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736B1 -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736B1
KR100554736B1 KR1020010055420A KR20010055420A KR100554736B1 KR 100554736 B1 KR100554736 B1 KR 100554736B1 KR 1020010055420 A KR1020010055420 A KR 1020010055420A KR 20010055420 A KR20010055420 A KR 20010055420A KR 100554736 B1 KR100554736 B1 KR 10055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film
guide box
steel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460A (ko
Inventor
최양기
이윤섭
박우영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5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73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42An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강판의 전기도금시 도금셀내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에 의한 아노드의 돌출피막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한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장치(1)는, 강판의 전기도금을 수행토록 도금셀 (10)의 내측으로 설치된 아노드(30)의 양측에 배치되고, 전방에는 가이드박스(42)가 설치된 베이스(40);와, 상기 베이스 가이드박스(42)의 내측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한쌍의 이동부재(60); 및, 상기 이동부재(60)들의 하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드럼부재(82)를 갖추고, 상기 드럼부재(82)에는 아노드 표면의 돌출피막(34)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랩(84) 및 부러쉬(86)가 제공되는 돌출피막 제거부 (8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금셀내의 아노드 표면에 형성되는 돌출피막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제거토록 하여 강판의 전기도금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원활한 도금작업이 수행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도금, 도금강판, 아노드 피막, 피막 제거장치, 컨덕터롤

Description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AN APPARATUS FOR REMOVING PROJECTION TUNIC OF ANODE IN STRIP PLATING SHELL}
도 1은 일반적인 강판 도금셀 및 아노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강판 도금셀내에 배치되는 아노드의 표면에 발생되는 돌출피막 및 이를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에서 이동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분해사시도
(b)는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에서 돌출피막 제거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내부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의 정,역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장치 10.... 도금셀
20.... 컨덕터롤 22.... 디플렉터롤
30.... 아노드 40.... 베이스
42.... 가이드박스 44.... 덮개
46.... 몸체 60.... 이동부재
64.... 구동기어 66.... 랙기어판
80.... 피막 제거부 82.... 드럼부재
82a,82b....회전판 82c.... 원통몸체
84.... 스크랩 86.... 부러쉬부재
88.... 샤프트 90.... 연결블록
96.... 링크 98a.... 베어링블록
98b.... 지지블록
본 발명은 전기 도금셀내에 설치되는 가용성 아노드의 표면에 발생되는 돌출피막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제거함으로서, 강판의 전기도금작업을 보 다 원활하게 함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기 도금셀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의 표면을 도금하는 전기도금라인의 도금셀(110) 설비내에는 도금용액(112)이 충진되고, 그 내측으로 강판(S)이 상부 양측의 디프렉터롤(122)로서 감기어 이송되면서 전기도금을 수행토록 하는 컨덕터롤 (120)이 설치되고, 상기 컨덕터롤(120)의 양측으로 그 표면에서 일정하게 이격되어 아노드 브릿지(132)로서 아노드(130)가 배치되고, 별도의 부호로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컨덕터롤(120)과 아노드(130)에 전류를 공급해주는 전류공급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시 강판 즉, 소재강판(S)이 감기어 회전하는 컨덕터롤(120)에는 음극의 전류가 인가되고, 그 양측으로 이격 배치된 아노드(130)에는 양극의 전류가 인가되면, 아노드(130)와 컨덕터롤(120)과의 간격(G)사이에서 전기분해작용이 발생되면서 소재강판(S)의 표면에 Zn+2 이온 및 Fe+2 이온이 부착되면서 강판의 전기도금작업이 수행되며, 이때, 상기 아노드(130)는 가용성 아노드로서 전기분해작용에 의해 용해되는데, 이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덕터롤(102)과 아노드(130) 사이의 간격(G)은 소재강판(S)의 폭 길이에 따라 적정한 간격(G)을 유지하나, 통상 소재강판(S)의 폭이 800-1860㎜ 로 다양하게 변환되면서 작업을 진행 하는데, 소재강판 (S)의 폭이 넓은 상태에서 좁은 상태로의 작업이 진행되면 아노드 푸셔(미도시)는 좁은 폭에 대한 적정 간격(G)을 유지하기 위해서 아노드(130)를 밀게 되고, 반대로 소재강판(S)이 좁은 폭에서 넓은 폭으로 전환되면 넓은 폭에 대한 적정 간격(G)을 이를 때까지 아노드 푸셔는 정지상태로 있게 된다.
