본 명세서에서 클러치 토크는 클러치에 의해 전달가능하고, 예를 들어 액터(actor) 또는 작동유니트(actuating unit)에 의해 제어 및 조정되어 설정되고 제어유니트(control unit)에 의해 결정되는 토크(torque)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엔진이 작동상태이며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때, 차량은 적어도 느리게 운동하며, 전달되는 구동토크는 작고 엔진작동은 기본적으로 아이들링(idling)상태이며, 토크전달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작은 토크를 전달한다. 주행개시작동은 가속페달(gas pedal) 또는 마스터실린더(master cylinder)와 같은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제공되며, 이때 엔진은 아이들링(idling)RPM보다 높은 RPM에서 작동하고, 차량이 적어도 저속으로 운동하도록 클러치는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주행개시(starting) 및 크리핑(creeping)으로 나타낸 작동들은 주로 차량운전자에 의한 가속페달(gas pedal)의 작동에 의해 구별된다.
크리핑함수 또는 주행개시함수와 같이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들은 수학적 함수들에 의해 확인되거나 중앙컴퓨터 유니트(computer unit)에 의해 확인되는 특성곡선(characteristic curve) 또는 특성장(characteristic field)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의하면,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하중레버가 작동되고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결정된 클러치토크가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된 클러치토크와 동일할 때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상기 크리핑함수로부터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제어되어 크리핑운동이 주행개시운동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하중레버가 작동되고 주행개시함수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에 도달할 때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상기 크리핑함수로부터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제어되어 크리핑운동이 주행개시운동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하중레버가 작동되며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상기 크리핑함수로부터 주행개시함수로 직접 전환될 때 크리핑운동이 주행개시운동으로 직접 전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하중레버가 작동되며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상기 크리핑함수로부터 주행개시함수로 전환될 때 크리핑운동이 주행개시운동으로 직접 전환되고, 주행개시함수가 크리핑함수의 실제값에서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주행개시운동시 하중레버의 작동이 정지되면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운동의 정지함수에 의해 클러치토크가 감소되고 주행개시운동의 정지함수에 따라 결정되는 클러치토크가 크리핑함수에 의해 확인되는 클러치토크이하일 때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로 전환되어 주행개시운동으로부터 크리핑운동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주행개시운동시 하중레버의 작동이 정지되면 크리핑함수에 따라 클러치토크가 결정되고 제어되어 주행개시운동이 크리핑운동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주행개시운동시 하중레버의 작동이 정지되면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운동의 정지함수에 의해 클러치토크가 영으로 감소되고 주행개시운동이 정지되며 다음에 크리핑함수에 의해 크리핑운동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주행개시운동시 하중레버의 작동이 정지되면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운동의 정지함수에 따라 클러치토크가 영으로 감소되어 주행개시운동이 정지되고 다음에 미리 선택가능한 시간동안 클러치토크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크리핑함수에 의해 크리핑운동이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유니트에 의해 선택되고 토크전달 시스템에 의해 전달가능한 클러치토크가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가능한 작동유니트에 의해 설정된다.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클러치토크로서 선택가능한 크리핑토크가 선택가능한 시간에 관한 함수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크리핑함수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선택가능하고 시간에 관한 한 개이상의 함수들이 가지는 한 개이상의 시간구간내에서 상기 크리핑토크가 확인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크리핑토크는 시간에 관한 적어도 두 개의 함수들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시간구간들내에서 확인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시간에 관한 개별 함수를 가진 두 개의 시간구간 내에서 크리핑토크가 선택되어 제 1 시간구간동안 크리핑토크가 제 1 함수에 의해 영으로부터 미리 선택가능한 제 1 값까지 상승되고, 제 2 시간구간동안 미리 선택가능한 수치이상으로 상승된다. 예를 들어, 미리 선택가능한 위치는 측정위치 또는 연결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시간구간 동안 크리핑 토크는 미리 선택가능한 값으로 부터 최대값까지 증가되고, 다음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추가로 제 3 시간구간동안 크리핑토크는 최대치로 부터 최대치보다 작은 수치로 감소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리핑토크가 다른 시간구간 보다 제 1 시간구간에서 더 빠르게 증가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선택가능한 값이 클러치의 연결위치이고, 상기 연결위치가 선택되면, 토크가 상당히 증가되며, 연결위치는 토크가 전달되기 시작하는 위치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브레이크작동에 대한 응답과 같이 크리핑 작동이 중지되면, 크리핑 토크가 적어도 하나의 시간함수에 의존하는 선택가능한 수치까지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크리핑 작동이 정지되면, 시간에 관한 한 개이상의 함수에 의하여 크리핑토크는 미리 선택가능한 값까지 감소하고 한 개이상의 제 2시간구간동안 미리 선택가능한 값까지 감소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예를 들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크리핑작동이 중지되면, 크리핑토크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함수에 따라 제 1 시간구간동안 미리 선택가능한 수치까지 감소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시간구간동안 미리 선택가능한 수치까지 감소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크리핑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값까지 감소되고, 상기 미리 선택가능한 값은 영인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낮은 수치는 작용중인 드래그 토크(drag torque)에 해당하는 수치가 될 수 있다.
주행개시함수가 한 개이상의 작동매개변수에 관한 함수이고 주행개시함수가 엔진 RPM 에 관한 함수 또는 부하레버의 위치 및 엔진 RPM에 관한 함수이거나 스로틀밸브의 플랩의 위치에 관한 함수이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는 한 개이상의 작동매개변수에 관한 함수이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또한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가 엔진 RPM 에 관한 함수이며 주행개시작동의 정지시 클러치 토크를 감소시키며,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또한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가 시간에 관한 함수이며 주행개시작동의 정지시 클러치 토크를 감소시키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또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주행개시작동이 정지할 때, 미리선택가능한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에 의해 상기 클러치토크가 영까지 감소되는 것이 유리하다. 추가로 토크는 크리핑토크까지 감소될 수 있다.
수행되는 과정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어유니트는 크리핑함수. 주행개시함수 및 미리 선택가능한 매개변수들에 의존하는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를 제공하는 함수발생기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엔진 RPM과 같은 회전속도 또는 변속기 입력 RPM과 같은 변속기 RPM 및 시간이 미리 선택가능한 매개변수로서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크리핑토크, 주행개시토크 또는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토크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특성곡선 또는 특성치들, 특성장에 의해 함수의 계수들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리핑함수 또는 주행개시함수와 같은 각각의 함수들의 순간확인값들을 기준치를 이용하거나 서로 비교할수 있도록 각각의 확인되거나 연산된 메모리값을 비교하도록 상기 제어유니트는 비교장치를 가지거나 상기 비교기능에 의해 하나의 함수로 부터 다른 함수로 변환하는 동안 설정이 결정될지 여부가 도출된다. 예를 들어, 함수 또는 작동상태 크리핑으로 부터 주행개시함수로 변화할 때, 전달가능한 클러치토크가 선택된 크리핑함수 또는 주행개시함수와 같은 함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도록 크리핑토크가 주행개시토크와 비교된다. 상기 비교장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크리핑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크리핑 함수는 한 개이상의 작동매개변수에 관한 함수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또한 크리핑 함수는 시간에 관한 함수에 따라 선택되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상기 시간구간동안 클러치토크가 필수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미리 선택가능한 시간구간이 1밀리초와 10초 사이의 시간 범위내에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선호적으로 시간구간이 0.5초와 5초 사이의 범위내에 있도록 선택될 것이다.
미리 선택가능한 시간구간동안 클러치토크는 필수적으로 영이 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추가로 미리 선택가능한 시간구간동안 클러치토크는 영을 제외한 미리 선택가능한 값을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크리핑 함수, 주행개시함수, 크리핑작동의 정지함수 및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를 포함한 함수들중 한 개이상의 함수가 시간, 엔진 RPM, 변속기입력RPM, 하중레버의 위치, 쓰로틀 밸브각도, 엔진RPM과 변속기입력 RPM사이의 차이에 의한 슬립, 차량속도를 포함한 한 개이상의 작동변수에 관한 함수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엔진,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 및 변속기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가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가 센서들 및 전자유니트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된다.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한다. 하중레버가 작동되면, 클러치토크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크리핑함수로부터 주행개시함수로 직접 전환되어 크리핑운동이 주행개시운동으로 직접전환된다.
미리 선택가능한 수치는 크리핑토크의 분수 또는 배수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토크전달시스템이 제어 또는 조정과 같은 작동방법이 청구항들중 하나에 따르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 및 변속기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가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가 센서들 및 전자유니트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대하여,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상태가 아니며 하중레버가 작동상태가 아닐 때, 제어되는 클러치 토크는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가 크리핑 작동을 제어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며 하중레버가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차량이 주행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하중레버가 작동되면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는 클러치토크가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는 클러치토크와 적어도 동일할 때,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로 부터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함수로 클러치 토크가 변화하여 크리핑작동으로 부터 주행개시작동으로 변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상태가 아니며 하중레버가 작동상태가 아닐 때,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는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크리핑 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작동을 제어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며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차량이 주행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주행개시함수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수치에 도달할 때,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기능으로 부터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함수로 제어된 클러치 토크가 변화하여 크리핑 작동으로 부터 주행개시작동으로 변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상태가 아니며 하중레버가 작동상태가 아닐 때, 제어되는 클러치토크는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크리핑 함수)에 따라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작동을 제어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며 하중레버가 작동할 때,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차량의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도록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제어유니트는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며,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 함수로 부터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함수로 클러치 토크가 변화하고, 주행개시함수는 크리핑함수의 실제값에 의해 크리핑 작동으로 부터 주행개시작동으로 변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며 하중레버가 작동상태가 아닐 때, 제어되는 클러치 토크는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크리핑 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작동을 제어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며 하중레버가 작동되면 제어상태의 클러치 토크가 차량이 주행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주행개시작동이 종료될 때, 제어된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에 의해 감소되고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로 결정된 클러치토크가 크리핑함수에 의해 확인되는 클러치 토크와 적어도 동일하거나 작을 때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 함수로의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주행개시작동으로 부터 크리핑작동으로 변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상태가 아니며 하중레버와 작동상태가 아닐 때, 제어되는 클러치토크는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작동을 제어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며 하중레버가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차량이 주행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하중레버가 작동되고 주행개시작동과정동안 하중레버의 작동이 종료될 때, 크리핑함수에 따라 제어되어 주행개시작동으로 부터 크리핑작동으로 변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상태가 아니며 하중레버가 작동상태가 아닐 때, 제어되는 클러치토크는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작동을 제어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며 하중레버가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차량의 주행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하중레버가 작동되고 주행개시작동과정에서 하중레버의 작동이 종료될 때, 제어된 클러치 토크가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에 의해 영까지 감소되고 다음에 크리핑 함수에 따라 크리핑작동이 제공되어 주행개시작동이 종료되는 것이 유리하다.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상태가 아니며 하중레버가 작동상태가 아닐 때,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는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작동을 제어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으며 하중레버가 작동할 때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차량의 주행개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하중레버의 작동이 정지되어 주행개시작동이 종료될 때,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에 의존하여 영까지 감소되고,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시간주기동안 필수적으로 일정한 값을 유지하며, 다음에 크리핑작동이 크리핑함수에 의존하여 제어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크리핑함수는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선택할 때 이용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크리핑함수는 시간 또는 다른 차량 매개변수의 함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크리핑함수는 특성곡선 또는 특성장을 기초로 확인될 수 있거나 수치 연산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크리핑함수의 이용을 허용하고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가속페달 또는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는다면 차량의 각각의 작동점 및 주어진 차량 매개변수에서 크리핑토크를 확인하고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행개시함수는 차량의 주행개시를 제어하기 위해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선택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함수는 시간에 관한 함수 또는 다른 차량 매개변수에 관한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행개시함수는 특성곡선 또는 특성장으로 부터 확인될 수 있거나 수치연산을 기초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주행시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가속페달 또는 하중레버가 작동되는 환경에서 주행개시토크는 주어진 차량 매개변수에서 차량의 각각의 작동점에서 확인되고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크리핑정지함수 및 주행개시의 정지함수들은 차량이 크리핑작동 또는 주행개시작동을 정지하도록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함수들은 시간에 관한 함수이거나 다른 차량 매개변수에 종속되는 함수일 수 있다. 상기 크리핑작동의 정지기능 또는 주행개시작동의 정지기능은 특성곡선 또는 특성장을 기초로 하여 확인가능하고 수치처리(numerical process)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크리핑 또는 주행개시작동이 중지 또는 간섭된 경우에 주어진 차량 매개변수에서 차량의 각각의 작동점에서 확인되고 제어될 수 있다.
클러치토크는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고 조절가능한 토크를 나타낸다.
토크전달시스템은 차량에 구성된 파워트레인(power train)내에서 토크를 전달하거나 전달을 중지시키기 위한 클러치를 나타낸다.
