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821B1 - 독성 미끼 조성물 - Google Patents

독성 미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821B1
KR100559821B1 KR1019990011725A KR19990011725A KR100559821B1 KR 100559821 B1 KR100559821 B1 KR 100559821B1 KR 1019990011725 A KR1019990011725 A KR 1019990011725A KR 19990011725 A KR19990011725 A KR 19990011725A KR 100559821 B1 KR100559821 B1 KR 10055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xic bait
weight
bait composition
carrageenan
tox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2920A (ko
Inventor
가와다히또시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 A01N25/0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insecticid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 A01N57/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containing aromatic radic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효과적인 독성 미끼 조성물은 바퀴벌레와 같은 목적하는 해충을 억제하며, 그 독성 미끼 조성물은 (1) 살충 유효량의 살충 활성 성분, (2) 카라기난, 및 (3) 글리세린을 함유한다. 상기 독성 미끼를 이용한, 목적하는 해충의 억제 방법도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독성 미끼 조성물{POISON BAIT COMPOSITIONS}
본 발명은 해충를 억제하는 독성 미끼 조성물 및 해충의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성 미끼 조성물은 바퀴벌레, 개미 등과 같은 해충을 억제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독성 미끼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상기 해충이 독성 미끼를 섭취한 후, 해충이 억제되는 식용 조성물을 함유한다. 독성 미끼 조성물은 또한 일반적으로 살충 화합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상기 미끼를 다수의 해충이 섭취할 때 전형적으로 상기 미끼와 관련된 해충 억제 활성이 더 크게 되고, 그 반대로 보다 적은 수의 해충이 상기 미끼를 섭취할 때는 해충 억제 활성이 더 적다.
WO 91-7972 는 곤충 유인제로서 카라기난을 함유하는 곤충 미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설명된 곤충 미끼는 해충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될 때 충분량의 해충을 억제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부족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바퀴벌레, 개미 등을 비롯한 다수의 해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독성 미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독성 미끼 조성물을 그 독성 미끼의 우수한 해충 억제 활성을 바탕으로 해충 억제에 사용한 후, 해충이 억제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해충이 유효량의 본 발명의 독성 미끼를 섭취함으로써, 독성 미끼 내의 살충 활성 성분이 목적하는 해충에 대한 우수한 해충 억제 활성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는 (1) 살충 활성 성분, (2) 카라기난, 및 (3) 글리세린을 함유하고, 선택적 성분으로서 지방, 지방 오일, 분말 작물, 덱스트린, 당, 시너지스트, 당 분야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타 첨가 성분, 및 그것들의 혼합물을 부가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의 살충 활성 성분, 카라기난 및 글리세린 성분은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억제하고자 하는 목적하는 해충에 대한 우수한 억제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또한 발명자가 목적하는 해충의 이로운 억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1) 살충 활성 성분, (2) 카라기난, 및 (3) 글리세린을 함유하고, 선택적으로 시너지스트(들), 분말 작물, 덱스트린, 당, 지방 및/또는 지방 오일 및 당 분야 숙련가에 의해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 (예컨대, 이하 개시된 것들), 및 그것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 중 살충 활성 성분의 살충 유효량은 독성 미끼 조성물에 사용된 특정 형태의 상기 살충 활성 성분에 의존하나, 일반적으로, 제공된 독성 미끼 조성물 중 살충 활성 성분의 양은 제공된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약 0.05 내지 10 중량 % 이다. 