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378B1 -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378B1
KR100960378B1 KR1020020071202A KR20020071202A KR100960378B1 KR 100960378 B1 KR100960378 B1 KR 100960378B1 KR 1020020071202 A KR1020020071202 A KR 1020020071202A KR 20020071202 A KR20020071202 A KR 20020071202A KR 100960378 B1 KR100960378 B1 KR 100960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plating
fixed
tank
colle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631A (ko
Inventor
여원구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37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42An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6Filtering particles other than 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욕조의 브릿지에서 새로운 애노드에 의해 폐애노드가 밀리는 순간 작동하여 애노드 표면에 발생된 니켈피막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제거장치는 도금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도금욕조로 순수아연도금과 아연-니켈합금도금을 함께 병행하여 사용하게 될 때, 순수아연 애노드에 형성된 니켈피막을 제거할 수 있도록 폐애노드가 밀려나오면 장치의 작동을 개시하게 하는 작동개시부와, 폐애노드에 밀착된 후 전달된 동력에 의해 폐애노드 표면에 형성된 니켈피막을 제거하는 스크랩퍼부와, 스크랩퍼부로 동력을 전달하고 제거된 니켈피막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부와, 수집된 니켈피막 오염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20071202
도금, 애노드, 니켈피막, 제거, 스크랩퍼

Description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nickel film shaped anode in plating tan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가 설치된 도금설비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의 작동개시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의 작동개시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의 수집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의 수집부 하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의 수집부 및 스크랩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의 수집부 및 스크랩퍼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의 스크랩퍼부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의 스크랩퍼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종래 도금욕조를 도시한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 : 브릿지 25 : 푸셔대
27 : 회전중심축 28 : 회전관
30 : 수집탱크 31 : 구동모터
32 : 배관축 32a : 수집구멍
33 : 교반날개 37 : 연결지지관
45 : 수집날 47 : 스크랩퍼촉
49 : 유입구 50 : 유출구
51 : 차단판
본 발명은 강판의 도금 공정에 사용되는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전극의 하나인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을 제거하는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의 제조는 강괴 또는 강편과 같은 소재를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에 끼우고 롤의 간격을 점차 좁히면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강판이 산화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재료 또는 강판의 표면 반응의 요소를 억제하는 재료를 강판의 표면에 도금한다.
도금을 위한 방법으로는 공기 중의 산증기 제거를 이용한 환경조건의 제어 방법, 표면 상태를 안정화하는 재료 또는 표면 반응의 요소를 억제하는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방법, 도금이나 도장을 이용하여 표면을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는 방법 및 희생전극(또는 불활성 전극)을 이용하는 전기 화학적 제어방법이 있다.
이러한 도금방법이 실시되는 도금장치는 전해액이 담겨지는 도금욕조가 구비되며, 도금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도금욕조로 순수아연도금과 아연-니켈합금도금을 함께 병행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도 10은 종래 도금장치의 일부인 도금욕조를 우측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금장치는 도금용액이 담긴 도금욕조(1) 내부를 스트립이 통과하면서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며, 도금욕조(1) 내부에는 애노드 브릿지(2)가 설치되어 전원으로부터 양극(+)의 전류가 공급되고, 스트립이 감기는 전도롤(3)에는 전원으로부터 음극의 전류가 공급된다.
이러한 도금장치에서 스트립이 애노드 브릿지(2)와 전도롤(3) 사이를 통과하면 도금용액 중의 금속이온이 스트립의 표면에 부착되어 도금작업을 이루게 되는 것이며, 한 도금욕조로 순수아연도금과 아연-니켈 합금도금을 병행하여 작업하는 데 있어 기존에는 아연-니켈합금 도금 작업후 순수니켈 애노드는 도금욕조 브릿지에서 인출후 다음 아연-니켈합금도금 작업할 때까지 따로 보관하여 재사용하며, 폐순수(pure)아연 애노드는 도금욕조에서 인출후 쇠브러쉬나 치공구 등을 이용하여 니켈피막을 제거한 후, 재활용 애노드업체에 인도된다.
재사용 가능한 기존의 도금욕조 내부의 폐애노드(4)는 도금욕조(1)에서 인출후 쇠브러쉬나 치공구 등을 이용하여 수입후 다시 브릿지(2)에 기존 배열대에 안착 시킨다. 그리고 플러싱용액(물과 염산이 혼합된 용액)을 차지(charge)하여 순환시키고, 애노드 상부 니켈피막을 녹여내는 작업을 해준다.