추가로 본 발명을 따르는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다음 단계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 제어유니트는 제어된다.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으며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개시하고 미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함수(크리핑 함수)에 따라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크리핑(creeping) 작동을 제어하고,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차량의 주행개시가 이루어지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주행개시(starting) 작동을 조정하며,
- 주행개시함수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클러치토크가 크리핑함수에 의존하여 확인되는 클러치토크와 적어도 동일할 때 선택된 클러치 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로 부터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함수로 변환되도록 제어유니트는 크리핑작동으로 부터 주행개시작동으로 전환을 제어한다.
만약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면 유리할 수 있다: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차량의 크리프운동을 시작되고 미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함수(크리핑 함수)에 따라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크리핑(creeping) 작동을 제어하고,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제어상태의 차량의 주행개시가 이루어지고 미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클러치토크가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주행개시(starting) 작동을 조정하며,
- 주행개시함수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수치에 도달할 때 선택된 클러치토크는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로 부터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함수로 선택된 클러치토크가 변화하도록 하중레버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작동으로 부터 주행개시작동으로 전환을 제어한다.
추가로 다음 단계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으며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차량의 크리프운동을 시작되고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크리핑 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제어유니트는 크리핑(creeping) 작동을 제어하고,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차량의 주행개시가 이루어지고,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확인되며, 제어유니트는 주행개시(starting) 작동을 조정하며,
-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로 부터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함수로 선택된 클러치토크의 변화가 즉시 발생되고, 주행개시함수가 크리핑함수의 실제 수치에 의해 증가되도록 하중레버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작동으로 부터 주행개시작동으로의 전이를 제어한다.
추가로 다음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으며 차량의 크리프운동을 시작되고 미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함수(크리핑 함수)에 따라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크리핑(creeping) 작동을 제어하고,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차량의 주행개시가 이루어지고 미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주행개시(starting) 작동을 조정하며,
선택된 클러치 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에 따라 감소되고,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에 의존하여 확인되는 클러치토크가 크리핑함수에 의해 결정되는 클러치 토크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이하가 되도록 주행개시작동과정에서 하중레버의 작동정지에 응답하여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함수로 부터 크리핑함수로 전환을 제어한다.
추가로 다음 단계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으며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차량의 크리프운동을 시작되고,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크리핑 함수)에 따라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크리핑(creeping) 작동을 제어하고,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차량의 주행개시가 이루어지고,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주행개시(starting) 작동을 조정하며,
- 하중레버의 작동이 정지되는 즉시 크리핑함수에 의해 선택된 클러치토크가 결정되고 제어되도록 주행개시작동과정중에 있는 하중레버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어유니트가 크리핑작동으로 부터 주행개시작동으로의 전이를 제어한다.
추가로 다음 단계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차량의 크리프운동을 시작되고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크리핑 함수)에 따라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크리핑(creeping) 작동을 제어하고,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차량의 주행개시가 이루어지고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주행개시(starting) 작동을 조정하며,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에 의존하여 선택된 클러치토크가 필수적으로 영까지 감소되고, 다음에 크리핑작동이 크리핑함수에 의해 제어되도록 주행개시작동과정중에 있는 하중레버의 작동정지에 응답하여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작동의 정지를 제어한다.
추가로 또한 다음 단계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차량의 크리프운동을 시작되고,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크리핑 함수)에 따라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크리핑(creeping) 작동을 제어하고,
-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제어되는 클러치토크가 차량의 주행개시가 이루어지고, 미리 선택가능한 함수(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될 때 제어유니트는 주행개시(starting) 작동을 조정하며,
선택된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에 의해 영까지 감소되고, 다음에 클러치토크는 미리 선택가능한 시간주기에 대해 필수적으로 일정치를 유지하며, 다음에 크리핑작동이 크리핑함수로 제어되도록 주행개시작동과정중에 있는 하중레버의 작동정지에 응답하여 제어유니트가 주행개시작동의 정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엔진 또는 내연기관과 같은 구동 유니트(2)를 구비한 자동차(1)를 나타낸다. 자동차의 파워트레인내에, 토크전달시스템(3)과 변속기(4)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 토크전달시스템(3)은 모터와 변속기사이의 동력 이동부에 배치되어, 자동차에 의해 전달된 구동 토크는 토크전달시스템을 통하여 변속기로 전달되고 변속기(4)의 출력부에서 출력축(5)과 하류위치의 액슬(6) 및 차륜(6a)으로 전달된다.
토크전달시스템(3)은 마찰 클러치, 다판 클러치, 자분 클러치 또는 토크컨버터 로크업 클러치와 같은, 클러치로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는 자동-조정 마모 보상 클러치이다. 상기 변속기(4)는 다단감속기어와 같은 수동 변속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속기는 액터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자동변속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변속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액터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 변속기가 다른 기어로 변속된다.
또한 유성 단의 증감과 같은 기어 변속 조작중에 인장력을 중지시키지 않으면서 자동 변속할 수 있다.
또, 코운 드라이브와 같은 무단변속기를 이용할 수 있다. 클러치나 마찰 클러치와 같은 하류위치의 토크 전달 장치(3)와 자동 변속기가 결합될 수 있다. 토크전달시스템은 주행개시 클러치/회전 방향을 역전시키기 위한 역회전 클러치 및/ 전달가능한 토크를 제어할 수 있는 안전 클러치로 구성될 수 있다. 토크전달시스템은 건식 마찰 클러치 또는 유체를 매개로 하는 습식 마찰 클러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토크 컨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토크전달시스템(3)은 입력부(7)와 출력부(8)로 이루어지고, 클러치 디스크(3a)가 프레셔 플레이트(3b), 다이어그램 스프링(3c), 분리 베어링(3e) 및 플라이휠(3d)에 의해 작동될 때 입력부(7)에서 출력부(8)로 토크가 전달된다.
토크전달시스템(3)은 제어 유니트(13)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제어 전자장치(13a)와 액터(13b)를 포함한다.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액터와 제어 전자장치는 하우징과 같은, 두 개의 분리된 구조 유니트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유니트(13)는 액터(13b)의 전기 모터(1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및 동력 전자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장치는 단일 공간, 즉 전자 장치를 포함한 액터를 위한 공간만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액터는 전기 모터와 같은, 원동기(12)로 구성되고, 전기 모터(12)는 워엄 기어조합, 스퍼어 기어 구동부, 크랭크 구동부 또는 이송 나사 구동부와 같은 기어 조합을 통하여 마스터 실린더(11)를 작동한다.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은 직접 실행되거나 링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마스터 실린더 피스톤(11a)과 같은, 액터 출력 요소의 운동은 클러치 운동센서(14)에 의해 감지되며, 이 센서는 위치, 속도, 이 위치에 비례하는 값에 따른 가속, 클러치의 가속, 속도 및 연결상태를 감지한다. 마스터 실린더(11)는, 유압도관과 같은, 가압된 유체를 위한 도관(9)에 의해 종 실린더(10)와 연결된다. 종 실린더의 출력 요소(10a)는 분리 레버나 분리 장치(20)와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되기 때문에 종실린더(10)의 출력요소(10a)의 운동은 클러치(3)에 의해 전달될 토크를 선택하도록 분리장치(20)의 회전 및 운동을 일으킨다.
토크전달시스템(3)에 의해 전달되기에 적합한 토크 선택 액터(13b)는 가압된 유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가압된 유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와 종 실린더를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된 유체는 유압식 유체이거나 공압식 매체이다. 가압된 유체로 작동되는 마스터 실린더는 전기 모터에 의해 움직이고 상기 전기 모터(12)는 전자 장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전자기로 작동되는 구동 요소 이외에, 유체로 작동되는 구동 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이 요소의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기 액터를 적용할 수 있다.
마찰 클러치에서, 클러치 디스크상에서 마찰 라이닝의 제어된 압착이 플라이철(3d)과 프레셔 플레이트(3b)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전달될 토크를 선택한다. 분리포크와 같은 분리장치(20)를 적절하게 배열하면, 프레셔 플레이트 및 마찰 라이닝에 적용되는 힘을 제어할 수 있게 선택할 수 있고, 프레셔 플레이트는 두 단부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선택된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움직일 수 있다. 한쪽 단부 위치는, 클러치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 해당하고 다른 단부 위치는 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 해당한다. 순간적으로 적용되는 엔진 토크 이하로 전달 가능한 토크를 선택하도록 두 단부 사이에서 프레셔 플레이트(3b)의 위치를 선택하고 배열할 수 있다. 클러치는 대응하는 위치에서 분리 장치(20)의 계획된 조정에 따라 전술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순간적으로 적용된 엔진 토크 이상의 전달가능한 클러치 토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조건하에서, 실제로 엔진토크를 전달하여 토크의 불규칙성을 감쇠시키고 토크가 파워트레인에 의해 전달된다.
토크전달시스템을 제어 및 조정하기 위해서 센서를 이용하는데 센서는 일정순간의 전체 장치의 상관 매개변수를 감지하여 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 정보는 신호나 측정치로 제공되고 제어 유니트에 의해 처리된다. 제어유니트와 다른 전자 유니트 사이에, 예를 들면 엔진 전자 장치나 ASR 또는 ABS와 같은 다른 전자장치 및 제어 유니트 사이에 신호 전달 연결부가 배치된다. 센서는 차륜 RPM, 엔진 RPM과 같은 회전 속도, 하중레버의 위치, 스로틀 밸브의 위치, 변속기의 순간기어, 변속기를 변속하려는 의도 및 자동차 작동과 관련된 다른 매개변수를 감지한다.
도 1 에서, 제어유니트는 스로틀 밸브 센서(15), 엔진 RPM 센서(16) 및 회전계용 발전기(17)의 측정치 또는 정보를 받아들인다. 컴퓨터 유니트와 같은 제어유니트의 제어유니트(13a)는 장치의 입력값을 처리해서 제어 신호를 액터(13b)에 전달한다.
변속기는 기어박스로 구성되고 변속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변속레버에 의해 다른 기어로 변속될 수 있다. 또, 수동 기어 변속장치의 변속레버(18)와 같은, 작동레버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9b)와 공동 작용하는데 이 센서는 특정 기어 및/ 변속기의 순간 기어로 변속하려는 의도를 감지해 이 신호를 제어 유니트로 전달한다. 센서(19a)는 변속기에 연결되고 실제 기어 및/ 변속 의도를 감지한다. 센서는 변속 레버에 적용되는 힘을 감지하는 센서이기 때문에 두 센서(19a, 19b)에 의해 변속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유니트는 시간에 따라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기초로 변속하려는 의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를 운동 감지 센서나 위치 감지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 유니트는 어떤 시간대에서, 모든 센서와 신호 전달되고 실제 작동점에 따라 제어 유니트가 제어명령을 적어도 하나의 액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센서에서 발생한 신호 및 장치 입력값을 평가한다. 액터의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 요소(12)는 클러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로부터 센서의 신호/ 장치 입력값 또는 측정값에 따라 토크 선택 신호를 수용한다.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형태인 제어 프로그램은 입력 신호를 평가하기 위해서 제어 유니트에서 실행되고 특성 곡선을 기초로 출력신호를 계산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니트(13)는 토크 결정 유니트, 기어위치 결정 유니트, 미끄럼 결정 유니트 및 작동 상태 결정 유니트의 기능을 가지거나 상기 결정 유니트들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 전달 연결된다. 이 결정 유니트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될 수 있으므로, 입력 센서 신호의 보조로, 자동차의 실제 조작 상태와 토크전달시스템의 영역에서 우세한 미끄럼운동뿐만 아니라 변속기(4)의 순간 기어, 자동차(1)의 구동 유니트(2)의 토크를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선택된 기어는 센서(19a, 19b)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기초하여 기어 위치 결정 유니트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의 속도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센서들은 중심 변속 샤프트 또는 막대와 같은, 변속기의 내부에 내장된 변속 레버, 기어 선택 및 변속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 하중 레버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서, 가속 페달과 같은 하중 레버(30)에 하중 레버 센서(31)를 구성할 수 있다. 센서(32)는 아이들링 센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들링 센서(32)는, 하중 레버와 같은 가속 페달이 작동될 때 켜지고 가속 페달이 작동하지 않을 때 꺼지므로, 상기 디지탈 정보에 의하여 가속 페달과 같은 하중 레버의 작동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하중 레버 센서(31)는 하중 레버의 작동량을 감지한다.
하중 레버와 같은 가속 페달(30) 및 상기 가속 페달에 결합된 센서 이외에, 도 1 은 브레이크 페달과 같은 주차 브레이크, 수동 조작되는 브레이킹 레버 및 주차 브레이크의 손 또는 발로 조작되는 부분을 작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작동 요소(40)를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41)는 브레이크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작동 요소(40)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센서(41)는 브레이크 작동 요소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스위치와 같은 디지털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있는지 나타낼 수 있는 브레이크 라이트와 같은 신호장치와 상기 센서가 신호전달되고 연결된다. 이것은 주차 브레이크 및 자동차 브레이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센서로서 센서(41)를 디자인할 수도 있다; 이 아날로그 센서, 즉 전위차계는 브레이크 작동 요소의 운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 아날로그 센서는 신호 발생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전달될 수 있다.
