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361B1 -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 및/또는 상기 속눈썹 및/또는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용구 - Google Patents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 및/또는 상기 속눈썹 및/또는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361B1
KR100553361B1 KR1020030013807A KR20030013807A KR100553361B1 KR 100553361 B1 KR100553361 B1 KR 100553361B1 KR 1020030013807 A KR1020030013807 A KR 1020030013807A KR 20030013807 A KR20030013807 A KR 20030013807A KR 100553361 B1 KR100553361 B1 KR 100553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rotruding
elements
protruding elements
eyela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243A (ko
Inventor
그레장-루이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202767A external-priority patent/FR2836800B1/fr
Priority claimed from FR0203140A external-priority patent/FR2837077B1/fr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03007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05Bristle carriers and bristles moulded as a uni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48Eyelash curlers; Eyebrow 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A46B2200/106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including comb like element

Landscapes

  • Brush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께 꼬인 두 가닥의 브랜치로 만들어진 코어로 이루어지지 않은 지지체 및 축(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1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요소열이,
- 서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세개 이상의 연속적인 돌출 요소들(12a, 12b)로 된 적어도 제1 그룹(15);
- 상기 제1 그룹 외부에 있으며, 갭(16)에 의해 제1 그룹(15)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돌출 요소열의 축을 따라서 상기 제1 그룹의 세개의 돌출 요소들(12a) 사이의 간격(e)보다 더 큰 거리(d)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제4 돌출 요소(12a)를 포함하는,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 및/또는 상기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 및/또는 상기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용구{A device for combing and/or brushing the eyelashes and/or the eyebrows, and/or for applying makeup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구성하는 빗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6은 돌출 요소들을 분배할 수 있는 다른 여러 가지 방법중 몇가지 예를 매우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포장 겸용 도포 용구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7a는 닦이고 있는 빗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19는 빗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0은 돌출 요소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1 내지 39는 빗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포장 겸용 도포 용구의 축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 내지 45는 본 발명의 용구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메이컵의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 내지 49는 새로운 메이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용구의 다른 예를 단편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은 도 46 내지 49의 용구 중 하나로 얻을 수 있는 메이컵의 예를 나타 낸다.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겸용 도포 용구의 축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한 용구의 브러쉬의 측면도이다.
도 53은 도 52를 Ⅲ-Ⅲ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54, 55, 56 및 57은 변형된 노치 형태를 나타낸다.
도 58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는 도 58을 Ⅸ-ⅩI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60은 와이퍼 오리피스의 외곽선을 나타내는, 도 53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61 및 62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구현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3은 도 62를 XⅢ-XⅢ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64 내지 67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68 및 69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0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구성하는 브러쉬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1은 도 80의 XXI 상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7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구성하는 브러쉬의 측면도이다.
도 73은 도 72의 XXⅢ-XXⅢ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74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구성하는 브러쉬의 측면도이다.
도 75는 도 74의 XXV-XXV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7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상응하는 브로쉬의 엔벨로프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77은 상기 도 76의 브러쉬를 축 중심으로의 4분의 1만큼 회전시킨 후의 엔벨로프를 나타낸다.
도 78은 서로에 대하여 꼬인 두개의 개별 코어들을 권취하여 형성한 코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9 내지 81은 얻을 수 있는 메이컵 효과에 대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과 같은 케라틴성 파이버를 빗질 및/또는 여기에 화장품, 특히 마스카라를 도포하기 위한 용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 특히 마스카라를 도포하기 위한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여러 종류의 도포기들이 하기의 특허 출원에 제안되며, 그 내용은 그 전체가 인용으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EP 1 070 465, EP 1 070 466, EP 1 070 467, EP 1 070 468, EP 1 115 303, EP 1 115 304, EP 1 115 305, EP 1 157 629, EP 1 157 632, EP 1 169 942 및 FR 2 810 861.
출원 제GB-A-2 170 996호에는 그의 축 둘레의 나선형 경로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노치를 갖는 브러쉬와 그 둘레의 사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일련의 노치를 갖는 브러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출원 제GB-A-2 170 996호의 주제는 속눈썹이 서로 달라붙지 않으면서 마스카라를 속눈썹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마스카라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속눈썹 및/또는 눈썹들이 메이컵으로 이미 코팅되었더라도 다른 메이컵 효과를 상기 속눈썹 및/또는 눈썹들 상에 실현시킬 수 있는 용구의 혜택을 필요로 한다.
다른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태양중 하나에서, 본 발명은 함께 꼬인 두가닥의 브랜치로 만들어진 코어 이외의 지지체와, 축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1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요소열이,
- 서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세개 이상의 연속적인 돌출 요소로 된 적어도 제1 그룹(15);
- 상기 제1 그룹 외부에 있으며, 갭, 특히 상기 제1 그룹의 세개의 돌출 요소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돌출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갭에 의해 제1 그룹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돌출 요소열의 축을 따라서 상기 제1 그룹의 세개의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보다 큰 거리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제4 돌출 요소를 포함하는,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 및/또는 상기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용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돌출 요소는 임의적인 형태와 배향을 갖는 기저부를 경유해서 지지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의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은
- 함께 꼬인 두 가닥의 브랜치로 만들어진 코어로 이루어지지 않은 지지체의 종축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열된 1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을 포함하며,
- 상기 돌출 요소열은 서로 인접한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로 된 적어도 제1 그룹을 가지며, 갭(16)에 의해 제1 그룹(15)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그룹의 외부에 있는 제3 돌출 요소는 종축을 따라서 측정했을 때 상기 제1 그룹의 서로 인접한 두개의 돌출 요소 사이의 간격보다는 넓고 상기 제1 그룹의 종축을 따라 측정한 길이보다는 짧은 거리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 및/또는 상기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용구를 제공하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 종축을 따라서 연장되며 그의 일측에 위치한 면을 갖는 하나의 길다란 지지체;
- 상기 지지체, 특히 상기 면에 연결된 기저부를 갖는 1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 및
- 상기 지지체의 종축에 대하여 기울어지지 않도록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기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요소열은 서로 인접한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그룹을 가지며, 상기 제1 그룹 외부에 있는 제3 돌출 요소가 갭, 특히 상기 제1 그룹의 돌출 요소들중 어느 것과 동일한 돌출 요소를 가지지 않으며 종축을 따라서 측정했을 때 상기 제1 그룹의 두개의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거리 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갭에 의해 제1 그룹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 및/또는 상기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용구를 제공한다.
그러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이 세개 이상의 돌출 요소를 갖는 경우에 상기 제1 그룹의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이 반드시 일정해야 할 필요는 없다. 일 예로서, 상기 지지체는 돌출 요소들 모두가 연결된 단일 면을 가질 수 있거나, 돌출 요소 모두가, 예를 들면 교대로 연결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두 면을 가질 수 있다.
두개의 돌출 요소 사이의 간격은 바로 그 돌출 요소 각각이 하나의 상단부를 갖는 경우에 그의 팁에서 측정될 수 있다. 각 돌출 요소가 그의 상부에서 복수개의 말단을 갖는 경우에, 예를 들어 각 돌출 요소가 상기 지지체에 있는 홀에 삽입된 각각의 브리슬의 수술(tufts)로 이루어진 두개 이상의 상단 브랜치에 존재하는 경우에,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은 그의 기저부에서 또는 홀의 축들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지된 도포기를 이용해서는 달성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메이컵 효과, 특히 속눈썹 또는 눈썹모 중 일부가 다발을 형성하는 메이컵 효과를 매우 얻을 수 있다.
각각의 돌출 요소는 종축을 따라서 길게 뻗어있을 수 있으며, 그의 종축에 대하여 수직한 면에서 길다랗게 뻗어 있지 않은 횡단면을 갖는 기저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 요소는 지지체의 종축에 대하여 기울어져서 연장되지 않는다.
또한, 각 돌출 요소는 종축을 따라서 수직인 면에서, 길다랗게 뻗어있으면서 지지체의 종축에 대하여 기울어져서 연자오디지 않는 횡단면, 즉 상기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돌출 요소열의 축과 실질적으로 제로각을 이루는 방향에서 길다란 횡단면을 갖는 기저부를 가질 수 있다.
돌출 요소열의 축은 돌출 요소들이 연결되어 있는 지지체의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할 것이다.
제1 그룹 외부의 돌출 요소는 돌출 요소들의 제2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제1 그룹 외부의 돌출 요소는 상기 갭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에 의해 제2 그룹 내에서 인접한 다음의 돌출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로서, 이만큼의 간격은 제1 그룹에 있는 적어도 두개의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돌출 요소들의 제1 그룹은 돌출 요소열의 축을 따라서 상기 갭의 길이보다 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될 것이다.
상기 지지체의 종축은 직선형이거나 비직선형일 수 있다.
상기 열은 직선형이거나 비직선형인 축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그룹중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와 상기 제1 그룹 외부의 돌출 요소는 열의 축을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복수개의 피치로 된 각자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그룹 외부의 돌출 요소가 상기 제1 그룹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거리는, 예를 들면 상기 피치의 2배 또는 3배일 수 있다.
이 용구는 규칙적으로 벌어져 있는 복수개의 돌출 요소 그룹을 포함할 수 있 다. 어느 하나의 돌출 요소 그룹에서부터 인접한 다른 그룹까지의 거리는 일정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돌출 요소들 모두는 동일한 형태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이 용구는 형태가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를 갖는 돌출 요소열을 가질 수 있다.
이 용구는, 돌출 요소열을 그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실질적으로 삼각형을 갖는 티쓰(teeth)로 구성된 돌출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2개 이상의 티쓰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이 용구는, 돌출 요소열을 그의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관찰했을 때 모두가 삼각형이며 적어도 두개는 높이 및/또는 기저부 폭이 서로 다른 1열의 티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용구는 2개 이상의 돌출 요소 그룹과 이들 그룹 사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릴리프 부분(portion in relief)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릴리프 부분은, 예를 들면 메이컵을 제1 돌출 요소 그룹과 상기 그룹 외부에 있는 돌출 요소들 사이에 위치해 있는 갭에 쉽게 보유할 수 있다.
