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804B1 -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804B1
KR100551804B1 KR1019990028650A KR19990028650A KR100551804B1 KR 100551804 B1 KR100551804 B1 KR 100551804B1 KR 1019990028650 A KR1019990028650 A KR 1019990028650A KR 19990028650 A KR19990028650 A KR 19990028650A KR 100551804 B1 KR100551804 B1 KR 10055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ertext
map
data
control means
f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742A (ko
Inventor
구보도루
시마다다카노리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1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04W4/185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by embedding added-value information into content, e.g. geo-ta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의 열로 구성된 지도를 표현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하고,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제공된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이다.

Description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및 장치{HYPER TEXT BROWSER AND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의 시스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을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을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을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중첩 묘화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을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압축된 개략 지도 코드열을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균등 분할맵을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지도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외형과 균등 분할맵의 표시 화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외형과 균등 분할맵의 확대된 표시 화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외형과 균등 분할맵의 더 확대된 표시 화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키 조작 링크 대응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외형과 균등 분할맵의 표시 화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키 조작 링크 대응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키 배열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지도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간이 경로 지도 생성 수단의 플로우차트,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경로 탐색 수단의 출력 데이터 또는 간이 경로 지도 생성 수단으로의 입력 데이터,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시설명과 속성 ID의 대조표,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경로 탐색을 행하는 도로 지도와 경로,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각도 양자화된 경로,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거리 양자화된 경로,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각도 양자화된 경로 데이터,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간이 경로 지도 생성 수단의 출력예,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 교차점과 도 34의 개략 지도 폰트 도형의 대응을 나타내는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교차점 형상 폰트 대조표,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주변 개략 지도 생성 수단의 플로우차트,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주변 개략 지도를 생성하는 원 지도로 범위를 지정한 예,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지정한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지정한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지정한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지정한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지정한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지정한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주위에 교차점이 없는 경우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도 35에서 그물눈의 중앙으로 교차점을 이동시킨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도 36의 교차점이 있는 그물눈에서 각도 양자화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8은 본 발명의 싱시예 11에 있어서의 도 37에서 교차점 주변을 폰트 지도로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9는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교차점이 주위에 있는 경우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도 39에서 그물눈의 중앙에 교차점을 이동시킨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도 40의 교차점이 있는 그물눈에서 각도 양자화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2는 번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도 41에서 교차점 주변을 폰트 지도로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폰트 지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4는 본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도로를 2개의 선으로 표현한 개략 지도의 표시예 도면,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도로를 2개의 선으로 표현하고 분단된 부분을 개선시킨 개략 지도의 표시예 도면,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폰트 변환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의 옐?? 나타내는 모식도,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교차점 형상 폰트 대조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그물눈의 교차점 형상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교차점 형상 폰트 대조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교차점 형상의 정보와 개략 지도 코드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6은 종래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67은 종래의 지도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 식도,
도 68은 종래의 지도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표시예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102 :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
103 : 네트워크 104 :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
201 : 입력 디바이스 202 : 입력 제어 수단
203 : 출력 디바이스 204 : 표시 제어 수단
205 : 통신 디바이스 206 : 통신 제어 수단
207 : 축적 장치 208 : 폰트 데이터
209 :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 210 :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
211 : 중첩 묘화 수단 212 : 개략 지도 코드열 신장 수단
213 :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 214 : 마크 부가 맵 조작 수단
215 : 이미지 처리 수단 2601 : 주변 개략 지도 생성 수단
2602 : 경로 탐색 수단 2603 : 간이 경로 지도 생성 수단
2604 : 폰트 변환 수단 2605 : 지도 저장 수단
2606 : 인터페이스 수단
본 발명은 주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한 소형 휴대 단말용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 및 통신 인프라의 정비에 의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문자뿐만 아니라 화상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서, 화상으로서의 지도에 정보를 링크하여 배신(配信)하는 서비스가 운용되기 시작하였다. 한편으로, 무선 인프라가 정비됨과 동시에 단말의 소형화가 진행되어, 모빌(mobile) 환경에 의한 인터넷 이용이 보급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정보의 배신에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라고 불리는 하이퍼 텍스트 형식이 이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 형식의 데이터를 브라우저(Browser)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단말에서 열람 및 링크 선택 조작을 실행한다. 여기서, 종래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단말이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해서, 지도에 링크된 정보를 취득하기까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6은 종래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66에 있어서, (4901)은 사용자에게 입력 조작을 제공하는 마우스 등의 입력 디바이스, (4902)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거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 입력 제어 수단, (4903)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디바이스, (4904)는 상기 출력 장치를 거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출력 제어 수단, (4905)는 통 신 기능을 제공하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의 통신 디바이스, (4906)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4905)를 거쳐 네트워크(4915)를 통하여 호스트(4916)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 (4907)은 장기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 등의 축적 디바이스, (4908)은 상기 축적 디바이스에 보존되어 있고 문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폰트 데이터, (4909)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 표시 및 사용자 조작 지시의 할당을 제어하는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다. 또한,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은 이미지 처리 수단(4910)과 링크 부가 맵 제어 수단(4911)을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링크에 의한 참조 등으로 신규 하이퍼 텍스트의 표시를 마우스에 의한 클릭 등 입력 디바이스(4901)를 이용하여 지시하면, 입력 제어 수단(4902)이 해당 지시를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4909)에게 전달한다. 여기서는 해당 지시가 http://host1/page1의 표시였던 것으로 가정하면,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4909)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참조 대상이 외부의 host1상에 있기 때문에, 통신 제어 수단(4906)에 지시하여 통신 디바이스(4905)를 이용하여 host1과 통신을 실행하여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page1을 취득한다.
여기서 도 67을 이용하여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page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8은 종래의 지도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7에 있어서, (5001)은 HTML 문서의 일례이다. <FORM>은 사용자 조작이 있었을 때의 동작 사양을 정의하는 것으로, 이 예에서는 사용자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cgi-bin/index.cgi를 취득 요구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확대하고자 하는 장소를 클릭하여 주십시오.」는 표시용 문자열이다. <INPUT>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사양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화상 데이터 map.gif를 첨부한 버튼으로, 사용자가 버튼 영역상을 클릭했을 때의 좌표를 상기 취득 요구의 인수(argument)에 부가하는 것을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지도 표현을 서버 사이드 클릭커블 맵(Server Side Clickable Map)이라고 한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4909)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시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데이터 map.gif를 취득해서, 이미지 처리 수단(4910)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전개하고, 화면 레이아웃을 결정하여 출력 제어 수단(4904)에 지시해 출력 디바이스(4903)에 화면을 표시한다. 도 68에 있어서 (5101)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page1의 표시 화면예를 나타내고 있고, 「확대하고자 하는 장소를 클릭하여 주십시오.」하는 문자열 밑에 화상 데이터 map.gif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map.gif의 내용은 광역 지도 이미지이다.
다음에 사용자가 (5101)의 지도상의 1 지점을 선택한 경우에,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새로운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마우스에 의한 클릭 등 입력 디바이스(4901)를 이용하여 1 지점의 선택을 지시하면, 입력 제어 수단(4902)이 해당 지시를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4909)으로 전달한다. 여기서는 해당 지시가 (5101)의 토야마쵸 파출소(Police box) 부근의 지정이었다라고 가정하면,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 단(4909)은 링크 부가 맵 제어 수단(4911)에 지시하여 인수로서 부가하는 좌표를 계산하고, 통신 제어 수단(4906)에 지시하여 통신 디바이스(4905)를 이용해 host1과 통신을 실행하여 /cgi-bin/index.cgi가 인수에 대응하여 반송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여기서는 (5002)를 취득한다. 여기서,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5002)에 대하여 설명한다. 「알고 싶은 건물을 클릭하여 주십시오.」라는 표시용의 문자열이다. <MAP>은 지도상의 지정 위치와 링크의 사양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이 정의의 이름이 links이고, 2개의 영역에 각각 pbox.htm과 poffice.htm이 각각 대응지어져 있다. <IMG USEMAP>은 링크 부가 이미지를 정의하는 것으로서, 화상 데이터 map2.gif를 표시하여, 상기 links의 정의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지도 표현을 클라이언트 사이드 클릭커블 맵(Client Side Clickable Map)이라고 부른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4909)은 화상 데이터 map2.gif를 취득하여, page1의 표시시와 마찬가지로 출력 디바이스(4903)에 화면을 표시한다. 도 68의 (5102)는 이 때의 표시 화면예를 나타내고 있고, 「알고 싶은 건물을 클릭하여 주십시오.」라는 문자열 밑에 화상 데이터 map2.gif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map2.gif의 내용은 확대 지도 이미지이다.
또한, 사용자가 (5102)의 확대 지도상의 1 지점을 선택한 경우에,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새로운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마우스에 의한 커서의 이동 등 입력 디바이스(4901)를 이용하여 지도 위를 주사하는 것과 같은 조작을 실행하면, 입력 제어 수단(4902)이 커서 위치를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4909)에 전달하고, 링크 부가 맵 제어 수단(4911)이 커서 위치가 링크 영역 위인 경우에는 커서 형상을 변경하는 등 사용자에게 링크의 존재를 알린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마우스에 의한 클릭 등 입력 디바이스(4901)를 이용하여 선택을 지시하면, 입력 제어 수단(4902)이 해당 지시를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4909)으로 전달한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5102)의 토야마쵸 파출소를 지정하였다고 가정하면,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4909)은 링크 부가 맵 제어 수단(4911)에 지시하여 취득해야 할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pbox.htm인 것을 얻고, 상기한 데이터 취득과 마찬가지로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pbox.htm을 취득하여, 이것을 표시한다.
