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498B1 -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를포함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를포함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498B1
KR100555498B1 KR1020030024781A KR20030024781A KR100555498B1 KR 100555498 B1 KR100555498 B1 KR 100555498B1 KR 1020030024781 A KR1020030024781 A KR 1020030024781A KR 20030024781 A KR20030024781 A KR 20030024781A KR 100555498 B1 KR100555498 B1 KR 100555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output
overlapping
in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0817A (ko
Inventor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4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498B1/ko
Priority to US10/645,922 priority patent/US7030655B2/en
Priority to DE602004016591T priority patent/DE602004016591D1/de
Priority to EP04251339A priority patent/EP1469395B1/en
Priority to CN2004100282697A priority patent/CN1538698B/zh
Priority to JP2004107329A priority patent/JP4603282B2/ja
Publication of KR2004009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9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 clocked protoc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Dram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송신기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9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고 중첩하여 중첩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중첩 신호를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고 각각 해석하여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복원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상기 본 발명의 송신기와 수신기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선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럭의 주파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Transmitter, receiver and data interface system for improving data transmission spe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준 클럭들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심볼 정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1 수신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제2 수신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사용되는 수신 기준 클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및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사용되는 기준 전압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레벨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들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이는 방법 중의 하나는 클럭의 주파수를 높이는 것이다.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방법 중의 다른 하나는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 둘 이상의 비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 둘 이상의 비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의 일 예는 이중 데이터율(double data rate, 이하 DDR이라 함) 메모리 장치이다. DDR 메모리 장치는 클럭의 상승 에지(rising edge)와 하강 에지(falling edge)에 동기하여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 핀당 두 비트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 둘 이상의 비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의 다른 예는 멀티 비트 신호를 사용하는 장치이다. 멀티 비트 신호란 멀티 레벨 신호(multi-level signaling)로서, 2-레벨의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4-레벨의 신호를 전송한다. 4-레벨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2-레벨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동일한 클럭 주파수로 2배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신호의 레벨수가 증가하면 클럭 주기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는 증가하지만 레벨간 차이, 예를 들어 레벨간 전압 차이가 줄어들어 데이터의 오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멀티-레벨 신호를 발생하는 회로와 이를 수신하여 원래 데이터를 복원하는 회로가 복잡해 질 수도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면서 클럭의 주파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럭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데이터 인터페이스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송신기, 수신기,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를 집적한 반도체 장치 및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제1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드라이버; 상기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비하여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제2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출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출력 데이터가 중첩되어 중첩 신호가 발생되는 노드를 구비하며, 전송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전송선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제1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중첩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입력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수신 회로; 및 상기 제1 수신 기준 클럭에 비하여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입력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수신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중첩 신호는 제1 송신 기준 클럭과 상기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비하여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송신 기준 클럭에 각각 응답하여 생성된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가 중첩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제1 수신 기준 클럭은 소정의 외부 클럭에 동기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전송선;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9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고 중첩하여 상기 전송선으로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중첩된 신호(이하, 중첩 신호)를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고 각각 해석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기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기는,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드라이버; 상기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비하여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제2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중첩되어 상기 중첩 신호가 발생되는 노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수신기는 제1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복원하는 제1 수신 회로; 및 상기 제1 수신 기준 클럭의 위상과 실질적으로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복원하는 제2 수신 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제1 출력 데이터 및 제2 출력 데이터를 9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고 중첩하여 중첩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송신기; 중첩 입력 신호를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고 각각 해석하여 제1 입력 데이터 및 제2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를 제어하는 로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기는,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1 출력 드라이버; 상기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비하여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출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2 출력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출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출력 데이터가 중첩되어 상기 중첩 출력 신호가 발생되는 노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개략적 인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송신기(100), 수신기(200) 및 전송선(300)을 구비한다. 송신기(100)는 제1 및 제2 송신 기준 클럭(TClk1, TClk2)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출력 데이터(TX_D1, TX_D2)의 중첩 신호(TX_D1D2)를 전송선(300)을 통하여 전송한다. 송신기(100)는 하나의 장치에서 2개의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장치에서 각각의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수신기(200)는 제1 및 제2 수신 기준 클럭(RClk1, RClk2)을 이용하여 중첩 신호(RX_D1D2)를 수신함으로써, 제1 및 제2 입력 데이터(RX_D1, RX_D2)를 추출한다. 수신기(200)는 하나의 장치에서 2개의 입력 데이터(RX_D1, RX_D2)를 모두 복원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두개의 장치에서 각각의 입력 데이터를 복원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출력 데이터(TX_D1, TX_D2)와 제1 및 제2 입력 데이터(RX_D1, RX_D2)는 2-레벨 신호로서, 예를 들어, 로직 하이레벨과 로직 로우레벨을 갖는 신호이다. 중첩 신호는 3-레벨 신호로서, 예를 들어, 하이레벨, 미들레벨 및 로우레벨을 갖는 신호이다. 제1 및 제2 출력 데이터(TX_D1, TX_D2)가 외부 클럭(Clk)의 한 주기당 2비트씩 각각 출력된다면, 중첩 신호(TX_D1D2, RX_D1D2)는 외부 클럭(Clk)의 한 주기당 4비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클럭(Clk)의 반 주기를 비트 타임이라 한다. 따라서, 중첩 신호(TX_D1D2, RX_D1D2)는 비트 타임당 2 비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외부 클럭(Clk)의 한 주기당 2비트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통상의 이중 데이터율(Double Data Rate, 이하 DDR이라 함) 메모리 장치를 가지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비하여 두 배 정도 빨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준 클럭들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 송신 기준 클럭(TClk1) 및 제1 수신 기준 클럭(RClk1)은 외부 클럭(Clk)에 동기된다. 그리고, 제2 송신 기준 클럭(TClk2) 및 제2 수신 기준 클럭(RClk2)은 외부 클럭(Clk)에 비하여 약 9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진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송신기(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b)는 송신기(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송신기(100)는 제1 출력 드라이버(110), 제2 출력 드라이버(120) 및 중첩 노드(130)를 구비한다.