돌출 요소열을 그의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 상기 돌출 요소들 중 적어도 2개는 그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V자형인 그루브를 한정할 수 있다. 그러한 그루브의 기저부는, 예를 들면 상기 그루브를 한정하는 돌출 요소들이 연결된 지지체로부터 비제로(non-zero) 거리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이 용구는 2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돌출 요소열은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해 있으며, 세개의 돌출 요소들중 가장 가까운 돌출 요소로부터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긴 간격만큼 떨어져 있는 제4 돌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열의 열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1열 이상의 돌출 요소들과 다른 열의 돌출 요소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 요소중 적어도 하나는 릴리프 부분 및/또는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돌출 요소중 적어도 하나는 변형예 또는 추가적인 예로서 플로킹을 가질 수 있다.
돌출 요소 그룹에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이 그룹에 있는 다른 요소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돌출 요소의 높이는, 예를 들면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범위에 있다.
돌출 요소열에 있는 돌출 요소는 실질적으로 일렬로 된 기저부를 가질 수 있다. 기저부가 "실질적으로 일렬"이라는 하는 것은 연속되는 돌출 요소의 기저부 각각의 일부가 연속적인 돌출 요소의 기저부를 통과하며 돌출 요소들이 배치된 지지체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라인의 제1 면 상에 배치되며, 연속적인 돌출 부분의 기저부 각각의 다른 부분은 대향면, 즉 상기 라인의 제2 면 상에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일렬인 기저부를 갖는 돌출 요소를 갖는 본 발명의 구체적이고 비제한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연속적인 돌출 요소는 연속적인 돌출 요소의 기저부 각각의 중심을 직선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세개의 연속적인 돌출 요소의 기저부의 중심은 동일한 직선 상에 있을 수 있다.
1열의 돌출 요소는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대향면 상에 적어도 일부가 번갈아서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일련의 돌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는 각각 돌출 요소를 가지고 있는 두 부분을 포함하며, 이 부분들은 서로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서 사용자가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움직임이 가능한 이들 두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하학적 분리 표면에 의해 이격될 수 있으며, 지지체의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서로에 대하여 변환하여 움직일 수 있다.
1열의 돌출 요소는 벽의 제1 측면에 놓여있는 돌출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벽은 상기 제1 측면과 대향면에 있으며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지지체 연결되어 있는 제2 측면을 갖는다.
또한, 이 용구는 기저부 부분을 통해 함께 연결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돌출 요소들은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보다 짧은 길이에 걸쳐서 상기 기저부 부분에 연결된 지지체 상에 배치된다.
돌출 요소의 지지체는 통공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두 영역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한정하며, 1열 이상의 돌출 요소는 상기 영역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다른 영역쪽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이 지지체는 개구부 둘레가 폐쇄될 수 있다. 지지체는 평면이거나 아닐 수 있다.
상기 돌출 요소열은 지지체에 장착된 브리슬의 수술로 이루어진 돌출 요소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지지체는 함께 꼬인 두개의 와이어 브랜치로 이루어진 코어와는 다르다. 이 지지체는 브리슬의 수술이 고정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홀을 가질 수 있다.
돌출 요소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1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에 있는 돌출 요소들이 모두 플라스틱 물질의 몰딩에 의해 지지체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함께 만들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 물질은 필러, 예를 들면 접촉하는 케라틴성 파이버 상에서의 돌출 요소의 슬라이딩 특성을 개선하는 물질,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그라파이드, 실리콘, 이황화 몰리브덴 및 그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된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러는 마그네틱 입자 및/또는 살균제(biocidal agent), 예를 들면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용구는 한쪽에 핸들 요소가, 다른 한쪽에는 1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이 연결된 지지체가 구비된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지지체는 엘라스토머 물질 또는 일부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 막대와 일체로 몰딩되거나 막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용구는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도포될 메이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이컵은, 예를 들면 와이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 용기에 수납될 것이다. 와이퍼 부재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립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요소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물질은 립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물질보다 더 단단할 수 있다.
와이퍼 부재는 적어도 전술한 갭에 메이컵 덩어리를 남기도록 고안될 수 있다. 예로서, 와이퍼 부재는 상기 갭에 현저하게 개입되는 일이 없도록 고안되어 있으므로 돌출 요소가 있더라도 갭 안에 개입되지 않는다.
돌출 요소가 연결된 지지체는 와이퍼 부재가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고안된 말단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메이컵은, 예를 들면 액체와의 접촉시에 분산되기 적합한 케이크 형태일 수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메이컵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 마스카라를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도포하는 단계; 및
- 분리되지 않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모 그룹이 형성되도록 전술한 용구를 이용해서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메이컵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 전술한 바와 같은 용구의 돌출 요소에 상기 갭에 존재하는 메이컵을 로딩하는 단계; 및
- 분리되지 않은 두개 이상의 속눈썹 및/또는 눈썹모 세트를 형성하도록 메이컵이 로딩된 갭을 속눈썹 및/또는 눈썹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갭에 속눈썹모 및/또는 눈썹모를 놓아서 상기 갭에 있는 메이컵을 합해질 속눈썹모 및/또는 눈썹모 상에 부착시킬 수 있다.
다른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 및/또는 상기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용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용구는,
- 속눈썹모 및/또는 눈썹모를 분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하나 이상의 제1 돌 출 요소 그룹, 및
- 상기 그룹 외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요소의 그룹과 상기 그룹 외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가 그들 사이로 속눈썹모 및/또는 눈썹모를 분리시키지 않고 그들 사이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속눈썹모 및/또는 눈썹모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빗(comb)으로서, 상기 빗은 열의 축을 따라서 연장되며 열의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티쓰로 된 적어도 1열의 티쓰를 포함하며, 상기 열은 빗의 한쪽 말단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형태, 특히 기울기 및/또는 높이가 서로 다른 두개의 이상의 티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형예 또는 추가예에서, 열의 티쓰를 모두 그의 팁 또는 기저부에서 측정했을 때의 서로간의 간격이 열에 있는 모든 티쓰에 대해서 일정하지 않게 배열될 수 있다. 그의 티쓰 사이에서, 빗은 서로 다른 형태의 간극(interstice)을 나타냄으로써 새로운 메이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할 수 있는 용구를 제공하는데, 이 용구는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연결된 1열 이상의 티쓰를 포함하고, 상기 면은 지지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 요소는 속눈썹이 메이컵으로 코팅되어 미분리된 속눈썹 다발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속눈썹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갭을 형성하도록 고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용구는 매우 넓은 간격으로 벌어져 있고 갯수는 예를 들면 6 내지 15개, 바람직하게는 약 10개인 1열 이상의 일련의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두개의 돌출 요소 간의 간격은 2.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 정도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용구는 지지체의 종축 상에 일렬로 배열된 두개의 티쓰로 각각 이루어진 일련의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연속되는 두개의 그룹들 사이의 간격은 그룹 내에 있는 돌출 요소 간의 간격보다 넓다. 티쓰가 지지체의 종축을 따라서 일렬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그룹 내의 두개의 돌출 요소를 횡단하는 직선은 상기 종축에 대하여 평행할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용구는 두개의 돌출 요소로 된 일련의 그룹을 포함하며, 그룹 내의 돌출 요소 각각은 그룹의 다른 돌출 요소쪽으로 배향된다. 두개의 돌출 요소의 두개의 말단은 서로 충분히 근접해 있어서 속눈썹이 그들 사이로 쉽게 통과할 수 없다.
용구를 지지체의 종축에 대하여 수직하게 관찰했을 때 돌출 요소들이 연결된 지지체의 한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거나 오목면이거나 볼록면일 수 있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메이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마스카라를 도포하는 단계; 및
- 미분리된 속눈썹모 및/또는 눈썹모의 그룹을 형성하도록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전술한 바와 같은 용구를 이용하여 빗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메이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 돌출 요소들 사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갭에 존재하는 메이컵을 전술한 바와 같은 용구의 돌출 요소에 로딩하는 단계; 및
- 적어도 두 가닥 이상의 미분리된 속눈썹모 및/또는 눈썹모로 된 셋트를 형성하도록 상기 메이컵이 로딩된 갭을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메이컵을 케라틴성 파이버에 도포하기 위한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이 브러쉬는
- 코어;
- 상기 코어로부터 그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브리슬; 및
- 브리슬을 가지고 있는 브러쉬의 부분의 길이의 절반 미만의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는 노치를 횡단하는 면에서 비구형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태양의 다른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이 브러쉬는
- 코어;
- 상기 코어로부터 그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브리슬; 및
- 브리슬을 가지고 있는 브러쉬의 부분에 만들어지며, 그의 적어도 일 영역에 길이가 실질적으로 제로인 브리슬을 갖는 하나 이상의 노치를 포함한다.
길이가 실질적으로 제로인 브리슬을 갖는 브러쉬의 부분은 브러쉬를 따라서, 브리슬을 가지고 있는 브러쉬 부분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에에 있어서, 노치는 브러쉬의 코어 둘레에서 모든 방향으로 연장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이컵을 균일하지 않은 방식으로 브러쉬에 로딩할 수 있으며 새로운 메이컵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브러쉬는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도포될 메이컵을 수납하는 용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용기는 브러쉬가 용기로부터 이탈할 때 상기 브러쉬를 닦아내는 와이퍼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퍼 부재는 메이컵을 노치에 남기도록 고안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와이퍼 부재는 적어도 브러쉬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면에, 노치를 횡단하는 안쪽 외각선을 가질 수 있다.
브러쉬는 노치에서 불완전하게 닦여질 수 있으며, 브러쉬를 용기로부터 꺼낸후 노치에 존재하는 메이컵은 메이컵할 때 속눈썹모 또는 눈썹모 다발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노치는 브러쉬의 길이의 일부에만 걸쳐서 연장되기 때문에, 브리슬은 잘 닦여져서 소량의 메이컵만이 그 상부에 잔류하게 되며, 속눈썹모 또는 눈썹모의 분리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와이퍼 부재는 원형 외각선을 갖는 와이퍼 오리피스, 특히 반경이 노치의 기저부를 한정하는 브리슬의 적어도 일부의 코어로부터 측정된 길이보다 더 긴 오리피스를 한정한다.