이러한 플러싱작업이 완료되면 아연도금액을 도금욕조에 차지 순환하여 순수아연도금작업을 해주는 데 있어 기조의 이러한 불완전한 수작업에 의한 방법으로 순수아연애노드에 니켈성분이 많이 잔존되어 있어 순수아연도금작업시 니켈성분 혼입에 의한 도금줄무늬 발생과 도금 코팅된 성분에 있어 소량의 니켈성분이 발생되어 도금표면색상 불균일 등의 표면 품질 불량이 발생되며 수작업에 의한 애노드 상부 니켈피막 제거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경과된다.
따라서 모드 변경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 중 더스트 발생과 칩비산에 의한 중금속분진 확산에 따른 대기환경오염의 문제와 작업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77762호에서는 다량의 슬러지와 함께 니켈피막이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고 전자석에 의한 니켈피막이 부착되어 제거작업을 해야만 하고, 컬랙터탱크 내부의 슬러지와 니켈피막이 원활히 빠져 나가지 않고 침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도금욕조의 브릿지에서 새로운 애노드에 의해 폐애노드가 밀리는 순간 작동하여 애노드 표면에 발생된 니켈피막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 성된 피막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피막 제거장치는,
도금용액이 채워진 도금욕조의 내부에 다수개의 애노드가 연속해서 배치된 브릿지를 포함하는 도금설비에서, 상기 도금욕조의 내부에 전후진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브라켓에 연결되어 탄지되고 타단이 상기 애노드 중에서 가장 우측으로 밀려나는 폐애노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면에 랙기어가 형성되는 푸셔대와, 상기 하우징브라켓에 연결된 연결브라켓에 양단이 지지되는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에 삽입된 채 회전 가능하며 상호 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회전관과,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고 다수개의 회전관 중 양단에 위치한 회전관에 고정되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되는 작동개시부; 상기 회전관에 연결되는 수집탱크와, 상기 수집탱크에 설치된 구동모터에서 벨트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수집탱크의 중심에서 회전하고 다수개의 수집구멍이 형성되는 배관축과, 상기 배관축에 고정되어 수집탱크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니켈피막 오염물을 교반시키는 다수개의 교반날개와, 상기 배관축의 끝에 연결되고 수집탱크를 막는 탱크커버와, 상기 수집탱크의 상단에 고정되는 랙기어링으로 구성되는 수집부; 상기 탱크커버에 고정되어 탱크커버와 함께 회전하고 대향되는 양측에 측면지지대가 고정되며 유입구와 유출구가 연통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크랩퍼몸체와, 상기 측면지지대에 양단이 지지된 채 일단이 상기 랙기어링에 치합되어 탱크커버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수집날과, 상기 수집날의 인접한 위치인 스크랩퍼몸체에 탄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폐애노드에 형성된 니켈피막 오염물을 긁어내는 다수개의 스크랩퍼촉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와 유출구을 차단 또는 연통시키는 차단판으로 구성되는 스크랩퍼부; 및 상기 배관축에 연결되는 배출배관 및 배출호스와, 상기 배출호스에 연결되는 배출펌프 및 슬러리 필터와, 상기 슬러리 필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는 탱크로 구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가 설치된 도금설비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금욕조(11)의 내부에는 도금용액이 채워진 상태이고, 그 내부에 전도롤(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도롤(12)의 하부에는 도금욕조(11)를 가로질러 브릿지(13)가 한쌍으로 설치되며, 그 브릿지(13)에 다수개의 애노드(14)가 연속해서 배치된다.
애노드(14)는 도금욕조(11)의 일측에 설치된 푸셔실린더(15)에 의해 밀려지게 되는 데, 새로운 애노드(14a)가 기 설치된 애노드의 맨 앞에 위치시키고, 푸셔실린더(15)의 로드를 확장하여 밀어낸다.
가장 우측에 위치한 폐애노드(14b)는 푸셔실린더(15)의 작동에 따라 우측으로 밀려나고, 밀려난 폐애노드(14b)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에 의해 니켈피막이 제거된다.