즉, 아노드 푸셔는 상기 아노드(130)가 녹아지는 정도에 따라 1회 10㎜씩 아노드(130)를 밀어서 컨덕터롤(120)과 아노드(130)사이의 간격(G)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통상 최대 푸싱(PUSHING)길이는 200㎜ 정도이다.
또한, 소재강판(S)의 폭이 넓은 폭에서 좁은 폭으로 좁아지면 아노드(130)는 빠른속도로 이동하고 좁은 폭에서 넓은 폭으로 전환되면 넓은 폭에 대한 아노드 (130)와 컨덕터롤(120)사이의 적정 간격(G)이 될때 까지 아노드(130)의 이동은 정지시킨다.
그런데, 전기도금 과정에서는 슬러지(SLUDGE)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슬러지를 발생시키는 것은 한계 전류 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인데, 이온농도 감소, 유속저하, 점도상승, 극간거리증대, 온도 저하, 급작 스런 스피드 하락, 높은 전류 밀도등에 기인하고, 특히 용액 PH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아노드(130)의 녹는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슬러지 발생율이 높다.
결국, 발생된 슬러지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상기 아노드(130)와 컨덕터롤(120)사이의 간격(G) 사이를 막아 버리게 되고, 이 는 도금셀(110)내에 충진된 도금용액(112)의 흐름을 차단시키어 용액(112)의 와류 현상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아노드(130)의 표면 및 양측 모서리부분에는 얇은 피막의 산인 돌출피막(140)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아노드(130)의 돌출피막(140)은 아노드 퓨셔가 아노드(130)를 이동시키는 경우, 소재강판(S)과 접촉하면서서 소재강판(S)의 표면에 스크라치 및 접촉흠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아노드(130)의 돌출피막(140)은 제거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아노드(130)의 돌출피막(132)을 제거하는 작업은 먼저, 작업자가 아노드 브릿지(132)를 다운시킨후, 얇은 피막의 산인 돌출피막(140)으로 인하여 곡율이 불량한 아노드(130')를 셀(110)내의 용액(112)을 덤프시키고 셀외부로 취외시킨다.
그 다음, 아노드(130)의 돌출피막(140)을 작업자(150)가 샌드페이퍼등으로 아노드(130)상의 돌출피막을 제거하거나, 아니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노드(130)를 취외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막대봉(160)을 이용하여 제거하는데, 이와 같은 아노드(130)의 돌출피막(140) 제거시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손쉽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노드 브릿지(132)를 장시간 다운 하게 되면 소재강판(S)의 에지 도금층 부분이 까맣게 타게 되는 한편, 도금층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소재강판(S)의 표면에 줄무늬가 발생되어 강판 도금이 불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판의 전기도금시 발생되는 슬러지로 인하여 아노드의 표면에 형성되는 돌출피막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제거토록 함으로서, 강판의 전기도금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원활한 도금작업이 수행되고, 특히 작업자의 수작업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강판의 전기도금을 수행토록 도금셀의 내측으로 설치된 컨덕터롤에 인접토록 브릿지로서 배치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강판을 도금토록 하는 도금셀의 아노드에 있어서, 상기 아노드의 양측에 배치되고, 전방에는 가이드박스가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가이드박스의 내측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한쌍의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들의 하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드럼부재를 갖추고, 상기 드럼부재에는 아노드 표면의 돌출피막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랩 및 부러쉬가 제공되는 돌출피막 제거부;로 구성된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에서 이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에서 돌출피막 제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의 정,역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아노드 피막 제거장치(1)는 크게 베이스(40)와 이동부재(60) 및,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부(80)로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각 구성요소(40)(60)(80)들을 각각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장치(1)는 강판의 전기도금을 수행토록 강판(S)이 통과하는 도금셀(10)의 내측으로 설치된 컨덕터롤 (20)에 인접토록 브릿지(32)로서 배치된 도금셀(10)의 아노드(3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인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장치(1)의 외곽으로는 강판(S)의 이송을 지지하는 디플렉터롤(22)이 위치된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장치(1)의 베이스(4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0)는 도금셀(10)의 측부에 도 면에서 도시하지 않은 연결대등으로 연결 고정되고, 이와 같은 베이스(40)는 여러개가 조합된 아노드(30)들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40)의 전방에는 가이드박스(4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0)는 아노드(30)의 양측으로 인접 배치되고 수평단(40a)을 갖는 ㄱ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베이스 (40)의 수평단(40a) 전방으로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박스(42)는 다시 덮개 (44) 및 몸체(46)로 나누어 진다.
