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591B1 -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 - Google Patents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591B1
KR100551591B1 KR1020050083738A KR20050083738A KR100551591B1 KR 100551591 B1 KR100551591 B1 KR 100551591B1 KR 1020050083738 A KR1020050083738 A KR 1020050083738A KR 20050083738 A KR20050083738 A KR 20050083738A KR 100551591 B1 KR100551591 B1 KR 100551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r
connection
cover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순용
이상각
김원주
윤재홍
Original Assignee
김원주
이상각
윤재홍
지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주, 이상각, 윤재홍, 지순용 filed Critical 김원주
Priority to KR102005008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배치되는 각 측구 덮개들 간의 고정 시 별도의 작업공간을 요구하지 않고, 연결되는 각 측구 덮개들 간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에 관한 것으로, 평면에 유수공(101)이 형성되고, 양측에 날개(110)가 돌출형성된 덮개본체(100)와, 상기 덮개본체(100)의 전측 중앙부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끼움돌기(121), 상기 끼움돌기(121)의 상면 후방에 연설되는 고정바(122), 상기 고정바(122)의 후면 중앙부에 돌출되어 상기 덮개본체(100)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바(123)로 이루어진 연결고정부(120)와, 상기 덮개본체(100)의 후측 중앙면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고정부(120)의 연결바(123)의 외관에 대응되게 형성된 연결바 안착요홈(131), 상기 연결고정부(120)의 고정바(122)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고정바 인입유도공(132)으로 이루어진 연결고정 수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구, 가거, 연결, 고정, 홈

Description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Gutler cover with wing type having a convenient fixing means}
도 1은 측구 상에 설치되는 종래의 고정수단이 구비된 측구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정수단에 포함되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의 상부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의 저부방향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고정이 용이한 복수의 측구 덮개가 측구를 따라 연결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간의 고정연결된 것을 나타낸 결합상태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고정이 용이한 복수의 측구 덮개가 측구의 측벽 상에 안착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인도 20 : 차도
30 : 앵글 40 : 지지핀
100 : 덮개본체 101,101a : 유수공
110 : 날개 111a : 유수공 형성용 전측 장홈
111b : 유수공 형성용 후측 장홈 112 : 보강지지 프레임
113a : 날개 전측 보강프레임 113b : 날개 후측 보강프레임
120 : 연결고정부 121 : 끼움돌기
122 : 고정바 123 : 연결바
130 : 연결고정 수용부 131 : 연결바 안착요홈
132 : 고정바 인입유도공 W : 측벽
본 발명은 측구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 배치되는 각 측구 덮개들의 고정 시 별도의 작업공간을 요구하지 않아 종래 작업공간의 형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각 측구 덮개들간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용이하여 측구 덮개의 유지보수 수행이 편리한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 상에 설치되는 측구(側溝, gutler)란 오수 및 우수 등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배수하기 위하여 차도 양쪽 또는 한쪽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만든 배수구로서, 가거(街渠)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측구 상에는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측구 덮개를 연이어 안착시켜 이동중인 보행자 또는 차량이 측구에 빠지지 않도록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측구 상에 연이어 안착된 측구 덮개간에는 연결고정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이동중인 차량에서 전달되는 동적 충격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선출원(20-1997-0035239)된 것으로서 도 1은 측구 상에 설치되는 종래의 고정수단이 구비된 측구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수단에 포함되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정수단이 구비된 측구 덮개는 양측면에 인입공(1a)이 형성된 스틸그레이팅(1)과 상기 스틸그레이팅(1)이 안착되는 것으로 그 스틸그레이팅(1)의 양측면에 형성된 인입공(1a)에 대응하는 곳에 인입연결공(2a)이 형성된 안착틀(2)과 상기 인입공(1a) 및 인입연결공(2a)을 통해 나사체결되는 볼트(3a) 및 너트(3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고정수단이 구비된 측구 덮개의 설치는 먼저, 측구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측벽을 따라 복수의 안착틀(2)을 고정한다. 