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926B1 - 해충 방제용 독미끼 - Google Patents

해충 방제용 독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926B1
KR970007926B1 KR1019890012550A KR890012550A KR970007926B1 KR 970007926 B1 KR970007926 B1 KR 970007926B1 KR 1019890012550 A KR1019890012550 A KR 1019890012550A KR 890012550 A KR890012550 A KR 890012550A KR 970007926 B1 KR970007926 B1 KR 970007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owder
weight
conten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706A (ko
Inventor
다꾸지 고하마
후미야스 미나가와
고로 신조
시게노리 쓰다
가즈유끼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모리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모리 히데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 A01N25/0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insecticid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01N25/28Microcapsules or nan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해충 방제용 독미끼
본 발명은 해충, 특히 바퀴벌레 방제용 독미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바퀴벌레와 같은 해충 박멸용 몇몇 분말형 독미끼가 시판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분말형 독미끼는 특히 위생상 및 일상의 취급의 관점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므로 불리하고 위험하다. 예를들어 이들은 취급시, 손에 묻고, 원하는 장소에 놓은 후 주위로 날라가거나 또는 아기 및 가축에게 음식으로 오인되기 쉽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활성 성분으로서 붕산을 함유하는 정제형 독미끼가 시판되었다. 그러나, 박멸 효과를 확실히 하기 위해 이와 같은 독미끼 정제는 약 20 내지 30중량% 정도의 다량의 붕산을 함유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은 아직도 아기 및 가축에게는 안전하지 못한다. 사실, 붕산을 단지 5중량%의 양으로 함유한 육아실용 분말 조차도 뜻밖에 아기의 죽음을 초래하였음이 발표되어 있다(제11일본약전, C-1475(1986)). 게다가, 바퀴벌레에 대한 붕산의 박멸 효과는 너무 늦게 발휘되며 섭취후 이들의 죽음까지는 통상적으로 일주일 또는 그 이상이 소요되고 이동안 바퀴벌레는 설사하여 묽은 분뇨를 배설하여 그들의 서식지 및 주위를 상당히 오염시킨다.
또한, 활성성분으로서 유기 인 살충제류, 카르바메이트 살충제류, 피레트로이드 살충제류 등으로부터 선택한 살충제를 함유하는 몇몇 정제형 독미끼가 공지되어 있다. 이들 살충제들은 붕산보다 더욱 높은 살충력을 지니므로, 독미끼내 이들의 함량은 매우 작아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생성된 독미끼는 상당히 안전하다. 그러나, 상기 살충제들은 각각의 독특한 냄새를 지니고 있으므로, 이들을 함유한 정제 제제는 바퀴벌레에게 외면당하기 쉽다. 따라서, 먹이 유인 효과가 매우 떨어져, 자연적으로 박멸효과는 낮아진다. 또한, 유기 인 살충제류 또는 카르바메이트 살충제류는 극소량의 물에도 쉽게 가수분해되어 특이한 냄새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먹이 유인 효과가 열화되고, 박멸효과도 감소된다. 상기 가수분해는 활성성분 자체의 함량을 감소시키므로 따라서 살충효과도 현저히 열화된다.
유기 인 살충제류, 카르바메이트 살충제류 및 피레트로이드 살충제류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를 결정성 셀룰로오즈와 함께 미세 캡슐 형태로 함유하는 정제형 독미끼 조성물을 제공하는 제안이 있었다. 그러나, 동물성 분말 또는 비스킷 분말과 같은 먹이 유인제(feed attractant)와 상기 조성물의 혼합은 생성된 정제의 균열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고, 먹이 유인제를 양호하게 분쇄시킨 상태로 사용하지 않는한 정제화는 불가능하다. 상기의 이유로 인해, 사용에 적합한 먹이 유인제는 작물 분말 또는 당류로 제한되며, 따라서 먹이 유인 효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취급시 안전성 및 활성 성분의 안정성 외에도 인체 및 가축에 대한 높은 안전성, 탁월한 먹이 유인 효과 및 충분한 살충효과를 지니는 독미끼에 대한 지대한 요구가 있었다.