살충 활성 성분의 대표예에는, 피레트로이드 화합물, 오르가노포르포러스 화합물, 카바메이트 화합물, N-아릴디아졸 화합물, 히드라존 화합물, 술폰아미드 화합물, 천연 발생 살충 화합물, 붕산, 용화 억제 호르몬 유사체, 키틴 합성 억제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살충 활성 화합물의 대표예는 다음과 같다 : 5-벤질-3-푸릴메틸 크리산테메이트,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도메틸 크리산테메이트, 3-페녹시벤질 크리산테메이트, 3-페녹시벤질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메틸-4-옥소-3-(2-프로페닐)시클로펜트-2-에닐 크리산테메이트, 2-메틸-4-옥소-3-(2-프로피닐)시클로펜트-2-에닐 크리산테메이트, 2-메틸-4-옥소-3-(2-프로페닐)시클로펜트-2-에닐 2,2,3,3-테트라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1-에티닐-2-메틸-2-펜테닐 크리산테메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2,3,5,6-테트라플루오로-4-메틸벤질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α-시아노-3-페녹시벤질 크리산테메이트, α-시아노-3-페녹시벤질 2,2-디메틸-3-(1,2,2,2-테트라브로모에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α-시아노-3-페녹시벤질 2-(4-클로로페닐)-3-메틸부티레이트, α-시아노-3-페녹시벤질 2,2,3,3-테트라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α-시아노-3-페녹시벤질 3-(2,2-디클로로비닐)-2,2-디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α-시아노-3-페녹시벤질 2-(2-클로로-4-트리플루오로아닐리노)-3-메틸부티레이트, 2-(4-에톡시페닐)-2-메틸프로필 3-페녹시벤질 에테르, O,O-디메틸 O-(3-메틸-4-니트로페닐)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페니트로티온), 2,2-디클로로비닐 디메틸 포스페이트, O,O-디에틸 O-(2-이소프로필-6-메틸-4-피리미디닐) 포스포로티오에이트, (E)-O-2-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l-메틸비닐 0-메틸 에틸포스포로아미도티오에이트, O,O-디에틸 O-(3,5,6-트리클로로-2-피리딜) 포스포로티오에이트, O,O-디메틸 O-(3,5,6-트리클로로-2-피리딜) 포스포로티오에이트, S-6-클로로-2,3-디히드로-2-옥소-1,3-옥사졸로[4,5-b]피리딘-3-일메틸 O,O-디메틸 포스포로티오에이트, 5-메톡시-3-(2-메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3H)-온, 2-(1-메틸에톡시)페닐 메틸카르바메이트, 1-나프틸 메틸카르바메이트, 4-(2-브로모-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1-(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2-메틸이미다졸, 테트라히드로-5,5-디메틸-2(1H)-피리미디논[[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테닐]-2-프로페닐리덴]히드라존, N-에틸 퍼플루오로-옥탄술폰아미드, 아바멕틴, 붕산, 2-[1-메틸-2-(4-페녹시페녹시)에톡시] 피리딘, 이소프로필 11-메톡시-3,7,11-트리메틸도데카-2,4-디에노에이트, 에틸 3,7,11-트리메틸도데카-2,4-디에노에이트, 1-(4-클로로페닐)-3-(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아, 1-(3,5-디클로로-2,4-디플루오로페닐)-3-(2,6-디플루오로벤조일)우레아, 1-(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3-(2-플루오로벤조일)우레아, N-시클로프로필-1,3,5-트리아진-2,4,6-트리아민, 2-t-부틸이미노 -3-이소프로필-5-페닐퍼히드로-1,3,5-티아디아진-4-온 및 그것들의 활성 이성질체.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또한 제공된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10 중량 % 의 양으로 카라기난을 함유한다. 카라기난은 바람직하게 갈락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술페이트기를 함유한다. 그러한 카라기난은 전형적으로, 로도피시에 (Rhodophyceae) 와 같은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산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각종 형태의 카라기난 성분, 예컨대 시판용 카파(κ), 람다(λ) 및 이오타(ι) 이성질체들을 함유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κ-카라기난을 함유할 경우, 살충 유효량의 상기 독성 미끼 조성물이 보다 많은 해충이 섭취하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상기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카라기난으로서 κ-카라기난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또한 글리세린을 바람직하게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약 1 내지 10 중량 % 의 양으로 함유한다. 