도 2 는 구동 유니트(100), 토크전달시스템(102), 변속기(103), 차동장치(104), 피동 액슬(109) 및 차륜(106)을 포함한 자동차의 파워 트레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토크전달시스템(102)은 플라이휠(102a)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플라이휠은 주행개시 기어를 지지한다. 토크전달시스템은, 프레셔 플레이트(102d), 클러치 커버(102e), 다이어프램 스프링(102f) 및 마찰 라이닝을 가지는 클러치 디스크(102c)로 구성된다. 클러치 디스크(102c)는 클러치 디스크(102d)와 플라이휠(102a) 사이에 댐퍼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스프링(102f)과 같은 에너지 저장 요소는, 클러치 디스크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프레셔 플레이트를 편향시키고, 가압 유체에 의해 작동되고 토크전달시스템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중심분리 요소와 같은, 분리 베어링(109)을 포함한다. 분리 베어링(110)은 중심 분리요소와 다이어프램 스프링(102f)의 설형부 사이에 설치된다.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분리 베어링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응력을 받고 클러치를 분리한다. 또, 클러치는 푸시형 클러치이거나 풀타입 클러치로 구성될 수 있다.
액터(108)는 자동 기어 시프팅 변속기의 액터이고 이 액터는 토크전달시스템을 위한 작동 유니트로 이루어진다. 시프팅 로울러, 시프팅 로드 및 변속기의 중심 변속축과 같은 변속기의 시프팅 요소를 액터(108)는 작동하고, 이 작동에 의해 기어는 일정한 순서에 따라 또는 불규칙적으로 시프팅되거나 분리된다. 클러치 작동 요소(109)는 연결부(111)에 의해 작동된다. 제어 유니트(107)는 신호 전달 연결부(112)에 의해 액터와 연결되고, 제어 유니트는 또한 신호 전달 연결부(113~115)와 연결된다. 콘덕터(114)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콘덕터(113)는 제어 유니트에서 발생한 제어 신호를 처리하고, 연결부(115)는 데이터 버스에 의해 다른 전자 유닛을 연결시킨다.
자동차를 움직이거나 크리핑 운동과 같은, 저속 횡요 운동 및 정지 상태에서 자동차의 주행을 개시하기 위해서, 즉 계획된 자동차의 가속을 위해서 운전자는 하중 레버(38)와 같은 가속 페달만 작동시키므로, 액터를 통한 클러치의 자동 작동은 자동차의 주행을 개시하는 동안 토크전달시스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토크를 조절한다. 하중 레버의 작동에 따라, 하중 레버 센서(31)는 가속 주행을 개시하려는 운전자의 의도를 감지하고 자동차의 가속 주행개시는 제어 유니트에 의해 조절된다. 가속 페달 및 가속 페달과 연결된 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는 자동차의 주행개시조작을 조절하기 위해서 입력값으로 이용된다.
주행을 개시하는 동안 전달될 수 있는 클러치 토크 Mksoll과 같은 토크는 설정된 함수, 즉 엔진 RPM이나 엔진 토크를 비롯한 다른 매개변수에 따른 특성 곡선을 기초로 결정된다.
정지상태나 크리핑 운동 상태와 저속 운행상태에서 주행을 개시하는 동안 가속 페달은 설정치 a로 작동되고, 엔진 제어 유니트(40)는 엔진 토크를 선택한다. 자동 클러치 작동 장치의 제어 유니트(13)는 토크를 조절하는데 이 토크는 선택된 엔진 토크와 클러치 토크 사이에서 평형 상태를 취하도록 설정된 함수 및 특성 곡선에 따라 토크전달시스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구동 토크와 같은 피동 차륜에 전달할 수 있는 토크와 토크 전달 장치의 불연속 전달가능한 토크뿐만 아니라 엔진 토크, 주행개시 RPM에 의해 하중 레버의 위치에 따라 평형 상태가 이루어진다. 주행개시 RPM의 함수로서 주행개시토크의 함수 관계는 특성 주행개시 곡선으로 설명된다. 하중 레버 위치 a는 엔진 스로틀 밸브의 위치에 비례한다.
하중레버와 같은, 가속 페달(122) 및 이 페달과 연결된 센서(123)이외에, 도 2 는 브레이크 페달, 브레이크 및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기 위한 손이나 발로 조작되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요소 또는 수동 조작 브레이크 레버, 브레이크 페달과 같은, 브레이크 작동 요소(120)를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21)는 작동 요소(120)에 배치되어 작동 상태를 감시한다. 예를 들어, 센서(121)는 스위치와 같은 디지털 센서로 구성되고, 이 센서는 작동 요소(12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센서는, 브레이크를 밟았음을 나타내는 브레이크 램프와 같은, 신호 발생 장치와 신호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121)는 전위차계와 같은 아날로그 센서로 구성되도록 디자인될 수도 있고 이 센서는 작동 요소의 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또한 신호 생성 장치와 신호 전달 연결된다.
도 3 은, 계산된 크리핑 토크 MKRIECH 201가 시간 t의 함수로 나타낸 도면이다. 시간 t0 에서, 크리핑 토크 205는 시간 t2까지 상승하지만 t1과 다른 기울기를 가진다. 계산된 크리핑 토크 201은 시간 t2 이후에 일정하다. t3에서, 가속 페달에 의해 자동차의 주행을 개시하려는 운전자의 의도가 입력되고, 하중 레버와 같은 가속 페달의 작동은 시간 함수로서 주행개시토크 202를 결정한다; 이 토크는 도 3a 에 나타나 있다. 주행개시토크 MANFAHR 의 곡선 202는 시간에 따라 아주 급하게 상승하는 기울기를 가진다. 주행개시토크 202는 t4에서 크리핑 토크 201을 초과한다.
예를 들어, t0에서 크리핑 토크의 결정은 브레이크의 작동을 종료함으로써 이루어지고, t3에서 주행개시토크의 결정은 가속 페달을 작동시킴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t0에서 t4까지 전달가능한 클러치 토크 Mksoll은 크리핑 토크 201 및 t4 이후에는 주행개시토크 202에 따라 적용된다. 이것은, 일정 순간, 예를 들면 t2에서 시작하여, 자동차의 주행개시가 걸리고 크리핑 운동을 시작할 때 전술한 단계동안 초기에는 클러치 토크가 계속 증가되고, 그 후에는 크리핑 토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서 크리핑 토크의 적용이 자동차의 저속 운행을 일으키도록 보장한다. 가속 페달이 t3에서 작동된다면, t3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주행개시토크 202가 t4의 크리핑 토크를 초과하기 시작할때까지 가속 페달을 작동시켜도 초기 선택된 클러치 토크는 크리핑 토크와 조화를 이룬다. 크리핑 토크(201)와 주행개시토크(202)가 서로 교차되는 교차점에서 선택된 클러치 토크는, 크리핑 과정으로부터 주행개시과정으로 이동한다. 실선은 선택된 클러치 토크의 곡선을 나타내고 파선은 선택되지 않은 클러치 토크, 즉 실제 클러치 토크의 형성에 해당하지 않는 곡선을 나타낸다.
도 3b 는 시간 t의 함수로써 주행개시토크 204 및 크리핑 토크 203를 나타낸다. t0에서 시작하여, 크리핑 토크는 두 위상으로 증가되고 이에 따라서 클러치 토크가 선택된다. t0과 t1 사이에서, 선택된 크리핑 토크의 상승 기울기는 t1과 t2 사이에서 보다 급하다. t2에서 t3까지, 크리핑 토크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t3에서, 운전자에 의해 가속페달이 작동되므로 크리핑 운행은 방해받고 주행이 개시된다. 선택된 클러치 토크는, 크리핑 토크로 나타낸 곡선(203)에서 주행개시토크로 나타낸 곡선(204)까지 증가한다. 따라서, t3에서 주행을 개시하면, 크리핑 토크 203은 클러치 토크를 선택하고 결정하기 위해 더 이상 이용되지 않는다.
도 3c 는 도 3a 와 3b 에 나타낸 조작과 다른 수정예를 나타내는데 주행개시토크 206과 크리핑 토크 205는 시간 t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t1 ~t2 뿐만 아니라 t0 ~t1 동안 크리핑 토크 205는 상승하고, t0에서 t1동안 크리핑 토크의 상승은 t1에서 t2동안의 상승보다 현저하다. 최대 크리핑 토크 MKmax는 t2에 도달하여 크리핑 토크는 이 값에서 유지된다. t3에서 가속 페달 및 스로틀 밸브를 작동시켜서 t3에서, 제어 유니트는 주행개시 함수 206을 결정한다. 함수 206은 t3에서 증가한다. 이 주행개시 함수는 t4에서 임계치를 초과하고 t4에서 선택된 클러치 토크는 크리핑 토크 205에서 주행개시토크 206으로 이동한다. t4 이전에, 클러치 토크는 크리핑 토크 205에 의해 결정되지만, t4 이후에 클러치 토크는 가속페달의 작동 및 임계치에 도달한 이후에 주행개시토크 206에 의해 결정된다.
도 3d 에서, 토크는 시간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곡선 207은 크리핑 토크를 나타내고 곡선 208은 제어 유니트에 의해 설정된 주행개시토크를 나타낸다. t0에서 브레이크를 밟는 것을 멈추고 t0에서 t2동안 크리핑 토크 207은 최대값 MKmax로 증가한다. t2와 t3 사이에서 크리핑 토크는 최대값으로 유지되고, 운전자는 가속 페달을 t3에서 작동시킨다. t3 이후에, 주행개시토크 208이 생성되어 기존 크리핑 토크에 가산된다.
도 4 는, 모두 시간 t의 함수로서, 각을 나타내는 신호 DKLW 와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 BREMSE 뿐만 아니라 엔진 토크 MMotor와 클러치 토크 Mksoll을 나타낸 도면이다. t0과 t1 사이에서 브레이크는 작동되고 가속 페달은 가압되지 않으므로 엔진 토크 MMotor는 최소값을 가지고 클러치 토크 MKsoll은 영(0)이다. 이 조건하에서,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정지해 있다.
t0에서 t1까지 시간 I 동안, 자동차는 "정지" 상태를 취하고 가속페달은 가압되지 않는다. t1에서 브레이크의 작동은 종료되어서 브레이크 신호는 "브레이크 작동" 에서 "브레이크 비작동" 상태로 바뀐다. 이때 가속 페달은 작동되지 않으므로, 즉 스로틀 밸브 각도는 최소값을 가지기 때문에, 제어 유니트는 크리핑 조작을 개시하도록 클러치 토크 MKsoll을 선택하고, 즉 클러치 토크 MKsoll은 t1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t2에서 최대값으로 도달한다. 엔진에서 토크가 평형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엔진 전자장치의 아이들링 조작 제어기는 엔진 RPM과 엔진 토크 MMotor를 제어하고 클러치 토크 MKsoll이 증가할 때 상기 엔진 토크 MMotor가 평형을 이루도록 t1과 t2동안 증가한다. 도 4 에 나타난 것처럼 엔진 토크의 변동은 활용할 수 있는 신호를 디지털화한 결과인데 경계값내에서 변동한다. 그러나, t1과 t2 사이에서 증가는 아이들링 조절기의 작용하에서 엔진 토크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된다. t1에서 t3까지 시간 II는, 스로틀 밸브 각도가 최소값, 즉 영(0)을 가지며 자동차가 "크리핑" 상태에 있는 동안의 시간이다. 브레이크는 t3에서 작동되어서 브레이크 신호는 "브레이크 비작동" 에서 "브레이크 작동" 값으로 상승하므로 t3에서 t4동안 클러치 토크가 영(0)로 떨어지도록 t3에서 제어 유니트는 클러치 토크를 선택한다. 아이들링 RPM 조절에 기인한 시간 지연 때문에, 엔진 토크는 초기에 일정한 시간지연을 가지며 감소되어 t4 이후에, 클러치 토크 MKsoll은 영(0)으로 유지된다.
설정된 함수를 근거로 알 수 있는 계산된 크리핑 토크 MKRIECH에 따라 클러치 토크 MKsoll이 증가한다. 도 4 에 나타낸 실시예는, 두 단계, 즉 더 빠른 속도로 변속하는 제 1 단계 및 보다 느린 속도로 변속하는 제 2 단계동안 선택된 클러치 토크 MKsoll의 크리핑 토크의 상승을 나타낸다. 클러치 토크가 설정된 값에 도달했을때 고속에서 저속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된 값은 연결점의 조절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4 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작동에 따른 선형 감소 때문에 선택된 클러치 토크 각각에 대한 크리핑 토프의 감소가 일어난다. 이것은 또한 여러 위상에서 다단계 감소를 수반하고 여러 위상은 다른 변이 속도에서 토크의 감소를 포함한다.