노치는 브러쉬를 따라 움직일 때 형태가 일정한 횡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며, 특히 전체 노치는 브러쉬를 따라 움직일 때 일정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노치는 실질적으로 방사상인 하나 이상의 면, 특히 실질적으로 방사상인 두면에 의해 주변부가 한정될 수 있다.
또한, 노치는 브러쉬의 코어에 대해 수직인 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면, 특히 브러쉬의 코어로부터 멀어지면서 분기되는 두면에 의해 축방향으로 한정될 수 있다.
코어를 횡단하여 연장되어 있는 단면에서, 노치는 360°보다 작은 각도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노치는 브러쉬의 축 주변에서 20° 내지 200° 범위에 있는 각도 한계, 특히 40° 내지 50°; 110° 내지 130°; 170° 내지 190°의 각도 범위중 어느 하나의 각도 한계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노치는 축 크기보다 큰 주변부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노치는 브러쉬를 따라 1.5㎜ 내지 6.5㎜의 범위, 특히 2.5㎜보다 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로서, 노치의 최대 깊이는 2.5㎜ 내지 4㎜이다.
노치는 브리슬을 가지고 있는 브러쉬 부분의 길이의 4/10 보다 짧은 길이, 예를 들면 상기 길이의 3/10보다 짧은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브러쉬는 상기 정의된 두개 이상의 노치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브러쉬는 임의로 주변부를 벗어난 두개 이상의 노치를 가질 수 있다. 브러쉬는 직경 방향에서 정반대인 두개 이상의 노치를 가질 수 있다. 두개 이상의 노치가 축 방향에서 벗어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브러쉬는 주변부와 축방향 모두에서 벗어난 두개 이상의 노치를 가질 수 있다.
브러쉬의 축에 대하여 수직인 하나 이상의 면에서 관찰했을 때 브러쉬는 세개의 노치를 가질 수 있다.
브러쉬는 코어로부터 측정한 길이가 3.5㎜ 내지 9㎜ 범위인 브리슬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브리슬의 직경은 0.06㎜ 내지 0.4㎜일 수 있다.
브러쉬는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정면이 원형인 엔벨로프 표면, 특히 원통형 또는 원추형인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브러쉬는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다각형 정면을 갖는 엔벨로프 표면, 특히 실질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정다면체의 프리즘상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브러쉬의 대부분은 속눈썹을 분리하기에 적합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노치에 의해 한정된 부피는, 예를 들면 노치의 외부에 있는 브러쉬의 엔벨로프에 의해 한정되는 부피보다 2 이상의 지수만큼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브러쉬는 핸들 부재에 연결된 제2 말단을 갖는 막대의 제1 말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핸들 부재는 용기 상에, 예를 들면 기밀한 방식으로 고정되기에 적합할 것이다.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브러쉬는 함께 꼬인 두 가닥 이상의 와이어 브랜치로 이루어진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코어는 두개의 개별적인 브러쉬의 각 코어를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를 권취하여 각각의 코어가 서로에 대하여 꼬이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코어는 종래의 방식에 따라 함께 꼬인 두 가닥의 와이어 브랜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쉬는 복수개의 노치와 하나 이상의 꼬인 코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노치들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측정된 거리는 코어가 꼬인 피치와는 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브러쉬는 측면에서 브러쉬가 관찰 방향에 대하여 제1 방향에 있을 때는 노치가 전혀 보이지 않는 반면, 브러쉬가 동일한 관찰 방향에 대하여 제2 방향에 있을 때는 브러쉬의 상부와 하부 엣지에 실질적으로 번갈아 배치된 노치를 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때 상기 제2 방향은 브러쉬를 막대의 축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부터 1/4 회전만큼 회전시켜서 얻은 방향이다.
브러쉬의 코어는 직선형이 아닐 필요가 있는데, 특히 접근시에 증가하는 각도에 의해 막대의 축에 대하여 브러쉬의 자유 말단을 기울일 수 있다. 이처럼 기울어져 있으면 브러쉬가 더욱 인체공학적이 될 수 있다.
와이퍼 부재는 엘라스토머 물질로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립을 포함할 수 있다.
노치는 브러쉬의 코어 둘레에서 모두 연장될 수 있다.
브리슬을 절단하여 노치(들)를 만들 수 있다.
변형예로서, 브리슬을 용융시켜서 노치(들)를 만들 수 있다.
감지되는 정도의 나선형 효과를 나타내지 않도록 브러쉬를 만들 수 있다: " 나선형 효과"라는 용어는 브리슬이 실질적으로 나선형인 시트에서 연장되는 경향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나선형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코어의 브랜치가 함께 꼬일 때 서로 엉키지 않도록 브리슬을 선택할 수 있는데, 예로서 브리슬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예를 들면 15/100㎜ 이하일 수 있으며, 중공형일 수 있으며,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원형이 아닌 횡단면, 특히 하나 이상의 세로 방향의 그루브를 나타내는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브러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 가열했을 때 용융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진 브리슬을 갖는 브러쉬를 제조하는 단계;
- 노치를 형성할 부피만큼의 브리슬을 용융시켜서 브러쉬에 하나 이상의 노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 도포될 메이컵, 특히 마스카라를 축적할 수 있으며 브리슬을 가지고 있는 브러쉬 부분의 길이의 절반에 못미치는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노치가 있는 브러쉬에 상기 메이컵을 로딩하는 단계; 및
- 한 다발 이상의 미분리된 속눈썹모 및/또는 눈썹모를 형성하도록 노치에 포함된 메이컵을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 노치에 메이컵을 잔류시키도록 고안된 와이퍼 부재가 구비된 용기로부터 꺼낸 메이컵을 브러쉬에 로딩한다.
속눈썹모 및/또는 눈썹모의 다발만을 형성하도록 메이컵을 속눈썹 또는 눈썹에 도포한다; 변형예로는 속눈썹모 또는 눈썹모의 다발을 형성할 뿐 아니라 상기 다발들 사이에 잘 분리된 속눈썹모 또는 눈썹모가 남도록 메이컵을 도포할 수 있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포장 겸용 도포 용구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 용구는
-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도포될 메이컵을 수납하는 용기;
- 코어 및 코어 주변에서 그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브리슬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가지며 노치를 횡단하는 면에서 임의의 형태를 갖는 횡단면을 나타내는 브러쉬; 및
- 상기 브러쉬가 용기로부터 이탈될 때 브러쉬를 닦아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노치에 메이컵을 잔류시키도록 고안되며 특히 적어도 브러쉬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면에 노치를 횡단하는 안쪽 외각선을 갖는 와이퍼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비제한적 구현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을 통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를 이루는 용구(1)의 측면도로서, 상기 용구는 동일하거나 그렇지 않은 돌출 요소(12a, 12b)가 연결되어 있는 지지체(11)를 갖는 빗(10)을 포함한다.
빗(10)은 막대(13; 부분적으로 도시)에 연결되고, 이것은 다시 후술하는 바와 같은 마개용 캡을 이룰 수도 있는 핸들 부재(미도시)에 연결된다.
빗(10)은 화장품, 예를 들면 마스카라를 다른 도포기, 예를 들면 브러쉬로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도포한 후 속눈썹 또는 눈썹을 빗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빗(10)은 메이컵을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도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먼저 메이컵을, 예를 들면 메이컵이 들어있는 용기에 침지시키거나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빗에 로딩한다.
도 1의 예에서, 돌출 요소(12a 및 12b)는 티쓰의 형태, 예를 들면 빗을 측면에서 관찰했을 때 일반적으로 삼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돌출 요소가 다른 형태를 갖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에 고정된 브리슬의 수술로 이루어지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돌출 요소(12a 및 12b)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예를 들면 지지체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1열 이상의 돌출 요소를 형성하도록 빗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요소열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간격(e)으로 배치된 연속적인 세개 이상의 돌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돌출 요소는 그룹(15)에 속하거나 그룹(15)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돌출 요소열이 상기 그룹 외부에 있는 적어도 4번째의 돌출 요소(12a)를 포함한다. 참조번호 12a는 그룹의 끝에 위치한 돌출 요소나 분리된 돌출 요소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반면, 참조번호 12b는 그룹의 끝에 위치하는 돌출 요소들(12a) 사이에 위치한 그룹의 돌출 요소(들)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4 돌출 요소는 제2 돌출 요소 그룹(15')에 속하며, 상기 그룹(15)의 적어도 세개의 돌출 요소중 가장 가까운 돌출 요소로부터 상기 제1 간격(e)보다 긴 제2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그룹(15)은 서로 상당히 촘촘하게 있으며 속눈썹 및/또는 눈썹모를 분리하기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돌출 요소(12a 및 12b)를 갖는다. 속눈썹 및/또는 눈썹모는 분리되지 않으면서 그룹(15 및 15')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도 2 내지 6은 돌출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들 사이의 간격중 몇가지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십자표가 돌출 요소 위치, 예를 들면 그의 팁이나 그의 기저부 위치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돌출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직선으로 나타내기는 하였지만 단일 평면에서는 곡선 또는 곡선이 아니거나 각을 가질 수 있는 라인 X를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도 2의 예에 있어서, 돌출 요소는 지지체(11)를 따라서 적어도 두개의 그룹(15, 15')을 형성하는데, 각각의 그룹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모가 그들 사이에 접촉될 때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촘촘한 돌출 요소들로 만들어진다. 그룹들(15 및 15')은 돌출 요소를 가지지 않는 갭(16)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갭에서 속눈썹 및/또는 눈썹모는 분리되지 않고 모여있을 수 있다. 빗질하기에 적합한 돌출 요소의 그룹의 존재와 관련된 갭(16)의 존재로 인해 본 발명의 용구는 속눈썹 및/또는 눈썹모의 일부가 함께 덩어리지도록 하면서 서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메 이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돌출 요소의 형태, 갯수 및 위치는 매우 다양할 수 있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는 있다.