또, 지도 데이터를 제공할 때에, 될 수 있는 한 간이(簡易)의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경로 이해 지원을 위한 개략 지도와 그 안내분의 생성 시스템」(전자 통신 학회 논문지(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s) Vol.J80-D-11 N0.3 1997)이나 「변형(Deformation) 지도 자동 생성 시스템의 개발」(정보 처리 학회 논문지 Vol.37 No.9 1996)이 있다. 전자(前者)에서는 도로 네트워크 정보로부터 각도 양자화나 교차점 이동을 이용하여 지도를 단순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후자에서는, 가구(街區) 블럭을 바탕으로 생략화나 직선화를 실행하여 단순화된 경로도를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 방식에서는, 지도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로서 보내어지기 때문에, 텍스트밖에 취급할 수 없는 브라우저에서는 표시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화상 데이터는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통신 속도가 낮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신에 시간이 걸린다.
또한,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이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갖지 않은 단말에서는 지도에 관련지어진 링크의 선택 조작은 단순하게는 실행할 수 없다. 서버 사이드 클릭커블 맵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좌표를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클라이언트 사이드 클릭커블 맵의 경우에는 링크 대상을 리스트 표시하는 등에 의해 링크 대상의 취득은 가능하게 되지만, 지도로부터 직접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개략 지도의 자동 생성에 관해서는, 현행의 주변 안내도용의 개략 지도 생성 기술로서는, 표시하는 영역이 넓어지면, 지도상의 링크 데이터의 방향이 각양각색으로 되기 때문에, 생성한 개략 지도가 본래의 지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현행의 경로 안내용 개략 지도 생성 기술로서는, 가구를 조립하여 개략 지도를 생성하기 때문에,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1 화면으로는 보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제 1 목적은, 텍스트밖에 표시할 수 없는 브라우저에서도 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하이퍼 텍스트 열람에 있어서의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의 표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을 작게 할 수 있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지 않은 단말에서도 클릭커블 맵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광범위하더라도 정밀도가 높은 주변 안내도용 개략 지도와 장거리라도 보기 쉬운 경로 안내용 개략 지도를 동적(動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첫째,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개략 지도용 폰트 도형의 세트인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도를 개략 지도 폰트의 문자 코드열로 표현함으로써, 텍스트 표시 기능만으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문자 코드열은 지도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해서 데이터량이 작기 때문에, 통신 시간이 단축된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둘째,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폰트 도형의 중첩 묘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정된 폰트 세트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지도의 변동(variation)이 증가한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셋째,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개략 지도 코드열 압축 수단을 구비하고,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개략 지도 코드열 신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통신 시간이 단축된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넷째,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지 않은 경우에도, 지도상의 영역 지정에 의한 링크 선택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다섯째,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마크 부가 맵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지 않은 경우에도 지도상의 마크 지정에 의한 링크 선택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여섯째,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가 간이 경로 지도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장거리라도 보기 쉬운 경로 안내용 개략 지도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일곱째,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가 주변 개략 지도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광범위하더라도 정밀도가 높은 주변 안내용 개략 지도를 자동적 으로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01)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를 실행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102)는 요구에 따라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 (103)은 상기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와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를 접속하는 네트워크, (104)는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에 개략 지도 코드열로 표현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이다. 네트워크(103)에는, 해당 네트워크(103)에 접속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와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의 망(網)을 서로 접속하는 게이트웨이(Gate Way)(GW)(105)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가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로부터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를 행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는 네트워크(103)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대하여 회선 접속을 실행하여, PPP(Point to Point Protocol) 등의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순서로 네트워크상의 다른 호스트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에 대하여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상의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을 지시하면,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는 네트워크(103)를 거쳐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에 대하여 데이터 취득 요구를 보낸다.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는 데이터 취득 요구를 받아 들이면,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104)로부터 개략 지도 코드열로 표현된 지도 정보를 취득하여, 네트워크(103)를 거쳐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에 대하여 요구받은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보낸다.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는 수취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여기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있어서, (1301)은,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LAN 어댑터(adapter) 등의 통신 디바이스, (1302)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 (1303)은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로부터 개략 지도 코 드열을 취득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취득 수단, (1304)는 상기 개략 지도 코드열의 압축을 실행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압축 수단, (1305)는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하이퍼 텍스트 생성 수단, (1306)은 상기 통신 제어 수단(1302)을 거쳐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로부터의 취득 요구에 따라 하이퍼 텍스트의 생성 및 송부를 실행하는 하이퍼 텍스트 전송 제어 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가 개략 지도 코드열로 표현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를 송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이퍼 텍스트 전송 제어 수단(1306)이 통신 제어 수단(1302)을 거쳐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로부터의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개략 지도 코드열 취득 수단(1303)을 거쳐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104)로부터 취득 요구에 대응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을 입수해서, 하이퍼 텍스트 생성 수단(1305)을 동작시켜 취득 요구에 대응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로 표현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를 생성하여, 통신 제어 수단(1302)을 거쳐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기 하이퍼 텍스트를 송신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40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표이다. (402)의 행은 0xf040(주:16진수 표기, 10진수 표기로서는 240과 64, 이하 마찬가지)으로부터 열의 위의 숫자만큼 진행한 코드가 각 셀의 폰트 도형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0xf040부터 0xf05f까지가 도로를, 0xf060로부터 0xf063까지가 도중을 생략한 도로를, 0xf064과 0xf065가 다리를, 0xf066로부터 0xf06b가 하천을, 0xf06c에서 0xf071이 철도를, 0xf072가 공백을, 0xf073부터 0xf083이 시청 등의 기호를 각각 나타내는 폰트 도형에 대응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501)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개략 지도를 나타내고 있다. 개략 지도(501)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으로 표시되는 폰트 도형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직사각형이 대응하는 폰트 도형의 코드로 치환함으로써 개략 지도 코드열로 표현할 수 있다. 도 5의 지도는, 가로 10×세로 11의 코드열, 즉 각 행이 10 코드의 11행의 코드열로 된다. 도 3에 있어서 (30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일례이다. (302)의 행에 있는 <MOBILEMAP>은 본 실시예를 위해 새로 도입한 태그(tag)로서, 지도 데이터인 것을 나타낸다. FORMAT=FONTMAP은 지도의 내용이 개략 지도 코드열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TYPE=DISPLAY는, 이 지도는 표시 전용으로만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303)의 행에서부터 (304)의 행까지는 개략 지도(501)의 개략 지도 코드열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설명을 가시화하기 위해서, 코드를 &#로 시작되는 10진수로 나타내고 있는데, 전송되는 데이터는 각 코드마다 2 바이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략 지도 코드는 2 바이트 단위로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240&#114는 1개의 코드 0xf072를 나타낸다. 각 행 끝의 <BR>은 명시적인 개행(改行)을 나타낸다. (305)의 행의 </MOBILEMAP>은 지도 데이터의 종료를 나타낸다.
또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대응하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에 있어서, (201)은 사용자에게 입력 조작을 제공하는 텐키(ten-key) 등의 입력 디바이스, (202)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201)를 거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 입력 제어 수단, (203)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디바이스, (204)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203)를 거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출력 제어 수단, (205)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PHS 등의 통신 디바이스, (206)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 (207)은 장기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ROM 등의 축적 디바이스, (208)은 상기 축적 디바이스(207)에 보존되어 있고 문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폰트 데이터, (209)는 상기 축적 디바이스(207)에 보존되어 있고 개략 지도 부품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 (210)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 표시 및 사용자 조작 지시의 할당을 제어하는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다. 또한,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폰트 도형의 중첩을 가능하게 하여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첩 묘화 수단(211), 압축된 개략 지도 코드열의 신장을 실행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신장 수단(212), 균등 분할 맵을 처리하는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213), 마크 부가 맵을 처리하는 마크 부가 맵 조작 수단(214), 및 이미지 데이터의 표시를 실행하는 이미지 처리 수단(215)을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링크에 의한 참조 등에서 신규 하이퍼 텍스트의 표시를 입력 디바이스(201)를 이용하여 지시하면, 입력 제어 수단(202)이 해당 지시를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으로 전달한다. 여기서는 해당 지시가 http://host1/page1의 표시이고, host1은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의 어드레스이었다고 가정하면,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참조 대상이 외부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상에 있기 때문에, 통신 제어 수단(206)에 지시해서 통신 디바이스(205)를 이용하여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와 통신을 실행하여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page1을 취득한다. 여기서 page1은 위에서 설명한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301)인 것으로 한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데이터(301)를 수취하면 (302)의 행으로부터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하고, (303) 내지 (304)의 행의 코드를 기초로 한 표시 데이터의 작성시에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209)를 사용한다. 또, 레이아웃의 결정 처리는 통상의 텍스트 데이터의 레이아웃 결정 처리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209)에는 위에서 설명한 개략 지도 코드표(401)의 정보와 폰트 도형의 실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209)를 사용하여 생성한 표시 데이터를, 출력 제어 수단(204)에 지시하여 출력 디바이스(203)에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는, 표시 데이터로서 도 5에 나타낸 개략 지도가 재현된다.