글리세린은 원한다면 시판용 글리세린일 수 있고, 그렇게 선택할 경우, 더 정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원한다면,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지방, 지방 오일, 분말 작물, 덱스트린, 당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을 임의 함유할 수 있고, 제공된 독성 미끼 조성물 중의 상기 성분들의 총 양은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약 40 내지 85 중량 % 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지방은 실온에서 전형적으로 고체 상태인 지방족 탄화수소인 반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지방 오일은 전형적으로 실온에서 액체 상태인 지방족 탄화수소이다. 상기 지방의 예에는, 버터, 마아가린, 땅콩 버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지방 오일의 예에는 지방족 오일, 더욱 구체적으로는 식물유, 예컨대 참기름, 대두유, 포도씨기름, 맥아유, 면실유,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팜유, 그것들의 혼합물 등이 포함된다. 분말 작물을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 중에 혼입할 경우, 그것들은 통상적으로 분말 형태인 작물이거나 상기 작물로부터의 전분 추출물이며, 그러한 분말 작물의 예에는 옥수수, 감자, 고구마, 곡류 등의 전분, 밀가루, 쌀가루, 옥수수가루, 감자가루, 해충이 먹을 수 있는 기타 곡알의 분말 및 그것들의 혼합물들이 포함된다. 전분의 가수분해 시의 글루코스 중합체인 덱스트린은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혼입될 경우, 산, 열 또는 아밀라아제를 이용하여 옥수수, 감자, 고구마, 보리, 쌀 등으로부터 통상적으로 수득되어 왔던 전분의 가수분해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이용될 수 있는 탄수화물 화합물인 당은 통상 물에 대해 용해성이 있고, 그 예로는 수크로스, 글루코스, 프룩토스 과립화 당, 프룩토스, 락토스, 원 당(raw sugar), 갈색 당, 당밀, 그것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지방 및 지방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분말 작물, 덱스트린 및 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함께 함유한다. 그러한 경우, 제공된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지방 및/또는 지방 오일의 양은 통상 약 5 내지 20 중량 이고, 분말 작물, 덱스트린 및/또는 당의 양은 약 30 내지 80 중량 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또한 시너지스트, 예컨대 α-[2-(2-부톡시에톡시)에톡시]-4,5-메틸렌디옥시-2-프로필톨루엔, 옥타클로로디프로필 에테르, 이소보르닐 티오시아네이토아세테이트 및 N-(2-에틸헥실)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를 임의 함유하여, 살충 활성 성분의 해충 억제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어, 시너지스트 및 상기 살충 활성 성분의 조합 효과는 두 가지 중 하나만 함유한 생성물 보다 더 크다. 시너지스트가 존재할 경우, 그것은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의 효과적인 시너지 창출량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또한 당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기타 부가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보존제, 잘못된 섭취를 방지하는 제제, 충진제, 및 향미제를 임의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항산화제는 독성 미끼 조성물 중에 함유된 모든 성분의 환경으로부터의 유해한 산화를 방지하는 항산화제로서, 독성 미끼 조성물은 보다 긴 시간 동안 더욱 효과적인 제형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는 상기 항산화제의 예에는, 에리토르브산, 소듐 에리토르베이트,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α-토코페롤,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메틸히드록시아니솔, 프로필 갈레이트, 구아이아쿰, L-시스테인 히드로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 중에 혼입될 수 있는 보존제는 독성 미끼 조성물의 열화(deterioration)를 감속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그것은 문제를 일으키는 미생물이 독성 미끼 조성물에 매우 많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독성 미끼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적당한 보존제의 예에는, 벤조산, 소듐 벤조에이트, 살리실산, 소르브산, 포타슘 소르베이트, 데히드로아세트산, 소듐 데헤드로아세테이트, 이소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파라옥시벤조에이트, 에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칼슘 프로피오네이트, 소듐 프로피오네이트 등이 포함된다. 