즉, 상기 가이드박스(42)의 덮개(44)는 상기 베이스(40)의 수평단(40a)에 볼트 고정되고, 중앙부분에 개구(44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44)가 후방에 볼트 고정되는 상기 몸체(46)는 그 전방 내측면에 가이드돌부(46a)가 일체로 장착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박스(42)의 덮개(44)와 몸체(46)는 상기 아노드(30)의 곡율에 일치되어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장치(1)의 상기 이동부재(6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이동부재(60)는 상기 가이드박스(42)내에 이동토록 삽입되고, 상기 이동부재(60)에는 상기 가이드박스 몸체(46)의 가이드돌부(46a)가 끼워지면서 이동부재(60)의 이동을 정확하게 하는 안내홈(62)이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60)의 후면에는 상기 베이스 덮개(44)의 개구(44a)를 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40)의 수평단(40a)내에 베어링(B)을 개재하여 모터 (64a)구동토록 삽입 장착된 회전축(46b)에 고정되는 구동기어(64)가 맞물리는 호형 의 랙기어판(66)이 볼트 고정되어 있어, 상기 이동부재(60)는 상기 모터(64a) 구동시 상기 가이드박스(42)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토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60)의 상,하측에는 가이드박스(42)의 상,하측에 설치된 센서(L)를 작동시키는 센서감지바(T)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이동부재(60)의 상하 이동폭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센서(L)는 제어판넬을 통하여 상기 이동부재(60)의 상하 이동을 수행토록 하는 구동모터(64a)와 전기적으로 작동토록 연결되어 있다.
다음, 도 3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장치(1)의 피막 제거부(80)를 도시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피막 제거부(80)는 상기 이동부재(60)들의 하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드럼부재(82)를 갖추고, 상기 드럼부재(82)에는 아노드 표면의 돌출피막(34)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랩(84) 및 부러쉬(86)가 제공된다.
그리고,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부(80)의 드럼부재(82)는, 상기 이동부재(60)들의 하단부에 각각 수평 고정된 구동모터(86a)와 실린더(86b)사이에 2단으로 연결된 샤프트(88a)(88b)에 고정 및 회전토록 지지된 회전판(82a)(82b)과 그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원통몸체(82c)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단 샤프트(88a)(88b)의 단부에 고정 및 유동가능하게 지지된 연결블록(90a)(90b)에 일단이 힌지(92a)(92b) 연결되고 서로 X자로 핀(94a) 고정되고, 상기 드럼부재(82)에 형성된 개구(82d)를 통하여 돌출되는 2단 링크(96a)(96b)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샤프트(88b)에는 실린더(86b)가 연결되어 실린더 작동시 상기 스크랩(84)이 상기 드럼부재(82)의 방사상으로 이동토록 되어 아노드(30)의 표면에 형성된 피막을 제거토록 한다.