따라서, 이미지 처리 기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텍스트 처리 기능만으로 충분히 표현 능력을 가진 개략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코드열은 이미지 데이터에 비해서 충분히 작기 때문에, 통신 시간의 단축이나 서비스 이용료의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로, 철도 등은 가로 세로 방향만의 폰트 도형을 준비하였지만, 경사 방향의 폰트 도형을 준비하는 것에 의해 표현력이 향상된다. 또한, 기호로서 10수개의 폰트 도형밖에 준비하지 않았지만, 주유소(Gas Station), 편의점(Convenience Store), 패스트푸드점(Fast Food Restaurant), 캠프장(Camp site), 백화점(Department Store) 등의 기호를 추가하거나, 각 기업의 마크를 더 준비함으로써 표현력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 중의 코드만을 사용하여 개략 지도를 표현하였지만, 일반 한자 코드를 혼재시켜 개략 지도 중에 통상 문자를 조합시킴으로써 폰트 데이터(208)의 폰트 도형도 이용하더라도 개략 지도의 표시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았지만,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하이퍼 텍스트 생성 수단은, 정보 제공자가 PC 등으로 조작하는 하이퍼 텍스트 에디터, 혹은 자동 생성 프로그램인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특히 한정하지는 않았지만,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는, 정보 제공자가 PC 등으로 동작하는 개략 지도 작도 기능과 개략 지도 코드로서의 보존 기능을 더불어 갖는 개략 지도 생성 에디터 혹은 자동 생성 프로그램인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개략 지도 생성 에디터의 실현 방식으로서는, 프론트 엔드 프로세서(Front End Processor)를 이용하여 키보드로부터 개략 지도 코드를 입력하는 방식, 개략 지도 부품을 마우스 등으로 일람하여 선택해 배치해서 마지막에 개략 지도 코드열로 변환하는 방식, 스캐너 등으로 취입한 지도 이미지를 베이스로 하고, 도로나 철도의 종단이나 교차점, 경계 표지 등을 마우스 등으로 선택하여 개략 지도의 기초 데이터를 작성하여, 그것을 기초로 개략 지도 코드열을 생성하는 방식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와,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에 개략 지도 코드열로 표현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쳐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사용자에게 입력 조작을 제공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거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 입력 제어 수단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디바이스와,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거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출력 제어 수단과,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과, 장기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축적 디바이스와, 상기 축적 디바이스에 보존되어 있고 문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폰트 데이터와, 상기 축적 디바이스에 보존되어 있고 개략 지도의 부품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 표시 및 사용자 조작 지시의 할당을 제어하는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과, 상기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로부터 개략 지도 코드열을 취득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취득 수단과, 제공할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하이퍼 텍스트 생성 수단과,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을 거쳐 수신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로부터의 취득 요구에 따라 하이퍼 텍스트의 생성 및 송부를 실행하는 하이퍼 텍스트 전송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중 지도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의 열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텍스트 표시 기능만으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통신 시간의 단축 및 이용료의 경감이 가능한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도 7, 도 8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601)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개략 지도를 나타내고 있다. (602)는 우체국의 배치가 점선으로 둘러싸인 좌우 2개의 직사각형이 나타내는 폰트 영역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이러한 경우 우체국을 좌측의 폰트 영역(603)이나 우측의 폰트 영역(604) 중 어느 한 쪽에 다시 재배치하여 코드화할 필요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는 반각의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폰트 영역의 중간에 배치한다. 도 8에 있어서, (701)은 이 때의 하이퍼 텍스트 데 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702)의 행의 우체국을 나타내는 코드 &#240&#120의 전후에 반각 공간을 나타내는 코드 &#32가 1개씩 놓여져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701)를 수취하면, 통상의 텍스트 데이터의 레이아웃 결정 처리와 마찬가지로 반각 공간을 전각 문자의 절반의 폭으로 배치하고,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209)를 사용하여 표시 데이터를 작성해서, 출력 제어 수단(204)에 지시하여 출력 디바이스(203)에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는, 표시 데이터로서 도 7에 나타낸 개략 지도가 재현된다.
따라서, 통상의 텍스트 데이터의 레이아웃 기능을 확장시키는 일 없이 좌우 2개의 폰트 도형 영역의 중간으로의 폰트 도형의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반각 폰트로서 반각 공간만을 설명하였지만, 아스키 코드 등 통상의 반각 문자도 마찬가지로 개략 지도 코드열에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보다 표현력이 높은 시스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에 반각폭의 교차점 등 반각용 개략 지도 폰트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더욱 표현력이 높은 시스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중 지도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와 반각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의 열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가로 방향의 배치의 정밀도가 높은 개략 지도를 표현할 수 있는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도 9,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801)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개략 지도를 나타내고 있다. (802)는 「산」이라는 한자가 교차점의 개략 지도 폰트 도형과 겹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803)은 「절」이라는 한자가 도로의 개략 지도 폰트 도형과 겹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이러한 경우 문자나 도로 중 어느 하나만을 남기고 코드화하여, 다른쪽의 정보를 삭제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 중첩 묘화의 지시를 이용함으로써 정보를 삭제하는 일 없이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도 10에 있어서 (901)은, 이 때의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902)의 행의 교차점을 나타내는 코드 &#240&#74의 뒤에 백스페이스(backspace)를 나타내는 코드&#08과 한자 코드의 「산」이, 도로를 나타내는 코드 &#240&#64의 뒤에 백스페이스를 나타내는 코드 &#08과 한자 코드의 「절」이 놓여져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901)를 수취하면, 중첩 묘화 수단(211)을 동작시켜,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209) 및 폰트 데이터(208)를 사용해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고, 출력 제어 수단(204)에 지시하여 출력 디바이스(203)에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중첩 묘화 수단(211)의 동작에 대하여 도 11을 이용하여 더 설명한다. 도 11은 중첩 묘화 수단(211)의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표시 위치를 선두행의 행두(行頭)에 세트하고(단계 1000), 개략 지도 코드열로부터 코드를 1개 절취하여(단계 1001), 개략 지도 폰트 코드 또는 한자 코드이면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 또는 폰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폰트 도형을 묘화한다(단계 1002). <BR>이 있으면 표시 위치를 다음 행의 행두로 이동한다(단계 1003). 백스페이스 코드이면 표시 위치를 1 문자전으로 되돌린다(단계 1004). 개략 지도 코드열의 마지막까지 처리하면 동작을 종료한다. 이 결과 백스페이스 코드(Back Space Code)에 계속되는 코드에 대응하는 폰트 도형은 백스페이스 코드의 직전 코드에 대응하는 폰트 도형에 겹쳐서 묘화된다.
따라서,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901)로부터 도로를 나타내는 개략 지도 폰트 도형과 한자 폰트 도형의 중첩을 갖는 (801)의 표시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개략 지도 폰트 도형에 한자 폰트 도형을 중첩시키는 예만을 나타내었지만, 개략 지도 폰트 도형끼리, 한자 폰트 도형끼리를 중첩시키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2중으로 중첩시키는 예만을 나타내었지만, 3중 이상으로 중첩시키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개략 지도 폰트 도형을 구성하는 소수의 공통적인 도형만을 폰트로 갖고, 중첩 묘화에 의해서 개략 지도 폰트 도형을 구성하면,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상에 고정적으로 갖는 데이터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1 코드씩 백스페이스를 삽입하는 예만을 나타내었지만, 연속하여 백스페이스를 삽입 하더라도 좋다. 또한, 백스페이스 코드에 의한 중첩 묘화 지시의 예만을 나타내었지만, 화면 전체분의 후퇴를 나타내는 코드나 태그를 정하는 것에 의해 화면 전체를 복수 중첩시키는 방식이나, 행렬 위치를 지정하여 특정 폰트를 중첩시키는 방식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와 조합함으로써 보다 표현력이 높은 시스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 중첩 묘화 수단을 이용하여,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중 지도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중첩 묘화 지시를 포함하는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의 열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화면에 평면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개략 지도 폰트 도형의 수를 초과한 큰 정보량을 갖는 개략 지도를 표현할 수 있는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개략 지도 폰트 도형의 구성 요소만을 폰트로서 갖도록 함으로써,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상에 고정적으로 갖는 데이터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도 12,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 서, (1101)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개략 지도를 나타내고 있다. (1102)는 우체국의 배치가 점선으로 둘러싸인 상하 2개의 직사각형으로 표시되는 폰트 영역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이러한 경우 우체국을 상측의 폰트 영역(1103)이나 하측의 폰트 영역(1104) 중 어느 한 쪽에 다시 재배치하여 코드화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1105)의 부분을 도 6과 비교하면 철도와 도로의 사이 간극이 묻히고, 또한 좌우에 달리는 도로가 상하 2개의 폰트 영역의 중간에 추가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이러한 지도는 표현할 수 없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과 같은 경우에는 1/2 개행을 이용함으로써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3에 있어서, (1201)은 이 때의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1202)의 행의 마지막에 1/2 개행을 나타내는 태그 <HALFBR>이 놓여져 있다. (1203)의 행에는 2개의 공백에 계속하여 우체국을 나타내는 코드가 놓여지고, 마지막에 <HALFBR>이 놓여져 있다. 또한, (1204)의 행의 마지막에도 <HALFBR>이 놓여져 있다. (1205)의 행에는 위의 행과 동일한 도로를 나타내는 코드가 놓여지고, 마지막에 <HALFBR>가 놓여져 있다. (1206)의 행은 철도 등을 나타내는 코드가 놓여지고, 마지막에 <HALFBR>가 놓여져 있다. (1207)의 행에는 좌우 방향의 도로를 형성하는 교차점 등을 나타내는 코드가 놓여지고, 마지막에 <HALFBR>이 놓여져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1201)를 수취하면, 실시예 3과 같이 중첩 묘화 수단(211)을 동작시켜,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209) 및 폰트 데이터(208)를 사용하여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고, 출력 제어 수단(204)에 지시하여 출력 디바이스(203)에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중첩 묘화 수단(211)은 도 11에 있어서의 동작의 단계 1003에 있어서 다음 행의 상하 방향의 표시 위치를 세트할 때에 <BR>이면 1행분을, <HALFBR>이면 1/2행분을 앞행의 표시 위치에 부가한다. 이 결과 <HALFBR>에 계속되는 행에 대응하는 폰트 도형은, 직전의 행에 대응하는 폰트 도형에 반쯤 겹쳐져 묘화된다.