잘못된 섭취를 방지하고/하거나, 하나의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이 아이들이나 애완동물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을 섭취시키려는 의도가 전혀 없는 대상) 이 섭취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제에는 고추 분말, 아마란트, 아마란트 알루미늄 레이크, 에리트로신, 에리트로신 알루미늄 레이크, 뉴 콕신, 플록신(phloxine), 로즈 벤갈(rose bengal), 산 레드(acid red), 타르트라진, 타르트라진 알루미늄 레이크, 선셋(sunset) 황색 FCF, 선셋 황색 FCF 알루미늄 레이크, 패스트(fast) 녹색 FCF, 패스트 녹색 FCF 알루미늄 레이크, 화사한 청색 FCF, 화사한 청색 FCF 알루미늄 레이크, 인디고카르민, 인디고카르민 알루미늄 레이크, β-카로틴, 구리 클로로필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또한 충진제를 함유함으로써, 충진제를 함유하지 않는 제형보다 더욱 쉽게 조작될 수 있도록 하는 제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는 상기 충진제의 예에는 화이트 카본, 규조토, 결정성 셀룰로스, 카올린, 탈크,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sepiolite), 아타풀기트(attapulgite)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또한 임의 함유될 수 있는 향미제는 또한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이 원할 경우, 해충이 먹을 가능성이 더 크도록 하는 성분일 수 있다. 그러한 향미제의 예에는, 치즈 향미제, 버터 향미제, 땅콩 향미제, 복숭아 향미제, 딸기 향미제, 우유 향미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각종 제형물 형태로 조제될 수 있으며, 그러한 제형의 예에는 더스트, 페이스트, 과립, 정제 및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타 유사한 제형이 포함되며, 단 목적하는 해충이 제공된 제형의,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더스트 독성 미끼 제형물은 하나의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의 각 성분을 혼합하고, 임의 분쇄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본 발명의 독성 미끼 페이스트 또는 과립의 제형물은 각 성분을 혼합 및 분쇄하고, 물을 첨가하여, 목적 결과물을 얻을 때까지 혼합 및/또는 건조를 더 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제조 방법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하나의 본 발명의 정제 형태의 제형물의 제조는 독성 미끼 조성물의 각 성분을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적당한 정제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정제 형태로 압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겔 상태의 페이스트 제형물, 예컨대 겔화 독성 미끼 조성물로 조제되며, 이는 해충 억제에 있어서의 그러한 제형물 제조의 용이성, 및 목적하는 해충이 억제되는 장소 또는 서식지에 정확한 방법으로 적용되는 상기 조성물의 능력을 토대로 하는 것이다. 그와 같이, 겔화 독성 미끼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겔화 독성 미끼 조성물 중의 당밀의 양에 의존하는 양의 물을 함유하나, 통상적으로 제공된 겔화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5 내지 50 중량 % 양의 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목적하는 해충을 억제하는 각종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해충 억제 방법의 예에는 목적하는 해충이 서식하거나 존재하는 장소에 하나의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을 유효량 세팅, 방치 또는 도포하는 것이 포함된다. 독성 미끼 조성물이 그러한 방법으로 이용될 경우, 독성 미끼 조성물을 세팅할 수 있는 상기 장소의 예에는 개인 거주지 (예 : 주택 및 아파트), 및 상업 지역 (예 : 창고)가 포함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거주 및/또는 상업적 설치물에 있는 각종 기기 (예: 컴퓨터, 복사기, 전화 및 자동판매기) 의 아래 부분을 비롯하여 일반 주택의 식당 및 부엌 부분이 포함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해충은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 및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또다른 장소에 서식할 수 있음은 당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게 알려진 바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 