도 1 및 2의 예에 있어서, 돌출 요소는 각 그룹(15 또는 15') 내에서 일정한 간격(e)으로 배열되는데, 즉 그룹(15 또는 15') 내의 돌출 요소(12a 및 12b) 모두는 돌출 요소열의 한쪽 끝에 위치한 돌출 요소(12a)의 위치와 일치하는 공통 출발점에서 측정했을 때 각각의 축 위치에서 라인 (X)을 따라서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위치는 각각 간격(e)의 정수배이다. 인접한 그룹은, 도 2의 예에서 간격(e)의 배수인 간격(d), 예를 들면 d = 2e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인접 그룹에 속해있는 인접한 돌출 요소(12a)들 사이의 거리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 도면에서, 갭(16)은 서로 다르며 모두 간격(e)보다는 큰 각각의 너비(d1 및 d2)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은 서로 다른 갯수의 돌출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임의의 한 그룹 내에서 또는 모든 그룹 내에서, 돌출 요소들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팁 또는 기저부가 일렬로 되어 있을 수 있지만, 그중 적어도 일부가 돌출 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라인을 포함하는 기하학적 분리 표면중 어느 한면 상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설명하면, 도 5는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대향면 상에 규칙적인 방법으로 다르게 배열된 일련의 돌출 요소로 이루어진 돌출 요소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배열된 1열의 돌출 요소들(12a 및 12b)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같은 면 위에 위치한 돌출 요소들은 모두 그대로 있는 반면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다른 면에서는 n개(n은 정수임)중 하나의 요소, 예를 들면 2개중 하나의 요소가 규칙적으로 생략된다. 도 5에서, 생략된 돌출 요소의 위치는 도트로 표시되는데, 이로써 제한되지는 않는다. 거리 (e 및 d)는 라인 X 상으로 돌출된 부분에 대하여 측정된다.
자연적으로, 갭(16)은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동일 면으로부터 모든 돌출 요소들을 제거하는 것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돌출 요소가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양면으로부터 제거된, 예를 들면 한 면에서 n(정수임) 중 하나의 돌출 요소와 대향면에서 m(정수임)중 하나의 돌출 요소가 제거된 돌출 요소들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m 및 n은 임의로는 동일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빗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는데는 물론, 메이컵을 다른 도포기로 도포한 후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빗은 소정량의 메이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예로서, 도 7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도포할 메이컵(P)을 포함하는 용기(21), 및 한쪽 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빗(10)으로 된 도포 요소가 구비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에는 용기(21)를 기밀하게 막을 수 있는 마개용 캡, 예를 들면 외부 나사산을 갖는 용기의 경부(22) 위에 마개를 돌려 막기에 적합한 마개용 캡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핸들 부재가 구비된 막대(31)를 가지고 있는 도포기(30)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와이퍼 부재(40)는 경부(22)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도포기가 용기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막대(31)와 도포 요소(10)을 닥아낸다. 상기 와이퍼 부재는 메이컵이 갭(들)(16)에 남겨지도록 한다.
돌출 요소, 예를 들면 빗(10)의 티쓰는 닦여지는 동안 편평하게 눕혀지지 않도록 충분히 단단하여야 하는데, 와이퍼 립의 엣지가 갭의 기저부에 닿을 수 없을 때문에 갭(16)에 메이컵을 축적시킬 수 있다. 빗을 따라서 메이컵을 불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는데, 빗질된 부분은 잘 닦여지는데 반해 빗질되지 않은 부분은 속눈썹이 함께 덩어리질 정도로 충분한 양의 메이컵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기의 다른 구현예를 하기에 기재한다.
도 8은 도 5를 들어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지지체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1열의 티쓰를 구비하며, 각 그룹의 티쓰는 기하학적 분리 표면에 양쪽 면에 서로 다르게 배치된 구조를 갖는 빗을 나타낸다. 연속된 모든 티쓰가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대향면에 다르게 연장되어 있는 1열의 티쓰에 비하여, 이 표면의 특정 면에 위치한 일부 티쓰를 제거하여 갭(50)을 형성한다.
도 8에서 보면, 돌출 요소(12a 및 12b)는 도포 요소의 종축에 평행하게 측정한 너비 방향의 티쓰 형태가 유리 말단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져서 빗을 말단쪽에서 관찰했을 때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대향면에 각각 위치한 두개의 인접한 돌출 요소가 실질적으로 V자 형태를 갖는 그루브(52)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티쓰의 기저부가 도시된 지지체의 종축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도 시된 것처럼, 도포 요소는 와이퍼(40)를 통과하기가 수월한 형태로 된 말단 부분과 기저 부분(54 및 55)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볼 때 이와 같은 말단 부분과 기저 부분은 돌출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도 9에 도시된 도포 요소는 도 8에 도시된 그룹(15 및 15') 각각에 티쓰가 빠져 있어서 추가의 티쓰 그룹과 갭들(16)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도 8에 도시된 도포 요소와는 다르다. 제거된 티쓰 모두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스페이스 면 상에 위치하지는 않는다.
도 10의 예에서, 도포 요소는 기저부가 일렬로 된 1열의 티쓰를 갖는다. 티쓰의 자유 말단은 도 6에 도시된 구조에서와 유사한 방식, 즉 각각의 티쓰 그룹 내에서 티쓰의 말단은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어느 한면 상에 연속해서 그리고 실질적으로는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도 11에 도시된 도포 요소는 기저부와 자유 말단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내에 위치한 1열의 티쓰를 포함한다. 티쓰의 기저부 위치는, 예를 들면 도 3 및 4에 도시된 구조중 하나와 유사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돌출 요소가 소정의 그룹 내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돌출 요소는 속눈썹 및/또는 눈썹 위에서 보다 용이하게 잡기 위한 릴리프 부분이나 각진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도 12는 각진 영역(63)을 포함하는 돌출 요소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보면, 돌출 요소가 연결된 지지체의 면(60)은 평면이 아닌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볼록하거나 실제로는 안으로 오목( 미도시)할 수 있다.
속눈썹을 분리하는 작용을 하는 돌출 요소들 이외에도, 도포 요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눈썹 위에 라인을 그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팁(6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도면은 갭(16)이 돌출 요소들의 그룹(15)과 분리된 돌출 요소(1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서로 다른 그룹(15 및 15')에 속하는 두개의 인접한 돌출 요소들(12a) 사이의 갭(16)은 릴리프 부분을 가질 필요가 전혀 없거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이컵을 잔류시키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릴리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릴리프(70) 중에 있는 이러한 부분(들)은 인접한 그룹의 돌출 요소와는 다른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티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짧은 티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릴리프(70) 부분(들)은 분리된 속눈썹을 인접한 돌출 요소(12a) 사이로 통과시키기에 상당히 부적합할 수 있다.
돌출 요소들의 소정 그룹 내에서, 돌출 요소들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하나 이상의 그룹의 돌출 요소들은 넓은 티쓰와 좁은 티쓰를 모두 포함하며, 티쓰 모두는 그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V자 형태인 그루브(71) 쌍들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5는 갭(16)이 지지체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부분중 일부에만 릴리프(70) 부분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포 요소는 1열 이상의 돌출 요소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 이상의 연속된 돌출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 도면에서는 도포 요소 가 제1 돌출 요소 계열(80) 및 상기 제1 계열과 실질적으로 대향면에 있는 제2 돌출 요소 계열(90)을 포함한다. 돌출 요소를 한 쪽에서 관찰했을 때 제1 계열(80)의 돌출 요소들중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는 볼록한 제1 라인(A)을 따라서 위치해 있는 자유 말단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계열(90)의 돌출 요소중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오목한 제2 라인(B)을 따라서 위치해 있는 자유 말단을 가질 수 있다. 제1 계열(80)의 돌출 요소들은, 예를 들면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메이컵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제2 계열(90)의 돌출 요소들은 속눈썹을 메이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6의 예에서, 제1 계열(80)의 돌출 요소들은 돌출 요소가 없는 갭(16)에 의해 분리된 두개 이상의 그룹(15 및 15')을 포함한다.
도 17 및 18에 도시된 도포 요소는, 오목한 라인(B)과 동일한 면 위에 위치한 돌출 요소들도 마찬가지로 갭(16)에 의해 분리된 두개 이상의 그룹(15 및 15')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16에 도시된 도포 요소와는 다르다.
그의 형태와 관계없이, 돌출 요소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킹(91)으로 코팅될 수 있다.
예로서, 돌출 요소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처럼 구부러져서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잡을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자유 말단(92)을 가질 수 있다.
도포 요소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에서 관찰했을 때 소용돌이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 열의 돌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돌출 요소는 인접한 면의 연장을 통해 지지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도 포 요소에 관해 더욱 상세한 것은 유럽 특허 EP-A-1 070 46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2는 복수개 열의 돌출 요소, 예를 들면 4열의 돌출 요소를 포함하는 도포 요소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열은 갭(16)에 의해 분리된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 그룹(15 및 15')를 포함하며, 상기 갭은, 예를 들면 노치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모든 열의 티쓰는 동일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각 열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의 축에 대하여 회전된 인접한 열의 이미지일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열이 서로 다를 수가 있는데,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갭(16)은, 지지체가 그의 축에 대하여, 예를 들어 당해 실시예에서처럼 1/4바퀴만큼 회전한 후 다른 열에 있는 갭(16)과 정확하게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돌출 요소는 열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다란 면을 갖는다.
돌출 요소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지지체에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돌출 요소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실린더 형태인 부분을 가지고 있어서 일종의 스파이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6은 도포 요소가,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출원 EP-A- 1 169 941호에 개시된 도포 요소와 유사한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대향 영역(101)을 가지고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지지체(100)를 포함하는 도포 요소를 나타낸다. 도 27은 화살표 XXVII를 따라 보이는 도 26의 도포 요소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돌출 요소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모양의 엣지를 갖는 벽(100)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데, 이 벽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길이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지지체에 연결되거나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의 기저 부분과 말단 부분에만 연결된다. 벽(110)과 지지체 사이에 기울기(111)가 제공되어 메이컵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체 길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걸쳐 연결된 벽의 엣지에 의해 한정된 돌출 요소를 갖는 도포 요소가 유럽 특허 출원 EP-A-1 157 629호 및 EP-A-1 157 632호에 도시되어 있는데, 그를 참고로 한다.