따라서, 상하 2개의 폰트 영역의 중간으로의 폰트 도형의 중첩 묘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1/2 개행 태그를 행 끝에 놓는 방식의 예만을 나타내었지만, 통상의 개행 코드와 행두의 1/2 상승 코드의 조합이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 시스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행 단위로 조정하는 예만을 나타내었지만, 문자 코드마다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코드를 삽입하는 방식이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 시스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1/2행 단위의 조정을 실행하는 예만을 나타내었지만, 1/3행 등의 단위로의 조정이나 돗트수 지정 등의 조정 등, 조정 기능을 고도화함으로써, 더욱 표현력이 높은 시스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중첩 묘화 수단이 표시 데이터의 작성에 있어서 개행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중 지도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개행폭 지시를 포함하는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의 열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배치의 정밀도가 높은 개략 지도를 표현할 수 있는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가 압축된 개략 지도 코드열로 표현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를 송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이퍼 텍스트 전송 제어 수단(1306)이 통신 제어 수단(1302)을 거쳐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로부터의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개략 지도 코드열 취득 수단(1303)을 거쳐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104)로부터 취득 요구에 대응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을 입수하여, 개략 지도 코드열 압축 수단(1304)을 동작시켜 압축된 개략 지도 코드열을 얻고, 하이퍼 텍스트 생성 수단(1305)을 동작시켜 취득 요구에 대응하는 압축된 개략 지도 코드열로 표현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를 생성해서, 통신 제어 수단(1302)을 거쳐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기 하이퍼 텍스트를 송신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압축된 개략 지도 코드열로 표현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 방법으로서, 2 바이트 코드열을 베이스의 2 바이트 코드로부터의 오프셋만의 1 바이트 코드열로 나타내는 방법(여기서는 오프셋 표현이라고 칭함)과, 연속하는 동일한 코드를 개수를 나타내는 1 바이트와 해당 코드로 나타내는 방법(여기서는 런 길이 표현이라고 칭함)의 두 가지를 병용하고 있다. 도 14에 있어서 (1401)은 도 3의 (301)로 나타낸 개략 지도를 압축된 개략 지도 코드열로 표현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1402)의 행에 있는 CODEBASE=0xf040은 본래 2 바이트 단위의 코드열이 0xf040으로부터의 오프셋을 나타내는 1 바이트 단위의 코드열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선언하고 있다. COMPRESS=RLN은 코드열이 런 길이 표현을 사용하여 표현되어 있는 것을 선언하고 있다. 여기서 (1403)은 도 3의 2 바이트 단위의 개략 지도 코드열의 부분을, 오프셋 표현에 의해 1 바이트 단위의 코드열로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어, &#240&#114(0xf072)는 &#50(0x32)로, &#240&#65(0xf041)는 &#1(0x1)로 표현된다. 또한, (1403)에 런 길이 표현을 적용하면, (1402)의 최종 코드열이 된다. 여기서는 (1404)의 행에는 &#50이 3개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1406)의 행의 &#131&#50로, (1405)의 행에는 &#44가 7개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1407)의 행의 &#135&#44로 압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드의 실체 또는 개수 중 어느 쪽을 표현하고 있는가를, 개수의 경우에는 최상위 비트를 1로 함으로써 구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개략 지도를 표현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에 관해서는, 실시예 1에서 231 바이트였던 것이, 본 실시예에서는 115 바이트로 압축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1401)를 수취하면, (1402)의 행으로부터 압축된 지도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여, 개략 지도 코드열 신장 수단(212)을 동작시켜 압축이 없는 개략 지도 코드열을 얻고, 이 코드를 기초로 한 표시 데이터의 작성시에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209)를 사용하여 생성한 표시 데이터를, 출력 제어 수단(204)에 지시하여 출력 디바이스(203)에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는, 표시 데이터로서 도 3에 나타낸 개략 지도가 재현된다.
따라서, 동일한 개략 지도의 정보의 전송을 실시예 1과 비교해서 적은 통신량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 방식으로서 오프셋 표현과 런 길이 표현만을 설명하였지만, 다른 압축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폰트종이 127 이하인 경우에 적용 가능한 방법에 대하여 나타내었지만, 폰트종이 128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제어 비트에 의한 오프셋의 확장(escape)이나, 복수의 베이스를 전환하는 코드를 도입하는 등 압축의 실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략 지도 폰트에 대응하는 코드만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열의 예만을 나타내었지만, 백스페이스나 1/2 개행 등의 제어 코드나 한자 코드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열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대책을 실시하여 압축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 압축된 개략 지도 코드열의 신장을 실행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신장 수단을 갖고,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개략 지도 코드열의 압축을 실행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압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정보량 을 떨어뜨리지 않고 통신 데이터량을 삭감하여, 통신 시간이나 이용 요금을 경감시킬 수 있는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 도 17 내지 도 19에 있어서, (1701∼170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1704)는 입력 디바이스(201)의 조작 키이다. (1705)는 표시 장치(203)의 액정 패널이다. (1706)은 통신 디바이스인 내장 모뎀과 전화 회선을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102)가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이퍼 텍스트 전송 제어 수단(1306)이 통신 제어 수단(1302)을 거쳐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01)로부터의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하이퍼 텍스트 생성 수단(1305)을 동작시켜 취득 요구에 대응하는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신 제어 수단(1302)을 거쳐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기 하이퍼 텍스트를 송신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1501, 1504)는,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예이다. (1502, 1505)의 행에 있는 FORMAT=IMAGEMAP은 지도의 내용이 화상 데이터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SRC=map0.gif는 지도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가 map0.gif라고 하는 참조명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TYPE=ZOOMUP은 이 지도에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ROWS=3, COLS=3은, 균등 분할의 수가, 각각 상하 방향이 3, 좌우 방향이 3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계속되는 <LINK>는 균등 분할 영역에 대응지어진 링크 정보를 나타내며, 상하 분할 영역의 몇번째를 ROW 속성으로, 좌우 분할 영역의 몇번째를 COL 속성으로, 링크 대상을 HREF 속성으로 지정한다. 예를 들어, (1503)의 행은, ROW=1, COL=2이기 때문에, 이 링크 정보가 대응지어지는 영역이 상하 분할 영역의 1번째이고 좌우 분할 영역의 2번째이며, HREF=a12.map이기 때문에 링크 대상의 참조명이 a12.map인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1501)를 수취하면, (1502)의 행으로부터 3×3으로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 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로서, 내용이 map0.gif에서 참조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고,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213)을 기동시켜 키 조작 링크 대응표를 생성하여, 통신 제어 수단(206)을 거쳐 map0.gif에서 참조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며, 이미지 처리 수단(215)을 동작시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해서, 3×3의 균등 분할 영역의 경계를 점선으로 묘화하여 표시 데이터를 수정하고, 출력 제어 수단(204)에 지시하여 출력 디바이스(203)에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는 map0.gif가 도 16의 (1601)에 나타내는 것으로 하면, 표시 화면은 도 17의 (1701)과 같이 균등 분할 영역의 경계를 파선으로 나타낸 지도이다. 또한, 키 조작 링크 대응표에 대하여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1801)은 하이퍼 텍스트(1501)에 근거하여 생성된 키 조작 링크 대응표의 예이다. 여기서는 상하 분할 영역의 지시와 좌우 분할 영역의 지시를 각각 제 1 키 입력과 제 2 키 입력에 대응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1801)에 있어서, (1803)은 (1503)의 <LINK>에 대응하는 것으로 제 1 키 입력이 [1]이고 제 2 키 입력이 [2]인 경우에, 참조명 a12.map의 링크가 대응지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도면중에,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링크 대상의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입력 제어 수단(202)을 거쳐 사용자의 키 입력 이벤트를 수취하면,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213)에 지시하여 키 조작 링크 대응표로부터 링크 대상의 참조명을 취득하고, 통신 제어 수단(206) 을 거쳐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을 요구한다. 여기서는 제 1 키 입력이 [1]이고 제 2 키 입력이 [2]였다고 하면, (180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12.map을 참조명으로 하여 취득 요구를 실행한다.
계속해서, a12.map에 대응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가 (1504)에 나타내는 것이었다고 하면,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은 (1501)의 수신시와 마찬가지로 하여, (1505)의 행을 보아 키 조작 링크 대응표를 재생성해서, mapa12.gif를 취득하여 표시 데이터를 생성해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는 mapa12.gif가 도 16의 (1602)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면, 표시 화면은 도 18의 (1702)과 같이 균등 분할 영역의 경계를 점선으로 나타낸 지도이다. 또한, 키 조작 링크 대응표는 (1504)에 맞춰 (1802)와 같이 다시 만들어져서, 예를 들어 (1506)의 ROW=2, COL=3, HREF=b23.map의 <LINK>는 (180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키 입력이 [2]이고 제 2 키 입력이 [3]인 경우에, 참조명 b23.map의 링크가 대응지어진다. 다음에 (1702)를 표시하는 동안에, 제 1 키 입력이 [2]이고 제 2 키 입력이 [3]인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었다고 가정하면, b23.map을 참조명으로 하여 취득 요구를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b23.map에 대응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가 (1507)로 나타내는 것이었다고 가정하면,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은 (1508)의 행을 보아 표시 전용의 지도 데이터이기 때문에, mapb23.gif를 취득하여 표시 데이터를 생성해서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는 mapb23.gif가 도 16의 (1603)에 나타내는 것으로 하면, 표시 화면은 도 19의 (1703)과 같이 균등 분할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지 않은 지도로 된다.