제1 출력 드라이버(110)는 제1 출력 데이터(TX_D1)를 제1 송신 기준 클럭(TClk1)에 응답하여 출력한다. 제2 출력 드라이버(120)는 제2 출력 데이터(TX_D2)를 제1 송신 기준 클럭(TClk1)과 9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송신 기준 클럭(TClk2)에 응답하여 출력한다. 제1 및 제2 출력 드라이버(110, 120)는 하나의 중첩 노드(130)에 연결된다. 중첩 노드(130)는 전송선(3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출력 드라이버(110, 1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TX_D1', TX_D2')가 중첩 노드(130)에서 더해져서, 전송선(300)으로 출력된다. 결국 송신기(100)는 두 개의 출력 데이터(TX_D1, TX_D2)를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고 중첩한 신호(TX_D1D2)를 전송선(300)을 통하여 수신기로 전송한다. 제1 출력 드라이버(110) 및 제2 출력 드라이버(120)는 둘 다 하나의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송신기(100)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출력 드라이버(110) 및 제2 출력 드라이버(120)는 각각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송신기(100)가 제1 출력 드라이버(110) 및 제2 출력 드라이버(120)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출력 데이터(TX_D1, TX_D2)는 두 가지 전압레벨(로직 하이레벨과 로직 로우레벨)을 가질 수 있는 신호이다. 제1 및 제2 출력 데이터(TX_D1, TX_D2)가 모두 로직 하이레벨 데이터이면 중첩 신호(TX_D1D2)는 하이레벨(H), 제1 및 제2 출력 데이터(TX_D1, TX_D2)가 모두 로직 로우레벨 데이터이면 중첩 신호(TX_D1D2)는 로우레벨(L), 그리고, 제1 및 제2 출력 데이터(TX_D1, TX_D2) 중 어느 하나는 로직 하이레벨 데이터이고 다른 하나는 로직 로우레벨 데이터이면 중첩 신호(TX_D1D2)는 미들레벨(M)을 가진다. 미들레벨(M)은 하이레벨(H)과 로우레벨(L)의 산술 평균값이다.
제1 및 제2 출력 드라이버(110, 120)는 이중 데이터율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출력 드라이버(110)는 제1 송신 기준 클럭(TClk1)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제1 출력 데이터(TX_D1)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1 출력 드라이버(110)로부터 비트 타임당 한 비트씩의 데이터가 제1 송신 기준 클럭(TClk1)에 동기되어 출력된다. 제2 출력 드라이버(120)는 제2 송신 기준 클럭(TClk2)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제2 출력 데이터(TX_D2)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2 출력 드라이버(120)로부터 비트 타임(B)당 한 비트씩의 데이터 가 제2 송신 기준 클럭(TClk2)에 동기되어 출력된다.
제1 및 제2 출력 드라이버(110, 1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중첩 노드(130)에서 중첩되어, 중첩 신호(TX_D1D2)로서 발생된다. 그러므로, 중첩 신호(TX_D1D2)는 제1 출력 데이터(TX_D1)와 제2 출력 데이터(TX_D2)를 상호 90도 위상차를 가지고 중첩한 신호이다.
중첩 신호(TX_D1D2)는 다양한 심볼들을 가진다. 심볼은 비트 타임(A, B) 단위로 중첩 신호(TX_D1D2)의 모양에 의해 정해진다. 비트 타임(A, B) 동안의 중첩 신호의 모양은 7가지로 나눠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중첩 신호(TX_D1D2)는 7가지의 심볼(S1~S7)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b)에 나타난 중첩 신호는 제1 송신 기준 클럭(TClk1)을 기준으로 볼 때는 S2-S7-S4-S5-S3-S2-S5-S2의 순으로 심볼 시퀀스를 가지며, 제2 송신 기준 클럭(TClk2)을 기준으로 볼 때는 S6-S5-S6-S1-S3-S6-S1-S6의 순으로 심볼 시퀀스를 가진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심볼 정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심볼은 비트 타임 동안의 신호 모양에 의해 정의된다. 심볼은 두 비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두 비트 데이터를 90도 위상차를 가지고 중첩함으로써, A 비트 타임의 관점에서 보면, 심볼에 포함되는 두 비트 데이터 중 하나는 제1 출력 데이터(TX_D1)의 하나의 풀 비트(full-bit) 데이터이고 다른 하나는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두 개의 하프 비트(half-bit) 데이터이다. 반면 B 비트 타임의 관점에서 보면, 심볼에 포함되는 두 비트 데이터 중 하나는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하나의 풀 비 트 데이터이고 다른 하나는 제1 출력 데이터(TX_D1)의 두 개의 하프 비트 데이터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S2 심볼은 제1 출력 데이터(TX_D1)의 하나의 풀 비트 데이터(A3)와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B2의 두 번째 하프 비트와 B3의 첫 번째 하프 비트를 중첩한 신호이다. A3의 첫 번째 하프 비트와 B2의 두 번째 하프 비트가 모두 로직 하이레벨(H)이므로, A3의 첫 번째 하프 비트와 B2의 두 번째 하프 비트의 중첩인 S2의 첫 번째 하프 비트는, 로직 하이레벨(H)이다. A3의 두 번째 하프 비트는 로직 하이레벨(H)이고 B3의 첫 번째 하프 비트는 로직 로우레벨(L)이므로, A3의 두 번째 하프 비트와 B3의 첫 번째 하프 비트의 중첩인 S2의 두 번째 하프 비트는, 로직 미들레벨(M)이다. 결국, S2 심볼은 로직 하이레벨(H)의 풀 비트 데이터(H-H)와 로직 하이레벨(H)의 하프 비트 및 로직 로우레벨(L)의 하프 비트로 이루어지는 데이터(H-L)의 중첩이다. 따라서, S2 심볼은 비트 타임 동안 H-M의 시퀀스를 가진다.
S3 심볼은 로직 하이레벨(H)의 풀 비트 데이터(H-H)와 로직 하이레벨(H)의 하프 비트와 로직 하이레벨(H)의 하프 비트로 이루어진 데이터(H-H)의 중첩이다. 따라서, S3 심볼은 비트 타임 동안 H-H의 시퀀스를 가진다.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비트 타임동안, S1 심볼은 M-H의 시퀀스, S5 심볼은 L-M의 시퀀스, S6 심볼은 M-L의 시퀀스, S7 심볼은 L-L의 시퀀스를 가진다. 상술합 바와 같이 S4를 제외한 나머지 심볼들은 각각 제1 및 제2 출력 데이터(TX_D1, TX_D2)의 고유의 결합을 가진다. 따라서, 심볼에 의해 제1 및 제2 출력 데이터(TX_D1, TX_D2)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 타임(A)을 기준으로 하여, 중첩 신호(TX_D1D2)가 S1, S2 또는 S3이면 제1 출력 데이터(TX_D1)는 로직 하이레벨(H) 데이터이고, 중첩 신호가 S5, S6, 또는 S7이면 제1 출력 데이터(TX_D1)는 로직 로우레벨(L) 데이터이다.