집중적인 연구결과 유기 인 살충제류, 카르바 메이트 살충제류 및 피레트로이드 살충제류로부터 선택한 살충제를, 덱스트린과 함께 미세캡슐 형태로 함유하는 정제형 독미끼 조성물이 상기 요구를 충족시킴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a) 유기 인 살충제류, 카르바메이트 살충제류 및 피레트로이드 살충제류로부터 선택한 미세캡슐 형태의 살충제 및 (b) 덱스트린을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고 임의로 (c) 정제유, 당류, 작물 분말, 비스켓 분말 및 동물 분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한 먹이유인제를 함께 함유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형 독미끼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 조성물내 성분(a) 및 성분(b)의 함량은 각각 통상적으로 약 0.05 내지 7.0중량% 및 약 10 내지 99중량%이다. 성분(c)를 사용할때 그의 함량은 약 60중량%이하일 수 있다.
성분(a)로서, 유기 인 살충제류, 카르바메이트 살충제류, 및 피레트로이드 살충제류로부터 선택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살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인 살충제로서, 칼빈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시아노펜포스, 시아노포스;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말라티온, 날레드,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티오포스, 피리다펜티온, 살리티온,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트리클로르폰, 브로모포스, 프로페탐포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카르바메이트 살충제의 예는 BPMC, 카르바릴, CPMC, 에티오펜카르보, MPMC, MTMC, 프로메카르브, 스웨프, 프로폭수르 등이다. 피레트로이드 살충제의 예는 시페르메트린, 시페노트린, 델타메트린, 펜프로파트린, 펜발렐레이트, 카데트린, 퍼메트린, 페노트린, 프로파르트린, 레스메트린, 시페노트린, 시플루트린, 알파-메트린, 트랄로메트린, 폴시트리네이트 등이다. 또한, 이들의 기하 또는 광학 이성질체도 사용할 수 있다. 살충제의 함량은 사용되는 살충제의 종류, 처리하고자 하는 곤충의 곤충의 종(species)에 의존하여 넓은 범위내로 변화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살충제 영향은 이 미끼 조성물의 총무게에 대해 약 0.05 내지 7.0중량% 범위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도를 위해, 상기 살충제를 임의의 벽 물질(wall material)을 이용한 종래의 방법 그대로 미세캡슐화 시킨다. 벽 물질은 이후의 단계, 즉 정제화 단계에서 거기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닌 벽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중 하나일 수 있다. 미세캡슐화는 종래 방법 그대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것의 전형적인 예는 계면중합 방법, 인-시튜 중합 방법, 액체내 건조방법(drying in liquid process), 상 분리 방법, 분무건조 방법, 유동층법, 용융된 분산 냉각 방법(cooling melted dispersion method) 등이다. 이들중, 계면 중합 방법 및 인-시튜 중합방법은 입자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미세캡슐은 약 1 내지 1,000미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 및 약 5 내지 150의 입자크기/벽두께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화는 통상적으로 약 5 내지 500kg/㎠의 압축하에서 효과적이다. 벽 물질의 예는 포르말린-우레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아릴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젤라틴, 카제인, 알부민, 피브리노겐, 헤모글로빈,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라기난, 알긴산 나트륨, 한천, 아라비아고무, 트라가칸스 고무, 메뚜기 고무, 구아 고무, 카리복시메틸셀룰로오즈, 폴리비닐술폰산, 셀룰로오즈 유도체류, 폴리비닐 유도체류, 전분 유도체류, 아미노산 유도체류, 비닐피리딘아크릴산 공중합체, 규산,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포릴아미드류,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카르보네이트류, 폴리술술포네이트류, 폴리술폰산아미드류, 에폭시수지류 등이다.