따라서, 키 조작만으로,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로 지정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지도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에 의한 표현을 사용한 예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 1에 나타낸 개략 지도 코드열에 의한 표현을 사용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2회의 키 조작으로 분할 영역을 지정하는 방식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분할 영역에 일련 번호를 붙임으로써, 1회의 조작으로 분할 영역을 지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할 영역의 경계에 점선을 묘화하는 예만을 나타내었지만, 각 영역의 중심에 그 영역에 대응하는 키의 번호 등을 묘화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관한 인지성이 향상된다. 반대로 지도 영역의 외부에 숫자 등을 묘화하고, 지도 영역의 점선 등의 묘화를 없애면, 지도 부분의 시인성(視認性)이 향상된다. 또한, 링크 정보로서 취득해야 할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참조명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실행해야 할 스크립트(script) 등을 지정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해진다. 또한, 링크 정보를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클릭커블 맵의 형태의 예만을 나타내었지만, 키 조작에 의해 ROW와 COL의 값을 인수로 하여 서버에 송신하는 서버 사이드 클릭커블 맵의 형태이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영역과 키 입력을 직접 대응시키는 방식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선택 대상의 영역을 굵은 선으로 둘러싸는 등의 강조 표시를 실행하고, 화살표 키 등으로 선택 대상의 변경을 실행하며, 실행 키 등으로 선택을 실행하는 방식에서도, 조작성은 뒤떨어지지만 포인팅 디바이스가 필요없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쳐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이 실현된다. 이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과, 제공할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하이퍼 텍스트 생성 수단과,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을 거쳐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로부터의 취득 요구에 따라 하이퍼 텍스트의 생성 및 송부를 실행하는 하이퍼 텍스트 전송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입력 조작을 제공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거쳐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 입력 제어 수단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디바이스와,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거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출력 제어 수단과,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과,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 표시 및 사용자 조작 지시의 할당을 제어하는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생성 수단이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 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 상기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균등 분할 영역의 선택과 키 조작을 맵핑하는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의해,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지 않은 경우라도 지도상의 영역 지정에 의한 링크 선택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우수한 기능을 갖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및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이다.
도 21에 있어서 (1901, 19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1914)는 입력 디바이스(201)의 조작 키이다. (1915)는 표시 장치(203)의 액정 패널이다. (1916)은 통신 디바이스인 PHS 모듈의 일부인 안테나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도 15에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1504)를 수취하면, (1505)의 행으로부터 3×3으로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로서, 내용이 mapa12.gif에서 참조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여,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213)을 기동시켜 키 조작 링크 대응표를 생성하고, 통신 제어 수단(206)을 거쳐 mapa12.gif에서 참조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이미지 처리 수단(215)을 동작시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3×3의 균등 분할 영역의 경계를 점선으로 묘화하여 표시 데이터를 수정하여, 출력 제어 수단(204)에 지시해 출력 디바이스(203)에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이 생성하는 키 조작 링크 대응표에 대하여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2001)은 하이퍼 텍스트(1504)에 근거하여 생성된 키 조작 링크 대응표의 예이다. 여기서는 1개의 키 입력을 직접 링크 정보와 대응지어져 있다. 예를 들어, (2002)의 행은 키 입력 [6]에, 참조명 b23.map의 링크가 대응지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213)이,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1504)로부터 상기 키 조작 링크 대응표(2001)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1504)로부터 각 <LINK>를 취출하고, ROW와 COL의 값에 근거하여 키 배열표를 참조하여 조작 키를 결정한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키 배열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키의 공간적 배치가 (1917)에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2101)에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1506)의 <LINK>는 ROW=2, COL=3이기 때문에, (2102)에 의해 조작 키가 [6]으로 되고, 키 조작 링크 대응표(2001)의 (2002)의 행이 생성된다. 키 조작 링크 대응표(2001)에 의해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1901)의 균등 분할 영역(1902∼1910)이, 키 [1]∼[9]에 각각 대응하여, 표시 화면(1912)과 키 조작 영역(1911)의 공간적 배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도면중에,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링크 대상의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210)은 입력 제어 수단(202)을 거쳐 사용자의 키 입력 이벤트를 수취하면,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213)에 지시하여 키 조작 링크 대응표로부터 링크 대상의 참조명을 취득하여, 통신 제어 수단(206)을 거쳐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을 요구한다. 여기서는 키 입력이 [6]이었다고 가정하면, (200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23.map을 참조명으로 하여 취득 요구를 실행한다. b23.map에 대응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가 (1507)에 나타내는 것이었다고 하면,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은 (1508)의 행을 보아 표시 전용의 지도 데이터이기 때문에, mapb23.gif를 취득하고 표시 데이터를 생성해서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는 mapb23.gif가 도 16의 (160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602)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라고 하면, 표시 화면은 도 21의 (1913)과 같이 균등 분할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지 않은 지도로 된다.
따라서, 지도상의 영역의 배치와 조작 키의 공간적 배치가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직관적인 키 조작으로,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키 조작 링크 대응표에 텐키밖에는 나타나지 않은 예를 나타내었지만, 도 21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키 배열표는 (2103)과 같이 되고, 키 조작 링크 대응표는 (2003)과 같이 되어, 텐키 이외의 키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키 배열표로 ROW, COL의 값을 고정적으로 키에 대응시키는 방식을 나타내었지만, ROWS, COLS의 수에 따라 대응시키는 키를 변경하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 있어서,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이 균등 분할 영역과 키 조작을 맵핑할 때에, 균등 분할 영역과 키의 공간적 배치를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에 의해, 직관적인 키 조작으로 균등 분할 영역의 선택이 가능한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8)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및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링크 대상이,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더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이고, 후자의 지도 내용이 전자의 지도 내용의 균등 분할 영역의 확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6에서 설명한 도 16이 이러한 일련의 하이퍼 텍스트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키 조작에 의해 도 17의 (1701)에서부터 도 18의 (1702), 또한 도 18의 (1702)에서부터 도 19의 (1703)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키 조작만으로, 지도의 줌 업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지도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에 의한 표현을 사용한 예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 1에 나타낸 개략 지도 코드열에 의한 표현을 사용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링크 대상이,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더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이고, 후자의 지도 내용이 전자의 지도 내용의 균등 분할 영역의 확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에 의해,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지 않은 경우라도 지도의 줌 업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및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링크 대상 이,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더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이고, 후자의 지도 내용이 전자의 지도 내용의 균등 분할 영역을 중앙에 포함하는 일정 비율로 보다 큰 영역의 확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4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러한 일련의 하이퍼 텍스트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2201)의 균등 분할 영역(2204)에 링크된 지도 정보의 지도 내용(2202)은 균등 분할 영역(2204)을 포함하는 11/9의 비율로 큰 영역(2205)의 확대도로 되어 있고, 또한 (2202)의 균등 분할 영역(2206)에 링크된 지도 정보의 지도 내용(2203)은 균등 분할 영역(2206)을 포함하는 11/9의 비율로 큰 영역(2207)의 확대도로 되어 있다. 실시예 8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균등 분할 영역의 경계는, 확대된 지도 내용의 경계와 일치하기 때문에, 「A역」과 같이 균등 분할 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는 부분이 중앙 부근으로 되는 것과 같은 줌 조작은 불가능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균등 분할 영역의 경계는 확대된 지도 내용의 경계와 다르기 때문에, (220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A역」과 같이 균등 분할 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는 부분이 중앙 부근으로 되는 것과 같은 줌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11/9의 비율로 큰 영역을 확대도의 영역으로 하는 예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비율을 이용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링크 대상이,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더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이고, 후자의 지도 내용이 전자의 지도 내용의 균등 분 할 영역을 중앙에 포함하는 일정 비율로 보다 큰 영역의 확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에 의해,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지 않은 경우의 지도의 줌 업 조작에 있어서, 지도의 중심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10)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대응하는 실시예 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 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있어서, (2601)은 주변 개략 지도를 생성하는 주변 개략 지도 생성 수단, (2602)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수단, (2603)은 경로 탐색한 결과를 간이 개략 지도로 변환하는 간이 경로 지도 생성 수단, (2604)는 생성된 개략 지도를 개략 지도 코드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 수단. (2605)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해 놓은 지도 저장 수단, (2606)은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간이 경로 지도 생성 수단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경로 탐색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예이다. 도 27에 있어서 속성이 0인 경우에는, 각 행은 통과 노드의 좌표와 노드를 통과한 각도를 나타내고 있고, 속성이 0이 아닌 경우에는 각각 도 28에 대응하는 경계 표지가 위치하는 좌표가 나타나 있다. 도 28은 경계 표지의 ID와 경계 표지의 명칭의 대조표이다. 도 29는 경로 정보를 탑재한 디지털 지도와 지도상에서 실행한 경로 탐색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30은 도 29의 경로 지도로 경로 탐색이 실행되어 출력된 도 28의 경로 탐색 결과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교차점의 각도를 정규화한 결과의 경로도이다. 도 31은 그물눈을 덮어 거리를 정규화한 경로도이다. 도 32는 경로 탐색 결과의 데이터에 각도의 정규화 처리를 실시한 결과이다. 도 33은 도 31을 개략 지도 코드열로 변환할 수 있도록 각 그물눈에 있어서의 도면과 폰트를 대응시킨 도면이다. 폰트종이 2 종류인 데이터에서는 폰트 합성 수단을 이용하여 폰트를 합성한다. 도 34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개략 지도 코드표이다. 도 35는 도 33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개략 지도 코드열이다. 여기서는, 각 코드는 0xf000으로부터의 오프셋만을 16진법으로 나타내고, 또한 중첩 묘화의 제어에 백스페이스 코드 0x08을 사용하고 있다. 도 36에 나타내는 표는 교점과 도 34의 개략 지도 폰트 도형의 대응을 나타내는 표의 일례의 일부이다.