도 4 에 나타낸 방법으로, 도 5 는 시간의 함수로서 브레이크 신호 BREMSE와 스로틀 밸브 각도를 나타내는 DKLW 및 엔진 토크의 MMotor 또는 클러치 토크의 토크값 MKsoll을 나타낸다. 브레이크는 t0에서 t1 동안 작동된다. 즉 브레이크 신호는 "브레이크 인" 상태로 설정된다. 동시에, 가속 페달은 작동되지 않고 스로틀 밸브각도 DKLW는 최소값 즉 영(0)을 가진다. 이것은 클러치 토크 MKsoll을 영(0)으로 감소시킨다; 이것은 제어 유니트에 의해 실행되고 엔진의 아이들링 RPM 조절 장치는 엔진 토크를 최소값으로 설정한다. 브레이크의 작동은 "크리핑" 상태로 도입되는 시간 t1에서 종료된다. 하중 레버는 작동되지 않는다. 즉 DKLW는 영(0)이고 제어 유니트는 크리핑 토크의 함수에 따라 클러치 토크를 적용하여서 자동차는 최소 속도로 횡요 운동을 하기 시작한다. 클러치 토크의 선택에 기인하여, 도입된 최소클러치 토크로 부하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엔진 전자 장치의 아이들링 RPM 조절기는 엔진 토크를 증가시킨다. t2에서 크리핑 토크, 즉 클러치 토크는 최대값으로 증가하여서 t3까지 유지된다. t3 에서 운전자는 스로틀 밸브 각도 DKLW를 0에서 벗어나 증가시키도록 가속 페달을 밟는다. 따라서, 엔진 전자 장치의 제어 유니트는 엔진 토크와 엔진 RPM을 상승시켜서 아이들링 영역에서는 어떤 조작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원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니트는, 엔진 RPM 또는 엔진 토크에 따라 주행개시토크를 계산하여서, 클러치 토크 MKsoll은 계산된 주행개시 특성 곡선에 따라 선택된다. 도 5 는 엔진 RPM에 따라 t3 이후에 주행개시토크 210을 나타낸다. 클러치 토크 MKsoll은 t3에서 주행개시토크에 따라 설정된다. 즉 t3와 t3 동안 크리핑 토크에 따라 선택된다. 가속 페달과 같은 스로틀 밸브의 작동은 t4에서 종료되어서, t4를 경과한 이후에, 엔진 RPM과 엔진 토크는 엔진 제어 장치에 의해 감소되고 클러치의 토크를 감소시키는 주행개시작동의 종료 함수가 계산된다. t5 이후에 브레이크는 작동되고 이것은 선택된 클러치 토크를 영(0)로 감소시키는 제동기능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클러치 토크를 선택하기 위한 주행개시 조작 종료 함수는 시간의 함수, 예를 들어 엔진 RPM의 함수 또는 엔진 토크의 함수로서 선택된다. 시간 함수로서, 선택된 클러치 토크를 결정하기 위해 브레이킹 함수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이것은 감소된 클러치 토크를 더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크는 t5 이후에 작동 상태로 유지되어서 스로틀 밸브 각도는 최소값을 가진다; 또 선택된 엔진 토크 및 클러치 토크도 최소값을 가진다. 이 영역에서, 엔진 토크는 초기에 음(-)의 값을 가지는데 이것은, 자동차가 주행할 때 드래그 토크에 의해 야기된다.
도 6 은 시간의 함수로서 나타낸 스로틀 밸브 각도 DKLW, 브레이크 신호 및 클러치 토크와 엔진 토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t0에서 t1 동안 브레이크는 작동되기 때문에 선택된 클러치 토크는 영(0)이다. 브레이크의 작동은 t1에서 멈추고 t1에서 제어 유니트가 자동차의 크리핑 운동을 개시하도록 한다. 이것은, 크리핑 토크가 시간의 함수로서 계산되고 클러치 토크 MKsoll은 상기 크리핑 토크에 따라 신택되도록 실행된다. 운전자는 엔진 제어장치를 스로틀 밸브 각도 DKLW로 설정하는 t3에서 가속 페달을 작동시킨다. 이것은, t3를 경과한 후에 주행개시토크 MANFAHR을 결정하는 엔진 토크 및 엔진 RPM의 상승을 수반한다. 주행개시토크가 크리핑 토크를 초과했다고 나타낼 때 주행개시토크에 따라 원하는 클러치 토크가 계산된다. t3에서 크리핑 토크와 주행개시토크가 비교된다. 하중 레버나 가속 페달의 작동은 주행개시작동의 종료 함수에 따라, 예를 들면 엔진 RPM 또는 엔진 토크의 함수로서 요구되는 클러치 토크의 대응하는 감소를 일으키는 t4에서 종료된다. 주행개시작동의 종료 함수에 따라 클러치 토크를 감소시킬 때, 클러치 토크는 t5에서 영(0)으로 감소하고, 요구되는 클러치 토크가 영(0) 근사값에서 유지되는 동안 t5에서 t6까지 대기 기간 Δt가 수반된다. t6을 경과한 이후에, 즉 Δt를 경과한 이후에 자동차는 저속 운행을 하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저속운행 토크는 t6에서 결정되고 요구되는 클러치 토크는 크리핑 토크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크리핑 토크는 t7에서 최대값에 도달한다. 스로틀 밸브는 t8에서 다시 작동되고, 즉 가속 페달을 밟고 이 작동은 t9에서 종료된다. 브레이크는 t10에서 작동된다. t3과 t8에 나타낸 것처럼, 스로틀 밸브 각도가 증가했을 때 이것은, 엔진 제어 장치의 작동하에 엔진 토크를 상승시켜서 엔진 RPM 또는 엔진 토크의 함수로서 주행개시토크를 증가시킨다. 주행개시토크가 크리핑 토크와 교차할 때, 요구되는 클러치 토크는 주행개시토크에 따라 결정되지만 주행개시토크가 크리핑 토크 이하로 감소할 때 요구되는 클러치 토크는 크리핑 토크에 따라 결정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이 작동과정은 301에서 시작하고 시간의 함수로서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설정된 경우에 따라 실행된다. 블록(302)은 구동 상태의 결정, 즉 작동상태가 "주행개시를 건 상태" 인지 "크리핑 운동을 하는 상태" 인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주행을 개시하거나 크리핑 운동을 하도록 운전자의 브레이크 작동여부에 따라 클러치를 제어한다.
블록 302에서 대답이 부정적이라면, 303에 나타낸 상이한 상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 상태는 자동차의 구동 또는 기어 시프팅 조작을 포함한다. 전술한 상태의 범주에 따라, 제어 유니트는 대응하는 작동 과정 사이에서 전환된다.
블록 302에서 대답이 긍정적이라면, 이것은 "주행개시, 크리핑 운동" 상태를 나타낸다. 블록(304)은, 주차 브레이크 등의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파악하는 질문을 한다. 상기 브레이크중 하나가 작동되고 있고 블록(306)으로 이끄는 경로(305)에 의해 나타낸 것처럼, 클러치와 같은 토크 전달시스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토크는, 상기 시스템이 분리되도록 제어 유니트에 의해 조절된다. 그후 이 작동과정은 블록(307)에서 종료된다. 클러치를 분리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블록 304에서 대답이 부정적이라면, 즉 어떤 브레이크도 작동되지 않는다면, 가속페달과 같은 하중레버의 작동 여부가 질문된다(블록 308). 하중레버가 작동된다면, 다음 단계에서는 주행개시토크 MANFAHR를 계산하고(블록 309), 요구되는 클러치 토크가 설정되고 주행개시토크와 적합하게 조절된다(블록 310). 주행개시 과정은 블록 307에서 종료된다.
블록(308)의 질문, 즉 하중 레버의 작동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이 부정적이라면, 즉 가속 페달이 작동되지 않는다면, 블록(311)에서는 t = tN-1 인 상태가 주행개시 상태인지 여부를 알기 위해서 질문된다. 이 질문의 목적은, 이전의 단계동안 이 상태가 주행개시 상태이고 비주행개시상태, 즉 크리핑 상태가 수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에서 가속 페달은 작동되지 않는다. 즉, 이전의 시간동안 상태는 주행개시 상태이고 바로 다음 상태는 크리핑 상태인데 이것은 이전 상태에서 실제 우세한 상태로 전이하는 동안 하중 레버가 작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중 레버가 작동한다면, 클러치는 블록 312에 나타낸 단계에서 분리되고, 블록 313은, 설정된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대기 시간을 나타낸다. 블록 311에 나타낸 질문에 대한 답이 부정적이라면, 이것은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경로 314를 따라 블록 315로 진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블록 313에 나타낸 대기 시간이 종료되면, 블록 315로 다시 진행된다. 대기 시간이 아직 진행되고 있다면 경로 316을 따라 307에서 종료한다.
블록 315는 크리핑 토크 MKRIECH의 결정을 나타낸다. 블록 317로 나타낸 다음단계에서, 블록 307에서 종료되기 전에 조절된 클러치 토크와 같은, 클러치 토크가 크리핑 토크 MKRIECH와 조화를 이루도록 설정된다.
블록 309에 나타낸 주행개시토크의 결정뿐만 아니라 블록 315에 나타낸 크리핑 토크의 결정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블록 312에서 클러치의 분리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7 에 따른 방법은 도 6 에 나타낸 방법에 대응하는데 t5와 t6 사이동안 대기 시간이 시작되고 자동차의 크리핑 운동이 수반되는 개시 운동전에 주행개시 조작이 끝났을 때 대기 시간은 종료된다.
도 7a 는, 바로 이전의 기간과 비교해, 우세한 상태가 주행개시 상태인지 여부를 블록 311에서 질문하는 도 7 을 좀더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주행개시 상태이라면, 클러치는 블록 312에서 분리되고 크리핑 토크는 블록 315에서 계산된다. 따라서, 도 7a 에 나타낸 과정은 대기 기간에 관한 질문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토크 전달 시스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토크는, 블록 315로 나타낸 크리핑 토크의 결정에 의해 감소될 것이다. 도 7 에서 블록 313으로 나타낸 단계는 도 7a 에서 생략된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낸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수정한 도면이다. 이 과정은 350에서 시작되고 블록 351에서는 브레이크 램프가 오프상태인지 질문한다. 블록 315에서 질문, 즉 브레이크 라이트가 오프 상태인지에 대한 질문은, 수동 브레이크나 주차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의 작동 여부를 나타낸다. 블록 351에서 질문에 대한 답이 부정적이면, 클러치는 경로 352를 따라 블록 353에서 분리되고 이 과정은 블록 354에서 종료된다.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는다면, 아이들링 스위치(LL)가 켜져 있는지 확인된다(블록 355). 가속 페달이 작동되지 않을 때 아이들링 스위치가 작동된다. 따라서, 꺼져있는 아이들링 스위치는, 아이들링 조작이 실제로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므로 운전자는 차량을 가속하려는 의도를 나타내지 않는다. 블록 355에 나타낸 질문에 대한 답이 부정적이라면, 엔진 RPM F(NMOT)의 함수로서, 주행개시토크의 결정을 나타내는 블록 357로 이끄는 경로 356을 따라 주행개시 조작이 개시된다. 블록 358은 주행개시토크와 조절가능한 클러치 토크를 조화시키는 단계를 나타내고, 블록 359에서는 실제로 계산된 크리핑 토크가 주행개시토크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을 한다. 주행개시토크를 초과하지 않았다면, 상기 과정은 경로 360을 따라 종료된다. 그러나 크리핑 토크가 주행개시토크를 초과하면, 크리핑 토크는 클러치 토크로서 선택되고(블록 361) 그후에 상기 과정은 블록 354에서 종료된다.
도 8 의 블록 355에서 아이들링 스위치가 이미 켜져있다면, 즉 엔진이 아이들링 상태이라면, 블록 362에서는 실제 상태가 주행개시 상태를 중단했는지 확인한다. 즉 아이들링 기간과 같은 이전 단계에서 주행개시 상태가 존재하지만 블록 362에서 질문할때는 어떤 주행개시 상태도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 상태가 주행을 개시하는 상태라면, 경로 363을 따라 진행된다. 그러나, 블록 362에서 질문에 대한 답이 긍정적이라면, 클러치는 블록 364에 나타낸 것처럼 완전히 분리된다. 블록 365로 나타낸 다음 단계에서는, 크리핑 토크가 최대값 이하인지 확인하는 질문을 한다. 크리핑 토크가 최대값 이상이라면, 경로 366을 따라 블록 354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블록 355로 나타낸 질문에 대한 답이 긍정적이라면, 즉 크리핑 토크가 최대값 이하라면, 크리핑토크가 결합토크 이하인지 묻는 질문을 한다(블록 367). 크리핑 토크가 결합 토크보다 크다면, 크리핑 토크는 블록 368에서 나타낸 것처럼 점차 감소한다. 블록 367에서 질문에 대한 답이 긍정적이라면, 증가된 크리핑 토크가 클러치 토크로 설정되기 전에(블록 370) 크리핑 토크는 빠르게 증가된다(블록 369). 상기 루틴은 블록 354에서 종료된다.
도 9 에 나타낸 방법에 따르면, 이 루틴은 400에서 시작되고 블록 401은, 실제 상태가 주행을 개시하는 상태인지 크리핑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을 한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이 긍정적이라면, 블록 402로 나타낸 것처럼 진행된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부정적이라면, 경로 403을 따라 다른 과정으로 진행된다. 블록 402에서, 브레이크의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을 한다. 브레이크가 작동한다면 상기 과정은 경로 404를 따른다. 즉 클러치는 블록 405에서 분리되고 이 과정은 406에서 종료된다. 상기 과정은 시간의 함수로서,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400에서 시작된다.