이때, 측벽에 고정되는 안착틀(2)의 양측에는 고정바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측구 내에 측벽을 형성할 때 같이 매설함으로써 고정시키거나 또는 측벽 상에 앵글을 설치하고, 그 설치된 앵글과 고정바를 용접함으로써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후, 측벽을 따라 고정된 복수의 안착틀(2) 상에 스틸그레이팅(1)을 각각 안착시킨 후, 스틸그레이팅(1)과 안착틀(2)에 각각 형성된 인입공(1a) 및 인입연결 공(2a)을 통해 볼트(3a) 및 너트(3b)를 이용하여 나사체결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고정수단이 구비된 측구 덮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가 스틸그레이팅(1) 및 안착틀(2)의 측면에 형성된 인입공(1a) 및 인입연결공(2a)을 통해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하기 위해서는 안착틀(2)의 외측부에 작업자의 손이 인입되어 볼트(3a) 및 너트(3b)를 체결할 수 있는 빈 공간인 작업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측구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측벽을 따라 연이어 고정되는 복수의 안착틀(2)간에는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정도의 작업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이로 인해, 종래 측구 덮개가 설치된 곳 부근에서 이동중인 보행자(특히 어린이)의 발이 작업공간 사이에 끼어지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측구를 따라 설치된 종래의 고정수단이 구비된 측구 덮개를 구성하는 고정부재(볼트(3a) 및 너트(3b))에는 사용 중 흘러내리는 오염물질(생활쓰레기)이 포함된 오폐수 및 공기에 의해 이물질이 끼거나 녹이 발생함으로써 고정부재의 고착 및 훼손으로 인해 스틸그레이팅(1) 및 안착틀(2)의 고정을 해제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지하매설물 관리 또는 퇴적된 오염물질의 수거 등과 같은 유지보수의 수행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측구 덮개를 연이어 배치만 하여도 서로 맞닿는 측구 덮개들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연결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각 측구 덮개들의 고정 시 별도의 작업공간을 요구하지 않아 종래 작업공간의 형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측구 덮개들간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용이하여 측구 덮개의 유지보수 수행이 편리한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의 상부방향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의 저부방향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고정이 용이한 복수의 측구 덮개가 측구를 따라 연결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간의 고정연결된 것을 나타낸 결합상태 요부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고정이 용이한 복수의 측구 덮개가 측구의 측벽 상에 안착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구를 따라 연이어 배치되는 본 발명의 측구 덮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측구 덮개는, 평면에 유수공(101)이 형성되고, 양측에 날개(110)가 돌출형성된 덮개본체(100)와, 상기 덮개본체(100)의 전측 중앙부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끼움돌기(121), 상기 끼움돌기(121)의 상면 후방에 연설되는 고정바 (122), 상기 고정바(122)의 후면 중앙부에 돌출되어 상기 덮개본체(100)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바(123)로 이루어진 연결고정부(120)와, 상기 덮개본체(100)의 전측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연결고정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덮개본체(100)의 후측 중앙면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고정부(120)의 연결바(123)의 외관에 대응되게 형성된 연결바 안착요홈(131), 상기 연결고정부(120)의 고정바(122)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고정바(122)의 전측면과 맞닿는 일측면의 깊이가 상기 고정바(122)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고정바(122)와 연설된 상기 끼움돌기(121)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갖아 상기 끼움돌기(121)의 상면이 상기 덮개본체(100)의 하면에 맞물리도록 제공하는 고정바 인입유도공(132)으로 이루어진 연결고정 수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덮개본체(100)와 연결고정부(120) 간을 연결하여 주는 연결바(123)의 두께는 일정기간, 외부로부터 계속되는 전달되는 정적 충격 및 동적 충격에도 피로파괴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두껍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고정바(122)의 전측면과 맞닿는 일측면의 깊이보다 연결바(123)가 안착되는 연결바 안착요홈(131)의 깊이가 더 깊기 때문에 이를 위해 연결바 안착요홈(131)이 형성되는 양측 날개(110)의 후측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날개 후측 보강프레임(113b)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양측 날개(110)의 전측 하면에도 가장자리를 따라 날개 전측 보강프레임(113a)을 돌출형성함으로써 날개(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집중되는 정적 충격 및 동적 충격의 누적량을 분산시켜 피로파괴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덮개본체(100)는 다른 덮개본체와 맞닿아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덮개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날개(110)의 전측과 후측의 외관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 돌출형성된 날개(110)의 전측과 후측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유수공 형성용 전측 장홈(111a) 및 유수공 형성용 후측 장홈(11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덮개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날개(110)의 측단 하면에는 보강지지 프레임(112)이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를 인도(10)와 차도(20) 사이에 형성된 측구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먼저, 측구 덮개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측구 내에 형성되는 양 측벽(W)을 따라 앵글(30)을 설치한다. 이때, 측벽(W)에는 소정간격마다 지지핀(40)이 매설되어 있고, 외부로 노출된 지지핀(40)의 일단과 앵글(30)을 용접 접합하여 앵글(30)이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후, 양 측벽(W) 상에 본 발명의 덮개본체(100)의 양측 날개(110)의 측단 하면에 돌출형성된 각 보강지지 프레임(112)을 놓는다.