피막 제거장치는 폐애노드(14b)가 밀려나오면 장치의 작동을 개시하게 하는 작동개시부와, 폐애노드(14b)에 밀착된 후 전달된 동력에 의해 폐애노드(14b) 표면에 형성된 니켈피막을 제거하는 스크랩퍼부와, 스크랩퍼부로 동력을 전달하고 제거된 니켈피막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부와, 수집된 니켈피막 오염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작동개시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욕조(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지지대(16) 및 고정지지대(17)와, 고정지지대(17)의 프레임(18)에 설치된 좌우실린더(19)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실린더프레임(20)과, 실린더프레임(20)에 설치된 전후진실린더(21)에 의해 슬라이딩지지대(16)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크로스브라켓(22)과, 크로스브라켓(22)의 양측에 고정된 하우징브라켓(23)에 내장되는 하우징(24)과, 이 하우징(24)의 내부에 일단이 탄지되고 타단이 상기한 폐애노드(14b)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면에 랙기어(25a)가 형성되는 푸셔대(25)와, 상기 하우징브라켓(23)에 고정된 연결브라켓(26)과, 연결브라켓(26)에 양단이 지지되는 회전중심축(27)과, 이 회전중심축(27)에 삽입된 채 회전 가능하며 상호 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회전관(28)과, 상기한 랙기어(25a)에 치합되고 다수개의 회전관(28) 중 양단에 위치한 회전관(28)에 고정되는 피니언기어(28a)로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개시부의 구성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한 좌우실린더(19)와 실린더프레임(20)은 수직으로 연결되며, 실린더프레임(20)에는 전후진실린더(21)가 설치되어 좌우실린더(19)와 전후진실린더(21)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 이다.
그리고 연결브라켓(26)의 끝에는 베어링블록(29)이 고정되고, 이 베어링블록(29)에 회전중심축(27)이 고정되며, 양 끝에 위치한 2개의 회전관(28)은 베어링블록(29)의 베어링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작동개시부와 연결되어 푸셔대(25)의 랙기어(25a)와 피니언기어(28a)의 치합에 의해 푸셔대(25)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림에 따라 180도(°) 회전하여 폐애노드(14b)에 접근하게 되는 수집부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부는 작동개시부의 회전관(28)에 연결되는 수집탱크(30)와, 수집탱크(30)에 설치된 구동모터(3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수집탱크(30)의 중심에서 회전하는 배관축(32)과, 배관축(32)에 고정되어 수집탱크(30)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니켈피막 오염물을 교반시키는 다수개의 교반날개(33)와, 배관축(32)의 끝에 연결되고 수집탱크(30)를 막는 탱크커버(34)와, 수집탱크(30)의 상단에 고정되는 랙기어링(35)과, 수집탱크(30)의 내부에 설치되어 니켈피막 오염물을 하부로 인도하는 깔대기형 베이스링(36)으로 구성된다.
회전관(28)과 수집탱크(30)를 연결하기 위해서, 일단이 회전관(28)에 고정되는 연결지지관(37)은 그 타단에 댐퍼하우징(38)이 고정되고, 댐퍼하우징(38)의 내부에서 일단이 탄지되는 댐퍼브라켓(39)은 그 타단이 수집탱크(30) 하부에 고정된 베어링블록(40)에 고정된다.
상기 배관축(32)은 다수개의 교반날개(33)의 사이에 수집구멍(32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집탱크(30)의 내부로 수집된 니켈피막 오염물은 수집구멍(32a)을 통해 배관축(32)으로 유입되고 후술하는 배출부를 통해 탱크로 유입된다.
그리고 배관축(32)은 하부에 2단 풀리가 설치되어 제1풀리(41)는 구동모터(31)의 회전축과 벨트로 연결되고, 제2풀리(42)는 인접한 수집부의 배관축(32)에 설치된 풀리와 벨트로 연결된다.
상기 탱크커버(34)가 수집탱크(30)의 내부에서 지지된 채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집탱크(30)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탱크커버(34)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회전지지홈(43)이 형성된다.
깔대기형 베이스링(36)은 수집탱크(30)의 내부 상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배관축(32)의 중심이 통과되는 수집탱크(30)의 저면 중심부에 타단이 고정된다.