도포 요소는 도 30 내지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의 종축을 따라서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기에 적합한 두 부분(141 및 142)을 갖는 빗(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부분 각각은 티쓰(12a 및 12b)를 갖는다. 빗(140)의 평면도를 도 31에, 측면도를 도 32에 각각 나타낸다.
도 31에 있어서, 서로에 대한 부분의 첫 번째 상대적인 위치에서, 부분(141)의 티쓰는 부분(142)의 티쓰의 축방향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방향 위치를 점유할 수 있어서, 빗을 측면에서 관찰했을 때 단일열의 티쓰는 일정한 피치의 간격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분(141)이 부분(142)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때, 부분(141)의 티쓰는 부분(142)의 티쓰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며, 그들 사이에는, 도 32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에 대한 부분의 두 번째 상대적 위치에서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대향면에 실질적으로 번갈아 위치하는 1열의 티쓰가 얻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141)의 티쓰는 부분(141)의 두개의 티쓰 사이의 간격(e)의 정수배인 축 방향 위치에서 상기 표면을 따라 배치된다. 이것은 부분(142)의 티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부분(142)는 부분(141)보다 더 많은 티쓰를 갖는다. 부분(141 및 142)은 적절한 임의의 메카니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한 메카니즘의 예가 미국 특허 제5 086 793호에 나타나 있다.
도 32에 상응하는 구조에 있어서, 두 부분(141 및 142)은 실질적으로 e/2에 상응하는 거리를 통해 벗어나 있다.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를 갖는 티쓰를 이용하여 돌출 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33 및 34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삼각형 형태의 티쓰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3은 그의 연속적인 티쓰(12a 및 12b)가 그의 기저부에서 만나며 측면에서 관찰했을 때 중첩되지 않는 빗을 나타낸다. 그의 종축(L)에 대하여 각도가 α1인 기울기는 갖는 티쓰는 팁들이 간격(e)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돌출 요소들의 그룹(15)을 형성한다. 그의 종축에 대하여 α1보다 큰 각도 α2를 형성하는 기울기의 티쓰(12a)은 상기 그룹(15)에 대하여 갭(16)을 형성한다. 티쓰(12a)의 팁과 인접한 그룹(15) 내의 티쓰의 팁들 사이의 거리(d)는 거리(e)보다 크다.
일 예에서, 기울기가 α2인 티쓰(12a)는 칩을 통과하는 중앙평면에 대하여 형태가 대칭이고 도 33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것으로 나타나지만, 상기 티쓰는 형 태면에서는 비대칭일 수 있다.
열에 있는 티쓰중 일부는, 예를 들어 한면에서는 상대적으로 가파를 기울기를, 다른 면에서는 덜 가파른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4는 그룹(15)의 끝에 있는 이(12a)가 상기 그룹 내에 있는 티쓰(12b)에 인접한 면 상에서, 상기 그룹의 외부 상에 있는 면의 기울기 (각도가 α4)와는 다른 각도 α3의 기울기를 갖는 빗의 예를 나타낸다.
갭(16)은 도 3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비대칭적인 형태를 갖는 두개의 티쓰(1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 요소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요소가 Y자 형태인 경우인, 복수개의 상부 자유 말단을 가질 수 있다. 그룹 내의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e)은 그의 기저부 중심부 사이에서 측정된다.
두개의 그룹(15 및 15') 내의 두개의 요소들(12a)은 그룹(15) 내에 있는 두개의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e)보다 긴 거리(d)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갭(16)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갭(16)은, 예를 들어 돌출 요소(12a 또는 12b)의 기저부 부분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인접한 돌출 요소중 어느 하나보다는 짧은 릴리프(70) 형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요소로는 티쓰뿐 아니라 도 36 내지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꼬인 코어로 이루어지지 않은 지지체 상에 고정된 브리슬의 수술도 사용될 수 있다.
브리슬의 수술은 지지체 내의 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유럽 특허 EP-A-1 155 63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를 스탬핑해서 그 안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고정 수단도 사용될 수 있는데, 브리슬의 수술을 접착제나 스태이플(staple)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속눈썹을 분리하기에 적합한 돌출 요소의 그룹들 사이의 갭(16)은 브리슬 전체가 생략되거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형성되는 것이다.
브리슬의 말단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는 평면인 표면 상에 있거나,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쪽으로 통상 오목한 표면에 있거나,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를 형성하는 표면에 있거나,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표면에 있을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 홀은 홀이나 브라인드 홀과 통해 있을 수 있으며, U자 형태로 접혀져서 지지체 안에 삽입된 브리슬 다발은 지지체의 한면 상에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의 양면 상에 브리슬의 수술이 형성되도록 상기 루프들을 임의로 절단할 수 있다.
도 36 내지 39는 그의 기저부에서 측정한 연속적인 세개의 브리슬 수술 사이의 간격(e)은 일정하며, 브리슬의 각 수술은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요소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포기는 엘라스토머 립이 아니라, 예를 들면 구멍이 뚫린 발포 블록(130)을 포함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이컵(P)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에 부착될 소정의 파이버(132)일 수 있다.
도 41 내지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눈썹 및/또는 눈썹모가 함께 뭉쳐서 다발을 형성하는 메이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포 요소 내의 갭(들)(16)은 속눈썹을 분리시키지 않으면서 속눈썹 위에 소정 간격 벌어진 위치에 부착되는 상당히 다량의 메이컵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속눈썹과 함께 다발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속눈썹을 분리할 수 있는 돌출 요소가 상기 갭(들)(16)에 없기 때문이다. 속눈썹이 함께 다발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갭(들)(16)이 메이컵으로 채워지지 않으면 속눈썹 또는 눈썹이 갭에 놓여져 접촉함으로써, 만약 속눈썹 또는 눈썹에 이미 도포된 메이컵이 이를 가능하게 했다면 서로 다발을 형성하게 된다. 일단 속눈썹이 함께 다발을 형성하면 빗의 빗질 부분으로는 분리하기가 어려워진다.
속눈썹 및/또는 눈썹은 도 42에 도시된 것처럼 다발들 사이에 완전히 분리된 몇가닥의 눈썹모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속눈썹 다발 위에 부착된 메이컵 양이 불균일해서 어떤 다발이 다른 것보다 더 길게 보일 수도 있다. 속눈썹 다발은 서로 다른 갯수의 속눈썹을 포함할 수 있어서, 도 43에 도시된 것처럼 이 다발중 일부가 다른 것들보다 넓어 보이거나 길어 보일 수 있다.
도 43 및 44에서 볼 수 있듯이, 분리된 속눈썹과 분리되지 않은 속눈썹 다발들은 임의로는 규칙적인 방법으로 번갈아서 나타날 수 있다.
도 45에 도시된 것처럼, 속눈썹과 눈썹 모두는 함께 그룹핑된 속눈썹모와 눈썹모의 다발을 형성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새로운 메이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용구의 다른 예를, 도 46 내지 49를 들어 후술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용구들은 속눈썹 모두가 도 50에 도시된 것처럼 속눈썹들이 모두 함께 그룹핑된 메이컵을 얻기 위한 것이다.
반면에, 도 1 내지 45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속눈썹을 분리하기에 적합한 영역과 속눈썹들을 함께 다발로 만들기에 영역들이 모두 있지만, 도 46 내지 49의 예에서는 속눈썹 다발화 효과가 우선적이다.
도 46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빗(200)은 복수개의 속눈썹이 티쓰 사이에 놓여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은 간격을 두고 위치해 있는 일련의 티쓰(201)을 포함하는데, 속눈썹이 티쓰 사이에 존재하는 메이컵으로 코팅되어서 함께 다발을 형성한다. 그의 팁들 사이에서 측정했을 때 티쓰(201)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3㎜에 가까우며, 빗은 예를 들면 10개 정도의 티쓰를 포함하는데, 이 갯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7은 각각 매우 촘촘한 두개의 티쓰(212)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개의 인접한 그룹들 사이의 간격(e)이 약 3㎜인 일련의 그룹들(211)을 포함하는 빗(210)을 도시한다.
도 48에 도시된 빗(220)은 서로를 향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진 두개의 티쓰(222)을 각각 포함하는 그룹들(221)을 가지며, 그들의 상단부간의 거리(223)는 매우 짧아서 메이컵에서 코팅된 빗이 속눈썹 및/또는 눈썹과 접촉하였을 때 소정의 그룹(221)의 두개의 티쓰(222) 사이에 속눈썹이 쉽게 놓여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룹들 사이의 간격(e)은 3㎜에 가까울 것이다. 도 46 내지 48의 예에서, 티쓰는 그들이 연결되어 있는 지지체의 종축을 따라 일렬로 있는 기저부를 가질 수 있으나, 변형예에 있어서는, 티쓰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코어의 반대편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9에 도시된 빗(230)은 티쓰(232)가 코어(231)의 대향면에 교대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대향면을 갖는 코어(231)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의 종축을 따라서 평행하게 측정된 두개의 인접한 티쓰(232)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약 3㎜이다. 도 46 내지 49의 예에 있어서, 티쓰 또는 티쓰의 그룹들 사이의 간격은 지지체를 따라서 규칙적이기는 하지만 간격이 반드시 일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브러쉬
도 51은 메이컵(P)가 들어있으며 외부 나사산을 갖는 경부(303)가 구비된 용기(302)를 포함하는 포장 겸용 도포 용구(301)를 나타낸다. 마개용 캡(304)을 경부(303) 위에 고정시켜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용기(302)를 기밀한 방식으로 밀폐한다.