또한,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단 샤프트(88a)(88b)중 제 1 샤프트 (88a)은 상기 구동모터(86a)와 커플링(86c)으로서 연결되고, 상기 제 1,2 샤프트(88a)(88b)의 일측 및 타측단부에는 제 1 샤프트(88a)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지지홈(89a) 및 고정단(89ba)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샤프트(88a) (88b)는 상기 이동부재(60)의 하단부 모서리에 일체로 장착된 베어링블록(98a)과 니들베어링(98c)이 장착되어 샤프트의 직선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블록(98b)에 각각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이는 제 1 샤프트(88a)는 모터로서 구동되고, 제 2 샤프트(88b)는 실린더(86b)에 연결되어 직선 이동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S)의 전기도금시 도금셀(10)내에 배치되는 아노드(30)의 표면에 도금셀(10)내의 슬러지에 의하여 발생되는 피막이 쌓이는 돌출피막에 의하여 도금되는 강판(S)의 표면에 스크래치와 같은 표면결함을 발생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 상기 돌출피막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제거토록 한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1) 는 다음과 같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장치(1)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인 장치(1)는 아노드(3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부재(60)의 이동으로 이동하는 드럼부재(82)상의 스크랩(84)(도 5b)와 부러쉬(86)가 드럼부재(82)의 회전으로 구동되면서 아노드(30)의 면에 형성된 돌출피막을 제거토록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인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장치(1)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도금되는 강판(S)의 표면에 결함이 발생되면, 아노드(30)에 형성된 돌출피막에 의한 것인가를 확인한 후, 본 발명의 장치(1)를 가동시키는데,결국에는 드럼부재(82)를 회전시키어 스크랩(84)과 브러쉬(86)를 구동시키어 돌출피막을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도 3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부재(82)의 이동 즉, 아노드(3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드럼부재(82)의 샤프트(88)가 하단부에 베어링블록(98a) 및 지지블록(98b)으로서 지지되는 이동부재(60)의 상하 이동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도 3 및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금셀(10)의 측방에 설치된 한쌍의 베이스(40)의 가이드박스(42)내에 삽입 지지되는 이동부재(60)는 베이스(40)의 수평단(40a)에 설치된 구동모터(64a)를 작동시키면 일체로 구동되는 구동기어(64)가 상기 이동부재(60)의 후면에 고정된 랙기어판(66)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60)는 가이드박스(42)내에서 그 상,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박스(42)에 장착된 가이드돌부(46a)는 상기 이동부재(60)의 전면에 형성된 안내홈(62)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이동부재(60)의 상하 이동은 좌우측 방향으로의 흔들림없이 일정하게 하고, 특히 상기 가이드박스(42)와 이동부재(60)와 각 가이드돌부(46a)와 안내홈(62)은 상기 아노드(30)의 곡율과 일치되도록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60)의 상,하측에는 가이드박스(42)의 상,하측에 설치된 센서(L)를 작동시키는 센서감지바(T)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재(60)의 상하 이동폭은 상기 센서(L)에 의하여 조정되고, 결국 상기 이동부재(60)의 최하강 및 최상승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면, 상기 이동부재(60)의 전체 길이도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박스(42)내에서 이동 최상단 또는 하단에서 안정적으로 이동 및 정지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다음,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부재(82)의 작동을 살펴보면, 일측 이동부재(60)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모터(86b)를 가동시키면, 이에 커플링으로 연결된 제 1 샤프트(88a)가 일체로 회전하여 회전판(82a)을 회전시키고, 결국 상기 회전판(82a)에 고정된 원통몸체(82c)와 이에 타측단부에 고정된 다른 회전판(82b)은 다음에 설명하는 제 2 샤프트(88b)에 베어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부재(82)에 설치된 스크랩 (84)과 부러쉬(86)는 일체로 구동하면서 아노드(30)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피막을 제거하는데, 물론 상기 스크랩(84)으로 먼저 돌출피막을 1차적으로 제거한후, 브러쉬(86)로서 2차적으로 제거토록 