특정된 장소에서의 해충 억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을 목적하는 해충이 서식하거나, 존재하는 모든 장소에, 세팅, 방치, 도포, 분주, 스프레딩 또는 뿌리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유효량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제공된 독성 미끼 조성물에 있는 살충 활성 성분의 형태 및 양에 의존하는 방법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목적하는 해충을 억제하도록 독성 미끼 조성물을 이용하는 지역 1m2 당 독성 미끼 조성물 중 약 0.5 내지 5 g 의 살충 활성 성분의 양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개미 (Formicidae), 예컨대 Monomorium intrudeus 및 Formica japonica, 빗살수염벌레 (death watch beetles (Anabiidae)), 예컨대 담배벌레 (tobacco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및 창고좀벌레 (biscuit beetle (Stegobium paniceum)), 거저리류 (Tenebrionid beetles (Tenebrionidae)), 예컨대 거짓쌀도둑거저리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및 어리쌀도둑거저리 (confused flour beetle (Tribolium confusum)), 넓적나무좀 (flat bark beetles (Cucujidae)), 예컨대 톱가슴머리대장 (sawtoothed grain beetle (Oryzaephilus surinamensis)) 및 판목벌레 (flat grain beetle (Cryptolestes pusillus)), 흰개미 (termites (Isoptera)), 예컨대 대만땅속흰개미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 (Coptotermes formosanus)) 및 Reticulitermes speratus, 특히 바퀴벌레 (Dictyoptera), 예컨대 이질바퀴 (American cockroach (Periplaneta americana)), 독일바퀴벌레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및 먹바퀴 (smokybrown cockroach (Periplaneta fuliginosa)) 를 억제하는데 적당하나, 이것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표 1 은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의 3 가지 샘플을 중량부로 나타낸 것이다. 각 샘플은 표 1 에 주어진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조제되었다. 샘플 #1 은 표 1 에 주어진 모든 성분을 함유하며, 샘플 #2 는 글리세린을 함유하지 않으며, 샘플 #3 은 κ-카라기난을 함유하지 않았다. 표 1 에 나와 있는 미소캡슐화된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은 미소캡슐화된 페니트로티온의 수성 현탁액 (Sumitomo Chemical Company 제조; 폴리우레탄 벽을 이용하여 미소캡슐화하는 제형물) 이며, 여기에서 페니트로티온의 함량은 상기 현탁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 이며, 물 함량은 약 68 중량 % 였다.
샘플 조성 (중량부)
샘플 # 샘플 #1 샘플 #2 샘플 #3
성분 미소캡슐화된 페니트로티온 (20 ) κ-카라기난 글리세린 당밀 덱스트린 참기름 땅콩 버터 25 6 5 37 17 5 5 25 6 - 37 17 5 5 25 - 5 37 17 5 5
동물용 고체 사료 재료, 물 (즉, 적셔진 흡수성 면), 3 개의 베니어를 조합하여 길이 15 cm 및 폭 3.5 cm 의 삼각 튜브형으로 만든 은신처, 및 각 10 마리의 암, 수컷 독일 바퀴벌레를 27.8 cm x 39.8 cm x 높이 7.5 cm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하룻밤 동안 방치하여, 바퀴벌레가 상기 은신처에 순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계속해서, 표 1 에 따른 0.5 g 의 독성 미끼 샘플을 상기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6 시간 후에 남아있는 독성 미끼 조성물을 상기 플라스틱 용기에서 제거하였다. 2 일 후, 본 발명의 겔화 독성 미끼로서 샘플 #1 을 이용한 시험에서 독일 바퀴벌레의 100 % 치사율이 관찰되고, 독성 미끼로서 샘플 #2 또는 #3 을 이용한 시험에서는 독일 바퀴벌레 80 % 의 치사율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2
표 2 는 독성 미끼 조성물의 3 가지 샘플을 중량부로 나타낸 것이다. 각 샘플은 표 2 에 주어진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조제되었다. 샘플 #4 는 표 2 에 주어진 모든 성분을 함유하며, 샘플 #5 는 글리세린을 함유하지 않으며, 샘플 #6 은 κ-카라기난을 함유하지 않았다. 표 2 에 나와 있는 미소캡슐화된 페니트로티온은 미소캡슐화된 페니트로티온의 수성 현탁액 (Sumitomo Chemical Company 제조; 폴리우레탄 벽을 이용하여 미소캡슐화하는 제형물) 이며, 여기에서 페니트로티온의 함량은 상기 현탁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 이며, 물 함량은 약 68 중량 % 였다.