그러나, S4는 이중성(duality)을 가진다. 첫 번째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력 데이터(TX_D1)의 풀 비트 데이터(A7)와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B6의 두 번째 하프 비트와 B7의 첫 번째 하프 비트의 중첩이다. 이 때, 풀 비트 데이터(A7)는 로직 하이레벨(H)이고 두 개의 하프 비트 데이터(B6의 두 번째 하프 비트, B7의 첫 번째 하프 비트)는 로직 로우레벨(L)이다. 두 번째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력 데이터(TX_D1)의 풀 비트 데이터C7)와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B6의 두 번째 하프 비트와 B7의 첫 번째 하프 비트의 중첩이다. 이 때, 풀 비트 데이터(C7)는 로직 로우레벨(L)이고 두 개의 하프 비트 데이터(D6, D7)는 로직 하이레벨(H)이다.
S4에 대한 두 가지 경우로부터, 풀 비트 데이터는 하프 비트 데이터를 반전하여 얻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 타임(A)을 기준으로 하여, 중첩 신호가 S4이면, 제1 출력 데이터(TX_D1)는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반전 데이터(inverted data)이다. S4는 로직 하이레벨(H) 데이터와 로직 로우레벨(L) 데이터의 중첩 신호이므로, 하나의 데이터가 로직 로우레벨(L)이면 다른 하나의 데이터는 로직 하이레벨(H)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수신기(2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수신기(200)는 제1 수신 회로(210) 및 제2 수신 회로(220)을 구비한다. 수신 기(200)는 제1 수신 기준 클럭(RClk1) 및 제2 수신 기준 클럭(RClk2)을 이용하여 중첩 입력 신호(RX_D1D2)를 해석하여, 중첩 입력 신호(RX_D1D2)로부터 제1 입력 데이터(RX_D1) 및 제2 입력 데이터(RX_D2)를 복원한다. 제1 수신 회로(210)은 제1 수신 기준 클럭(RClk1, RClk1b)에 응답하여 중첩 입력 신호(RX_D1D2)를 해석하여 제1 입력 데이터(RX_D1)를 복원한다. 이 때, 제2 수신 회로(220)에서 출력되는 신호들(RX_D2_even, RX_D2_odd)을 이용한다. 제2 수신 회로(220)은 제2 수신 기준 클럭(RClk2, RClk2b)에 응답하여 중첩 입력 신호(RX_D1D2)를 해석하여 제2 입력 데이터(RX_D2)를 복원한다. 이 때, 제1 수신 회로(210)에서 출력되는 신호들(RX_D1_even, RX_D1_odd)을 이용한다. 제1 및 제2 수신 회로(220)에서 출력되는 상기 신호들(RX_D1_even, RX_D1_odd, RX_D2_even, RX_D2_odd)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제1 수신 회로(210) 및 제2 수신 회로(220)는 둘 다 하나의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수신기(200)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수신 회로(210) 및 제2 수신 회로(220)는 각각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수신기(200)가 제1 수신 회로(210) 및 제2 수신 회로(220)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중첩 입력 신호(RX_D1D2)는 송신기(100)에서 출력된 중첩 신호(TX_D1D2)가 전송선(300)을 통하여 수신기(200)에 입력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제1 입력 데이터(RX_D1) 및 제2 입력 데이터(RX_D2)가 정확히 복원되면, 제1 입력 데이터(RX_D1)는 송신기(100)에서 출력한 제1 출력 데이터(TX_D1)와 동일하고, 제2 입력 데이터(RX_D2)는 제2 출력 데이터(TX_D2)와 동일하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1 수신 회로(21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 수신 회로(210)은 하이/로우레벨 검출기(211), 미들레벨 검출기(212) 및 멀티플렉서(213)를 포함한다.
하이/로우레벨 검출기(211)는 프리앰프(pre-amplifier)(211_a), 풀 비트 타임 적분기(211_b, 211_c) 및 감지/래치부(sense and latch, 이하 S/A)(211_d, 211_e)를 포함한다. 하이/로우레벨 검출기(211)는 두 개의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들(RClk1, RClk1b)을 사용한다.
미들레벨 검출기(212)는 프리앰프(212_a),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b, 212_c, 212_d, 212_e), S/A(212_f, 212_g, 212_h, 212_i) 및 데이터 선택 회로(212_j, 212_k)를 포함한다. 미들레벨 검출기(212)는 4개의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1st, RClk1_2nd, RClk1b_1st, RClk1b_2nd)을 사용한다.
DDR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제1 수신 회로(210)은 두 개의 데이터 경로, 즉 우수 데이터 경로와 기수 데이터 경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입력 데이터(RX_D1, RX_D2)는 각각 우수 데이터와 기수 데이터가 번갈아 나타나는 데이터이다.
제1 수신 회로(210)의 우수 데이터 경로는 제1 입력 데이터(RX_D1)의 우수 데이터(RX_D1_even)를 복원하는 역할을 하며, 기수 데이터 경로는 제1 입력 데이터(RX_D1)의 기수 데이터(RX_D1_odd)를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수신 회로(210)의 우수 데이터 경로는 프리앰프들(211_a, 212_a), 풀 비트 타임 적분기(211_b),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들(212_b, 212_c), S/A들(211_d, 211_f, 211_g) 및 데이터 선택 회로(212_j)를 포함한다.
제1 수신 회로(210)의 기수 데이터 경로는 프리앰프들(211_a, 212_a), 풀 비트 적분기(211_c), 하프 비트 적분기들(212_d, 212_e), S/A들(211_e, 211_h, 211_i) 및 데이터 선택 회로(212_k)를 포함한다.
제1 수신 회로(210)은 두 개의 기본적인 동작들, 즉 적분 및 감지/래치를 오버랩하여 수행한다. 예를 들어, 우수 데이터 경로의 적분기들(211_b, 212_b, 212_c)은 수신 기준 클럭들(Rclk1, Rclk1_1st, Rclk1_2nd)을 이용하여 적분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거의 동시에, 기수 데이터 경로의 S/A들(211_e, 211_h, 211_i)은 수신 기준 클럭들(Rclk1b, Rclk1b_1st, Rclk1b_2nd)을 이용하여 감지 및 래치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기수 데이터 경로의 적분기들(211_c, 212_d, 212_e)이 적분 동작을 할 때, 우수 데이터 경로의 S/A들(211_d, 211_f, 211_g)은 감지 및 래치 동작을 수행한다.
수신기(2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도 5를 참조하여 수신기(200)에서 사용되는 수신 기준 클럭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 기준 클럭에는 두 가지 종류의 기준 클럭들, 즉,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과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이 있다. Rclk1과 Rclk1b는 풀 타임 비트 기준 클럭으로서, 상호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는 수신 기준 클럭이다. Rclk1_1st, Rclk1_2nd, Rclk1b_1st 및 Rclk1b_2nd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이다.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1st, Rclk1_2nd)은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로부터 생성된다. 물론,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1st, Rclk1_2nd)은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과 무관하게 생성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0도에서 180도 사이가 하이레벨이고 180도에서 360도 사이가 로우레벨인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 대비하여,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1st)은 0도에서 90도 사이만 하이레벨이고,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2nd)은 90도에서 180도 사이만 하이레벨이다.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b_1st, RClk1b_2nd)은 각각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1st, RClk1_2nd)과 180도 위상 차이를 가진다.