용구(301)는 한쪽 단부에 핸들로서 사용되는 캡(304)이 구비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에는 브러쉬(301)가 구비된 막대(305)를 갖는 도포기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용기(302)는 길다랗게 뻗어있는데, 몇가지 다른 형태를 적용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와이퍼 부재(307)는 용기(302)의 경부(303)에 고정되며, 본 실시예에서 그의 자유 엣지가, 예를 들면 막대(305)의 직경보다 약간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와이퍼 오리피스(307a)를 한정하는 엘라스토머 립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브러쉬(310)는 로드(305)의 단부에 고정된 금속 코어(315)를 가지며 함께 꼬인 두가닥의 와이어 브랜치(316)로 형성된다. 브리슬(317)은 도 52 및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에 따라 브랜치들(316) 사이에서 클램핑된다.
브리슬(317)은 천연물질 또는 합성물질,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일 수 있으며, 임의로는 플로킹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브러쉬(310)는 서로 다른 형태의 브리슬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를 사출하거나 코어, 특히 열가소성 물질로 만들어지며 임의로는 막대와 일체로 만들어진 코어 상에 오버몰딩하며 코어의 방사상 둘레로 연장되어 있는 브리슬을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 브러쉬(310)는, 예를 들면 브러쉬의 클립핑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노치(312)를 갖는다. 브리슬이 적절한 물질로 만들어졌다면 브리슬을 용융시키거나 증기화시켜서 노치(312)를 만들 수 있다.
도 52 및 53에 있어서, 도시된 예에서 노치(312)는 1회 미만의 브러쉬 회전 및 브러쉬 길이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됨으로써 노치를 가로지르는 평면상의 횡단면에서 브러쉬가 비구형 단면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노치(312)는 브러쉬(310)의 축(X) 둘레에서 측정된 각도 범위(α) (여기서, α는 브러쉬(310) 주변부의 약 1/4에 상응함)에 걸쳐서 연장되며, 브러쉬 길이(ℓ)의 약 1/6에 걸쳐서 연장된다.
노치(312)는 도시된 예에서 두 면(312a)에 의해 원주상으로 한정되며 두 면(312b)에 의해서는 축상으로 한정된다.
면들(312a)은 도 53에 도시된 대로 실질적으로 방사상일 수 있거나, 변형예로서 도 54에 도시된 것처럼 반경에 대한 비제로 각도(β)로 있을 수 있다.
면들(312b)은 도 52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거나, 도 55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에 대해 수직이 아닐 수 있다. 도 52 및 55에 있어서, 면들(312b)이 바깥쪽으로 분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브러쉬(310)는 도시된 예에서 축(X)에 대하여 원통형인 엔벨로프 표면(S)을 한정한다.
도 52에 도시된 것처럼 브러쉬의 말단 단부는 뾰족한 부분이 잘려나간 원추형(fructoconical)일 수 있다.
노치(312)가 브러쉬(310)의 주변부의 1/4 정도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도 56은 브러쉬(310)의 원주면의 실질적으로 1/3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노치(312)를 도시하는 반면, 도 57은 브러쉬(310)의 원주면의 실질적으로 절반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노치(312)를 도시한다.
브리슬의 길이가 적어도 노치 영역에서 노치의 외부에 있는 브리슬의 길이보 다 짧아서,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제로인 것과, 블러쉬가 코어에 대해 수직이고 노치를 가로지르는 면에서 구형인 것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며, 브러쉬가 코어에 대하여 수직하고 노치를 가로지르는 면에서 원형 단면을 갖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예로서, 도 58은 노치(312)를 통합하는 브러쉬의 일부를 나타내며, 상기 노치의 기저부를 코어에 의해, 그리고 임의로는 함께 꼬인 코어(315)의 두 가닥의 브랜치(316)로부터 매우 조금 돌출하며 상기 브랜치에 의해 고정된다.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노치는 브러쉬의 코어 둘레 모두에서 연장될 수 있다.
와이퍼 부재(307)는 노치에 메이컵을 남기도록 고안된다.
도 60에서 점선은 와이퍼 오리피스(307a)의 내부 외곽선(C)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이 외각선(C)은 노치(312)를 가로지른다. 코어(315)와 노치(312) 사이에 위치한 더 짧은 브리슬(317)은 와이퍼 오리피스(307a)의 외각선(C)의 실질적으로 내부에 위치한 유리 말단을 포함함으로써 브러쉬가 와이퍼 부재를 통과할 때 이들 브리슬이 닦여지지 않아서 결과적으로는 메이컵(P)이 노치(312)의 적어도 일부에 축적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일 변형예에서, 외곽선(C)은 비원형일 수 있다.
도포시, 속눈썹 및/또는 눈썹 위에 불균일한 방식으로 메이컵을 도포할 수 있으며, 특히 노치(312)에 존재하는 메이컵과 접촉하는 속눈썹 및/또는 눈썹 위에 더 많은 메이컵을 부착시킬 수 있다.
브러쉬는 복수개의 노치(312)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며, 기재상 편의를 위해 도 51 및 52에서는 하나의 노치만을 도시하였다.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312)는 브러쉬의 축(X)을 따라서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노치중 하나는 브러쉬의 축(X)에 평행하게 전환된 다른 노치의 이미지일 수 있다.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개의 노치(312)는 축 방향으로 벗어나지 않지만 원주상에서는 벗어날 수 있다.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개의 노치(312)가 원주상에서 정반대에 위치하도록 상기 노치를 브러쉬(310)의 원주 둘레에 분배할 수 있다.
브러쉬는 도 64에 도시된 것처럼 세개의 노치(312)가 실질적으로 120°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더 많은 갯수의 노치를 배치할 수 있다.
도 65는 노치를 코어(35) 둘레 전부에서 연장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 만약 브리슬이 너무 짧지 않다면 브러쉬의 횡단면은 원형이 아닌 형태, 예를 들면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형태를 갖는다.
도 65에서, 점선은 노치의 외부에 있는 브러쉬의 엔벨로프 표면의 단면을 보여준다.
그의 말단이 코어 둘레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노치의 기저부를 한정하는 브리슬을 나타낸다.
도 66 및 67의 예에서, 브러쉬는 브러쉬의 축(X)를 포함하는 중앙면(K)에 대 하여 서로 실질적으로 대칭되게 위치한 적어도 두개의 노치(312)를 갖는다.
두개의 노치(312)는 처음에는 도 66에 도시된 대로 실질적으로 반원에 걸쳐서 또는 도 67에 도시된 대로 원의 1/3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제1 브리슬 셋트에 의해, 다음에는 더 작은 각도 한계를 차지하는 브리슬 셋트에 의해 원주상의 방향에서 분리될 수 있다.
브러쉬를 측면 또는 종단면에서 관찰해보면,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는 엇갈린 구조로 배치된 노치를 가질 수 있다. 도 68에서 노치(312)는 매우 도식적으로 보여지며,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쉬는 두개 이상의 노치 시리즈를 가질 수 있는데, 각 시리즈의 노치들은 다른 시리즈에 있는 노치에 대하여 원주상에서 벗어나 있으며, 각 시리즈의 노치들은 축 방향에서 벗어나는, 즉 브러쉬의 축에 평행하게 전환된 서로의 이미지를 구성한다.
노치들의 형태는 동일할 수 있지만, 브러쉬가 동일하지 않으며 축 상에서 및/또는 원주상에서 벗어난 복수개의 노치를 갖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브러쉬는 도 69에 도시된 것처럼 형태가 서로 다른 노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노치의 깊이(p)는 노치마다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브러쉬의 축(X)에 평행하게 측정된 노치의 길이(ℓ)는 그들 사이의 간격에서처럼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브러쉬는 원통형이 아닌 엔벨로프 표면을 한정할 수도 있다.
예로서, 도 70은 다각형의 정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인 엔벨로프 표면을 갖는 브러쉬를 나타낸다. 도 70에서, 브러쉬는, 예를 들면 엔벨로프 표면의 엣지중 하나에 인접한 공간을 차지하는 하나 이상의 노치(312)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브러쉬는, 예로서 도 72 및 73에 도시된 브러쉬의 경우에서처럼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움직일 때 일정하지 않은 정단면을 갖는 브러쉬의 일부에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가질 수 있다.
이 브러쉬는 사이에 엔벨로프 표면에 속하는 융기 표면(ridge surface)를 한정하며 도시된 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인 오목한 면들(372)를 갖는다.
도시된 에에서 각각의 면(372)은 브러쉬를 따라서 노치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움직일 때 최대로 통과하는 너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러쉬는, 예를 들면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면들(372) 사이에 또는 면(372) 상에 만들어지며 상기 면 내에서 더 깊은 영역을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노치(312)를 가질 수 있다.
브러쉬는 도 74 및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이 아닌 축(X)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코어는 브러쉬의 말단 단부에 접근시에 증가하는, 막대의 축에 대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에로서, 브러쉬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코어의 오목면 상에서 하나 이상의 노치(312)를 가질 수 있다. 변형예로서, 브러쉬는 코어의 오목면 상에 하나 이상의 노치(312)를 가질 수 있다.
도 76 및 77은 본 발명에 따라서 만들어진 브러쉬의 일예의 엔벨로프를 나타 낸다.
도 77에서는, 브러쉬를 그의 축에 수직한 일 특정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노치가 전혀 나타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의 축에 대하여 1/4 바퀴 회전한후 동일한 브러쉬가 노치, 특히 나선형 그루브를 가지지는 않더라도 대향하는 상부 및 기저부 엣지에서 번갈아서 개방된 일련의 노치를 나타낸다.
브러쉬의 코어(315)는 함께 꼬인 두 가닥의 와이어 브랜치를 이용하지 않고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 설명하자면, 도 78은 꼬임이 얻어지도록 두개의 코어 각각(315a 및 315b)을 서로에 대하여 권취하여 얻은 코어를 나타낸다. 코어(315a 및 315b) 각각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서 두 가닥의 와이어 브랜치를 함께 꼬아서 만드는데, 이들 두개의 브랜치 사이에는 코어의 방사상 둘레에서 연장되어 있는 브리슬이 고정된다.