이러한 수집부의 탱크커버(34)에 고정되는 스트랩퍼부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부의 탱크커버(34)에 고정되어 탱크커버(34)와 함께 회전하면서 폐애노드(14b)에 형성된 니켈피막을 긁어내는 것으로, 측면지지대(44)에 양단이 지지된 채 일단이 상기 랙기어링(35)에 치합되어 탱크커버(34)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수집날(45)과, 수집날(45)의 인접한 위치인 스크랩퍼몸체(46)에 설치되어 폐애노드(14b)에 형성된 니켈피막 오염물을 긁어내는 다수개의 스크랩퍼촉(4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크랩퍼몸체(46)는 도 8을 기준으로 탱크커버(34)의 상면에 고정되고, 그 대향되는 양측에 측면지지대(44)가 고정된다.
일측의 측면지지대(44)에는 수집날(45)의 회전축(48)과 2개의 지지축이 지지되고, 각 지지축에는 기어가 고정되며, 이들 기어는 상호 치합되고, 최하측의 기어 는 상술한 랙기어링(35)에 치합된다.
그리고 스크랩퍼몸체(46)는 횡방향으로 유입구(49)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49)의 내측에 수집날(45)이 위치한다.
또한 스크랩퍼몸체(46)에는 횡방향으로 유출구(50)도 형성되며, 이 유출구(50)는 수집탱크(30)의 내부와 연통된다. 유출구(50)에는 관통구가 형성된 차단판(51)이 승하강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수집부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며 차단판(51)의 관통구는 유입구(49)와 유출구(50)를 상호 연통시킨다.
유입구(49)의 입구측에는 스크랩퍼촉(47)이 설치된다. 스크랩퍼촉(47)은 스크랩퍼몸체(46)에 탄성지지된다.
한편, 배출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부의 배관축(32)에 로터리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는 배출배관(52)과, 배출배관(52)에 퀵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는 배출호스(53)와, 배출호스(53)에 연결되는 배출펌프(54) 및 슬러리 필터(55)와, 슬러리 필터(55)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는 탱크(56)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막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먼저 니켈피막을 제거하기 위해서 콘트롤러(57)에서 장치의 작동을 온시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좌우실린더(19)를 작동하여 실린더프레임(20)을 위치를 잡고, 전후진실린더(21)를 적절하게 확장하여 슬라이딩지지대(16) 위의 하우징브라켓(23)이 슬라이딩되면서 조금 앞으로 전진하여 푸셔대(25)가 적절한 위치에 오도록 한다.
그 다음, 푸셔실린더(15)의 작동으로 새로운 애노드(14a)가 브릿지(13)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 가장 우측에 위치한 폐애노드(14b)가 밀려나게 되고, 밀려나면서 푸셔대(25)의 하단을 밀게 된다.
이렇게 푸셔대(25)의 이동이 되면서 제거장치의 작동이 시작된다.
푸셔대(25)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밀리면, 랙기어(25a)에 치합된 피니언기어(28a)가 회전하면서 상부를 향하고 있던 스크랩퍼부와 수집부가 180도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스트랩퍼부의 스크랩퍼촉(47)이 폐애노드(14b) 표면에 밀착되고, 스크랩퍼몸체(46)의 차단판(51)이 하강하면서 유입구(49)와 유출구(50)를 연통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31)가 회전하게 되면, 벨트를 통해 배관축(32)으로 구동력이 전달되어 배관축(32)이 회전하게 되고, 배관축(32)의 회전에 따라 교반날개(33)와, 탱크커버(34)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탱크커버(34)가 회전하게 되면, 탱크커버(34)에 고정된 스크랩퍼부도 배관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함께 회전하게 되는 데, 랙기어링(35)에 치합된 피니언기어(28a)가 회전함으로써 상호 치합된 기어들도 회전하게 되고, 수집날(45)도 회전하게 된다.
스크랩퍼부의 회전에 의해 스크랩퍼촉(47)이 폐애노드(14b) 표면에서 회전하면서 니켈피막을 긁어내게 된다. 이때 니켈피막은 점성이 놓은 상태에 젤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랩퍼촉(47)에 의해 긁혀지면, 쉽게 제거된다.