이후, 다른 덮개본체를 그 안착된 덮개본체(100)에 맞물리게 안착시키면, 각 덮개본체 간은 다음과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다. 먼저, 안착된 덮개본체(100)의 연결고정 수용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다른 덮개본체의 전측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연결고정부(120)에는 끼움돌기(121)가 전방 하부에 돌출된 고정바(122) 및 연결바(123)가 연설되어 있어, 다른 덮개본체에 구성된 연결고정부(120)의 끼움돌기(121)의 상면이 안착된 덮개본체(100)에 구성된 연결고정 수용부(130)의 고정바 인입유도공 (132)을 관통하여 그 안착된 덮개본체(100)의 하면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다른 덮개본체에 구성된 연결고정부(120)의 고정바(122)는 그 고정바(122)와 동일한 외관을 갖는 것으로 안착된 덮개본체(100)에 구성된 연결고정 수용부(130)의 고정바 인입유도공(132)에 인입되고 또한, 다른 덮개본체에 구성된 연결고정부(120)의 연결바(123)는 그 연결바(123)와 동일한 외관을 갖는 것으로 안착된 덮개본체(100)에 구성된 연결고정 수용부(130)의 연결바 안착요홈(131) 상에 안착된 결합구조를 갖음으로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서로 맞물린 측구 덮개간의 횡적 흔들림과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또한, 다른 덮개본체에 구성된 연결고정부(120)의 끼움돌기(121)의 후측면은 안착된 덮개본체(100)의 날개(110)의 후측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형성된 날개 후측 보강프레임(113b)의 내측면에 맞닿아 있어 서로 맞물린 측구 덮개간의 종적 흔들림까지도 방지함으로써 서로 맞물려 계속 연결되는 측구 덮개들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흔들림 없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연결고정되는 각 덮개본체에 구성된 양측 날개(110)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형성된 유수공 형성용 전측 장홈(111a) 및 유수공 형성용 후측 장홈(111b)에 의해 추가의 유수공(101a)이 형성됨으로써 원활한 배수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양측 날개(110)의 전측 및 후측 하면의 가장자리에는 날개 전측 보강프레임(113a) 및 날개 후측 보강프레임(113b)이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고, 또한, 각 날개(110)의 측단 하면에는 보강지지 프레임(112)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보강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일정기간, 외부로부터 계속 전달되는 정적 충격 및 동적 충격에도 측구 덮개에서 야기될 수 있는 피로파괴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를 위해 서로 맞물린 측구 덮개의 고정해제는 마지막에 연결고정된 덮개본체(100)를 회동하듯이 들어올리면 앞측에 안착된 측구 덮개에 구성된 연결고정 수용부(130)의 고정바 인입유도공(132) 및 연결바 안착요홈(131)에 맞물리거나 또는 안착되어 있던 끼움돌기(121), 고정바(122) 및 연결바(123)가 자연스럽게 이탈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고정해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각 측구 덮개간의 고정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구 덮개를 연이어 배치만 하여도 서로 맞닿는 측구 덮개들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연결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각 측구 덮개들의 고정 시 별도의 작업공간을 요구하지 않아 종래 작업공간의 형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측구 덮개들간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용이하여 측구 덮개의 유지보수 수행이 편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

  1. 측구를 따라 연이어 배치되는 측구 덮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측구 덮개는,
    평면에 유수공(101)이 형성되고, 양측에 날개(110)가 돌출형성된 덮개본체(100)와,
    상기 덮개본체(100)의 전측 중앙부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끼움돌기(121), 상기 끼움돌기(121)의 상면 후방에 연설되는 고정바(122), 상기 고정바(122)의 후면 중앙부에 돌출되어 상기 덮개본체(100)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바(123)로 이루어진 연결고정부(120)와,