블록 402에서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다고 나타나면, 가속 페달과 같은 하중 레버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이 뒤따른다(블록 407). 하중 레버가 작동하면, 전술한 루틴은 경로 408을 따라 주행개시토크 MANFAHR를 설정하는 블록 409에 도달한다. 블록 410은 주행개시토크와 클러치 토크 MKsoll를 조화시키는 단계를 나타내고 이 루틴은 406에서 종료된다.
블록 407에서 하중 레버가 비작동 상태이라고 나타낸다면, 블록 411에서 질문되고 t = tN-1 인 동안 주행개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주행개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방법은 경로 412를 따라 블록 413으로 진행된다. 즉 크리핑 토크 MKRIECH를 결정하고 상기 과정이 블록 406에서 종료되기 전에 요구되는 클러치 토크가 크리핑 토크와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이전 상태(블록 411)가 주행개시 상태였다면, 주행개시 상태에서 크리핑 상태로 전환되므로 주행개시토크 MANFAHR과 크리핑 토크 MKRIECH를 확인하기 위해서 블록 414에 나타낸 단계를 거친다. 그러나, 주행개시 상태가 아니라면, 전술한 방법은 블록 413으로 진행된다. 즉 요구되는 클러치 토크는 크리핑 토크와 조화를 이루게 된다. 상기 루틴은 블록 406에서 종료된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실시예를 수정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블록 414에서는 주행개시토크 및 크리핑 토크를 결정한다. 블록 450에서는 주행개시토크 MANFAHR이 설정치 WERT보다 큰지 또는 같은지 질문한다. 주행개시토크가 설정치보다 크다면, 블록 416에서는, 루틴이 블록 406에서 종료되기 전에 주행개시토크와 클러치 토크가 동일하게 된다. 블록 450의 질문에 대한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블록 413으로 나타낸 단계는 크리핑 토크에 따라 클러치 토크를 세팅한다. 즉 상기 절차가 블록 406에서 종료되기 전에 클러치 토크는 크리핑 토크와 동일하게 된다. 연결선 405a는 도 9 의 연결선 405a에 해당하고, 연결선 412a는 도 9 의 연결선 412에 해당한다. 블록 413a는 크리핑 토크를 결정하기 위해서 도 10 에 삽입되었다.
도 11 은 도 9 의 실시예를 수정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블록 414에서는 주행개시토크 MANFAHR과 크리핑 토크 MKRIECH를 결정한다. 블록 460은, 루틴이 406에서 종료되기 전에 클러치 토크를 주행개시토크와 크리핑 토크의 합과 일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연결선 412a는 도 9 의 연결선 412에 해당하고 크리핑 토크의 결정을 나타내는 블록 413a는, 크리핑 토크와 클러치 토크의 일치를 나타내는 블록 413 앞에 배치된다. 연결선 405a는 도 9 의 연결선 405a에 해당한다.
도 9 에서, 블록 415에서 질문은 클러치 토크의 선택을 포함한다. 주행개시토크가 크리핑 토크를 초과한다면, 클러치 토크는 주행개시토크 또는 크리핑 토크에 따라 조절된다.
도 10 에서, 주행개시토크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클러치 토크는 주행개시토크에 따라 조절된다; 그렇지 않으면, 클러치 토크는 크리핑 토크에 따라 조절된다. 상기 절차와는 달리, 도 11 은 클러치 토크가 주행개시토크 및 크리핑 토크의 합계로서 선택되는 수정예를 나타낸다.
도 12 는 블록 302 또는 403에 나타낸 것처럼, "주행개시, 크리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다. 이 방법은 블록 500에서 시작하고, 블록 501은 점화 시스템의 작동 여부를 묻는 질문을 한다. 만약 점화시스템이 작동하면, 블록 502에서는 엔진 RPM NMOT가 한계값 이상인지 결정하고, 이 한계값은 아이들링 RPM 이하이다. 엔진 RPM NMOT가 한계값 이상이라면, 블록 503에서는 변속기의 기어들이 연결된 상태인지를 질문한다. 기어들이 연결된 상태이면 예를 들어 변속기가 주행개시 기어나 다른 기어로 연결되면, 블록 503에 나타낸 단계는 "주행개시 또는 크리핑" 을 나타내는 상태를 추측한다. 블록 501, 502 또는 503에서 질문에 대한 답이 부정적이라면, 블록 505는 "주행개시 또는 크리핑" 상태를 나타내지 않고 이 루틴은 506에서 종료된다.
"주행개시, 크리핑" 상태를 인지하기 위해서 또다른 상태들은 블록 503에 나타낸 단계를 따를 것이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자동차에서 인지한 방향으로 상기 상태들이 진행된다.
도 13a 의 블록 선도는 크리핑 토크를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들을 나타낸다. 블록 550은 이 절차의 시작을 나타내고, 블록 551은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매개변수와 측정값, 예를 들면 특성 곡선과 함수 f1, f2 및 시간 tn을 제공한다. 블록 552에서는 이미 확인된 크리핑 토크 MKRIECH가 기선택된 최대값보다 작은지 결정하는 질문을 한다. 크리핑 토크가 기선택된 최대값보다 작다면, tn에서 크리핑 토크는 MKRIECH = f(tn)으로서 알 수 있다(블록 553 참조). 다음 블록 554는, 클러치 토크와 크리핑 토크가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단계이다. 클러치 토크를 결정하기 전에 전술한 도면과 함께 기술된 성질에 대한 다른 질문을 하면 상기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블록 555는 이 절차의 종료를 나타낸다. 블록 553에 나타낸 크리핑 토크의 계산은 수학 함수에 따라 실행되거나 특성 곡선으로부터 정보 및 값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함수 f, f1 또는 f2는 시간 t의 함수로서 크리핑 토크를 파악할 수 있는 1차 함수, 2차 함수, 지수함수 및 그 밖의 다른 함수이다.
도 13b 는 크리핑 토크를 인지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보여준다. 이 루틴은 570에서 시작되고, 블록 571은 시스템 입력값과 함수 및 특성곡선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매개변수 및 측정값을 부여하는 것을 나타낸다. 블록 572에서는 tn-1 에서 계산된 크리핑 토크가 기선택된 최대값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질문을 한다. 크리핑 토크가 최대값보다 작다면, 블록 573에서는 크리핑 토크의 값이 기선택된 값보다 작은지 결정하는 질문을 한다. 크리핑 토크의 값이 기선택된 값보다 작다면, 클러치 토크가 크리핑 토크와 동일해지기 전에(블록 575) 함수f1(t)에 따라 크리핑 토크를 알 수 있고(블록 574), 이 루틴은 576에서 종료된다. 블록 573에 나타낸 질문에 대한 답이 부정적이라면, 클러치 토크가 설정되기 전에 (블록 575) 함수 f2(t)에 따라 크리핑 토크가 계산되고(블록 577) 이 절차는 576에서 종료된다. 블록 572에 나타낸 질문에 대한 답이 부정적이라면, 클러치 토크는 최대값과 동일해지고(블록 578), 이 과정은 블록 576에서 종료된다.
도 13b 에 따른 방법은 크리핑 운동을 하는 동안 절차를 나타내는데 상기 방법에 따라 크리핑 토크는 함수 f1과 f2로 두 단계에서 증가하고, 각각의 함수는 상이하지만 빠르게 크리핑 토크를 증가시킨다. 두 함수는 1차 함수, 2차 함수 또는 그 밖의 다른 함수이지만 함수 f1이 함수 f2보다 크리핑 토크를 보다 빠르게 증가시키는 것이 허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블록 573에 따라 기선택된 값은 토크 전달 시스템의 연결점, 즉 토크 전달이 시작되는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기선택할 수 있는 연결점은 상기 연결점에서보다 많이 전달할 수 있는 토크를 나타내는 점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14a 는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크리핑 운동을 종료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블록 600은 상기 과정의 시작을 나타내고 블록 601은, 시간, 엔진 RPM, 스로틀 밸트 각도 a, 함수 f1, f2, f3 및 특성 곡선과 같은 필요한 매개변수 또는 측정값이나 시스템 입력값들을 입력하는 것을 나타낸다. 블록 602에서는 크리핑 토크가 영(0)보다 큰지 질문한다. 만약 크리핑 토크가 영이하라면, 상기 절차는 블록 603에서 종료된다. tn-1에서 크리핑 토크가 영이상이라면, 블록 604로 나타낸 단계는 함수 f3(t)에 따라 시간 tn에서 크리핑 토크를 결정하고 f3은 크리핑 토크의 증가를 결정하는 크리핑 종료 함수이다. 블록 605는 블록 604로 나타낸 단계에서 설정된 크리핑 토크와 클러치 토크를 일치시키는 단계를 나타낸다. 상기 크리핑 종료 함수는 1차 함수이거나 그 밖의 다른 함수인데 이에 따라 크리핑 운동의 종료 및 브레이크의 작동에 응답하여 크리핑 토크는 영(0)으로 감소된다.
도 14b 는 도 14a 에 따른 절차를 수정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블록 610은 상기 절차의 시작을 나타내고 블록 611은 크리핑 토크의 계산에 필요한 특성값, 함수 및 매개변수 또는 측정값을 제공한다. 블록 612에서는 tn-1에서 유효한 크리핑 토크가 영(0) 이상인지 아닌지 질문한다. 만약 크리핑 토크가 영이상이라면, 블록 613에서는 크리핑 토크가 미리 선택된 값이하인지 결정한다. 크리핑 토크가 미리 선택된 값이하라면, 크리핑 토크는 함수 F5(t)에 따라 614에서 결정되고 블록 615에서는 상기 과정이 616에서 종료되기 전에 인지된 크리핑 토크에 따라 클러치 토크를 설정한다. 블록 613에서 질문에 대한 답이 부정적이라면, 크리핑 토크에 따라 필요한 클러치 토크를 블록 615에서 설정하기 전에 함수 F6(t)에 따라 크리핑 토크가 617에서 결정된다. 블록 612에서 질문에 대한 답이 부정적이라면, 상기 절차는 612에서 종료되므로 크리핑 토크는 영(0)으로 감소된다. 크리핑 토크의 감소를 나타내는 함수 F5(t)와 F6(t)와 같은 함수는 크리핑토크를 다단계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시간에 따라 상이한 의존성을 가진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다른 질문을 한다면, 예를 들어 일정한 상태가 충족되었을 때 크리핑토크와 독립적인 값에 따라 또는 처리된 값에 따라 클러치 토크가 결정되었는지 질문한다면, 블록 554, 575, 605와 615에 나타낸 것처럼, 크리핑 토크와 일치하는 클러치 토크가 반드시 결정될 필요가 없다.
도 15 는 시작한 절차를 종료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다. 이 절차는 700에서 시작되고 블록 701에서는 스로틀 밸브 각도 및 엔진 RPM이나 엔진 토크와 같은, 시간의 함수 뿐만 아니라 측정된 값을 입력한다. 블록 702에서는 주행개시토크 MANFAHR이 영이상인지 질문한다. 만일 주행개시토크가 영이하라면, 상기 절차는 703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주행개시토크가 영보다 크면 주행개시토크는 함수 F4(nMOT)에 따라 블록 704에서 결정된다. 함수 F4는 엔진 RPM이나 시간 또는 다른 매개변수에 의존하는 주행개시작동의 종료함수이다. 주행개시작동의 종료함수에 따라 주행개시토크가 결정된다면, 이 주행개시토크에 따라 필요한 클러치 토크가 설정될 것이다(블록 705). 전술한 절차들에 따라, 클러치를 분리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필요한 클러치 토크가 선택된다면 블록 705의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의 블록 306 을 참조하여, 도 15 에 나타낸 상기 절차는, 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주행개시작동이 종료되면 주행을 개시하는 동안 또는 주행을 개시한 후에 클러치를 분리할 것이다. 주행개시작동의 종료함수는 두 단계 이상 실행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능한 한 빨리 주행개시토크를 감소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또 빠른 초기 감소 이후에 제 2 값으로 감소한다면 유리하다.
도 16 은 주행개시토크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수정예를 나타낸다. 블록 750은 이 절차의 시작을 나타내고 블록 751은 측정값 및 매개변수의 입력을 나타낸다. 블록 752는 수학식 1 에 따라 주행개시토크 MANFAHR를 결정한다.
K1, K22 : 조작 상태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설정치.
f : 설정된 함수.
예를 들어, 함수 f는 시간함수이거나 스로틀 밸브 및 엔진 토크의 위치 함수이다. 이 절차는 753에서 종료된다.