제거된 니켈피막 오염물은 유입구(49)의 수집날(45)에 의해 흡입되어 유출구(50)로 빠져나가게 되고, 계속 밀려 들어오는 니켈피막 오염물에 의해 니켈피막 오염물은 유출구(50)의 내부에 점점 쌓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좌우실린더(19)가 확장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작동개시부의 일부와 수집부와 스크랩퍼부를 이동시키면 폐애노드(14b)에 형성된 니켈피막을 모두 제거하게 된다. 제거작업이 종료되면, 좌우실린더(19)가 축소하여 실린더프레임(2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어서 전후진실린더(21)가 축소하게 되어 크로스브라켓(22)이 축소되고, 하우징브라켓(23)은 슬라이딩지지대(16)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후진하게 된다.
그러면, 연결브라켓(26)과 연결된 회전관(28)도 후진하게 되는 데, 회전관(28)의 후진에 따라 회전관(28)에 고정된 피니언기어(28a)가 푸셔대(25)의 랙기어(25a)와 치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중심축(27)을 중심으로 연결지지관(37)이 회전하게 된다.
연결지지관(37)의 회전에 의해 수집부와 스크랩퍼부는 180도 역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차단판(51)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유출구(50)와 유입구(49)의 연통을 차단하고, 수집탱크(30)에 유출구(50)에 채워진 니켈피막 오염물은 수집탱크(30)로 유입된다.
수집탱크(30)로 유입된 니켈피막 오염물은 회전되고 있던 교반날개(33)에 의해 교반되면서 하강하고, 배관축(32)에 형성된 수집구멍(32a)을 통해 배관축(32)의 내부로 유입된 후 하강하게 되며, 하강된 니켈피막 오염물은 용액과 함께 배출부에 의해 탱크로 유입된다.
즉, 니켈피막 오염물을 함유한 용액이 배출펌프(54)에 의해 배출배관(52), 배출호스(53)를 거쳐 배출되고, 슬러지 필터(55)에서 니켈피막 오염물이 필터링된 후 탱크(56)에 저장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폐애노드가 제거되기 위해 우측으로 빠져나가는 순간에 장치가 작동하여 폐애노드 표면에 형성된 니켈피막을 제거해주므로써, 종래 순수 아연도금작업시 문제로 발생되었던 니켈성분 혼입에 의한 도금줄무늬발생과 도금 코팅된 성분에 있어 소량의 니켈성분이 발생되어 도금표면색상 불균일 등의 표면 품질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니켈피막 제거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이고, 모드 변경에 관련된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아울러 작업중 더스트 발생과 칩비산에 의한 작업자 안전사고 발생에 따른 위험과 중금속분진 확산에 의한 대기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Claims (4)

  1. 도금용액이 채워진 도금욕조의 내부에 다수개의 애노드가 연속해서 배치된 브릿지를 포함하는 도금설비에 있어서,
    상기 도금욕조의 내부에 전후진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브라켓에 연결되어 탄지되고 타단이 상기 애노드 중에서 가장 우측으로 밀려나는 폐애노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면에 랙기어가 형성되는 푸셔대와, 상기 하우징브라켓에 연결된 연결브라켓에 양단이 지지되는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에 삽입된 채 회전 가능하며 상호 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회전관과,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고 다수개의 회전관 중 양단에 위치한 회전관에 고정되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되는 작동개시부;
    상기 회전관에 연결되는 수집탱크와, 상기 수집탱크에 설치된 구동모터에서 벨트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수집탱크의 중심에서 회전하고 다수개의 수집구멍이 형성되는 배관축과, 상기 배관축에 고정되어 수집탱크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니켈피막 오염물을 교반시키는 다수개의 교반날개와, 상기 배관축의 끝에 연결되고 수집탱크를 막는 탱크커버와, 상기 수집탱크의 상단에 고정되는 랙기어링으로 구성되는 수집부;
    상기 탱크커버에 고정되어 탱크커버와 함께 회전하고 대향되는 양측에 측면지지대가 고정되며 유입구와 유출구가 연통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크랩퍼몸체와, 상기 측면지지대에 양단이 지지된 채 일단이 상기 랙기어링에 치합되어 탱크커버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수집날과, 상기 수집날의 인접한 위치인 스크랩퍼몸체에 탄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폐애노드에 형성된 니켈피막 오염물을 긁어내는 다수개의 스크랩퍼촉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와 유출구을 차단 또는 연통시키는 차단판으로 구성되는 스크랩퍼부; 및