풀 비트 타임기준 클럭(RClk2, RClk2b)은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 RClk1b)에 비하여 각각 90도 위상차이를 가지는 클럭들이다.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2, RClk2b)과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2_1st, RClk2_2nd, RClk2b_1st 및 RClk2b_2nd)의 관계는,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 RClk1b)과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1st, RClk1_2nd, RClk1b_1st 및 RClkCb_2nd)의 관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4 (b)를 참조하여, 제1 수신 회로(21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수 데이터 경로를 중심으로 제1 수신 회로(210)의 동작을 설명한다.
프리앰프(211_a)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A)를 증폭한다. 참조부호 'RX_D1D2A'는 제1 수신 회로(210)에 입력되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다른 참조부호를 사용하지만 'RX_D1D2A'와 'RX_D1D2'가 나타내는 신호는 동일하다.
프리앰프(211_a)는 차동 증폭기 형태로서, 중첩 입력 신호(RX_D1D2A)를 제1 기준 전압(VrefM)과 비교한다. 프리앰프(211_a)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A)가 제1 기준 전압(VrefM)보다 크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중첩 입력 신호(RX_D1D2A)가 제1 기준 전압(VrefM)보다 작으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중첩 입력 신호(RX_D1D2A)가 제1 기준전압(VrefM)과 유사하면 미들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풀 비트 타임 적분기(211_b)는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의 하이레벨 구간동안에 프리앰프(211_a)의 출력 신호를 적분한다. S/A(211_d)는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의 로우레벨 구간 동안에 풀 비트 타임 적분기(211_b)의 출력을 감지하고 래치하여 제1 프리 우수 데이터(RX_D1_even')를 출력한다. S/A(211_d)는 풀 비트 타임 적분기(211_b)의 출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로직 하이레벨(H)의 제1 프리 우수 데이터(RX_D1_even')를, 그렇지 않으면 로직 로우레벨(L)의 제1 프리 우수 데이터(RX_D1_even')를 출력한다.
따라서, 하이/로우 레벨 검출기(211)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가 S1 내지 S3 심볼 중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로직 하이레벨(H)의 데이터(RX_D1_even')를, 중첩 입력 신호(RX_D1D2)가 S5 내지 S7 심볼 중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로직 로우레벨(L)의 데이터(RX_D1_even')를 출력한다. 중첩 입력 신호(RX_D1D2)가 S4 심볼에 해당하면 하이/로우 레벨 검출기(211)는 로직 하이레벨(H)의 데이터(RX_D1_even')를 출력할 수도 있고, 로직 로우레벨(L)의 데이터(RX_D1_even')를 출력할 수도 있다.
중첩 입력 신호(RX_D1D2A)는 미드레벨 검출기(212)의 프리앰프(212_a)로도 입력된다. 미들레벨 검출기(212)의 프리앰프(212_a)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A)를 제2 및 제3 기준 전압(VrefH, VrefL)과 비교한다. 프리앰프(212_a)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A)가 제2 기준 전압(VrefH)과 제3 기준 전압(VrefL) 사이에 해당하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그렇지 않으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내지 제3 기준 전압(VrefM, VrefH, VrefL)의 관계가 도 8에 도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기준 전압(VrefM)은 로직 하이레벨(H)과 로직 로우레벨(L) 간의 전압 차이의 약 1/2에 해당된다. 제2 기준 전압(VrefH)은 로직 하이레벨(H)과 로직 로우레벨(L) 간의 전압 차이의 약 3/4에 해당된다. 그리고, 제3 기준 전압(VrefL)은 로직 하이레벨(H)과 로직 로우레벨(L) 간의 전압 차이의 약 1/4에 해당된다.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b)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1st)에 응답하여 프리앰프(212_a)의 출력 신호를 적분한다. 즉,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b)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1st)의 하이레벨 구간동안에 프리앰프(212_a)의 출력 신호를 적분한다. S/A(212_f)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1st)의 로우레벨 구간 동안에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b)의 출력을 감지하고 래치한다. S/A(212_f)는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b)의 출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로직 하이레벨(H)의 신호를, 그렇지 않으면 로직 로우레벨(L)의 신호를 출력한다.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c)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2nd)에 응답하여 프리앰프(212_a)의 출력 신호를 적분한다. 즉,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c)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2nd)의 하이레벨 구간동안에 프리앰프(212_a)의 출력 신호를 적분한다. S/A(212_g)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_2nd)의 로우레벨 구간 동안에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c)의 출력을 감지하고 래치한다. S/A(212_g)는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c)의 출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로직 하이레벨(H)의 신호를, 그렇지 않으면 로직 로우레벨(L)의 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선택 회로(212_j)는 S/A(212_f, 212_g)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1_e)를 출력한다. 데이터 선택 회로(212_j)는 논리합(AND) 로직이다. 따라서, 데이터 선택 회로(212_j)는 S/A(212_f, 212_g)의 출력 신호가 모두 로직 하이레벨(H)이면 로직 하이레벨(H)의 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1_e)를 출력하고, S/A(212_f, 212_g)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로직 로우레벨(L)이면 로직 로우레벨(L)의 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1_e)를 출력한다. S/A(212_f, 212_g)의 출력 신호가 모두 로직 하이레벨(H)이라는 것은 중첩 입력 신호(RX_D1D2A)의 심볼이 S4즉, M-M 시퀀스를 가지는 심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멀티플렉서(213e)는 제1 프리 우수 데이터(RX_D1_even')와 제2 기수 데이터(RX_D2_odd)를 반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1_e)에 응답하여 상기 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멀티플렉서(213_e)는 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1_e)가 로직 로우레벨(L)이면 제1 프리 우수 데이터(RX_D1_even')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우수 데이 터 선택 신호(DATASEL1_e)가 로직 하이레벨(H)이면 제2 기수 데이터(RX_D2_odd)의 반전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중첩 입력 신호(RX_D1D2A)의 심볼이 S4인 경우에는, 하이/로우레벨 검출기(211)의 출력 신호(RX_D1_even', RX_D1_odd')에 응답하여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 및 제1 기수 데이터(RX_D1_odd)가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제2 수신 회로(220)에서 출력되는 제2 우수 데이터(RX_D2_even) 및 제2 기수 데이터(RX_D2_odd)에 응답하여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 및 제1 기수 데이터(RX_D1_odd)가 출력된다. 따라서, 중첩 입력 신호(RX_D1D2A)의 심볼이 S4인 경우에는, 하이/로우레벨 검출기(211)의 출력 신호(RX_D1_even', RX_D1_odd')는 하이레벨이라도 무방하고 로우레벨이라도 무방하다.