성분(b)로서 덱스트린은 산, 열 또는 아밀라제에 의한 전분 분말(예, 감자, 고구마, 옥수수, 밀, 쌀)의 가수분해 산물을 포함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미끼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약 10 내지 99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상기 필수 성분 외에, 이 미끼 조성물은 정제유, 당류, 작물 분말, 비스킷 분말 및 동물 분말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먹이 유인제를 성분(c)로서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정제유의 구체적인 예는 대두유, 평지씨유, 참기름, 맥아유 등이다. 당류로서는 슈크로오즈, 글루코오즈, 프럭토즈, 락토오즈, 흑설탕, 황설탕, 부드러운 황설탕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흑설탕, 황설탕 및 부드러운 황설탕이 특히 바람직하다. 작물분말은 예를들어, 감자분말, 고구마분말, 옥수수분말, 밀가루, 쌀가루 등일 수 있다. 비스킷 분말은 시판중인 상품중 하나일 수 있다. 동물 분말의 예는 생선분말, 번데기 분말유파우시목(Euphausiacea : 절지 동물문의 갑각강의 1목) 분말, 식용새우 분말 등이다. 이들 먹이 유인제는 통상적으로 미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약 60중량% 이하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제유, 사카라이드, 작물 분말, 비스킷 분말 및 동물 분말의 최대 함량은 각각 약 10중량%, 약 60중량%, 약 50중량%, 약 50중량% 및 약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한다면, 미끼 조성물은 첨가제(류) 및/또는 보조제(류), 특히 산화방지제, 보존제, 혐식 억제제(mis-feed inhibitor), 향미제, 중량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예는 에리토르브산, 에리토르브산 나트륨, 디부틸 히드록시톨루엔, dl-알파-토코페놀, 노르디히드로과이아레트산, 메틸히드록시아니솔, 프로필갈레이트, 과이악수지, L-시스테인 히드로클로라이드 등이다. 보존제의 예는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디페닐, 소르브산, 소르브산 칼륨, 데히드로아세트산, 데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이소부틸 p-옥시 벤조에이트, 이소부틸 p-옥시벤조에이트, 에틸 p-옥시벤조에이트, 부틸 p-옥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프로피온산 칼륨, 포르피온산 나트륨 등이다. 혐식 억제제로서, 붉은 후추분말, 아마란쓰(Amaranth), 아마란쓰 알루미늄 레이크(Amaranth aluminium lake), 에리트로신(Erythrosine), 에리트로신 알루미늄 레이크(Erythrosine aluminium lake), 뉴 콕신(New Coccine), 플록신(Phloxine), 로즈 벵갈(Rose Bengal), 액시드 레즈(Acid Red), 타르트라진(Tartrazine), 타르트라진 알루미늄 레이크(Tartrazine aluminium lake), 썬셋 엘로우 FCF(Sunset Yellow FCF), 썬셋 옐로우 FCF 알루미늄 레이크(Sunset Yellow FCF aluminium lake), 패스트 그린 FCF(Fast Green FCF), 패스트 그린 FCF 알루미늄 레이크(Fast Green FCF aluminium lake), 브릴리언트 블루 FCF(Brilliant Blue FCF), 브릴리언트 블루 FCF 알루미늄 레이크(Brilliant Blue FCF aluminium lake), 인디고 카르민(Indigo Carmine), 인디고 카르민 알루미늄 레이크(Indigo Carmine aluminium lake), β-카로틴, 구리 클로로필(Copper chlorophyll)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향미제의 예는 치즈향, 버터향, 땅콩향, 복숭아향, 딸기향, 우유향 등이다. 중량제로서, 화이트 카본, 규조토, 결정성 셀룰로오즈, 점토, 카울린, 활석,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 아타풀기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미끼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상기 언급한 필수 및 임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만들 수 있고, 그후 종래 방법에 따라 정제화 시킨다. 예를들어 종래의 방법에 따라 미세캡슐화시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살충제를 덱스트린 및 먹이유인제와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만들고 이를 종래 방법에 따라 정제화하여 정제형 미끼 조성물을 수득한다. 둘 또는 그 이상의 살충제가 사용될때, 그들의 각각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 미세캡슐화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둘 또는 그 이상의 살충제를 각각 미세캡슐화시키고 함께 결합시키고, 이어서 생성된 혼합물을 미세캡슐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한 미끼 조성물은 해충, 예를들어, 페리플라네타 아메리카나(Periplaneta americana), 블라텔라 게르마니카(Blattella germanica) 및 페리플라네타 풀리기노사(Periplaneta fuliginosa)와 같은 바퀴벌레(Blattidae), 모노모리움 파라오니스(monomorium pharaonis), 모노모리움 니폰엔세(Monomorium niponense), 리시우스 풀리기노수스(Lisius Fuliginosus), 및 포르미카 자포니카(Formica japonica)와 같은 개미류(Formicidae), 필벅(pillbug)(Armadillidae), 라시오데르마 세리코르네(Lasioderma serrcorne) 및 스테고비움 파니세움(Stegobium paniceum)과 같은 풍뎅이(deathwatch) 및 드럭그스토어 풍뎅이(drugstore beetles ; Anobiidae), 트리볼리움 카스타네움(Tribolium castaneum) 및 트리볼리움 콘푸숨(Tsibolium confusum)과 같은 디클링 풍뎅이(darking beetles ; Tenebrionidae) 및 오리자에필루스 수리나멘시스(Oryzaephilus surinamensis) 및 크리프롤레스테스 푸실루스(Cryprolestes pusillus)와 같은 쿠쿠지드 풍뎅이(cucujid beetles ; Cucujidae) 등에 대해 뛰어난 살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충성 조성물의 제조에 대한 실질적 구현예를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제시하며, 여기서 부는 다른 지적이 없는 한 중량부로 한다.