도 26∼도 35와 도 36의 표를 참조하면서 간이 경로 지도 생성 수단(2603)에 대하여 설명한다. 간이 경로 지도 생성 수단이 기동되면(단계 2700), 경로 탐색 결과의 도 27의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2701). 취득한 도 27의 데이터에 근거하 여 속성이 0인 데이터에 대하여 45°를 단위로 각도의 정규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2702). 각도의 정규화 처리후에는 도 30에 나타내는 경로도로 된다. 도 32는 각도의 정규화 처리후의 데이터이다. 도 32에 그물눈을 덮어, 각각 그물눈의 중앙에 교차점 또는 분기점이 오도록 이동한다. 또한, 교차점이 아닌 곳도 도로변이 그물눈의 중앙에 오도록 이동한다(거리의 양자화)(단계 2703). 도 30에 있어서, 각 그물눈에서 그물눈의 경계변와 경로와의 교점으로부터, 어떤 경계와 교차했는가를 판정하고, 표 1을 참조해서 대응하는 폰트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그물눈의 경계와 좌우의 양변에서 교차하여 그물눈의 가운데에 노드가 없으면, 좌우에 직선인 폰트 0xf04c, 그물눈의 하변과 좌변에서 교차하여 그물눈중에 노드가 있으면 폰트 0xf040와 0xf041의 합성, 그물눈의 상변과 우변이 교차하고 있으면 폰트 0xf043과 0xf042의 합성으로 동정(同定)한다(단계 2704). 경계 표지가 대응하는 링크선 부근에 경계 표지에 대응하는 폰트를 배치한다. 예를 들어, (3101)의 경계 표지는 도 27에 있어서 6행째와 8행째의 교차점이 배치된 장소의 사이 위치의 근방, 즉 (3201)의 위치의 아래에 폰트 0xf057로서 배치한다(단계 2705). 도 33의 폰트를 동정한 결과로부터, 공백 코드 등을 삽입하여, 개략 지도 코드열(3601)을 출력한다(단계 2706).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경로도를 표현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을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가, 경로 탐색 수단으로부터, 통과하는 순서로 배열된 경로의 노드와 노드를 통과하는 각도와 노드 접속 링크선수와 접속되어 있는 링크선의 각도와 경로변의 경계 표지의 종류와 경계 표지가 인접하는 링크선의 ID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데이터와 지도 데이터에 근거해 간이 경로 지도를 생성하는 간이 경로 지도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생성한 간이 경로 지도를 개략 지도 코드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에 의해, 출발지에서 각 교차점의 좌표 데이터와 각 교차점에서 통과하는 각도와 각 링크선의 폭과 각 링크선의 접하는 경계 표지의 속성과 경계 표지의 좌표를 경로 탐색 수단으로부터 획득하여, 그 데이터에 근거해 각 교차점의 각도와 각 링크선의 거리를 정규화하여 경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고, 경로 안내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노드의 형상에 대응하는 지도 폰트를 조합함으로써 안내 지도를 표시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상에서도 보기 쉽고 데이터 통신량이 작은 경로 안내도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대응하는 실시예 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7 내지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이 도 6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이 도 2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도 25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이용하 여 설명한다. 도 37은 주변 안내의 개략 지도 코드열을 생성하는 주변 개략 지도 생성 수단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8은 본래의 지도 데이터이다. 도 39 내지 도 45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변 개략 지도를 생성하는 원 지도에서 범위를 지정한 경우에 상기 지정한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에 있어서, (3901)은 대상으로 하는 지도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사이즈로 잘라낸 도면이다. 도 40의 (3902)는 상기 (3901)의 교차점을 폰트 변환한 후의 도면이다. 도 41의 (3903)은 교차점을 접속하고 있는 노드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42의 (3904)는 표시 그물눈으로부터 삭제해도 되는 부분을 음영 처리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43의 (3905)는 삭제 가능한 부분을 삭제한 후에 각 교차점의 접속 관계를 직선으로 회복시킨 도면이다. 도 44의 (3906)은 접속한 직선이 그물눈의 경계와의 교점으로부터 대응하는 폰트에 할당한 도면이다. 도 45는 도 40의 1개의 교차점 (나)를 중심으로한 9개의 그물눈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A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6은 도 45에서 교차점 (나)를 그물눈의 중심으로 이동시킨 도면이다. 이 때 교차점에 접속되어 있는 링크선과 외측의 그물눈 경계의 교점은 고정시킨다. 도 47은 교차점 (나)를 포함하는 그물눈을, 그물눈과 링크선의 교점 위치에 주목하여 도 34의 개략 지도 코드표 중의 대응하는 폰트로 변환한 도면이다. 도 48은 인접하는 그물눈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대응하는 폰트로 변환한 도면이다. 도 49는 도 39에 있어서 교차점 a, b, c가 서로 인접하는 B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0은 각 교차점을 그물눈내로 이동시킨 도면이다. 도 51은 각 교차점을 각도 양자화한 도면이다. 도 52는 인접하는 그물눈의 링크선 형상을 대응하는 폰트로 변환한 도면 이다. 도 53은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이다.
도 37 내지 도 53을 참조하면서 주변 개략 지도 생성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변 개략 지도 생성 수단이 기동되면(단계 3700), 지역 D를 지정한 경우에는 도 38의 전체 지도로부터 영역 D를 잘라낸다(단계 3701). 도로 α가 수평 방향으로 되도록 회전하여(단계 3702), 2개 이상의 링크선이 하나의 그물눈에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그물눈을 만든다(도 39의 3901, 단계 3703). 도 45의 교차점 (나)를 그물눈의 중앙으로 이동한다. 그 때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선과 외측의 그물눈과의 교점 p, q, r, s는 고정시키고 교차점을 이동한다(단계 3704). 교차점 (나)에 접속하는 링크선에 대하여 45°를 단위로 하여 각도의 정규화 처리를 실시한다(도 47, 단계 3705). 교차점에 인접하는 그물눈의 링크선 형상에 대하여 표 1을 참조하여 교차점 형상 폰트에 대응하도록 변형한다(도 48, 단계 3706). 교차점 (나)에 종료 플래그를 붙여, 대상으로 하는 지도상의 모든 교차점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해서,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3704로 되돌아가고, 종료되어 있으면 단계 3708을 실행한다. 실시예에서는 아직 교차점 a, b, c가 있기 때문에 단계 3704로 되돌아간다(단계 3710). 도 49의 교차점 a, b, c를 각각의 그물눈의 중심으로 이동한다. 그 때, 인접하는 8개의 그물눈에 교차점이 있는 경우에는 접속되어 있는 링크선을 이동한다. 이 경우 ab, bc, ca이다(단계 3704). 도 50에서 교차점 a, b, c를, 45°를 단위로 각도의 정규화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3705).
도 51에서 교차점에 인접하는 교차점 이외의 그물눈의 링크선 형상에 대하여 도 36의 표를 참조하여 교차점 형상 폰트에 대응하도록 변형한다(도 52, 단계 3706). 미처리 교차점이 없어지면(단계 3707), 각 교차점의 접속 관계 (가-가), (나-나), (다-다)를 기억하여(도 40의 3902), 교차점을 접속시키고 있는 도로 링크선을 제거한다(도 46의 3903, 단계 3708). 그물눈을 행렬로 보아 각 행과 각 열이 모든 교차점 영역(교차점을 중심으로 한 5×5의 행렬)과 경계 표지 영역(경계 표지의 모눈)에 걸리지 않으면(도 42의 3904의 음영 처리 부분), 행 또는 열을 제거한다(도 42의 3904, 단계 3709). 교차점의 접속 관계를 회복시켜 직선으로 연결한다(도 43의 3905, 단계 3710). 접속한 직선과 그물눈의 경계변과의 교점으로부터 대응하는 폰트를 할당한다(단계 3711). 경계 표지와 직선의 폰트의 모눈이 겹치는 경우에는 경계 표지의 모눈을 어긋나게 해둔다. 경우에 따라서는 폰트를 합성한다(단계 3712). 이 결과, 도 44의 (3906)의 지도 데이터를 얻는다. 도 33과 마찬가지 형식의 데이터로부터 공백 등을 삽입하여 개략 지도 코드열을 출력한다(단계 3713).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주변도를 표현하는 보기 쉬운 개략 지도 코드열을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9의 (3901)에 경계 표지가 없는 경우의 처리 결과는 도 53으로 되어 지도 코드열(3602)로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 개략 지도 생성 수단의 출력시에 도로폭을 고려하지 않았지만, 도로를 표현하는 폰트종을 늘리는 것과 출력시에 도로폭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도로폭의 차이를 표현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가 용이하게 실현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가, 주요 도로와 그 이외의 도로를 구별할 수 있는 지도 데이터에 있어서, 표시할 위치와 표시 범위를 입력하면, 주요 도로와 그 밖의 도로가 구별되는 지도 데이터로부터, 우선 주요 도로를 변형하고, 주요 도로를 변형함으로써 발생하는 좌표의 위치 및 도로 사이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주요 도로로 둘러싸이는 영역을 변형하는 주변 개략 지도 생성 수단과 생성한 개략 지도를 개략 지도 코드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에 의해, 좌표 또는 경계 표지의 정보와 표시하는 영역을 입력하면, 우선 표시하는 영역의 주요 도로만으로 이루어지는 도로 네트워크를 변형하고, 그 후에 주요 도로로 둘러싸이는 영역내의 각 노드 및 경계 표지의 좌표를 주요 도로의 변형에 따라서 주요 도로로 둘러싸이는 영역내의 도로의 위상 관계가 무너지지 않도록 이동하여, 이동한 후의 영역내의 도로 네트워크를 각도와 거리의 정규화 처리를 이용하여 변형시켜서 주변 지도의 개략 지도를 생성함으로써, 개략 지도를 작성하는 것이 곤란했던 비교적 넓은 영역 또는 도로 링크선의 방향에 규칙성이 없는 경우라도 개략 지도를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작성된 개략 지도에 근거하여 개략 지도 코드열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상에서도 보기 쉬운 데이터 통신량이 작은 주변 안내도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대응하는 실시예 1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4 내지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이 도 6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도 29에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 11에서는, 1개의 선분에 의해 도로를 표현하는 방식을 나타내었지만, 인쇄물에서는 일반적으로 지도상의 도로는 2개의 선으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선이 친숙하기 쉽다. 그런데, 2개의 선분에 의해 도로를 표현하는 방식에서는, 그물눈을 비스듬히 통과하는 도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복수의 그물눈에서 적절한 폰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도로가 조각나 버리게 된다. 도 54 및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도로를 2개의 선으로 표현한 개략 지도의 표시예 도면이다. 이 중, 도 54의 (5201)은 도 53의 지도를 실시예 11에서 2개의 선분에 의해 도로를 표현한 경우의 표시예이며, (5202) 외의 그물눈을 비스듬하게 통과하는 부분에서 선분이 분단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도 55는, 동일한 도로를 표현한 경우의 표시예로서 선분의 분단을 개선시킨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의 (5301)은 본 실시예의 개략 지도 코드표를 나타낸다. 0xf05c∼0xf0a4까지의 72의 폰트는 경사 방향을 포함하는 도로를 2개의 선분으로 표현했을 때에 필요한 모든 좌측 반분의 패턴을, 0xf05c∼0xf0ec까지의 72의 폰트 는 마찬가지로 우측 반분의 패턴을 망라하고 있다.