샘플 조성 (중량부)
샘플 # 샘플 #4 샘플 #5 샘플 #6
성분 미소캡슐화된 페니트로티온 (20 ) κ-카라기난 글리세린 당밀 덱스트린 참기름 땅콩 버터 포타슘 소르베이트 25 6 5 35 17 5 5 2 25 6 - 35 17 5 5 2 25 - 5 35 17 5 5 2
동물용 고체 사료 재료, 물 (즉, 적셔진 흡수성 면), 3 개의 베니어를 조합하여 길이 15 cm 및 폭 5 cm 의 삼각 튜브형으로 만든 은신처, 및 각 10 마리의 암, 수컷 이질바퀴를 27.8 cm x 39.8 cm x 높이 7.5 cm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하룻밤 동안 방치하여, 바퀴벌레가 상기 은신처에 순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계속해서, 표 2 에 따른 1 g 의 샘플을 상기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6 시간 후에 남아 있는 독성 미끼 조성물을 상기 플라스틱 용기에서 제거하였다. 2 일 후, 본 발명의 겔화 독성 미끼 조성물로서 샘플 #4 를 이용한 시험에서 이질바퀴의 100 % 치사율이 관찰되며, 독성 미끼로서 샘플 #5 를 이용한 시험에서는 이질바퀴 75 % 의 치사율이 관찰되며, 독성 미끼로서 샘플 #6 을 이용한 시험에서는 이질바퀴 80 % 의 치사율이 관찰되었다.
상기 시험 결과는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이 목적하는 해충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 중에서 카라기난 또는 글리세린 성분이 제거된 경우에는 상기 유리한 결과가 달성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은 목적하는 해충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본 발명의 독성 미끼 조성물 중 카라기난 또는 글리세린 성분이 없는 경우 보다, 해충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

Claims (14)

  1. 하기의 것들을 함유하는 독성 미끼 조성물 :
    (1) 0.05 내지 10 중량 % 의 살충 화합물,
    (2) 1 내지 10 중량 % 의 카라기난, 및
    (3) 1 내지 10 중량 % 의 글리세린
    (상기 중량 % 는 상기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의 것들을 함유하는 독성 미끼 조성물 :
    (1) 0.05 내지 10 중량 % 의 살충 화합물,
    (2) 1 내지 10 중량 % 의 카라기난,
    (3) 1 내지 10 중량 % 의 글리세린, 및
    (4) 40 내지 85 중량 % 의 분말 작물, 덱스트린, 당, 지방, 지방 오일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
    (상기 중량 % 는 상기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4.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의 것들을 부가 함유하는 독성 미끼 조성물 :
    (1) 5 내지 20 중량 % 의 지방 또는 지방 오일, 및
    (2) 30 내지 80 중량 % 의 분말 작물, 덱스트린 또는 당
    (상기 중량 % 는 상기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5. 제 1 항에 있어서, 겔화 조성물이며,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50 중량 % 의 물을 부가 함유하는 독성 미끼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카라기난이 κ-카라기난인 독성 미끼 조성물.
  7. 해충이 서식하거나 존재하는 장소에 살충 활성 성분이 0.5 내지 5 g/m2 이 되는 양의 독성 미끼 조성물을 세팅, 방치, 도포, 분주, 스프레딩 또는 뿌리는 것을 포함하고, 그 독성 미끼 조성물이 하기의 것들을 함유하는, 목적하는 해충의 억제 방법 :
    (1) 살충 활성 성분,
    (2) 카라기난, 및
    (3) 글리세린.