적절하게는 코어를 변형시킴으로써 코어의 형태 변경 전과 후에, 브러쉬를 클립핑하여 브러쉬의 노치(들)를 제조될 수 있다. 노치(들)는 브리슬을 부분적으로 용융시켜서, 예를 들면 브리슬을 레이저 방사에 노출시키거나 뜨거운 주형(hot shape)과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브리슬 물질은 브리슬이 접촉시에 용융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브러쉬는 길이가 서로 다른 브리슬 및/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브리슬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사용된 브리슬은 다양한 유연성과 정면 횡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특히 상기 단면은 원형이거나 비원형일 수 있다.
브러쉬 상에 있는 노치(들)는, 브러쉬를 용기로부터 꺼냈을 때 브러쉬 상에 메이컵(P)을 저장되도록 하며, 와이퍼 부재는 초기에 노치에 존재하는 메이컵 모두가 닦여서 제거되지 않도록 고안된다. 와이퍼 오리피스를 통과하면서 브러쉬를 횡단면에서 관찰했을 때 노치의 적어도 일부는 와이퍼 오리피스의 엣지로부터 벌어져 있어서 노치의 상기 부분에 존재하는 메이컵은 닦여나가지 않고 와이퍼 부재에 의해 용기에 잔류한다.
브러쉬는 속눈썹 및/또는 눈썹과 접촉되었을 때 노치에 놓여지는 속눈썹을 분리하지 않고 메이컵으로 코팅함으로써 도 79 내지 81에 도시된 것처럼 속눈썹이 함께 다발을 형성하는 메이컵을 얻을 수 있다.
도 79는 도 79는, 일부 속눈썹 및/또는 눈썹 다발, 특히 노치에 놓여진 속눈썹 및/또는 눈썹은 다른 것들보다 더 많은 메이컵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얻어진 메이컵은 도 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당히 균일합 방식으로 또는 도 81에 도시된 것처럼 불규칙한 방식으로 사이사이에 분리된 속눈썹이 배치된 눈썹 다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연하게, 본 발명은 전술한 구현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히 다양한 구현예들의 특징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과 동의어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메이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1)

  1. - 함께 꼬인 두 가닥의 브랜치로 만들어진 코어로 이루어지지 않은 지지체, 및
    - 축(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1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요소열이,
    - 서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세개 이상의 연속적인 돌출 요소들(12a, 12b)로 된 적어도 제1 그룹(15);
    - 상기 제1 그룹 외부에 있으며, 제 1 그룹의 3 개의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e) 보다 큰 거리(d)에 걸쳐서 상기 돌출 요소열의 축을 따라 연장된 갭(16)에 의하여 제 1 그룹(15)으로부터 이격된 제 4 돌출 요소(1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또는 눈썹을 빗질하고 상기 속눈썹 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용구.
  2. - 함께 꼬인 두 가닥의 브랜치로 만들어진 코어로 이루어지지 않은 지지체의 종축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정렬된 1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12a, 12b)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요소열이,
    - 서로 인접한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들로 된 적어도 제1 그룹(15) 및
    -상기 제1 그룹 외부에 있으며, 상기 종축을 따라서 측정된 제 1 그룹의 길이보다 짧고 제 1 그룹의 인접한 2 개의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e) 보다 큰, 종축을 따라서 측정된 거리(d)에 걸쳐서 연장된 갭(16)에 의해서 제 1 그룹(15)으로부터 이격된 제 3 돌출 요소(1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또는 눈썹을 빗질하고 상기 속눈썹 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용구.
  3. - 종축을 따라서 연장되며 그의 일측에 위치한 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길다란 지지체(11);
    - 상기 면에 연결된 기저부를 갖는 1열 이상의 돌출 요소(12a, 12b)열;
    - 지지체의 종축에 대하여 기울어지지 않도록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기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요소열은 서로 인접한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들로 된 적어도 제1 그룹(15)을 가지며, 상기 제1 그룹의 외부에 있는 제3 돌출 요소(12a)를 가지며, 상기 제3 돌출 요소(12a)는 제 1 그룹의 근접한 2 개의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e) 보다 큰, 종축을 따라서 측정된 거리(d)에 걸쳐서 연장된 갭(16)에 의하여 제 1 그룹(15)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또는 눈썹을 빗질하고 상기 속눈썹 또는 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기 위한 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 요소가 종축을 따라서 길게 뻗어있으며, 그의 종축에 수직한 평면상에 횡단면이 직사각형이나 타원형이 아닌 기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 요소가 종축을 따라서 길게 뻗어있으며, 그의 종축에 수직한 평면상에 직사각형 단면의 기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사각형 단면은 상기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이거나, 또는 열의 축과 실질적으로 0인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6.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열의 축이 돌출 요소들이 연결되어 있는 지지체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7.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외부에 있는 돌출 요소가 돌출 요소들로 된 제2 그룹(15')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외부에 있는 상기 돌출 요소(12a)가 상기 제2 그룹(15')의 인접한 돌출 요소(12b)로부터 상기 갭(d)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15') 내에 있는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 그룹(15)의 돌출 요소들 사이의 간격(e)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10.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들로 된 제1 그룹(15)이 상기 갭(16)의 길이(d)보다 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11.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와 상기 제1 그룹 외부의 돌출 요소가 돌출 요소열의 축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복수개의 동일한 피치(e)로 된 각자의 위치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12.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출 요소 그룹(15, 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13.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들의 형태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14.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열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15.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열을 그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태인 티쓰로 이루어진 돌출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16. 제15항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상기 티쓰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17.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열의 축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모든 티쓰가 삼각형 형태인 1열의 티쓰를 포함하며, 그중 두개 이상의 티쓰가 서로 다른 높이 및 서로 다른 기저부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18.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 그룹(15, 15') 및 상기 그룹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70)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19.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그룹을 측면에서 관찰했을 때, 돌출 요소들로 된 상기 그룹중 두개 이상의 돌출 요소가 함께 실질적으로 V자형 그루브(52; 71)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20.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2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21. 제20항에 있어서, 1열 이상의 돌출 요소들 및 다른 열의 돌출 요소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22.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의 높이가 0.5㎜ 내지 1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23.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열이 기하학적 분리 표면의 대향면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대로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돌출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24.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열에 있는 돌출 요소들이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열된 기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25.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돌출 요소를 가진 두 부분(141, 1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26.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열이 직선형이 아닌 축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27.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0)가 통공되어 있고 그의 대향하는 두 영역(101)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한정하며, 상기 1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이 상기 영역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고 상기 돌출 요소열의 돌출 요소들이 다른 영역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28.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고정된 브리슬의 수술(tufts)로 된 돌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가 함께 꼬인 두 가닥의 와이어 브랜치로 이루어진 코어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29. 삭제
  30. 삭제
  31.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1열 이상의 돌출 요소열의 모든 돌출 요소들이 플라스틱 물질을 몰딩하여 일체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속눈썹 또는 눈썹에 도포될 메이컵(P) 공급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컵 공급원이 용기(21)에 담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와이퍼 부재(40; 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가 와이퍼 부재를 통과할 때 심하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부재가 엘라스토머 립(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구.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 속눈썹 또는 눈썹에 마스카라를 도포하는 단계; 및
    - 분리되지 않은 속눈썹 또는 눈썹모 그룹들을 형성하도록 속눈썹 또는 눈썹을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용구로 빗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속눈썹 또는 눈썹을 메이컵하는 방법.
  46. -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용구의 돌출 요소에, 상기 돌출 요소들 사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갭에 존재하는 메이컵을 묻히는 단계; 및
    - 분리되지 않은 두 가닥 이상의 속눈썹 또는 눈썹 세트를 형성하도록, 상기 메이컵이 묻어있는 갭을 상기 속눈썹 또는 눈썹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속눈썹 또는 눈썹을 메이컵하는 방법.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KR1020030013807A 2002-03-05 2003-03-05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 및/또는 상기 속눈썹 및/또는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용구 KR100553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2767 2002-03-05
FR0202767A FR2836800B1 (fr) 2002-03-05 2002-03-05 Brosse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cils et/ou les sourcils
FR0203140A FR2837077B1 (fr) 2002-03-13 2002-03-13 Dispositif pour peigner les cils et/ou les sourcils et/ou appliquer un produit sur ceux-ci
FR0203140 2002-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243A KR20030074243A (ko) 2003-09-19
KR100553361B1 true KR100553361B1 (ko) 2006-02-20

Family

ID=2775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807A KR100553361B1 (ko) 2002-03-05 2003-03-05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 및/또는 상기 속눈썹 및/또는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용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2332441B1 (ko)
JP (2) JP2003259914A (ko)
KR (1) KR100553361B1 (ko)
CN (2) CN1628576B (ko)
BR (1) BR0300549A (ko)
ES (2) ES2582358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8996B2 (en) 2019-06-04 2023-09-19 Vance M. Thompson Method for facilitating pinhole effect and tool to manipulate eyelash spacing for pinhole effe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1926B2 (en) * 2003-05-09 2007-06-19 Rnd Group Llc Mascara brush
JP2005319004A (ja) * 2004-05-07 2005-11-17 Shiseido Co Ltd 液体化粧料用塗布具
FR2870697B1 (fr) 2004-05-25 2006-08-1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US8127777B2 (en) 2004-09-03 2012-03-06 L'oreal S.A. Applicator for applying a substance
FR2874798B1 (fr) * 2004-09-03 2007-01-19 Oreal Applicateur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cils ou les sourcils
FR2876890B1 (fr) * 2004-10-21 2007-06-22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 cils ou les sourcils, notamment du mascara.
KR200388025Y1 (ko) * 2005-03-08 2005-06-30 주식회사 태평양 마스카라 브러쉬
PL1752067T3 (pl) * 2005-08-11 2009-08-31 Geka Gmbh Szczoteczka do nanoszenia kosmetyku
US8096306B2 (en) * 2006-07-12 2012-01-17 Albea Services Molded plastic mascara brush
FR2917585B1 (fr) 2007-06-22 2010-10-15 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et/ou les sourcils.