하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샤프트(88b)에 연결된 실린더 (86b)를 가동시키면, 제 2 샤프트(88b)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 (60)의 하단부에 설치된 지지블록(98b)의 니이들베어링(98c)으로서 직선운동하여 상기 제 1,2 샤프트(88a)(88b)의 단부에 고정 및 유동가능하게 지지된 연결블록 (90a)(90b)에 일단이 힌지(92a)(92b) 연결된 2 단링크(96a)(96b)를 벌어지게 하고, 결국 상기 2단링크들은 핀(94a)으로 X자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부재(82)에 형성된 개구(82d)를 통하여 돌출되는 2단 링크(96a)(96b)의 단부에 연결된 상기 스크랩(84)을 드럼부재(82)의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하면서 아노드(30)의 표면 돌출피막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2단 샤프트 즉, 제 1 샤프트(88a)는 구동모터(86a)로서 회전 작동되고, 상기 제 2 샤프트(88b)는 실린더(86b)로서 직선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 1,2 샤프트(88a)(88b)의 일측 및 타측단부에는 제 1 샤프트(88a)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지지홈(89a) 및 고정단(89b)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아노드(30)상의 돌출 피막을 제거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장치(1)에 의하면 극히 용이하게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신속하게 이노드 돌출피막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에 의하면, 강판의 전기도금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강판 도금층의 표면에 표면결함 예를 들어, 스크라치,접촉흠,트립등의 현상이 발생되면, 본 발명의 장치를 가동시키어 아노드 표면의 돌출 피막부분을 제거함으로서, 도금 강판의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아노드의 사용기간을 연장시키어 도금설비의 가동율을 높이는 한편, 작업자의 수작업이 필요없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강판의 전기도금을 수행토록 도금셀(10)의 내측으로 설치된 컨덕터롤(20)에 인접토록 브릿지(32)로서 배치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강판을 도금토록 하는 도금셀의 아노드(30)에 있어서,
    상기 아노드(30)의 양측에 배치되고, 전방에는 가이드박스(42)가 설치된 베이스(40);와,
    상기 베이스 가이드박스(42)의 내측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한쌍의 이동부재(60); 및,
    상기 이동부재(60)들의 하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드럼부재(82)를 갖추고, 상기 드럼부재(82)에는 아노드 표면의 돌출피막(34)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랩(84) 및 부러쉬(86)가 제공되는 돌출피막 제거부(80);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40)는 아노드(30)의 양측으로 인접 배치되고 수평단(40a)을 갖는 ㄱ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박스(42)는, 상기 베이스(40)의 수평단(40a)에 볼트 고정되고, 중앙부분에 개구(44a)가 일체로 형성된 덮개(44); 및,
    상기 덮개(44)가 후방에 볼트 고정되며, 전방 내측면에 가이드돌부(46a)가 일체로 장착되고, 아노드(30)의 곡율에 일치되어 호형으로 형성되는 몸체(46)로 구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박스(42)내에 이동토록 삽입되는 이동부재(60)는, 상기 가이드박스 몸체(46)의 가이드돌부(46a)가 끼워지는 안내홈 (62)이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상기 베이스 덮개(44)의 개구(44a)를 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40)의 수평단(40a)내에 베어링(B)을 개재하여 모터 구동토록 삽입 장착된 구동기어(64)가 맞물리는 호형의 랙기어판(66)이 볼트 고정되어 모터 구동시 가이드박스(42)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재(60)의 상,하측에는 가이드박스(42)의 상,하측에 설치된 센서 (L)를 작동시키는 센서감지바(T)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노드 돌출피막 제거부(80)의 드럼부재(82)는, 상기 이동부재(60)들의 하단부에 각각 수평 고정된 구동모터(86a)와 실린더(86b)사이에 2단으로 연결된 샤프트(88a)(88b)에 고정 및 회전토록 지지된 회전판(82a)(82b)과 그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원통몸체(82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재(82)는, 상기 2단 샤프트 (88a)(88b)의 단부에 고정 및 유동가능하게 지지된 연결블록(90a)(90b)에 일단이 힌지(92a)(92b) 연결되고 서로 X자로 핀(94a) 고정되고 상기 드럼부재(82)에 형성된 개구(82d)를 통하여 돌출되는 2단 링크(96a)(96b)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샤프트(88b)에는 실린더(86b)가 연결되어 실린더 작동시 드럼부재 (82)의 방사상으로 유동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샤프트(88a)(88b)중 제 1 샤프트 (88a)은 상기 구동모터(86a)와 커플링(86c) 연결되고,