도 59는 본 실시예의 폰트 변환 수단이 참조하는 교차점 형상 폰트 대조표의 발췌를 나타내고 있다. 전체의 표는, 8개의 경계와의 교차와 4개의 각을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도로의 유무의 조합으로서, 있을 수 없는 조합까지도 포함시키면 4096(2의 12승)행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도로의 정규화를 실행하여 도 53에 나타내는 개략 지도를 나타내는 그물눈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폰트 변환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개략 지도에 대응한다. 개략 지도 코드열을 생성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폰트 변환 수단의 처리 동작의 흐름을 도 6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좌측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그물눈을 1개 취출해서(단계 5400), 왼쪽에 이웃하는 그물눈이 있으면 그 그물눈의 링크선이 우측 상단 및 우측 하단에서 경계와 교차하는지를 체크하고, 오른쪽에 이웃하는 그물눈이 있으면 그 그물눈의 링크선이 좌측 상단 및 좌측 하단에서 경계와 교차하는지를 체크한다. 좌우 어느 한 쪽에 그물눈이 없으면, 상측에 이웃하는 그물눈이 있을 경우 그 그물눈의 링크선이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에서 경계와 교차하는지를 체크하고, 하측에 이웃하는 그물눈이 있으면 그 그물눈의 링크선이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에서 경계와 교차하는지를 체크하여 교차점 형상의 정보를 갱신한다(단계 5401). 예를 들어 도 53의 (4804)의 그물눈에서는, 우측의 그물눈이 우측 상단 아래 중 우측 상단에서 교점을 갖고, 좌측의 그물눈에서는 좌측 상단 아래에 교점이 없으며, 자신은 상하 좌우에 교점을 갖기 때문에, 교차점 형상의 정보는 도 60의 (5701)로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도 59의 교차점 형상 폰트 대조표를 참조하여, 해당 그물눈의 각 근처 및 각에서 링크선이 교차하는지 여부와, 단계 5401에서 조사한 각각의 각(角)에서 링크선이 교차하는지 여부의 조합에 대응하는 코드를, 해당 그물눈의 코드로서 출력한다(단계 5402). 상기한 예에서는 도 59의 (5605)에 대응하기 때문에, 0xf09c, 0x08, 0xf0e6이 출력된다. 또한, 해당 그물눈이 우측 단부이면 단계 5404로 진행하여 개행 코드를 출력에 부가하여, 마지막 그물눈일 경우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5400으로 되돌아간다(단계 5403). 도 58의 (550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53의 개략 지도에 대응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의 예이다. 여기서는 0xf000으로부터의 오프셋값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53의 (4801∼4804)의 그물눈에 대응하는 조합은, 도 59의 (5602∼5605)에 각각 대응하기 때문에, 출력되는 코드는 각각 도 58의 (5502∼5505)의 부분으로 된다.
개략 지도 코드열(5501)을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서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시하면, 도 55에 나타내는 (5203)과 같이 된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있어서 친밀감이 있는 방식, 즉 도로를 2개의 선분으로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경사진 도로를 분단되는 일없이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절반씩의 형상의 폰트 합성에 의해 도로를 표현하는 방식을 나타내었지만,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축적 디바이스가 충분한 용량을 갖는 경우에는, 모든 형상의 폰트 세트를 준비하는 것에 의해 전송 효율 및 단 말상의 처리 효율의 향상이 선택되는 시스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에 있어서, 폰트 변환 수단이, 개략 지도를 개략 지도 코드열로 변환할 때에, 대상의 그물눈의 도로 형상 뿐만 아니라 근방에 있는 그물눈의 도로 형상도 고려하여 코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에 의해, 2개의 선으로 기울어진 도로를 표현하는 개략 지도도 자동 생성할 수 있는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대응하는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1 내지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관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이 도 2에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도 25에 나타내는 것이다.
도 61의 (5801) 및 도 62의 (5802)는 본 실시예의 개략 지도 코드표를 나타낸다. 0xf080∼0xf0fa까지의 72의 폰트는 경사 방향을 포함하는 도로를 2개의 선분으로 표현했을 때에 필요한 모든 좌측 반분의 패턴을, 0xf180∼0xf0fa까지의 72의 폰트는 마찬가지로 우측 반분의 패턴을 반각 폰트로 망라하고 있다.
도 63은 본 실시예의 폰트 변환 수단이 참조하는 교차점 형상 폰트 대조표의 발췌를 나타내고 있다. 전체의 표는, 8개의 경계와의 교차와 4개의 각을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도로의 유무의 조합으로서, 있을 수 없는 조합까지를 포함시키면 4096(2의 12승)행이 된다. 본 실시예의 개략 지도 코드표는, 교차점 형상을 바탕으로 규칙적으로 코드화되어 있기 때문에, 교차점 형상 폰트 대조표는 계산에 의해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4에 있어서 (6001)은 교차점 형상의 정보, (6002)는 계산되는 좌측의 반각 폰트의 코드, (6003)은 우측의 반각 폰트의 코드이다. (6001)의 각 교차가 있는 경우에는 1을, 없는 경우에는 0으로 하고, 각 값을 (6002) 및 (6003)의 화살표로 나타낸 각 비트에 적용해 넣으면, 구하는 코드를 얻을 수 있다. 교차점 형상의 정보의 예로서, (5701)의 교차점 형상으로부터는, 좌측이 11110000, 11111000, 즉 0xf0f8이, 우측이 11110001, 11110000 즉 0xf1f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좌측의 코드에 연속해서는 통상적으로는 우측의 코드가 나타내는 것을 이용하면, 0xf000으로부터의 오프셋 표현으로 최상위 비트가 1인 코드는 좌측의 코드, 이것에 계속되는 최상위가 1인 비트는 실제로는 0xf100으로부터의 오프셋인 우측의 코드로 판단하는 것에 의해, 하위의 1 바이트만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폰트 변환 수단에서는, 위에서 나타낸 코드는 반각 폰트를 나타내기 때문에, 중첩 묘화 지시의 코드는 필요가 없다. 또, (6004)로 나타낸 경사 관련의 비트가 전부 0인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0xf040∼0xf04a 혹은 0xf05b의 적절한 전각 폰트의 코드를 채용한다.
도 6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략 지도 코드열의 예이다. 여기서는 0xf000으로부터의 오프셋값만을 나타내고 있다. (5701)의 교차점 형상에 대응하는 코드는 (6102)의 부분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서는, 개략 지도 코드열(6101)을 처리할 때에 좌측의 코드 뒤에 좌측의 코드가 더 있으면 이것을 우측의 코드로 변환하여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를 사용해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6101)의 개략 지도 코드열은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5203)과 같이 표시된다.