제1 수신 회로(210)은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 및 제1 기수 데이터(RX_D1_odd)를 각각 제1 수신 기준 클럭(RClk1, RClk1b)에 동기하기 위한 플립플롭(214e, 214o)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립플롭(214e)은 D 플립 플롭(D flip-flop)으로서, 멀티플렉서(213e)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1 수신 기준 클럭(RClk1)에 동기하여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로서 출력한다.
다음으로, 기수 데이터 경로를 중심으로 제1 수신 회로(210)의 동작을 설명한다. 기수 데이터 경로상의 동작은 우수 데이터 경로상의 동작과 매우 유사하다. 다만, 기수 데이터 경로에 사용되는 기준 클럭들은 우수 데이터 경로에 사용되는 기준 클럭들에 비하여 각각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갖는다.
비트 타임 적분기(211_c)는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b)의 하이레벨 구 간동안에 프리앰프(211_a)의 출력 신호를 적분한다. S/A(211_e)는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b)의 로우레벨 구간 동안에 풀 비트 타임 적분기(211_c)의 출력을 감지하고 래치하여 제1 프리 기수 데이터(RX_D1_odd')를 출력한다. S/A(211_e)는 풀 비트 타임 적분기(211_c)의 출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로직 하이레벨(H)의 제1 프리 기수 데이터(RX_D1_odd')를, 그렇지 않으면 로직 로우레벨(L)의 제1 프리 기수 데이터(RX_D1_odd')를 출력한다.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d)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b_1st)에 응답하여 프리앰프(212_a)의 출력 신호를 적분한다. 즉,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d)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b_1st)의 하이레벨 구간동안에 프리앰프(212_a)의 출력 신호를 적분한다. S/A(212_h)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b_1st)의 로우레벨 구간 동안에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d)의 출력을 감지하고 래치한다. S/A(212_h)는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d)의 출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로직 하이레벨(H)의 신호를, 그렇지 않으면 로직 로우레벨(L)의 신호를 출력한다.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e)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b_2nd)에 응답하여 프리앰프(212_a)의 출력 신호를 적분한다. 즉,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e)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b_2nd)의 하이레벨 구간동안에 프리앰프(212_e)의 출력 신호를 적분한다. S/A(212_i)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RClk1b_2nd)의 로우레벨 구간 동안에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e)의 출력을 감지하고 래치한다. S/A(212_i)는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12_e)의 출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로직 하이레벨(H)의 신호를, 그렇지 않으면 로직 로우레벨(L)의 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선택 회로(212_k)는 S/A(212_h, 212_i)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1_o)를 출력한다. 데이터 선택 회로(212_k)는 논리합(AND) 로직이다. 따라서, 데이터 선택 회로(212_k)는 S/A(212_h, 212_i)의 출력 신호가 모두 로직 하이레벨(H)이면 로직 하이레벨(H)의 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1_o)를 출력하고, S/A(212_h, 212_i)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로직 로우레벨(L)이면 로직 로우레벨(L)의 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1_o)를 출력한다.
멀티플렉서(213o)는 제1 프리 기수 데이터(RX_D1_odd')와 제2 우수 데이터(RX_D2_even)를 반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1_o)에 응답하여 상기 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플립플롭(214o)은 멀티플렉서(213o)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1 수신 기준 클럭(RClk1b)에 동기하여 제1 기수 데이터(RX_D1_odd)로서 출력한다.
제1 수신 회로(210)는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 및 제1 기수 데이터(RX_D1_odd)를 번갈아 수신하여 제1 입력 데이터(RX_D1)로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21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클럭(Clk)의 첫 번째 반 주기 동안에 수신되는 심볼은 우수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해석되어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로서 출력되고, 클럭의 두 번째 반 주기 동안에 수신되는 심볼은 기수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해석되어 제1 기수 데이터(RX_D1_odd)로서 출력된다.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 및 제1 기수 데이터(RX_D1_odd)가 제1 입력 데이터(RX_D1)이 된다. 그러므로, 제1 수신 회로(210)의 우수 데이터 경로와 기수 데이터 경로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A)를 번갈아 해석하여, 제1 입력 데이터(RX_D1)를 번갈아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우수 데이터 경로와 기수 데이터 경로를 구비하여 중첩 입력 신호(RX_D1D2A)를 수신하는 것은 각 소자에서의 처리 시간에 여유를 주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우수 데이터 경로와 기수 데이터 경로를 구분하지 않고, 중첩 입력 신호(RX_D1D2A)를 연속적으로 해석하여 제1 입력 데이터(RX_D1)를 복원할 수도 있다.
도 4(c)는 도 4 (a)에 도시된 제2 수신 회로(22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2 수신 회로(220)은 하이/로우레벨 검출기(221), 미들레벨 검출기(222) 및 멀티플렉서(223)를 포함한다. 입력신호(RX_D1D2B)는 도 4(b)의 입력신호(RX_D1D2A)와 동일한 중첩된 신호이다.
하이/로우레벨 검출기(221)는 제1 수신 회로(210)의 하이/로우레벨 검출기(211)와 마찬가지로, 프리앰프(221_a), 풀 비트 타임 적분기들(221_b, 221_c) 및 S/A들(221_d, 221_e)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이/로우레벨 검출기(221)는 제1 수신 회로(210)의 하이/로우레벨 검출기(211)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함으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다만, 제2 수신 회로(220)의 하이/로우레벨 검출기(221)는 풀 비트 타임 기준 클럭들(RClk2, RClk2b)에 응답하여 동작하여, 제2 프리 우수 데이터(RX_D2_even') 및 제2 프리 기수 데이터(RX_D2_odd')를 출력한다.
미들레벨 검출기(222)는 제1 수신 회로(210)의 미들레벨 검출기(212)와 마찬가지로, 프리앰프(222_a),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222_b, 222_c, 222_d, 222_e), S/A(222_f, 222_g, 222_h, 222_i) 및 데이터 선택 회로(222_j, 222_k)를 포함한다. 따라서, 미들레벨 검출기(222)는 제1 수신 회로(210)의 미들레벨 검출기(211)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함으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다만, 제2 수신 회로(220)의 미들레벨 검출기(222)는 하프 비트 타임 기준 클럭들(RClk2_1st, RClk2_2nd, RClk2b_1st, RClk2b_2nd)에 응답하여 동작하여, 우수 및 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2_e, DATASEL2_o)를 출력한다.