    상기 제 1,2 샤프트(88a)(88b)의 일측 및 타측단부에는 제 1 샤프트(88a)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고정단(89a) 및 지지홈(89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2 샤프트(88a)(88b)는 상기 이동부재(60)의 하단부 모서리에 일체로 장착된 베어링블록(98a)과 니들베어링(98c)이 장착되어 샤프트의 직선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블록(98b)에 각각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KR1020010055420A 2001-09-10 2001-09-10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KR10055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420A KR100554736B1 (ko) 2001-09-10 2001-09-10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420A KR100554736B1 (ko) 2001-09-10 2001-09-10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460A KR20030022460A (ko) 2003-03-17
KR100554736B1 true KR100554736B1 (ko) 2006-02-24

Family

ID=2772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420A KR100554736B1 (ko) 2001-09-10 2001-09-10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811B1 (ko) * 2001-12-05 2006-03-14 주식회사 포스코 아노드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572117B1 (ko) * 2001-12-22 2006-04-18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도금용 아노드의 곡률측정 및 클리닝 장치
KR100920602B1 (ko) * 2002-11-01 2009-10-0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전기도금용 아노드의 산화피막 제거장치
KR100960378B1 (ko) * 2002-11-15 2010-05-28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899A (ja) * 1989-11-08 1991-07-01 Kawasaki Steel Corp 電気亜鉛めっきラインにおけるアノード表面析出物除去方法
JPH09241894A (ja) * 1996-03-06 1997-09-16 Kawasaki Steel Corp アノードバスケットのスラッジ除去方法および装置
KR100196095B1 (ko) * 1992-02-07 1999-06-15 사토 히로시 전기도금방법, 금속박의 제조장치 및 전기도금용 분할형 불용성전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899A (ja) * 1989-11-08 1991-07-01 Kawasaki Steel Corp 電気亜鉛めっきラインにおけるアノード表面析出物除去方法
KR100196095B1 (ko) * 1992-02-07 1999-06-15 사토 히로시 전기도금방법, 금속박의 제조장치 및 전기도금용 분할형 불용성전극
JPH09241894A (ja) * 1996-03-06 1997-09-16 Kawasaki Steel Corp アノードバスケットのスラッジ除去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460A (ko) 200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3752B (zh) 滚筒用镀敷方法及装置
KR100554736B1 (ko)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CA1309377C (en) Plating cell with edge masks
US5762767A (en) Automatic transferring and processing apparatus of cathode and method thereof
CA11067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romium electroplating of bars
KR100843944B1 (ko) 도금 설비의 강판 이물질 제거장치
KR101987938B1 (ko) 용융아연 도금 설비의 롤 스크래퍼 장치
US3133007A (en) Plating apparatus
CN102933751B (zh) 滚筒用镀敷装置
KR100732686B1 (ko) 도금강판 제조공정의 전도롤 표면 이물질 처리장치
CN211958584U (zh) 一种用于回收废旧线缆内金属的剥皮装置
KR100948909B1 (ko) 도금강판 제조공정의 전도롤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EP0765953B1 (en) Strip treating apparatus
KR100554749B1 (ko) 블록 단위별 위치조정이 가능한 아노드 브릿지 장치
KR200159509Y1 (ko) 아연-니켈 도금작업시의 금속슬러지 유도제거장치
JPH078471B2 (ja) 電気めっきストリップの縁部仕上げ装置
KR101027276B1 (ko) 스트립 표면의 잔류수 제거장치
CN115976582B (zh) 一种降低电解铜箔撕边异常的生产设备
KR20020001943A (ko) 강판 전기도금용 전도롤의 콜렉터링 연마장치
CN213945076U (zh) 一种船舶加工用钢架切割装置
KR100758437B1 (ko)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CN219861642U (zh) 一种电镀液循环式电镀槽
CN117144448B (zh) 一种光伏线缆表面覆层电解处理装置
KR100959010B1 (ko) 전기도금용 아노드 교환장치
KR100768308B1 (ko) 아연도금용 아노드 표면의 피막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