도 17 은, 주행개시토크 MANFAHR 이 엔진 RPM, nMotor의 함수로 나타난 도면이다. 엔진 RPM에 따른 주행개시토크의 관계는 주행개시 특성곡선으로 나타나고, 클러치 토크는 엔진 RPM의 함수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저속 회전시에 주행개시토크는 점차 증가한다. 예를 들어 2,000회전/min부터 6,000회전/min까지 고속 회전에 대하여, 주행개시토크는 엔진 RPM과 함께 선형으로 증가한다.
도 18 은 엔진 RPM과 변속기 RPM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함수로서 계수 V를 나타내는데, 상기 계수 V는 주행을 개시하는 동안 충격없이 기어변속되고 주행을 개시하는 동안 필요한 클러치 토크가 계수 V로 감소되도록 적용된다. 만약 슬립이 현저하게 나타난다면 V=1이고, 슬립은 엔진 RPM과 변속기 RPM 사이의 비율이다. 동기점에서, V는 대략 0.7이고 편안한 주행개시를 허용하는 1이외의 값이다.
도 19 는 시간 t의 함수로서 변속기 RPM nGet와 엔진 RPM nMot를 나타낸다. 도 20 은 시간의 함수로서 계수 K1, K3과 K11 및 K22 뿐만 아니라 필요한 클러치 토크MKsoll을 나타낸다. 필요한 클러치 토크 MKsoll은 수학식 2에 따라 구할 수 있다.
K1, K11, K3과 K22는 요구되는 상태 및 작동점에 따라 선택된다. 수학식 2는 엔진 토크 MMotor와 토크 MVerbraucher을 포함하므로 이 계산은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토크만 고려한다. 또, 엔진 토크는 2회 나타나는데 그것은 토크가 엔진 RPM과 변속기 RPM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의미하고, 계수 KM과 KG는, 다른 값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영(0)이 될 수 있는 중량 계수이다.
크리핑 작동시, K1는 영(0)으로 설정되고 K3은 다른 일정한 값으로 설정되어서 크리핑 토크와 같은 클러치 토크를 계산하는데만 2회 적용되고, 주행개시 운전은 슬립의 함수, 즉 엔진 RPM과 변속기 RPM 사이의 차이만 나타낸다.
크리핑 운전을 개시하도록, 자동차가 크리핑 운행하고, 변속기와 엔진 RPM이 이에 적합하게 설정되어 있는 동안 진행 상태에 따라 계수 K22는 결정된다. 편안한 주행을 개시하기 위해, 크리핑 토크는 여러 단계에서 적용된다. 크리핑 토크가 약 15N/m에 도달하기 전에, K22는 직선상으로 증가한다. 크리핑 토크가 15N/m에 도달하고 나면, 가변 슬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절 식이 15N/m의 클러치 토크를 나타내도록 K22가 설정된다. 슬립의 감소에 의해, 도 20 에 나타낸 매개변수 K22는 8초를 경과한 후에 최대 허용 상한값에 도달한다. 매개변수 K22를 상기 상한값으로 한정할 때, 클러치 토크는 슬립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크리핑 토크 MKsoll과 같은, 클러치 토크가 일정한 값을 가지도록 K22가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21 은 시간의 함수로서 크리핑 토크 MKRIECH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고, 크리핑 운전은 t0에서 시작된다. 크리핑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곡선 800, 801, 802는 퍼텐셜 변수로서 이용될 수 있고 영(0)에서 MKRIECH로 크리핑 토크를 증가시키는 것은 시간 tauf내에서 일어난다. 브레이크를 걸어서, tab동안 즉 t2에서 t3동안 크리핑 토크가 감소되기 전에 t1과 t2 사이에서 크리핑 토크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곡선 803, 804와 805는 크리핑 토크의 감소를 나타낸다. 크리핑 토크의 제 1 증가는 제 1 변화율을 통하여 크리핑 토크의 처럼, 시간의 함수로서 크리핑 토크 최대값의 분율 l/x*MKriech로 증가하고 그후 제 2 증가는 시간의 함수로서 크리핑 토크의 분율로부터 크리핑 토크의 최대값 MKriech로 시간의 함수로서 다른 변화율을 통하여 증가한다. 시간의 함수로서 두 변화율은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데, 제 1 변화율의 기울기가 제 2 변화율의 기울기보다 급한 것이 유리하다.
크리핑 토크, 즉 차량의 크리핑을 일으키기 위해서 클러치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토크는, 엔진이 가동하고 있는 동안 제어되고, 가속 페달 및 하중 레버는 작동하지 않고 브레이크는 걸려있지 않으므로 클러치는 작은 토크를 전달할 수 있고 이 토크는 차량을 운동 상태로 천천히 설정하기에 충분하다. 크리핑 토크의 증감은, 시간의 함수로서 램프 함수에 의해 실행되고 크리핑 토크의 증가를 종료할때까지 또는 필요한 토크로 감소시키는 동안 하나이상의 램프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리핑 토크의 제 1 증가는 보다 빠른 램프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그후 필요한 토크로 증가시키는 것은 보다 느린 램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보다 빠른 램프는 30Nm/s로, 또는 10Nm/s~50Nm/s의 영역에서 가동될 수 있다. 보다 느린 램프는 10Nm/s로, 또는 2Nm/s~20Nm/s의 영역에서 가동될 수 있다. 크리핑 토크는 시간의 함수로서 두 램프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시간의 함수로서, 제 1 램프는 최대 크리핑 토크의 실제값 MKriech에서 크리핑 토크의 분율 1/y 인 1/y*MKriech로 크리핑 토크를 감소시키고 그후 제 2 램프는, 시간의 함수로서 1/y*MKriech를 영(0)으로 감소시킨다. 상기 두 램프는 다른 기울기를 가지지만 제 2 램프의 기울기가 제 1 램프의 기울기보다 가파른 것이 유리하다.
크리핑 토크를 증가시키는 동안, 제 1 램프는 제 2 램프와 동일한 속도로 또는 제 2 램프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작동한다. 크리핑 토크를 감소시키는 동안, 상기 방법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제 1 램프의 최대값은 5Nm - 30Nm의 영역에 있는 것이 선호되고 제 2 램프의 최대값은 10Nm - 100Nm의 영역, 선호적으로는 20Nm - 50Nm 의 영역에 있는 것이 유리하다.
브레이크를 걸어주었을 때, 크리핑 토크는 시간의 함수로서 크리핑 종료 함수에 의해 20Nm/s로 감소한다.
크리핑 운행하는 동안 가속페달을 작동시킬 때, 크리핑 운행은 종료되고 주행개시 조작이 뒤따르고 가속 페달의 작동량에 따라 주행개시토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주행개시토크가 크리핑 토크와 일치하지 않거나 초과하는 한 클러치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토크는 크리핑 토크에 의해 계속 제어될 수 있다. 이때 크리핑 함수로부터 주행개시 함수로 전이는 클러치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토크의 조절을 위해 이루어진다.
가속 페달을 밟지 않았을 때, 크리핑 토크가 다른 단계에서 증가되기 전에 클러치는 일정한 시간동안, 약 1초동안 분리되어 있다.
크리핑 토크의 증가는 모든 변속기의 기어에서 일어날 수 있지만 제 1, 2 전진 기어와 후진 기어와 같은 구동 기어에서 일어나는 것이 선호된다.
크리핑 토크가 속도에 따라 제어되어서 차량의 속도가 크리핑 운행을 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선호된다. 변속기가 알려진 기어에 걸려 있을 때 차륜 RPM 센서 또는 변속기 RPM에 의해 전달된 차량속도 및 차륜 RPM 값은, 일정한 속도로 유지되도록 크리핑 토크를 조절하기 위해서 제어 및 조절 작동을 위한 매개변수로 이용된다.
변속기는 기계적 수동 변속기이거나 작동 유니트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 변속기이다. 또, 변속기는 단계식 자동 변속기 또는 무단 코운형 변속기와 같은 자동 변속기이다.
주행개시 RPM과 같은 차량의 주행개시를 걸기 위한 RPM은 스로틀 밸브 각도, 엔진 토크나 엔진 RPM의 함수 및 시간의 함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아래 수학식 3 은 전체적인 조절에 유효하다:
선택된 클러치 토크 Msoll, 계수 K_11, K_1, K_22와 K_3, Verschl과 엔진 토크 Mmot 및 소비 토크 Mver로, 엔진 RPMnmot, 변속기 RPM nget 및 스로틀 밸브 각도 fpwlnkel에 의존하도록 조정된다.
수학식 4 는 RPM 조절에 대한 식이다.
여기에서, 각 부분은 토크 부분 1과 2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4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일반식을 도출할 수 있다.
값 Verschl과 요소 K_22의 적용가능한 마찰토크 특성장(M(nmot, fpwinkel) 응답 M(ngnet, fp_winkel)을 기초로 하여 토크의 개별 부분들이 결정된다. 주행을 개시하기 위해 요소 K_22는 낮은 수치(브레이크 작용)로 부터 일로 변환된다. 변속기의 진동없이 정상적인 주행개시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변속기 RPM이 나타나는 부분들이 생략된다. 순수하게 엔진 RPM에서 비롯된 요구된 토크가 남는다.
추가로 함수 "Abfahrt abbrechen" (주행개시작동의 중지)가 실현된다. 그것은 엔진 RPM에서 비롯된 요구된 토크(다음에서 원심력원리로서 설계된)와 슬립(slip) RPM에서 비롯된 토크(컨버터 원리) 사이의 전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에 대하여 토크부분 1은 스텝(step)식으로 특성장연산에 기초한 최대치로 부터 영으로 하강복귀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토크부분 1의 최대 상승/하강이 구배벽(gradient barrier), 최대 구배의 제한에 의해 결정된다.
RPM 조정의 함수기능이 최적화되어야 한다. 이것은 타이-인(tie-in) 상태에서 글로발 조정으로의 가능성을 확실히 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최적화된 RPM 조정은 다음과 같다.
토크부분 1 의 연산을 위해, 마찰토크 특성장 M(nmot, fp_winklel)에 16 * 16 지지 위치설정을 채용한다. 상기 특성장은 요구된 토크를 엔진 RPM에 할당하고 가속페달의 각도에 할당한다. 값 Verschl(마모)가 상기에서 처럼 특성곡선을 기초로 산출되고, 상기 값의 입력은 속도비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가 이루어질 때, 요소 K_22는 지정값을 가지게 된다.
지정값에 관한 한, 토크부분 2는 조건주행상태에 있는 토크부분과 일치하지만, 값(K3)은 변화한다. RPM 종속 토크의 계산을 위해, 부분 특성곡선들은 엔진 및 변속기 RPM을 위해 이용된다.
상향 및 하향으로 두 개의 토크부분들이 교대작용이 구배(gradient)에 의해 제한된다.
RPM조정의 초기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요소 K_22 및 K_3는 그 자체만으로, 토크부분 1 또는 토크부분 2가 이전의 전체요구된 토크와 일치하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초기화에 의해 원리(원심력 또는 컨버터)가 적용되는 결정과는 무관하게 요구된 토크가 아무런 점프(jump)를 나타내지 않게 되는 배경이 된다.
다음 단계에서 요소 K_3 및 K_22는 해당 증가분/감소분을 가지고 상기 요소들의 값으로 유도된다.
보상(compensation)에 관한 결정:
보상에 관한 함수 결정은 일정하게 각각의 스캐닝(scaning) 단계를 위해 산출된다. 이것은 원심력 원리에 집착할 것인가 또는 컨버터원리로 변환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엔진토크가 도입되는 상기 이루어진 결정 재보상(recompensation)과는 대조적으로, 장치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금 쓰로틀밸브신호로 결정이 수행된다.
보상에 관한 결정에 관해, RPM조정에 이용되는 상기 제어원리를 선택하기 위한 다음 로직(logic)을 기본으로 결정이 이루어진다.
엔진토크 및 슬립에 관한 신호들이 동일하다면, 상기 결정은 원심력 원리를 선호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정상적인 주행개시작동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정지된 주행개시의 경우에서처럼 신호들이 다르다면, 컨버터원리에 의존된다.
기본적으로, 신호들이 동일하다면, 해당 클러치 토크는 동기화 점(synchronisation point)에 위치해야 하는데, 오직 이 위치에서 (엔진과 변속기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 있다) 델(dwell)의 고정위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진토크가 양의 값을 가지면 엔진은 가속과정을 거친다. 클러치 토크를 동기화점에서 이용할 수 없다면 영에 해당하는 슬립 RPM에 의해 고정점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주행개시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이것은 필수적이다. 상기 추론에 근거하여 엔진토크로 부터 쓰로틀밸브신호로 전이되지만 엔진 RPM이 고려된다. 결정 매트릭스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
정지된 경우에, 보상 결정에 의해 토크부분은 항상 영으로 설정되는 반면에 나머지 부분은 목표값과 일치된다. 상기 결정에 의해 작동상태에 의존하여 클러치용 해당 제어원리를 선택가능하다.