멀티플렉서(223e)는 제2 프리 우수 데이터(RX_D2_even')와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를 반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2_e)에 응답하여 상기 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멀티플렉서(223o)는 제2 프리 기수 데이터(RX_D2_odd')와 제1 우수 데이터(RX_D1_odd)를 반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수 데이터 선택 신호(DATASEL2_o)에 응답하여 상기 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2 수신 회로(220) 역시 제2 우수 데이터(RX_D2_even) 및 제2 기수 데이터(RX_D2_odd)를 각각 제2 수신 기준 클럭(RClk2, RClk2b)에 동기하기 위한 플립플롭(224e, 224o)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수신 회로(220)는 제2 우수 데이터(RX_D2_even) 및 제2 기수 데이터(RX_D2_odd)를 번갈아 수신하여 제2 입력 데이터(RX_D2)로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22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송신기(100) 및 수신기(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먼저, 도 6의 G1 파트 및 도 2(a)를 함께 참조하여, 송신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송신기(100)의 제1 출력 드라이버(110)로부터 제1 송신 기준 클럭(TClk1)에 동기된 데이터(TX_D1')가 발생되고, 제2 출력 드라이버(120)로부터 제2 송신 기준 클럭(TClk2)에 동기된 데이터(TX_D2')가 발생된다. 상기 두 데이터(TX_D1', TX_D2')가 중첩되어, 중첩 출력 신호(TX_D1D2)로서 출력된다. 중첩 출력 신호(TX_D1D2)는 전송선을 통하여 수신기(200)로 전송된다.
G2 파트 및 G3 파트는 수신기(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수신기(200)의 제1 수신 회로(210) 및 제2 수신 회로(220)에 입력되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A, RX_D1D2B)는 중첩 출력 신호(TX_D1D2)의 수신 신호이다. 중첩 입력 신호(RX_D1D2A, RX_D1D2B)는 동일한 신호이지만, 제1 및 제2 수신 회로(210, 220)를 구분하기 위하여 설명의 편의상 참조부호를 구별하여 사용한다.
타임 슬라이스(T1 ~ T8)은 제1 수신 기준 클럭(RClk1, Rclk1b)의 관점에서 풀 비트 타임을 나타낸다. 제1 수신 기준 클럭(RClk1, Rclk1b)에 동기되어 제1 수신 회로(210)로 수신되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A)는 S2-S1-S2-S1-S4-S6-S7-S5 순의 심볼들을 가진다. 각 심볼은 제1 출력 데이터(TX_D1)의 풀 비트 데이터와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두 개의 하프 비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타임 슬라이스(T1, T3, T5, T7)에서 수신되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A)의 심볼들은 우수 데이터 경로에 의해 해석되어,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로서 발생된다. 반면, 타임 슬라이스(T2, T4, T6, T8)에서 수신되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A)의 심볼들은 기수 데이터 경로에 의하여 해석되어, 제1 기수 데이터(RX_D1_odd)로서 발생된다.
타임 슬라이스(T3)에서 제1 수신 회로(210)은 H-M 시퀀스를 가지는 S2 심볼의 중첩 입력 신호(RX_D1D2A)를 수신한다. S2 심볼은 로직 하이레벨(H)를 가지는 제1 출력 데이터(TX_D1)의 풀 비트 데이터와 로직 하이레벨(H)과 로직 로우레벨(L)을 가지는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두 개의 하프 비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1 수신 회로(210)은 S2 심볼을 해석하여 로직 하이레벨(H)의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를 발생한다. 이 때, 제1 수신 회로(210)은 S2 심볼이 M-M 시퀀스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하이/로우레벨 검출기(도 4(b)의 211 참조)에서 출력되는 로직 하이레벨(H)의 제1 프리 우수 데이터(RX_D1_even')를 그대로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로서 출력한다.
타임 슬라이스(T5)에서 제1 수신 회로(210)은 S4 심볼(M-M)의 중첩 입력 신호(RX_D1D2A)를 수신한다. S4 심볼의 경우, 로직 하이레벨(H)를 가지는 제1 출력 데이터(TX_D1)의 풀 비트 데이터와 로직 로우레벨(L)과 로직 로우레벨(L)을 가지는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두 개의 하프 비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와 로직 로우레벨(L)를 가지는 제1 출력 데이터(TX_D1)의 풀 비트 데이터와 로직 하이레벨(H)과 로직 하이레벨(H)을 가지는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두 개의 하프 비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는 후자의 경우이다. 중첩 입력 신호(RX_D1D2A)가 S4 심볼(M-M)인 경우, 제1 수신 회로(210)은 제2 수신 회로(220)에서 발생되는 로직 하이레벨(H)의 제2 기수 데이터(RX_D2_odd)(610)를 반전하여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620)로서 출력한다.
타임 슬라이스(T12, T23, T34, T45, T56, T67 및 T78)는 제2 수신 기준 클럭(RClk2, Rclk2b)의 관점에서 풀 비트 타임을 나타낸다. 제1 수신 기준 클럭(RClk2, Rclk2b)에 동기되어 제2 수신 회로(220)으로 수신되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B)는 S4-S3-S4-S2-S4-S7-S7 순의 심볼들을 가진다. 각 심볼은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풀 비트 데이터와 제1 출력 데이터(TX_D1)의 두 개의 하프 비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타임 슬라이스(T12, T34, T56, T78)에서 수신되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B)의 심볼들은 우수 데이터 경로에 의해 해석되어, 제2 우수 데이터(RX_D2_even)로서 발생된다. 반면, 타임 슬라이스(T23, T45, T67)에서 수신되는 중첩 입력 신호(RX_D1D2B)의 심볼들은 기수 데이터 경로에 의하여 해석되어, 제2 기수 데이터(RX_D2_odd)로서 발생된다.
타임 슬라이스(T23)에서 제2 수신 회로(220)은 H-H 시퀀스를 가지는 S3 심볼의 중첩 입력 신호(RX_D1_D2B)를 수신한다. S3 심볼은 로직 하이레벨(H)를 가지는 제2 출력 데이터(TX_D2)의 풀 비트 데이터와 로직 하이레벨(H)과 로직 하이레벨(L)을 가지는 제1 출력 데이터(TX_D1)의 두 개의 하프 비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2 수신 회로(220)은 S3 심볼을 해석하여 로직 하이레벨(H)의 제2 기수 데이터(RX_D2_odd)를 발생한다. 이 때, 제2 수신 회로(220)은 S3 심볼이 M-M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하이/로우레벨 검출기(도 4(c)의 221 참조)에서 출력되는 로직 하이레벨(H)의 제2 프리 기수 데이터(RX_D2_odd')를 그대로 제2 기수 데이터(RX_D2_odd)로서 출력한다.