  8. 제 7 항에 있어서, 독성 미끼 조성물이 하기의 것들을 함유하는, 목적하는 해충의 억제 방법 :
    (1) 0.05 내지 10 중량 % 의 살충 화합물,
    (2) 1 내지 10 중량 % 의 카라기난, 및
    (3) 1 내지 10 중량 % 의 글리세린
    (상기 중량 % 는 상기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9. 제 7 항에 있어서, 독성 미끼 조성물이 하기의 것들을 함유하는, 목적하는 해충의 억제 방법 :
    (1) 0.05 내지 10 중량 % 의 살충 화합물,
    (2) 1 내지 10 중량 % 의 카라기난,
    (3) 1 내지 10 중량 % 의 글리세린, 및
    (4) 40 내지 85 중량 % 의 분말 작물, 덱스트린, 당, 지방, 지방 오일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
    (상기 중량 % 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10. 제 8 항에 있어서, 독성 미끼 조성물이 하기의 것들을 부가 함유하는, 목적하는 해충의 억제 방법 :
    (1) 5 내지 20 중량 % 의 지방 또는 지방 오일, 및
    (2) 30 내지 80 중량 % 의 분말 작물, 덱스트린 또는 당
    (상기 중량 % 는 상기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11. 제 8 항에 있어서, 독성 미끼 조성물이 겔화 조성물이며, 독성 미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50 중량 % 의 물을 부가 함유하는, 목적하는 해충의 억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카라기난이 κ-카라기난인, 목적하는 해충의 억제 방법.
  13. 삭제
  14. 제 7 항에 있어서, 목적하는 해충이 바퀴벌레인, 목적하는 해충의 억제 방법.
KR1019990011725A 1998-04-10 1999-04-03 독성 미끼 조성물 KR100559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99616 1998-04-10
JP09961698A JP4147613B2 (ja) 1998-04-10 1998-04-10 害虫駆除用毒餌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920A KR19990082920A (ko) 1999-11-25
KR100559821B1 true KR100559821B1 (ko) 2006-03-10

Family

ID=1425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725A KR100559821B1 (ko) 1998-04-10 1999-04-03 독성 미끼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352693B1 (ko)
JP (1) JP4147613B2 (ko)
KR (1) KR100559821B1 (ko)
CN (1) CN1232611A (ko)
AR (1) AR019033A1 (ko)
BR (1) BR9901241B1 (ko)
ES (1) ES2156722B1 (ko)
FR (1) FR2777159A1 (ko)
GB (1) GB2336111B (ko)
ID (1) ID22406A (ko)
IT (1) IT1307239B1 (ko)
TW (1) TW575398B (ko)
ZA (1) ZA9924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8940B2 (ja) * 2001-08-29 2012-05-23 住化エンビ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害虫誘引性駆除剤
US20030170341A1 (en) * 2002-03-07 2003-09-11 Gerald Goodman Arthropodicidal bait composition
US7223415B1 (en) 2002-10-07 2007-05-29 Nisus Corporation Weather resistant granular bait with synergistic broad spectrum attractant system
US7601362B2 (en) 2003-06-16 2009-10-1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Gelled bait
DE102004054960A1 (de) * 2004-11-13 2006-05-18 Bayer Cropscience Ag Fliegen-Gelköder
US10398141B1 (en) 2008-01-17 2019-09-03 Rockwell Labs Ltd Breakable nonflowing gel bait
JP2013532642A (ja) * 2010-07-20 2013-08-19 バイエル・インテレクチユアル・プロパテイー・ゲー・エム・ベー・ハー 匍匐性害虫を駆除するためのゲル状餌
CN102696684A (zh) * 2012-05-29 2012-10-03 佘延英 控制德国小蠊的毒饵
MX2016016739A (es) * 2014-06-16 2017-08-18 Basf Agro Bv Metodo para controlar ratas y ratones con cebos de colecalciferol.