토크부분 초기화
컨버터원리로 부터 원심력원리로 또는 그 반대로의 전이가 이루어지는 경우, 항상 하나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단계는 토크부분 1 및 토크부분 2 의 실제 이용에 관한 결정을 포함한다. 토크부분의 실제값들과 목표값들을 비교하는 기능에 기초하여, 초기화를 수행하는 것에 관한 결정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컨버터원리로 부터 원심력원리로 변환이 이루어지고, 이때 토크 부분 1의 목표값이 토크부분 1 및 토크부분 2의 실제 합을 초과하면, 토크부분 1 및 토크부분 2의 합으로 토크부분 1이 미리 점유되고, 토크부분 2는 영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토크부분 1의 증분작용에 의해 토크부분 1의 목표값이 도달된다.
초기화를 위한 구체적인 결정 매트릭스의 모양은 다음과 같이 (다음 약어를 적용) 설정된다: M1, M2: 토크부분 1 및 토크부분 2, M1_ZW, M2_ZW: 목표값 토크부분 1 및 토크부분 2
상기 초기화에 의해, 하나의 원리로 부터 다른 원리로 변환이 토크 점프(torque jump)없이 이루어지고, 미리선택된 구배내에서 변화발생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장된다.
토크제어로 전이.
동기화가 이루어질 때 RPM조정으로 부터 토크조정으로 전이가 발생하고 kme값이 이보다 크다. 동기화 점에서 RPM조정시 토크부분 2의 목표값이 영이기 때문에, 토크부분 2의 토크안정성이 RPM 조정으로 부터 토크조정으로의 전이로 보장된다.
토크부분 1을 고려하면 주행개시시 고정점이 클러치 토크가 엔진토크와 동일하게 되는 위치가 된다. 에러와 관련된 부정확이 토크조정시 소비장치(consumer)값의 해당 초기화에 의해 고려된다.
다음에:
Mverbraucher = Mmotormoment - Msollalt/kme
따라서 이것은 토크안정성을 보장해준다.
함수기능이 구체적으로 다시 한 번 다음예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a) 예비 충진 : 브레이크 구성/비구성 크리프(creep):
이 경우, 보상결정은 원심력 원리를 요구한다. 따라서, 토크부분 2는 영으로 유지된다. 토크부분 1 은 마모 함수(wearing-away function)와 마찰함수 토크특성장에 의존하여 다음과 같이 산출되고 있다:
브레이크에 의존하여 K_22의 변화에 의존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할 때 작은 값/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때 1.0) 가변 클러치 토크를 얻을 수 있다. 도 22를 참고:
(b) "정상적인 주행개시:
정상적인 주행개시를 위해, 예를 들어 20Nm이상인 클러치 토크가 동기화점에서 요구된다. 원심력 원리에 의해 상기 주행상태가 완성될 수 있다. 예비충전(prefilling)에서와 같이 토크부분 2는 영이고, 토크부분 1은 (a)와 유사한 방법으로 토크부분 1이 형성된다. 도 23을 참고:
(c) 주행개시정지:
제 1 단계에서, (b)에서와 같이 요구된 토크가 형성된다. 운전자가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면, 원심력원리로 부터 컨버터원리로의 전이가 보상결정이 수행된다. 상기 목적에 대하여, 토크부분들의 초기화작업에 의해, 토크부분 1은 갑자기 영으로 귀환된다; 토크부분 2는 토크부분 1의 이전 값으로 설정된다. 다음 단계에서, 램프(ramp)(대략 200Nm/s의 구배 값)에 의해 요구된 값이 접근된다. 도 24를 참고.
RPM 조정의 최적화에 기인하여, 개선된 함수기능과 함께, 교란(disturbance)을 덜 받는 작동모드를 보장하고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엔진 RPM과 쓰로틀밸브각도를 기초로 요구된 토크를 발생하는 마찰토크특성장의 경우에, 요구된 토크가 쓰로틀밸브에 정상적으로 강하게 의존한다. 주행개시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의존특성은 가속페달의 후퇴에 응답하여 요구된 토크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승은 작동자에 의해 기대되지 않고 작동자에게 불편하다.
상기 이유로 인해, 특성장이 수정된 가속페달 신호, 즉 주행을 개시한 때 형성되는 최대 가속페달각도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수용하도록 원리가 수정된다.
이용되는 RPM조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출원에 의존하여 쓰로틀 밸브각도가 작을 때, 주행개시회전속도가 낮고, 만약 쓰로틀 밸브각도가 증가되면, 더 높은 회전속도에서만 토크가 증가된다. 따라서, 마찰토크특성장은 가속페달의 서로 다른 각도들에 대한 서로 다른 특성곡선을 포함한다.
특성곡선들의 상기 그룹을 이용하여, 동일한 엔진 RPM들에서 요구된 토크는 쓰로틀 밸브각도에 매우 의존한다. 엔진은 엔진 RPM을 좀더 자유롭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작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동은 편안하다. 그러나 가속페달을 밟는 정도가 감소되거나 가속페달이 구속해제될 때 상기 거동이 불편해진다. 상기 순간에, 운전자는 가속페달의 구속해제가 이루어지는 동안 차량의 추가 가속을 예상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속페달에서 받을 때에 토크가 증가되기 때문에, 추가의 가속이 발생된다. 추가로, 안락함을 위해 받아들일 수 없는 불편한 충격이 발생된다.
차량이 주행개시될 때 운전자가 가속페달에서 발을 뗄 때 토크 서지(surge of torque)는 감소되거나 방지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수정된 쓰로틀 밸브신호가 마찰토크 특성장을 위해 이용되고 있다. 주행개시가 이루어지는 동안, 발생된 상기 최대 가속페달각도가 평가되고 있도록 상기 교정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주행개시가 이루어지는 동안 요구된 토크는 지금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주행개시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운전자가 예를 들어 약 90%로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면, 마찰토크특성장으로 부터 마찰 토크특성장은 우선 비교적 완만한 상승특성곡선을 선택한다. 만약 가속페달이 최대 눌림위치의 약 20%까지 귀환되면, 해당곡선에 대한 점프(jump)가 특성장내에서 발생된다. 즉, 90% 특성곡선이 부착된다. 결과적으로 동기 회전속도가 더 클지라도, 상기 거동은 운전자에게 불편하지 않을 수 있고, 전혀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
동기화가 이루어지거나 가속페달 각도가 영으로 귀환될 때, 최대 값 설정이 지워진다.
마찰토크특성장으로 부터 요구된 토크를 산출하는 동안 최대값 요구조건을 도입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개시가 진행되는 동안 가속페달의 후퇴시 안락감이 상당히 증가된다.
최대값 준비없이 주행개시, 도 25 및 도 25a 를 참고:
부호:
nm: 엔진 RPM, nh: 변속기 RPM, tP_4: Msoll,
tp_2: 최대가속페달, tp_1: 가속페달
가속페달의 후퇴에 의해 요구되는 토크(흑색에 해당하는 청색)가 눈에 띄게 증가된다(2초로 부터 시간 범위)
최대값 준비로 주행개시, 도 26 및 도 26a 를 참고:
부호:
nm: 엔진 RPM, nh: 변속기 RPM, tp_4: Msoll,
tp_2: 최대 가속페달, tp_1: 가속페달
요구압력의 상승이 독특한 최대값 준비에 의해 방지된다.
출원의 청구항들은 더 넓은 특허보호를 얻는데 아무런 편견없는 구성을 제안한다. 출원인은 지금까지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서만 공개된 청구항의 추가특징들에 권리를 부여한다.
종속항들에서 발견되어야 하는 선행항들에 대한 참고사항들이 각각의 종속항들의 특징을 구성하여 주청구항의 사항들로 구성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종속항들의 특징들을 위한 독립적이고 객관적 보호를 위해 상기 참고사항들이 제공된다.
추가로, 상기 종속항들에 나타난 특징들이 선행 종속항들과 독립적인 특징들로 독립적인 발명을 구성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대로, 본 발명내에서 다수의 변형예 및 수정예를 구성가능하고, 예를 들어 구성요소 또는 방법단계와 관련한 개별적인 특징들로 구성된 조합 또는 수정 및 특징들의 조합에 대해 발명특성을 가진 상기 수정예들, 구성요소들과 조합 및/또는 재질들이 일반적인 설명, 실시예에 관한 설명 및 청구항들내에 설명되며 상기 변형 수정예들, 구성요소들과 조합 및/또는 재질들이 제조, 시험 또는 처리과정에 관련될 정도로 또한 특징을 이루는 구조 또는 특징을 이루는 단계 또는 단계들의 연속과정을 형성한다.
Claims (38)
- 엔진(2),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3) 및 변속기(4)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13b)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13b)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센서(14,15,16,17)들 및 전자유니트(13a)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함수에 따라 확인되고 제어되며,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함수에 따라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엔진(2),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3) 및 변속기(4)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13b)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13b)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센서(14,15,16,17)들 및 전자유니트(13a)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하중레버가 작동되며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결정된 클러치토크가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된 클러치토크와 동일할 때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상기 크리핑함수로부터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제어되어 크리핑운동이 주행개시운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엔진(2),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3) 및 변속기(4)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13b)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13b)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센서(14,15,16,17)들 및 전자유니트(13a)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되고 주행개시함수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에 도달할 때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상기 크리핑함수로부터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제어되어 크리핑운동이 주행개시운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엔진(2),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3) 및 변속기(4)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13b)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13b)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센서(14,15,16,17)들 및 전자유니트(13a)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될 때 상기 크리핑함수로부터 주행개시함수로 직접 전환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제어되어 크리핑운동이 주행개시운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엔진(2),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3) 및 변속기(4)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13b)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13b)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센서(14,15,16,17)들 및 전자유니트(13a)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되며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상기 크리핑함수로부터 주행개시함수로 직접 전환될 때 크리핑운동이 주행개시운동으로 직접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엔진(2),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3) 및 변속기(4)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13b)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13b)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센서(14,15,16,17)들 및 전자유니트(13a)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하중레버(30)가 작동되며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상기 크리핑함수로부터 주행개시함수로 전환될 때 크리핑운동이 주행개시운동으로 직접 전환되고, 주행개시함수가 크리핑함수의 실제값에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 장치.