타임 슬라이스(T56)에서 제2 수신 회로(220)은 S4 심볼(M-M)의 중첩 입력 신호(RX_D1D2B)를 수신한다. 중첩 입력 신호(RX_D1D2B)가 S4 심볼(M-M)인 경우, 제2 수신 회로(220)은 제1 수신 회로(210)에서 발생되는 로직 로우레벨(L)의 제1 우수 데이터(RX_D1_even)(620)를 반전하여 제2 우수 데이터(RX_D2_even)(630)로서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7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반도체 장치(700)는 로직부(710)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컨트롤러나 메모리 장치 또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반도체 장치(700)는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송수신기(400)를 구비한다. 로직부(710)는 데이터 송수신기(400)와 인터페이스하며, 데이터 송수신기(4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송수신기(400)는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를 구비한다.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럭의 주파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된다.

Claims (38)

  1.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제1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드라이버;
    상기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비하여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제2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출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출력 데이터가 중첩되어 중첩 신호가 발생되는 노드를 구비하며,
    전송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첩 신호를 상기 전송선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 데이터는 각각 2-레벨 신호이고,
    상기 중첩 신호는 3-레벨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기준 클럭은 소정의 외부 클럭에 동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5. 제1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중첩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입력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수신 회로; 및
    상기 제1 수신 기준 클럭에 비하여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입력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수신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중첩 신호는 제1 송신 기준 클럭과 상기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비하여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송신 기준 클럭에 각각 응답하여 생성된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가 중첩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1 수신 기준 클럭은
    소정의 외부 클럭에 동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 데이터는 각각 2-레벨 신호이고,
    상기 중첩 신호는 3-레벨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제1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비트 타임 단위로 상기 중첩 신호가 하이레벨인지 로우레벨인지를 판별하여, 제1 프리 입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하이/로우레벨 검출기;
    상기 비트 타임 단위로 상기 중첩 신호가 미들레벨인지를 판별하여 제1 데이터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미들레벨 검출기; 및
    상기 제1 데이터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프리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수신 회로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제2 입력 데이터를 반전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1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제2 수신 회로는
    상기 제2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타임 단위로 상기 중첩 신호가가 하이레벨인지 로우레벨인지를 판별하여, 제2 프리 입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하이/로우레벨 검출기;
    상기 비트 타임 단위로 상기 중첩 신호가 미들레벨인지를 판별하여 제2 데이터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미들레벨 검출기; 및
    상기 제2 데이터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반전한 데이터와 상기 제2 프리 입력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1 하이/로우레벨 검출기 및 제2 하이/로우레벨 검출기 각각은
    상기 중첩 신호를 제1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프리앰프;
    상기 프리앰프의 출력 신호를 상기 비트 타임 단위로 적분하는 풀 비트 타임 적분기; 및
    상기 풀 비트 타임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감지 및 래치하여 상기 제1 프리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프리 입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감지/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1. 상기 10항에 있어서, 제 1 기준 전압은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 사이의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제1 미들레벨 검출기 및 제2 미들레벨 검출기 각각은
    상기 중첩 신호를 제2 기준 전압 및 제3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프리앰프;
    상기 프리앰프의 출력 신호를 상기 비트 타임의 반 타임 단위로 적분하는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 및
    상기 하프 비트 타임 적분기의 출력 신호를 감지 및 래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선택 신호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3. 상기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하이레벨과 미들레벨 사이의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가지고, 상기 제3 기준 전압은 상기 미들레벨과 로우레벨 사이의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가지며, 상기 미들레벨은 상기 하이레벨과 상기 로우레벨 사이의 소정의 전압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1 수신 기준 클럭에 동기시키고,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2 수신 기준 클럭에 동기시키기 위한 플립플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타임은
    상기 외부 클럭의 반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회로는 상기 중첩 신호를 번갈아 해석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번갈아 출력하는 제1 우수 데이터 경로 회로 및 제1 기수 데이터 경로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수신 회로는 상기 중첩 신호를 번갈아 해석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번갈아 출력하는 제2 우수 데이터 경로 회로 및 제2 기수 데이터 경로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수신 기준 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중첩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중첩 신호가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이면 상기 제2 수신 회로에서 출력되는 제2 입력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가 아니면 상기 중첩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회로는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인지를 판별하는 미들레벨 검출기;
    상기 중첩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가 하이레벨인지 로우레벨인지를 판별하여 출력하는 하이/로우레벨 검출기; 및
    상기 미들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반전한 데이터와 상기 하이/로우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 회로는 상기 제2 수신 기준 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중첩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이면 상기 제1 수신 회로에서 출력되는 제1 입력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가 아니면 상기 중첩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 회로는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인지를 판별하는 미들레벨 검출기;
    상기 중첩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가 하이레벨인지 로우레벨인지를 판별하여 출력하는 하이/로우레벨 검출기; 및
    상기 미들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반전한 데이터와 상기 하이/로우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퀀스는
    연속하는 두 개의 미들레벨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2. 전송선;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9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고 중첩하여 상기 전송선으로 중첩된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중첩된 신호(이하, 중첩 신호)를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고 각각 해석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기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기는,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드라이버;
    상기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비하여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제2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중첩되어 상기 중첩 신호가 발생되는 노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23. 삭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제1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복원하는 제1 수신 회로; 및
    상기 제1 수신 기준 클럭의 위상과 실질적으로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복원하는 제2 수신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수신 기준 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중첩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중첩 신호가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이면 상기 제2 수신 회로에서 출력되는 제2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가 아니면 상기 중첩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발생하며,
    상기 제2 수신 회로는 상기 제2 수신 기준 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중첩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이면 상기 제1 수신 회로에서 출력되는 제1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가 아니면 상기 중첩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회로는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인지를 판별하는 제1 미들레벨 검출기; 상기 중첩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가 하이레벨인지 로우레벨인지를 판별하여 출력하는 제1 하이/로우레벨 검출기; 및 상기 제1 미들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반전한 데이터와 상기 제1 하이/로우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1 선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회로는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인지를 판별하는 제2 미들레벨 검출기; 상기 중첩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가 하이레벨인지 로우레벨인지를 판별하여 출력하는 제2 하이/로우레벨 검출기; 및 상기 제2 미들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반전한 데이터와 상기 제2 하이/로우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2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기준 클럭 및 상기 제1 수신 기준 클럭은
    외부 클럭에 동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신호는
    상기 외부 클럭의 한 주기 동안 4 비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는 각각 2-레벨 신호이고,