[실시예 1 내지 6]
폴리우레탄으로 미세캡슐화시킨 페니트로티온(0.5부), 덱스트린(30.0부) 및 데히드로아세트산(0.1부)를 함께 혼합하고, 표 1에 제시하는 정제유, 당류, 작물 분말, 비스킷 분말 및 동물 분말을 여기에 혼합하고, 이어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15㎏/㎠의 압축하 정제화하여 무게 약 4g(직경, 약 30mm)의 정제를 만든다.
미끼로서 이와 같이 수득한 정제에 대해 활성성분의 안정성, 먹이유인효과 및 살충효과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결과를 표 1에 제시하였다. 여기서 각종 평가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졌다.
1) 정제화 할 수 있는 성질(Tabletability) : -
15kg/㎠의 압축하에서 정제화 직후 및 50℃에서 10일간 보관후 관찰하고, 정제화 할 수 있는 성질을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 (
Figure kpo00001
) 균열 없음 (×) 균열
2) 활성성분의 안정성 : -
정제형 미끼를 50℃에서 10일간 보관하고,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활성성분의 잔량 퍼센트를 측정한다. 잔량이 80중량% 이상인 미끼는 만족(
Figure kpo00002
)하다고 간주, 반면 잔량이 80중량% 미만인 것은 불만족(×)이라 간주한다.
3) 먹이 유인 효과(즉, 곤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곤충이 섭치하도록 자극하는 효과)
블라텔라 게르마니카(Blattella germanica)(암컷 및 수컷을 동수로) 50 마리의 성충을 정제형 미끼 및 대조군으로 고체 미끼를 담아놓은 바닥 면적 0.12㎡의 용기에 넣는다. 시험 곤충의 유인율을 일정 시간내 유인된 곤충의 수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유인율의 측정은 하기 기준에 따른다.
Figure kpo00003
3) 살충 효과 : -
살충 효과의 평가는 먹이 유인 효과의 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고, 치사율은 24시간 동안 계속 섭취시킨 후 관찰한다. 살충 효과의 측정은 하기 기준에 따른다
Figure kpo00004
[표 1]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주:*1) 폴리우레탄으로 미세캡슐화됨
*2) 정제화 직후
*3) 50℃에서 10일간 보관 후
실시예 7 내지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2에 제시된 성분을 함유하는 미끼로 정제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수득한 정제에 대해 활성성분의 안정성, 먹이 유인 효과 및 살충 효과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한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내지 4]
미세캡슐화 시키지 않은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 내지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끼로서 정제를 제조하고, 활성성분의 안정성, 먹이 유인 효과 및 살충 효과를 실시예 7 내지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한다. 이 결과를 또한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07
주:*1) 폴리우레탄으로 미세캡슐화됨
*2) 다공성 실리카로 미세캡슐화됨
*3) 정제화 직후
*4) 50℃에서 10일간 보관 후
상기 결과로 부터, 미세캡슐화된 살충제를 함유하는 미끼가 미세캡슐화 되지 않은 살충제를 함유하는 미끼보다 각종 특성면에서 우월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내지 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3에 제시된 필수 성분(예, 미세캡슐화된 살충제 및 덱스트린) 및 임의 또는 보조성분을 함유하는 정제를 미끼로서 제조한다. 정제화 할 수 있는 성질, 활성성분의 안정성, 먹이 유인 효과 및 살충 효과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찰한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실시예 5 내지 10]
덱스트린 대신 감자전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 내지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3에 제시된 정제를 제조한다. 이들 정제의 각종 특성을 실시예 11 내지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찰한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kpo00008
주 : *2) 다공성 실리카로 미세캡슐화됨
*3) 젤라틴으로 미세캡슐화됨
[표 4]
Figure kpo00009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정제는 안정성, 먹이 유인 효과 및 살충 효과에 있어 매우 만족스러움을 알 수 있다.