따라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의 축적 디바이스의 사용량은 늘리지 않고서 중첩 묘화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실시예 12와 마찬가지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과 우측의 코드를 1 바이트씩으로 표현하였지만, 식별에 필요한 정보량은 좌우 합쳐서 12 비트이기 때문에, 전송시에 2 바이트로 전각 3문자분의 정보량으로 압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 있어서,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가 개략 지도 부품의 좌측 반분 및 우측 반분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각 폰트를 포함하고,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 상기 반각 폰트를 포함하는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며,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에 있어서, 폰트 변환 수단이, 개략 지도를 개략 지도 코드열로 변환할 때에, 1 그물눈에 대하여 전각분의 폰트의 코드를 대응시키는 방식과 동시에, 1 그물눈에 대하여 좌측 반분과 우측 반분의 반각 폰트의 코드를 쌍으로 한 코드를 대응시키는 방식을 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축적 용량이 대단히 작고, 계산 능력이 대단히 낮은 단말에서도 표시가 가능한 2개의 선으로 기울어진 도로를 표현하는 개략 지도를 자동 생성할 수 있는 우수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발명에 따르면, 지도를 개략 지도 폰트의 문자 코드열로 표현함으로써, 텍스트 표시 기능만으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문자 코드열은 지도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해서 데이터량이 작기 때문에, 통신 시간이 단축된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발명에 따르면, 한정된 폰트 세트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지도의 변동(variation)이 증가한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에 따르면, 통신 시간이 더욱 단축된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4 발명에 따르면,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지 않은 경우라도, 지도상의 영역 지정에 의한 링크 선택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도의 줌 업 조작을 직관적으로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5 발명에 따르면,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지 않은 경우라도 지도상의 마크 지정에 의한 링크 선택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6 발명에 따르면, 장거리라도 보기 쉬운 경로 안내용의 개략 지도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7 발명에 따르면, 광범위하더라도 정밀도가 높은 주변 안내용의 개략 지도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22)

  1. 사용자에게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와,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는, 적어도 지도를 표현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의 열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사용자에게 입력 조작을 제공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거쳐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 입력 제어 수단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디바이스와,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거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출력 제어 수단과,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과, 장기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축적 디바이스와, 상기 축적 디바이스에 보존되어 있고 문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문자 폰트 데이터(Font Data), 상기 축적 디바이스에 보존되어 있고 개략 지도의 부품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 표시 및 사용자 조작 지시의 할당을 제어하는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과, 상기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로부터 개략 지도 코드열을 취득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취득 수단과, 제공할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하이퍼 텍스트 생성 수단과,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을 거쳐서 수신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로부터의 취득 요구에 따라 하이퍼 텍스트의 생성 및 송부를 실행하는 하이퍼 텍스트 전송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중 지도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와 반각(半角)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의 열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서,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 폰트 도형의 중첩을 가능하게 하여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첩 묘화 수단을 갖고,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중 지도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중첩 묘화 지시를 포함하는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의 열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서, 중첩 묘화 수단이 표시 데이터의 작성에 있어서 개행(改行)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 중 지도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개행폭 지시를 포함하는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의 열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개략 지도 코드열의 압축을 실행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압축 수단을 갖고,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서,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 압축된 개략 지도 코드열의 신장을 실행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신장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7. 사용자에게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와,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에서, 하이퍼 텍스트 생성 수단이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link)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서,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 상기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균등 분할 영역의 선택과 키 조작을 맵핑하는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과, 제공할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하이퍼 텍스트 생성 수단과,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을 거쳐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로부터의 취득 요구에 따라 하이퍼 텍스트의 생성 및 송부를 실행하는 하이퍼 텍스트 전송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가,
    사용자에게 입력 조작을 제공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거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 입력 제어 수단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디바이스와,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거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출력 제어 수단과,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과,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 표시 및 사용자 조작 지시의 할당을 제어하는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서,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이 균등 분할 영역과 키 조작을 맵핑할 때에, 균등 분할 영역과 키의 공간적 배치를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링크 대상이,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더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이고, 후자의 지도 내용이 전자의 지도 내용의 균등 분할 영역의 확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링크 대상이,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더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이고, 후자의 지도 내용이 전자의 지도 내용의 균등 분할 영역을 중앙에 포함하는 일정 비율로 보다 큰 영역의 확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12. 제 2 항에 있어서,
    경로 탐색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가, 간이 경로 지도 데이터 생성 수단 ― 그것은 통과하는 순서대로 배열된 경로의 노드와 노드를 통과하는 각도와 노드 접속 링크선수와 접속되어 있는 링크선의 각도와 경로변의 경계 표지(Land Mark)의 종류와 경계 표지가 인접하는 링크선의 ID 데이터를 상기 경로 탐색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취득한 데이터와 지도 데이터에 근거해 간이 경로 지도를 생성함 ― 과, 생성한 간이 경로 지도를 개략 지도 코드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13. 제 2 항에 있어서,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가, 주요 도로와 그 이외의 도로를 구별할 수 있는 지도 데이터로서, 표시하는 위치와 표시 범위를 입력하면, 주요 도로와 그 밖의 도로의 구별이 부가되는 지도 데이터로부터, 우선 주요 도로를 변형(deform)하고, 주요 도로를 변형함으로써 발생하는 좌표의 위치 및 도로 사이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주요 도로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을 변형하는 주변 개략 지도 생성 수단과, 생성한 개략 지도를 개략 지도 코드열로 변환하는 폰트 변환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에서, 폰트 변환 수단이, 개략 지도를 개략 지도 코드열로 변환할 때에, 대상 그물눈(mesh)의 도로 형상 뿐만 아니라 근방 그물눈의 도로 형상도 고려하여 코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에서,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가 개략 지도 부품의 좌측 반분 및 우측 반분에 대응하는 각각의 반각 폰트를 포함하고,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 상기 반각 폰트를 포함하는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며,
    개략 지도 코드열 생성 장치에서, 폰트 변환 수단이, 개략 지도를 개략 지도 코드열로 변환할 때에, 1 그물눈에 대하여 전각(全角)분의 폰트의 코드를 대응시키는 방식과 함께, 1 그물눈에 대하여 좌측 반분과 우측 반분의 반각 폰트의 코드를 쌍으로 한 코드를 대응시키는 방식을 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16. 사용자에게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에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쳐 취득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내의 축적 디바이스에 보존되어 있는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의 열을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 취득하여, 상기 취득한 개략 지도 폰트로 표현되는 지도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입력 조작을 제공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거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 입력 제어 수단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디바이스와,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거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출력 제어 수단과,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과, 장기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축적 디바이스와, 상기 축적 디바이스에 보존되어 있고 문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폰트 데이터와, 상기 축적 디바이스에 보존되어 있고 개략 지도의 부품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 지도 폰트 데이터와,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 표시 및 사용자 조작 지시의 할당을 제어하는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 폰트 도형의 중첩을 가능하게 하여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첩 묘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로서, 중첩 묘화 수단이 표시 데이터의 작성에 있어서 개행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 압축된 개략 지도 코드열의 신장을 실행하는 개략 지도 코드열 신장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21. 사용자에게 균등 분할 영역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하이퍼 텍스트 제공 장치에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고,
    사용자에게 입력 조작을 제공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거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 입력 제어 수단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디바이스와,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거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출력 제어 수단과,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거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과,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취득, 표시 및 사용자 조작 지시의 할당을 제어하는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하이퍼 텍스트 대화 제어 수단이, 상기 하이퍼 텍스트 데이터의 균등 분할 영역의 선택과 키 조작을 맵핑하는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균등 분할 맵 조작 수단이, 균등 분할 영역과 키 조작을 맵핑할 때에, 균등 분할 영역과 키의 공간적 배치를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텍스트 표시 장치.
KR1019990028650A 1998-07-17 1999-07-15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및 장치 KR100551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391098A JP2000035843A (ja) 1998-07-17 1998-07-17 ハイパーテキスト表示装置及びシステム
JP98-203910 1998-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742A KR20000011742A (ko) 2000-02-25
KR100551804B1 true KR100551804B1 (ko) 2006-02-13

Family

ID=1648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650A KR100551804B1 (ko) 1998-07-17 1999-07-15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035843A (ko)
KR (1) KR100551804B1 (ko)
CN (1) CN1196069C (ko)
HK (1) HK1025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1316B2 (en) * 2000-02-25 2004-05-04 Kargo, Inc. Graphical layout and keypad response to visually depict and implement device functionality for interactivity with a numbered keypad
JP2001243250A (ja) * 2000-02-28 2001-09-07 J-Phone East Co Ltd 位置情報検索システム
JP2001257777A (ja) * 2000-03-10 2001-09-21 Denso Corp 携帯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6912462B2 (en) * 2000-08-31 2005-06-2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a
JP2002260160A (ja) * 2001-02-28 2002-09-13 Toshiba Corp 道案内方法及び装置
JP2004086054A (ja) * 2002-08-28 2004-03-18 Nec Soft Ltd 地図情報システムおよび地図情報検索方法
JP2005301502A (ja) * 2004-04-08 2005-10-27 Simple Create:Kk 広告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
JP4504216B2 (ja) * 2005-02-08 2010-07-14 株式会社エクシング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815850B2 (ja) * 2005-04-13 2011-11-16 Kddi株式会社 階層化された地図コンテンツを配信する地図サーバ、端末、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3571A (ja) * 1994-12-29 1996-03-08 Casio Comput Co Ltd 地図イメージ作成装置
JPH09166450A (ja) * 1995-12-18 1997-06-24 Sumitomo Electric Ind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9258944A (ja) * 1996-03-22 1997-10-03 Sony Corp 表示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伝送媒体
JPH1074042A (ja) * 1996-06-24 1998-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フォルメ地図作成装置とそれを使う地図情報提供システム
KR980010941A (ko) * 1996-07-31 1998-04-30 조영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 지도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3571A (ja) * 1994-12-29 1996-03-08 Casio Comput Co Ltd 地図イメージ作成装置
JPH09166450A (ja) * 1995-12-18 1997-06-24 Sumitomo Electric Ind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9258944A (ja) * 1996-03-22 1997-10-03 Sony Corp 表示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伝送媒体
JPH1074042A (ja) * 1996-06-24 1998-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フォルメ地図作成装置とそれを使う地図情報提供システム
KR980010941A (ko) * 1996-07-31 1998-04-30 조영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 지도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35843A (ja) 2000-02-02
CN1246687A (zh) 2000-03-08
KR20000011742A (ko) 2000-02-25
HK1025821A1 (en) 2000-11-24
CN1196069C (zh)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179B2 (en) Web page hot spots
US10152770B2 (en) Digital mapping system
US200501952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presentation of content via device displays
CN101553778B (zh) 再现数字地图及其中瓦片的方法
AU731535B2 (en) Data providing structure, data providing method and data providing terminal
US84056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treaming documents, E-mail attachments and maps to wireless devices
JPH09311873A (ja) 情報提供データ構造体、情報提供方法、情報受信端末
KR100551804B1 (ko) 하이퍼 텍스트 표시 시스템 및 장치
US82697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vector image composed of a plurality of objects described by structured document data
JP5294522B2 (ja) 地図・写真画像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
JP2005182735A (ja) 文書データ表示装置、携帯電話装置、文書データ表示方法、文書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文書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文書データ印刷装置、文書データ出力装置、文書データ出力方法、文書データ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文書データ出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170270218A1 (en) Mapping of Defined Regions Within a Webpage
KR100419568B1 (ko) 네트워크 기반 홈페이지 자동 편집 방법
JPH1125114A (ja) ネットワーク情報システムのブラウザ装置、ブラウズ方法及び記録媒体
KR100359543B1 (ko) 컨텐츠 표시 및 제공 방법, 그를 이용한 컨텐츠 서버 및단말 장치와 그 컨텐츠 서버에 이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제품
JP2004029115A (ja) 地図属性情報更新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地図属性情報更新方法、地図属性情報更新プログラム、および地図属性情報更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13888673A (zh) 地图编辑方法、系统、装置、计算设备和存储介质
JP4507086B2 (ja) 輸送情報表示システム
JP2011141615A (ja) webページ閲覧システム及び中継サーバ
KR20020090475A (ko) 무선인터넷 플래쉬 지도서비스
KR20010078995A (ko) 인터넷 웹페이지상에서의 이미지의 부분표시방법
JP2017181632A (ja) 地図注記処理装置、地図注記処理方法、地図注記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地図表示装置
JP2005025215A (ja) 画像提供装置および画像提供方法
Spanak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APPLICATION FOR THE VISUALIZATION OF LARGE SCALE PHOTOGRAMMETRIC AND CARTOGRAPHIC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