US8042555B2 (en) * 2007-09-05 2011-10-25 Elc Management Llc Head for a cosmetic applicator
FR2922421B1 (fr) 2007-10-23 2010-01-29 Oreal Applicateur pour peigner ou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ou les sourcils
FR2922422B1 (fr) 2007-10-23 2009-12-18 Oreal Applicateur pour peigner ou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FR2983689A1 (fr) 2007-10-23 2013-06-14 Oreal Applicateur pour peigner ou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et/ou les sourcils
FR2930874A1 (fr) * 2008-04-18 2009-11-13 Ile M V R Soc Civ Soc Civ Dispositif applicateur d'un produit cosmetique fluide ou pateux, typiquement du mascara.
WO2009143665A1 (zh) * 2008-05-26 2009-12-03 珠海安帝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毛刷
FR2933854B1 (fr) 2008-07-16 2011-08-26 Oreal Applicateur pour peigner ou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ou les sourcils.
FR2936691B1 (fr) * 2008-10-06 2012-12-07 Oreal Instrument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des phaneres et procede de fabrication afferent
FR2945417B1 (fr) * 2009-05-15 2011-08-26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application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et/ou sourcils.
FR2945418B1 (fr) 2009-05-15 2012-09-2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FR2955018B1 (fr) * 2010-01-11 2012-10-26 Oreal Applicateur cosmetique.
JP2012019817A (ja) * 2010-07-12 2012-02-02 Tokyo Parts Kk マスカラブラシ
DE202011002272U1 (de) * 2011-02-02 2012-05-16 Geka Gmbh Dosierpinsel für gezielte Lokalapplikation
FR2983045B1 (fr) * 2011-11-24 2014-02-07 Chanel Parfums Beaute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ou les sourcils qui comprend des poils moules par injection
FR2983044B1 (fr) * 2011-11-24 2014-02-07 Chanel Parfums Beaute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et/ou les sourcils comprenant des poils et des dents
FR2998772B1 (fr) * 2012-11-30 2014-11-28 Albea Services Un applicateur de produit cosmetique comprenant une portion allongee enrobee d'un renflement
FR3006565B1 (fr) * 2013-06-06 2017-02-24 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cils et/ou les sourcils
FR3007256B1 (fr) * 2013-06-20 2015-07-17 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a peau
WO2014203212A1 (fr) * 2013-06-20 2014-12-24 L'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sur les sourcils, cils ou sur la peau
FR3012022B1 (fr) * 2013-10-22 2016-06-24 Albea Services Applicateur pour produit cosmetique et ensemble applicateur associe
EP3096646B1 (en) 2014-01-21 2021-03-10 Société Industrielle de Matières Plastiques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fluid or pasty product to keratin fibers
FR3020254B1 (fr) 2014-04-29 2017-09-08 Oreal Applicateur de produit cosmetique ou de soin sur les cils et/ou les sourcils
FR3028152B1 (fr) * 2014-11-07 2018-01-12 L'oreal Applicateur d'un produit cosmetique, de maquillage ou de soin, sur les cils et/ou les sourcils
US9591916B2 (en) * 2015-05-01 2017-03-14 Aa R&D Llc Assembly technology for any shape disk brush
FR3040605B1 (fr) * 2015-09-08 2019-01-25 L'oreal Brosse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cils ou les sourcils
FR3068221B1 (fr) 2017-06-29 2019-12-20 L'oreal Pinceau applicateur
KR101892674B1 (ko) * 2018-07-11 2018-10-04 주식회사 딥포인트 빗 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6823165B2 (ja) * 2018-09-18 2021-01-27 容淳 文岩 化粧用塗布具
WO2020095456A1 (ja) * 2018-11-09 2020-05-14 株式会社エイエムジー マスカラコーム
FR3090294B1 (fr) 2018-12-19 2021-04-30 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cosmétique sur les cils et/ou sourcil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676A (en) * 1973-10-19 1975-09-30 Revlon Mascara applicator
US4632136A (en) * 1983-11-02 1986-12-30 Plough, Inc. Mascara application system
US5482059A (en) * 1995-04-03 1996-01-09 Estee Lauder Inc. Triple zone mascara brush
US5595198A (en) * 1995-06-07 1997-01-21 Risdon Corporation Mascara applica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9606052A1 (de) * 1996-02-19 1997-08-21 Klaus Mond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pplikation pastöser Kosmetika
FR2745481B1 (fr) * 1996-02-29 1998-04-30 Oreal Brosse progressive pour appliquer un produit cosmetique, notamment du mascara
DE69635553D1 (de) * 1996-12-18 2006-01-12 Benson S P A Spender für kosmetische Produkte
EP1115305B1 (fr) 1999-07-21 2014-11-12 L'Oréal Dispositif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fibres keratiniques, notamment les cils ou les sourcils
MXPA01002933A (es) 1999-07-21 2002-04-08 Oreal Dispositivo para la aplicacion de un producto sobre las fibras queratinicas, particularmente las pestanas o las cejas.
CA2344211C (fr) 1999-07-21 2005-04-26 L'oreal Dispositif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fibres keratiniques
FR2796530B1 (fr) 1999-07-21 2001-09-21 Oreal Dispositif pour le peignage des cils ou des sourcils et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ainsi equipe
FR2796528B1 (fr) 1999-07-21 2001-09-2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cils ou les sourcils
CA2343020C (fr) * 1999-07-21 2005-07-12 L'oreal Peigne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des fibres keratiniques, ensemble d'application ainsi equipe et utilisation de cet ensemble
FR2796527B1 (fr) 1999-07-21 2001-09-28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cils ou les sourcils
FR2796529B1 (fr) 1999-07-21 2001-09-2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cils ou les sourcils
FR2808981B1 (fr) * 2000-05-19 2002-12-13 Oreal Applicateur a ame non torsadee
FR2809295B1 (fr) 2000-05-26 2002-08-09 Oreal Dispositif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ou de soin, sur les fibres keratiniques, notamment les cils ou les sourcils
FR2809294B1 (fr) 2000-05-26 2002-12-13 Oreal Dispositif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ou de soin sur les fibres keratiniques, notamment les cils ou les sourcils
FR2810860B1 (fr) 2000-06-28 2003-02-21 Oreal Dispositif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cils ou les sourcils
FR2810861B1 (fr) 2000-06-30 2002-09-06 Oreal Dispositif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fibres keratiniques, notamment des cils ou les sourcils
FR2812176B1 (fr) * 2000-07-26 2003-01-10 Oreal Applicateur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sur des fibres keratiniques, ensemble d'application equipe d'un tel applicateur, et utilisation de cet ensemble
FR2836347B1 (fr) * 2002-02-25 2004-04-23 Coty Sa Procede de coupe de poils de brosse d'applicateur cosmetique, tube de guidage et machine de mise en oeuvre, ainsi que brosse, systeme applicateur et produit cosmetique corresponda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8996B2 (en) 2019-06-04 2023-09-19 Vance M. Thompson Method for facilitating pinhole effect and tool to manipulate eyelash spacing for pinhole ef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2441B1 (fr) 2016-09-14
CN1628576B (zh) 2010-05-26
EP1342428B1 (fr) 2016-04-27
JP4881624B2 (ja) 2012-02-22
CN1442101A (zh) 2003-09-17
ES2605174T3 (es) 2017-03-13
CN1264448C (zh) 2006-07-19
BR0300549A (pt) 2003-11-11
JP2006116363A (ja) 2006-05-11
EP2332441A1 (fr) 2011-06-15
EP1342428A1 (fr) 2003-09-10
CN1628576A (zh) 2005-06-22
JP2003259914A (ja) 2003-09-16
ES2582358T3 (es) 2016-09-12
KR20030074243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361B1 (ko) 속눈썹 및/또는 눈썹을 빗질 및/또는 상기 속눈썹 및/또는눈썹에 메이컵을 도포하는 용구
US8875719B2 (en) Device for combing and/or brushing eyelashes and/or eyebrows, and/or for applying makeup thereto
RU2357632C2 (ru) Щеточка для туши
JP3689025B2 (ja) ケラチン繊維へ製品を適用するアプリケータと該アプリケータを備えたアプリケータ装置並びに該装置の使用
US5918994A (en) Notched brush and make-up device including this brush
JP3807485B2 (ja) 特に睫毛又は眉毛等のケラチン繊維への製品、特にメーキャップ用品又はケア用品を適用するための器具
JP4275883B2 (ja) 毛、特に睫毛又は眉に物質を塗るための装置
US6280113B1 (en) Application device and system having helical bristles,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JP5277311B2 (ja) 化粧用塗布具組立体
JP3749427B2 (ja) 捻れ繊維を具備する液状、ペースト状又は微粉状の製品のアプリケータ及びこれを装備したアプリケータ装置
US6591842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product to keratinous fibers
US9427075B2 (en) Applicator for combing the eyelashes or the eyebrows or for applying a composition thereto
US8127777B2 (en) Applicator for applying a substance
US20040244809A1 (en) Cosmetic applicator
JP5846723B2 (ja) 化粧用配合物を睫毛又は眉毛に塗布するアプリケータ
MXPA97003811A (en) Brush with muescas and makeup device that includes this cepi
JP2005342534A (ja) ねじれていないコアを備えたアプリケータ
BRPI0817798B1 (pt) aplicador para pentear os cílios e/ou as sobrancelhas e/ou para aplicar uma composição aos mesmos, e, dispositivo de embalagem e aplicador para aplicar um cosmético ou um produto de cuidado aos cílios e/ou às sobrancelhas
JP2007167615A (ja) 物質を毛に塗布するための装置
KR100555234B1 (ko) 화장품 도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100618664B1 (ko) 케라틴성 섬유 상에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JP4162614B2 (ja) アプリケータ並びに該アプリケータを備えた包装及び塗布装置
JP2021164528A (ja) 睫毛または眉毛などのケラチン繊維に化粧品組成物を塗布するための化粧品アプリケータ
MXPA01009168A (es) Cepillo aplicador para liquidos o medios pastosos, especialmente para cosmeticos decorativos tal como mascara y metodo para producir el mis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0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3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