    상기 덮개본체(100)의 전측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연결고정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덮개본체(100)의 후측 중앙면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고정부(120)의 연결바(123)의 외관에 대응되게 형성된 연결바 안착요홈(131), 상기 연결고정부(120)의 고정바(122)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고정바(122)의 전측면과 맞닿는 일측면의 깊이가 상기 고정바(122)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고정바(122)와 연설된 상기 끼움돌기(121)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갖아 상기 끼움돌기(121)의 상면이 상기 덮개본체(100)의 하면에 맞물리도록 제공하는 고정바 인입유도공(132)으로 이루어진 연결고정 수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100)는 다른 덮개본체와 맞닿아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덮개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날개(110)의 전측과 후측의 외관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 돌출형성된 날개(110)의 전측과 후측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유수공 형성용 전측 장홈(111a) 및 유수공 형성용 후측 장홈(11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덮개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날개(110)의 측단 하면에는 보강지지 프레임(112)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날개(110)의 전측 및 후측 하면의 가장자리에는 날개 전측 보강프레임(113a) 및 날개 후측 보강프레임(113b)이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
KR1020050083738A 2005-09-08 2005-09-08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 KR100551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738A KR100551591B1 (ko) 2005-09-08 2005-09-08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738A KR100551591B1 (ko) 2005-09-08 2005-09-08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1591B1 true KR100551591B1 (ko) 2006-02-13

Family

ID=3717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738A KR100551591B1 (ko) 2005-09-08 2005-09-08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006B1 (ko) 2007-03-26 2007-07-03 (주)한국주조 측구 덮개
KR20180065116A (ko) 2016-12-07 2018-06-18 장현태 무소음 트렌치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006B1 (ko) 2007-03-26 2007-07-03 (주)한국주조 측구 덮개
KR20180065116A (ko) 2016-12-07 2018-06-18 장현태 무소음 트렌치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922B1 (ko)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용 덮개
KR100551591B1 (ko)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
KR20200043788A (ko) 맨홀뚜껑 조립체
KR100877322B1 (ko) 조립식 복합 맨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복합 맨홀
KR100638797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설치구조
US20230216287A1 (en) Structure for attaching grating lid onto resin trough body; trough track; trough track forming method; and grating lid
JP2013083055A (ja) 道路集水桝用蓋板
KR101009949B1 (ko) 이탈방지 및 안정성과 조립성을 향상한 맨홀
KR200484470Y1 (ko) 트렌치 커버
KR100753485B1 (ko)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597032B1 (ko) 안전방지턱 기능이 구비된 도로횡단 측구용 덮개
KR200469484Y1 (ko) 합성수지제 무소음 트렌치커버
JP3753715B2 (ja) 鋼製縁石兼排水溝ユニット
KR101166796B1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교면 배수 시스템
JP4308980B2 (ja) コンクリート製側溝蓋
KR200406939Y1 (ko) 도로 측구 배수박스 보강구조
KR20090031027A (ko) 암거용 어셈블리
KR100569216B1 (ko) 소음 및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조립체
KR100581530B1 (ko) 도로 배수측구의 집수박스
JP3861082B2 (ja) 鋼製縁石兼排水溝ユニット
JP3228283U (ja) 排水溝ユニット
KR100296345B1 (ko) 하수박스의 장비투입구 시공방법
JP3125818U (ja) 側溝ユニット及びグレーチング蓋の構造
JPH0841842A (ja) 組立式水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