- 엔진(2),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3) 및 변속기(4)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13b)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13b)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센서(14,15,16,17)들 및 전자유니트(13a)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주행개시운동시 하중레버(30)의 작동이 정지되면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운동의 정지함수에 의해 클러치토크가 감소되고 주행개시운동의 정지함수에 따라 결정되는 클러치토크가 크리핑함수에 의해 확인되는 클러치토크이하일 때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로 전환되어 주행개시운동으로부터 크리핑운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엔진(2),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3) 및 변속기(4)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13b)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13b)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센서(14,15,16,17)들 및 전자유니트(13a)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주행개시운동시 하중레버(30)의 작동이 정지되면 크리핑함수에 따라 클러치토크가 결정되고 제어되어 주행개시운동이 크리핑운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엔진(2),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3) 및 변속기(4)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13b)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13b)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센서(14,15,16,17)들 및 전자유니트(13a)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주행개시운동시 하중레버(30)의 작동이 정지되면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운동의 정지함수에 의해 클러치토크가 영으로 감소되고 주행개시운동이 정지되며 다음에 크리핑함수에 의해 크리핑운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엔진(2), 클러치를 포함한 토크전달시스템(3) 및 변속기(4)를 가진 차량의 파워트레인내에서 작동유니트(13b)에 의해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제어하고, 상기 토크전달시스템(3)을 연결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유니트(13b)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센서(14,15,16,17)들 및 전자유니트(13a)와 신호연결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고, 차량의 크리핑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크리핑함수에 따라 확인되고,변속기(4)의 기어들이 연결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고 하중레버가 작동될 때, 상기 제어유니트(13)가 주행개시운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한 개이상의 주행개시함수에 따라 확인되며 차량이 주행하기 시작하고, 주행개시운동시 하중레버(30)의 작동이 정지되면 미리 선택가능한 주행개시운동의 정지함수에 따라 클러치토크가 영으로 감소되어 주행개시운동이 정지되고 다음에 미리 선택가능한 시간동안 클러치토크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크리핑함수에 의해 크리핑운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 항내지 제 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선택되고 토크전달 시스템(3)에 의해 전달가능한 클러치토크가 제어유니트(13)에 의해 제어가능한 작동유니트(13b)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 항내지 제 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크리핑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클러치 토크로서 설정될 수 있는 크리핑 토크는 시간에 관한 함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구간 동안 크리핑 토크는 시간에 관한 하나의 함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시간구간 동안 크리핑 토크는 시간에 관한 적어도 두 개의 함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시간구간동안 크리핑토크가 시간의 함수에 의해 결정되고, 크리핑토크는 제 1 시간구간동안 제 1 함수에 의해 영으로부터 미리 선택가능한 값까지 증가하고 다음에 제 2 시간구간동안 상기 값으로부 미리 선택가능한 또 다른 값까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제 2 시간구간 동안 크리핑 토크는 미리 선택가능한 값으로 부터 최대값까지 증가되고, 다음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제 3 시간구간 동안 크리핑토크가 최대값으로 부터 더 낮은 값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크리핑 토크의 증감에 관한 결정이 시간에 관한 선형, 정사각형, 지수 또는 다른 형태의 함수에 의존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크리핑토크가 다른 시간구간보다 제 1 시간구간에서 더 빠르게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미리 선택가능한 값이 클러치의 작동점이며, 상기 작동점이 선택되는 동안 토크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크리핑작동이 정지되면 시간에 관한 한 개이상의 함수에 의하여 크리핑토크는 미리 선택가능한 값까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크리핑 작동이 정지되면, 시간에 관한 한 개이상의 함수에 의하여 크리핑토크는 미리 선택가능한 값까지 감소하고 한 개이상의 제 2시간구간동안 미리 선택가능한 값까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 크리핑토크가 미리 선택가능한 값까지 감소되고, 상기 미리 선택가능한 값은 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주행개시함수가 한 개이상의 작동매개변수에 관한 함수이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주행개시함수가 엔진 RPM 에 관한 함수이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주행개시함수가 하중레버의 위치 또는 엔진 RPM 의 관한 함수이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는 한 개이상의 작동매개변수에 관한 함수이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가 엔진 RPM 에 관한 함수이며 주행개시작동의 정지시 클러치 토크를 감소시키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가 시간에 관한 함수이며 주행개시작동의 정지시 클러치 토크를 감소시키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8 항내지 제 10 항중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주행개시작동이 정지할 때, 미리선택가능한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에 의해 상기 클러치토크가 영까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크리핑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크리핑 함수는 한 개이상의 작동매개변수에 관한 함수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크리핑 함수는 시간에 관한 함수에 따라 선택되고 상기 함수가 미리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클러치 토크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고 미리 선택가능한 시간구간은 1밀리초내지 10초의 시간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0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선택가능한 시간구간동안 클러치토크가 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선택가능한 시간구간동안 클러치 토크가 영이외의 미리 선택가능한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한 항에 있어서, 크리핑 함수, 주행개시함수, 크리핑작동의 정지함수 및 주행개시작동의 정지함수를 포함한 함수들중 한 개이상의 함수가 시간, 엔진 RPM, 변속기입력RPM, 하중레버(30)의 위치, 쓰로틀 밸브각도, 엔진RPM과 변속기입력 RPM사이의 차이에 의한 슬립, 차량속도를 포함한 한 개이상의 작동변수에 관한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미리 선택가능한 값은 크리핑 토크의 배수 또는 약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
- 제 1 항내지 제 10항중 한 항을 따르는 토크전달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의해 토크전달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616055 | 1996-04-23 | ||
DE19616055.3 | 1996-04-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8319A KR19990028319A (ko) | 1999-04-15 |
KR100561268B1 true KR100561268B1 (ko) | 2006-10-31 |
Family
ID=779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709634A KR100561268B1 (ko) | 1996-04-23 | 1997-04-22 | 토크전달시스템의제어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5989153A (ko) |
JP (1) | JPH11508350A (ko) |
KR (1) | KR100561268B1 (ko) |
CN (1) | CN1095529C (ko) |
BR (1) | BR9702191A (ko) |
DE (2) | DE19780343D2 (ko) |
FR (2) | FR2747624B1 (ko) |
GB (1) | GB2318849B (ko) |
WO (1) | WO199704028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628787C2 (de) * | 1996-07-17 | 2002-11-14 | Luk Gs Verwaltungs Kg | Automatisch steuerbare Kupplung |
NO981839L (no) * | 1997-04-30 | 1998-11-02 | Luk Getriebe Systeme Gmbh | Anordning for styring av et dreiemomentoverf°ringssystem |
GB9803436D0 (en) * | 1998-02-19 | 1998-04-15 | Ap Kongsberg Ltd | Clutch control systems |
DE19852993B4 (de) * | 1998-11-17 | 2012-03-22 | Volkswagen Ag | Verfahren zum Halten eines Kraftfahrzeuges unter einer äußeren Kraft beim Anfahren eines Kraftfahrzeugs |
JP3574997B2 (ja) * | 1999-06-11 | 2004-10-0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ブレーキ力制御装置 |
JP3546401B2 (ja) * | 1999-08-06 | 2004-07-2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
DE19956305A1 (de) | 1999-11-20 | 2001-05-23 | Volkswagen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utomatisierten Kupplung |
DE10008167A1 (de) | 2000-02-23 | 2001-08-30 |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 Reibkupplung |
DE10016582A1 (de) | 2000-04-04 | 2001-10-11 |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 Rangiermodus bei Fahrzeugen mit automatisierter Kupplung |
GB2361980A (en) * | 2000-05-05 | 2001-11-07 | Eaton Corp | Dry clutch control system using idle drive torque so as to provide vehicle crawl speed |
JP2002192991A (ja) * | 2000-12-14 | 2002-07-10 | Luk Lamellen &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ドライブトレインに設けられた自動クラッチ及び/又は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備えた自動車 |
DE10195839D2 (de) * | 2001-01-09 | 2003-12-11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Getriebe |
JP2002249037A (ja) * | 2001-02-21 | 2002-09-03 | Aisin Seiki Co Ltd | 自動変速装置付車両における制動制御装置 |
MXPA02003899A (es) * | 2001-04-19 | 2005-02-17 | Transmission Technologies Corp | Metodo de aparato para accionar un embrague en una transmision mecanica automatizada. |
DE10308518B4 (de) * | 2003-02-26 | 2018-07-12 | Volkswagen Ag |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s übertragbaren Drehmomentes einer Kupplung eines automatischen Getriebes eines Kraftfahrzeuges |
JP4723233B2 (ja) * | 2004-12-10 | 2011-07-13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鞍乗型車両の変速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鞍乗型車両 |
CN100410557C (zh) * | 2005-03-09 | 2008-08-13 | 加特可株式会社 | 离合器控制装置和方法 |
JP5150497B2 (ja) * | 2005-09-07 | 2013-02-20 | ボルボ ラストバグナー アーベー | アイドリング運転モードにおける大型車両用の自動または半自動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駆動する方法 |
EP1770313B1 (de) * | 2005-10-01 | 2012-05-16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Antriebseinrichtung |
DE102005058776B4 (de) * | 2005-12-09 | 2018-03-01 | Zf Friedrichshafen Ag | Vorrichtung zum Steuern und/oder Regeln eines hydraulisch betätigbaren Schaltelementes einer Getriebeeinrichtung und Getriebeeinrichtung |
EP2129942B1 (en) * | 2007-02-27 | 2016-05-18 | Volvo Lastvagnar AB | A method for operating an automatic or semi-automatic transmission of a heavy vehicle when in idle-driving mode. |
EP2063148B1 (de) | 2007-11-26 | 2014-04-30 | Getrag Ford Transmissions GmbH | Verfahren zum Steuern einer Kupplung |
KR100992635B1 (ko) * | 2007-12-13 | 2010-11-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차량의 운전자 요구 토크 제어 방법 |
DE102009022287A1 (de) * | 2008-06-05 | 2009-12-10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Verfahren zum Steuern eines Kriechverhaltens eines Kraftfahrzeugs |
DE102009053021A1 (de) * | 2008-12-04 | 2010-06-10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Kriechvorgang |
DE102009055832A1 (de) * | 2009-11-26 | 2011-06-01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Detroit |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Kupplungsvorrichtung und elektronisch gesteuerte Reibungskupplung |
WO2011134451A1 (de) * | 2010-04-26 | 2011-11-03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Verfahren zur adaption eines tastpunktes einer kupplung in einem triebstrang eines kraftfahrzeuges |
DE102013208859B4 (de) * | 2012-05-21 | 2017-09-14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 Verfahren zum Steuern des Leistungsvermögen eines Fahrzeugs aus einem stationären Zustand |
DE102012015872A1 (de) * | 2012-08-09 | 2014-05-15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Schaltun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r Steuerung eines Kriechmodus |
KR101393909B1 (ko) * | 2012-09-25 | 2014-05-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
US8972128B2 (en) | 2013-07-26 | 2015-03-03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Transmission with creep control intervention functionality |
US9056604B2 (en) | 2013-07-26 | 2015-06-16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Feed-forward engine idle speed control |
DE102014106922B4 (de) | 2014-05-16 | 2021-07-15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Kupplungsmomentes sowie Steuergerät |
DE102015213317A1 (de) * | 2014-08-13 | 2016-02-18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s Tastpunktes einer Hybridtrennkupplung eines Hybridfahrzeuges |
DE102015226134A1 (de) * | 2015-12-21 | 2017-06-22 | Zf Friedrichshafen Ag |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
GB2572640B (en) * | 2018-04-06 | 2020-09-30 | Jaguar Land Rover Ltd | Modifying mapping of throttle pedal input to torque demand |
CN114506329B (zh) * | 2022-02-14 | 2023-05-30 |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车辆起步控制方法及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127085A2 (en) * | 1983-05-27 | 1984-12-05 | Nissan Motor Co., Ltd. | Control device for hydraulic automatic clutch |
JPH0729569B2 (ja) * | 1983-06-29 | 1995-04-05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
JP2748470B2 (ja) * | 1988-12-20 | 1998-05-06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自動変速装置 |
DE4011850B4 (de) * | 1989-04-17 | 2006-04-27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Verfahren zum Steuern einer zwischen einer Antriebsmaschine und einem Getriebe wirksamen automatisierten Reibungskupplung |
FR2645805B1 (fr) * | 1989-04-17 | 1995-07-13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Procede de commande d'un embrayage a friction automatise agissant entre un moteur d'entrainement et une transmission, appareillag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t regulation associee d'un embrayage a friction |
DE4426260A1 (de) | 1993-08-03 | 1995-02-09 | Luk Getriebe Systeme Gmbh | Kraftfahrzeug |
GB2280721B (en) * | 1993-08-03 | 1998-03-11 | Luk Getriebe Systeme Gmbh | Motor vehicle automatic clutch control |
DE19504935A1 (de) * | 1994-02-23 | 1995-08-24 | Luk Getriebe Systeme Gmbh | Verfahren zum Steuern eines Drehmomenten-Übertragungssystems |
-
1997
- 1997-04-22 KR KR1019970709634A patent/KR1005612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4-22 DE DE19780343T patent/DE19780343D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4-22 BR BR9702191A patent/BR9702191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4-22 GB GB9726785A patent/GB2318849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4-22 WO PCT/DE1997/000805 patent/WO1997040284A1/de active IP Right Grant
- 1997-04-22 DE DE19716828A patent/DE19716828A1/de not_active Withdrawn
- 1997-04-22 JP JP9537597A patent/JPH11508350A/ja active Pending
- 1997-04-22 CN CN97190414A patent/CN109552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4-22 US US08/973,917 patent/US5989153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4-23 FR FR9705020A patent/FR2747624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
- 1998-05-19 FR FR9806293A patent/FR2761642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9780343D2 (de) | 1998-08-20 |
CN1095529C (zh) | 2002-12-04 |
WO1997040284A1 (de) | 1997-10-30 |
FR2747624A1 (fr) | 1997-10-24 |
CN1189881A (zh) | 1998-08-05 |
FR2761642A1 (fr) | 1998-10-09 |
FR2761642B1 (fr) | 2000-11-03 |
GB2318849A (en) | 1998-05-06 |
US5989153A (en) | 1999-11-23 |
DE19716828A1 (de) | 1997-11-13 |
GB2318849B (en) | 2000-07-05 |
GB9726785D0 (en) | 1998-02-18 |
BR9702191A (pt) | 1999-03-16 |
JPH11508350A (ja) | 1999-07-21 |
KR19990028319A (ko) | 1999-04-15 |
FR2747624B1 (fr) | 1999-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1268B1 (ko) | 토크전달시스템의제어장치 | |
US5941792A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crawling movements of motor vehicles | |
RU2202479C2 (ru) | Автомобиль | |
US6676561B2 (en) | Torque transf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 |
JP4068068B2 (ja) | 自動車を作動させる方法、装置、及びこれらの使用 | |
JP3433936B2 (ja) | 自動化された摩擦クラッチ制御装置 | |
US6997075B2 (en) | Motor vehicle with a gearbox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 |
JP4034089B2 (ja) | 自動変速機のクリープ制御装置及び方法 | |
US635818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orque transmitting system | |
EP1303422B1 (en) | Calculation of automated friction clutch urge torque on grades | |
US6033340A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orque transmitting system in the power train of a motor vehicle | |
KR100764319B1 (ko) | 온도에 의존하는 커플링 또는 자동차 트랜스미션의 제어장치 | |
US5941923A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transmission of torque | |
SE502807C2 (sv) | Förfarande för styrning av motormomentet vid växling | |
JPH10325423A (ja) | トルク伝達システ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 |
CZ56899A3 (cs) | Systém společného ovládání servospojky, uspořádané v hnacím řetězci vozidla, a motoru vozidla | |
JP5620169B2 (ja) | 惰行制御装置 | |
SE520230C2 (sv) | Stegväxlad växellåda för motorfordon | |
US7062986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 |
GB2328993A (en) | Clutch control unit which controls clutch torque in dependence on engine torque | |
KR20010072830A (ko) | 클러치장치 | |
US20040058778A1 (en) | Low speed manoeuvring control | |
US10125829B2 (en) | Fuel reducing clut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reduction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