JP2017008015A (ja) * 2015-06-26 2017-01-12 住化エンバイロメンタルサイエンス株式会社 アリ防除用毒餌剤、誘引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947A (ja) * 1983-04-26 1984-11-10 Taiyo Fishery Co Ltd 合成餌
US4615883A (en) * 1985-10-23 1986-10-07 Plant Genetics, Inc. Hydrogel encapsulated nematodes
WO1991007972A1 (en) * 1989-11-29 1991-06-13 S.C. Johnson & Son, Inc. Gelled aqueous insect bait
JPH0680529A (ja) * 1992-09-03 1994-03-22 Osaka Seiyaku:Kk 殺蟻用ベイト剤
JPH0733608A (ja) * 1993-07-22 1995-02-03 Japan Tobacco Inc 界面活性剤を利用した殺虫剤及び殺虫方法
JPH07258015A (ja) * 1994-02-02 1995-10-09 Japan Tobacco Inc 殺虫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殺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1187A (en) * 1975-08-08 1977-02-17 Rakuton Kagaku Kougiyou Kk Gelled artificial baits
DE3200909A1 (de) 1982-01-14 1983-07-21 Bayer Ag, 5090 Leverkusen "ameisenkoeder,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JPH01197402A (ja) * 1988-01-30 1989-08-09 Mikasa Kagaku Kogyo Kk 低毒性水懸乳濁状農薬組成物
JP2999535B2 (ja) * 1990-09-27 2000-01-17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水面直接施用農薬カプセル剤
DE4417555A1 (de) * 1994-05-19 1995-11-23 Bayer Ag Verwendung von Gelformulierungen als Beizmitte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947A (ja) * 1983-04-26 1984-11-10 Taiyo Fishery Co Ltd 合成餌
US4615883A (en) * 1985-10-23 1986-10-07 Plant Genetics, Inc. Hydrogel encapsulated nematodes
WO1991007972A1 (en) * 1989-11-29 1991-06-13 S.C. Johnson & Son, Inc. Gelled aqueous insect bait
JPH0680529A (ja) * 1992-09-03 1994-03-22 Osaka Seiyaku:Kk 殺蟻用ベイト剤
JPH0733608A (ja) * 1993-07-22 1995-02-03 Japan Tobacco Inc 界面活性剤を利用した殺虫剤及び殺虫方法
JPH07258015A (ja) * 1994-02-02 1995-10-09 Japan Tobacco Inc 殺虫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殺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75398B (en) 2004-02-11
JPH11292705A (ja) 1999-10-26
BR9901241B1 (pt) 2010-11-16
FR2777159A1 (fr) 1999-10-15
KR19990082920A (ko) 1999-11-25
JP4147613B2 (ja) 2008-09-10
BR9901241A (pt) 2000-04-11
AR019033A1 (es) 2001-12-26
ES2156722A1 (es) 2001-07-01
GB2336111B (en) 2000-06-14
ES2156722B1 (es) 2002-03-01
ID22406A (id) 1999-10-14
ITTO990267A1 (it) 2000-10-07
GB9908053D0 (en) 1999-06-02
ZA992440B (en) 1999-10-01
IT1307239B1 (it) 2001-10-30
US6352693B1 (en) 2002-03-05
CN1232611A (zh) 1999-10-27
GB2336111A (en) 199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4977A (en) Poison bait for control of noxious insects
KR0140206B1 (ko) 해충 방제용 독성 미끼
US4985413A (en) Poison bait for control of noxious insects
US5300293A (en) Poison bait for control of noxious insects
KR100559821B1 (ko) 독성 미끼 조성물
US5939061A (en) Ant bait attractive to multiple species of ants
US5885606A (en) Poison bait for controlling pest insects
JP2588923B2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3808526B2 (ja) 害虫駆除用毒餌剤
KR970007926B1 (ko) 해충 방제용 독미끼
EP0431468A1 (en) A poison bait for control for harmful insects
EP2491786A1 (en) Tick control bait
MXPA99003232A (en) Compositions of bait poison
JP5093947B2 (ja) シロアリ嗜好物
JP3772405B2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H1179901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H1017404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4986340B2 (ja) 害虫駆除用誘引毒餌剤
JPH0856542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H1017405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S6261563B2 (ko)
GB2315217A (en) Poison bait for controlling noxious insects
JPH10139611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MXPA96006548A (en) Grade based pest carn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