    상기 배관축에 연결되는 배출배관 및 배출호스와, 상기 배출호스에 연결되는 배출펌프 및 슬러리 필터와, 상기 슬러리 필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는 탱크로 구성되는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브라켓을 전후 및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금욕조의 내부에 좌우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실린더의 로드 끝에 고정되는 전후진실린더는 그 로드 끝이 상기 하우징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니켈피막 오염물을 하부로 인도하기 위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수집탱크의 내부 상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배관축의 중심이 통과되는 수집탱크의 저면 중심부에 타단이 고정되는 깔대기형 베이스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과 수집탱크를 연결하기 위해서, 일단이 상기 회전관에 고정되는 연결지지관은 그 타단에 댐퍼하우징이 고정되고, 상기 댐퍼하우징의 내부에서 일단이 탄지되는 댐퍼브라켓은 그 타단이 상기 수집탱크 하부에 고정된 베어링블록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KR1020020071202A 2002-11-15 2002-11-15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KR100960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202A KR100960378B1 (ko) 2002-11-15 2002-11-15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202A KR100960378B1 (ko) 2002-11-15 2002-11-15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631A KR20040042631A (ko) 2004-05-20
KR100960378B1 true KR100960378B1 (ko) 2010-05-28

Family

ID=3733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202A KR100960378B1 (ko) 2002-11-15 2002-11-15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5126B (zh) * 2021-01-21 2022-08-12 南安市恒创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便于运输桶内表面清洁的收缩式清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6200A (ja) * 1990-09-05 1992-04-16 Kawasaki Steel Corp 電気めっきにおける金属イオンの供給装置
JPH0565685A (ja) * 1991-09-06 1993-03-19 Toho Aen Kk 陽極スライム除去装置
KR20030022460A (ko) * 2001-09-10 2003-03-1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KR20030046260A (ko) * 2001-12-05 2003-06-12 주식회사 포스코 아노드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0047299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전기도금용 아노드의 피막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6200A (ja) * 1990-09-05 1992-04-16 Kawasaki Steel Corp 電気めっきにおける金属イオンの供給装置
JPH0565685A (ja) * 1991-09-06 1993-03-19 Toho Aen Kk 陽極スライム除去装置
KR20030022460A (ko) * 2001-09-10 2003-03-1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도금셀내의 아노드 돌출피막 자동 제거장치
KR20030046260A (ko) * 2001-12-05 2003-06-12 주식회사 포스코 아노드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0047299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전기도금용 아노드의 피막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631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2858B2 (ja) ローラ洗浄方法およびローラ洗浄装置
CN209917380U (zh) 一种废弃机床润滑油高效过滤回收装置
CN115745118B (zh) 一种制浆废液的预处理系统及方法
DE102008015162B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Tiefdruckzylindern
KR100960378B1 (ko) 도금설비의 애노드에 형성된 피막 제거장치
CN220183410U (zh) 一种电泳超滤液回收装置
CN211159583U (zh) 一种油漆生产用搅拌装置
CN212944639U (zh) 一种生态环境修复装置
CN215823073U (zh) 一种重金属螯合剂的合成装置
KR101482260B1 (ko) 슬러지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도금욕조
CN215939164U (zh) 一种化工废液缸用废渣处理装置
CN113913901A (zh) 一种单面电镀装置及其电镀工艺
CN212119627U (zh) 一种便于冲刷的化妆品乳化设备
CN216946495U (zh) 一种汽车零部件电泳污水环保处理装置
CN220941486U (zh) 一种钢管的防腐涂层装置
KR100768308B1 (ko) 아연도금용 아노드 표면의 피막 제거장치
CN208617508U (zh) 一种电子线路板生产净化水二次利用装置
CN218725903U (zh) 一种润滑油粘度调试设备
CN217871645U (zh) 一种高效刮腻子机
CN217449230U (zh) 一种矿山废水处理装置
CN218175107U (zh) 工件电泳前磷化装置
CN216305287U (zh) 一种室内装修用腻子刮涂器
CN216946536U (zh) 一种选矿药剂生产废水的处理设备
CN219009937U (zh) 水上水厂水处理池的排泥装置
CN218365616U (zh) 一种桥梁施工用喷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