    상기 중첩 신호는 3-레벨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30. 제1 출력 데이터 및 제2 출력 데이터를 9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고 중첩하여 중첩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송신기;
    중첩 입력 신호를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고 각각 해석하여 제1 입력 데이터 및 제2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를 제어하는 로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기는,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1 출력 드라이버;
    상기 제1 송신 기준 클럭에 비하여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송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출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2 출력 드라이버; 및
    상기 제1 출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출력 데이터가 중첩되어 상기 중첩 출력 신호가 발생되는 노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1. 삭제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제1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수신 회로; 및
    상기 제1 수신 기준 클럭의 위상과 실질적으로 9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2 수신 기준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수신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수신 기준 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중첩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중첩 입력 신호가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이면 상기 제2 수신 회로에서 출력되는 제2 입력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중첩 입력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가 아니면 상기 중첩 입력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며,
    상기 제2 수신 회로는 상기 제2 수신 기준 클럭을 기준으로 상기 중첩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중첩 입력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이면 상기 제1 수신 회로에서 출력되는 제1 입력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중첩 입력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를 가지는 신호가 아니면 상기 중첩 입력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회로는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인지를 판별하는 제1 미들레벨 검출기; 상기 중첩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가 하이레벨인지 로우레벨인지를 판별하여 출력하는 제1 하이/로우레벨 검출기; 및 상기 제1 미들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반전한 데이터와 상기 제1 하이/로우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1 선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회로는 상기 중첩 신호가 상기 소정의 시퀀스인지를 판별하는 제2 미들레벨 검출기; 상기 중첩 신호의 비트 타임 단위의 적분값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 신호가 하이레벨인지 로우레벨인지를 판별하여 출력하는 제2 하이/로우레벨 검출기; 및 상기 제2 미들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를 반전한 데이터와 상기 제2 하이/로우레벨 검출기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2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데이터, 상기 제2 출력 데이터,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는 각각 2-레벨 신호이고,
    상기 중첩 출력 신호 및 상기 중첩 입력 신호는 3-레벨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6.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출력 신호와 상기 중첩 입력 신호는 동일한 노드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7.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컨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8.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집적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030024781A 2003-04-18 2003-04-18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를포함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0555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781A KR100555498B1 (ko) 2003-04-18 2003-04-18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를포함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US10/645,922 US7030655B2 (en) 2003-04-18 2003-08-20 Memory interface system
DE602004016591T DE602004016591D1 (de) 2003-04-18 2004-03-09 Speicherschnittstellesystem
EP04251339A EP1469395B1 (en) 2003-04-18 2004-03-09 Memory interface system
CN2004100282697A CN1538698B (zh) 2003-04-18 2004-03-10 存储器接口系统
JP2004107329A JP4603282B2 (ja) 2003-04-18 2004-03-31 メモリ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781A KR100555498B1 (ko) 2003-04-18 2003-04-18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를포함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US10/645,922 US7030655B2 (en) 2003-04-18 2003-08-20 Memory interfa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817A KR20040090817A (ko) 2004-10-27
KR100555498B1 true KR100555498B1 (ko) 2006-03-03

Family

ID=3291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781A KR100555498B1 (ko) 2003-04-18 2003-04-18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를포함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30655B2 (ko)
EP (1) EP1469395B1 (ko)
JP (1) JP4603282B2 (ko)
KR (1) KR100555498B1 (ko)
CN (1) CN1538698B (ko)
DE (1) DE60200401659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3001B2 (en) * 2003-12-08 2006-09-26 Infineon Technologies Ag Chip to chip interface
US7702839B2 (en) * 2005-04-12 2010-04-20 Nokia Corporation Memory interface for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s
US7079063B1 (en) * 2005-04-18 2006-07-18 Analog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i-level logic data shuffling for oversampling data conversion
JP5267573B2 (ja) * 2009-01-08 2013-08-21 富士通株式会社 音声制御装置および音声出力装置
TWI507704B (zh) * 2013-08-08 2015-11-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延遲時間差偵測暨調整裝置與方法
KR102401182B1 (ko) * 2018-01-19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575B2 (ja) * 1991-08-01 1999-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多重変換器
JPH0831101A (ja) * 1994-07-16 1996-02-02 Victor Co Of Japan Ltd 復号装置
US5864584A (en) * 1995-02-13 1999-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ircuitry for allowing two drivers to communicate with two receivers using one transmission line
US6184714B1 (en) * 1998-02-25 2001-02-06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ple-bit, current mode data bus
US6211698B1 (en) * 1999-06-29 2001-04-03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High speed interface apparatus
US6396329B1 (en) * 1999-10-19 2002-05-28 Ramb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high speed signals with low latency
US6437713B1 (en) * 2000-10-06 2002-08-20 Xilinx, Inc. Programmable logic device having amplitude and phase modulation communication
US6703866B1 (en) * 2000-12-19 2004-03-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able interface for interfacing integrated circuit modules
US6593867B2 (en) * 2001-01-31 2003-07-15 Vdv Media Technologies, Inc. High performance bus interface
JP3597482B2 (ja) * 2001-03-15 2004-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多重装置
US7397848B2 (en) * 2003-04-09 2008-07-08 Rambus Inc. Partial response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03282B2 (ja) 2010-12-22
CN1538698A (zh) 2004-10-20
US20040207544A1 (en) 2004-10-21
EP1469395B1 (en) 2008-09-17
CN1538698B (zh) 2010-06-16
DE602004016591D1 (de) 2008-10-30
EP1469395A1 (en) 2004-10-20
US7030655B2 (en) 2006-04-18
KR20040090817A (ko) 2004-10-27
JP2004320753A (ja) 200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7661B1 (en) Method, architecture and circuitry for controlling pulse width in a phase and/or frequency detector
US6724328B1 (en) Byte alignment for serial data receiver
US7340655B2 (en) Skew adjustment circuit, skew adjustment method, data synchronization circuit, and data synchronization method
US4415984A (en) Synchronous clock regenerator for binary serial data signals
US5777567A (en) System and method for serial to parallel data conversion using delay line
US7046174B1 (en) Byte alignment for serial data receiver
EP2334003B1 (en) Asymmetrical i/o devices and system
US8363751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8683101B2 (en) Single wire bus communication protocol
JP5238369B2 (ja) 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受信方法及びデータ受信プログラム
JP3433426B2 (ja) マンチェスタ符号化データをデコーディ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555498B1 (ko)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를포함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US20030165201A1 (en) Deserializer
US6985546B2 (en) Transmit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receiv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2521917A (ja) 高速シリアルデータ通信システム
CN105487836B (zh) 带跳转候选的双同步电子设备和fifo存储器电路及相关方法
US6970527B2 (en) Transmit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receiv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CN1826779B (zh) 用于接收机的时钟再训练方法
CN108631808B (zh) 用于数字信号传输的装置和方法
US90198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ous communication of frames of digital information
EP2930874A1 (en) Asymmetric duplex transmission device and switching system thereof
Janardhan et al. Multi-Channel UART Controller with FIFO and FPGA
KR880001024B1 (ko) 데이터 전송방법
JPH0964858A (ja) 位相同期回路
KR880001023B1 (ko) 셀프콜록킹 데이타 전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