Claims (17)

  1. (a) 유기 인 살충제류, 카르바메이트 살충제류 및 피레트로이드 살충제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한 1종 이상의 미세캡슐형 살충제 및 (b) 덱스트린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c) 정제유, 당류, 작물 분말, 비스킷 분말 및 동물 분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한 1종 이상의 먹이 유인제를 함께 함유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성형 미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a)로서 살충제의 함량이 0.05 내지 7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성분(b)로서 덱스트린의 함량이 10 내지 99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성분(c)로서 먹이 유인제를 60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먹이 유인제가 정제유이고 그의 함량이 10중량%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먹이 유인제가 당류이고 그의 함량이 60중량%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먹이 유인제가 작물 분말이고 그의 함량이 50중량%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먹이 유인제가 비스킷 분말이고 그의 함량이 50중량%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먹이 유인제가 동물 분말이고 그의 함량이 10중량%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정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정제유는 대두유, 평지씨유, 참기름 및 맥아유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당류는 슈크로오즈, 글루코오즈, 프럭토오즈, 락토오즈, 흑설탕황설탕 및 부드러운 황설탕으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작물 분말은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옥수수 전분, 밀가루, 쌀가루 및 옥수수분말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 및 보조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첨가제 및 보조제는 산화 방지제(류), 보존제(류), 혐식 억제제(류), 방향제(류) 및 먹이 유인제(류)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유효 살충량의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해충에게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곤충은 바퀴벌레류(Blattidae), 개미류(Formicidae), 필벅(Pillbug : Armadillidae), 풍뎅이(deathwatch) 및 드럭그 스토어 풍뎅이(drugstore beetles : Anobiidae), 다클링 풍뎅이(darkling beetles : Tenebrionidae) 및 쿠쿠지드 풍뎅이(cucujid beetles : Cucujidae)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90012550A 1988-08-31 1989-08-31 해충 방제용 독미끼 KR970007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19578 1988-08-31
JP63219578A JPH0267204A (ja) 1988-08-31 1988-08-31 害虫駆除用毒餌剤
JP219578/88 1988-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706A KR900002706A (ko) 1990-03-23
KR970007926B1 true KR970007926B1 (ko) 1997-05-19

Family

ID=1673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550A KR970007926B1 (ko) 1988-08-31 1989-08-31 해충 방제용 독미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267204A (ko)
KR (1) KR970007926B1 (ko)
BR (1) BR89043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4373B2 (ja) * 1989-05-27 1999-11-10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害虫駆除用毒餌剤
JP2001247408A (ja) * 2000-03-08 2001-09-11 Hodogaya Chem Co Ltd 酸溶解性ポリマーを用いた摂食性害虫駆除剤組成物
CN103734155B (zh) * 2013-12-27 2015-10-28 广西科技大学 一种杀蟑胶饵
JP6788402B2 (ja) * 2016-07-13 2020-11-25 アース製薬株式会社 飛翔害虫誘引剤
CN117296859A (zh) * 2023-11-23 2023-12-29 四川金堰白蚁防治有限公司 一种用于防治白蚁的诱杀条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904363A (pt) 1990-04-17
JPH0267204A (ja) 1990-03-07
KR900002706A (ko) 199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4977A (en) Poison bait for control of noxious insects
US4985413A (en) Poison bait for control of noxious insects
KR101019652B1 (ko) 살서성 미끼 시스템
AU2005207876B2 (en) Rodenticide
JP2974373B2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2939302B2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H03505095A (ja) 有害生物防除剤組成物
US6352693B1 (en) Poison bait compositions
KR970007926B1 (ko) 해충 방제용 독미끼
US5885606A (en) Poison bait for controlling pest insects
JP2588923B2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H01143806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2911249B2 (ja) 害虫捕獲器
JP3541046B2 (ja) ナメクジ類の駆除剤
EP0431468A1 (en) A poison bait for control for harmful insects
JP3808526B2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H0267203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H03232804A (ja) 害虫防除用毒餌組成物
JP3752262B2 (ja) ナメクジ類の駆除剤および捕獲器
JPH0856542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H1017404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H1179901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H10139611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JP2002047106A (ja) ハチ用毒餌剤
JPH1017405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