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006B1 - 측구 덮개 - Google Patents

측구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006B1
KR100735006B1 KR1020070029114A KR20070029114A KR100735006B1 KR 100735006 B1 KR100735006 B1 KR 100735006B1 KR 1020070029114 A KR1020070029114 A KR 1020070029114A KR 20070029114 A KR20070029114 A KR 20070029114A KR 100735006 B1 KR100735006 B1 KR 10073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ver
cover body
connec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513A (ko
Inventor
이상각
Original Assignee
(주)한국주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주조 filed Critical (주)한국주조
Priority to KR102007002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00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구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구의 유지보수 시 연결해제되는 측구 덮개의 개수를 최소화시켜 통행의 불편 또는 차량주행의 방해를 극소화시켜주는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에 관한 것으로, 측구를 따라 연이어 배치되는 측구 덮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측구 덮개는, 평판(201)에 유수공(202)이 형성되고, 평판(201)의 양측에 거치대(210)가 하부로 돌출된 덮개본체(200)와, 상기 덮개본체(200)를 구성하는 평판(201)의 전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이음평판(221), 상기 이음평판(221)의 하면 양측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한 쌍의 회동방지돌기(222), 상기 회동방지돌기(222)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것으로 측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동구(223)로 이루어진 이음연결부(220)와, 상기 덮개본체(200)의 전측에 구비된 이음연결부(220)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덮개본체(200)의 후측에는 상기 이음연결부(220)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수용공간(230)과, 그 수용공간(230)을 형성하는 덮개본체(200)의 내측 양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것으로 상기 회동구(223)가 안치될 수 있도록 그 회동구(223)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회동구(223)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관통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안치턱(240)과, 상기 덮개본체(200)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연결 시 상기 회동구(223)가 안치된 상기 한 쌍의 안치턱(240)의 각 연결관통구멍을 통해 인입되어 각 덮개본체(200)를 연결고정시켜주는 고정봉(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구, 덮개, 연결, 유지보수, 틈새

Description

측구 덮개{Gutler cover}
도 1은 종래의 측구 덮개의 상부방향 사시도,
도 2는 제 1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의 하부방향 사시도,
도 3은 제 1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의 상부방향 사시도,
도 4는 제 1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복수의 측구 덮개가 측구를 따라 연결설치된 것을 나타낸 설치상태 평면도,
도 5는 제 1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간의 고정연결된 것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은 제 1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가 측구에 안치된 것을 설치상태 횡단면도,
도 7은 제 1실시예로서, 오물수거를 위해 측구를 따라 연결고정된 본 발명인 복수의 측구 덮개를 감아 올려 측구를 개방시킨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제 2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의 하부방향 사시도,
도 9는 제 2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가 측구에 안치 된 것을 설치상태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0 : 덮개본체 201 : 평판
202 : 유수공 203 : 보강프레임
210 : 거치대 211 : 인입구멍
212 : 볼트구멍 220 : 이음연결부
221 : 이음평판 222 : 회동방지돌기
223 : 회동구 230 : 수용공간
240 : 안치턱 250 : 고정봉
251 : 나사머리 252 : 삽입공
260 : 이탈방지용 핀 270 : 소음방지용 볼트
본 발명은 측구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구의 유지보수 시 연결해제되는 측구 덮개의 개수를 최소화시켜 통행의 불편 또는 차량주행의 방해를 극소화시켜주는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 상에 설치되는 측구(側溝, gutler)란 오수 및 우수 등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배수하기 위하여 차도 양쪽 또는 한쪽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만든 배수구로서, 가거(街渠)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측구 상에는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측구 덮개를 연이어 안착시켜 이동중인 보행자 또는 차량이 측구에 빠지지 않도록 제공하고 있는데, 이동중인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동적 충격(이하 충격량이라 함)에 의해 그 연이어 안착된 측구 덮개가 외부로 튕겨나갈 수 있어 측구 덮개 간을 연결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가진 측구 덮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공동출원인으로 참여하여 선등록(특허등록 제 0551591호)된 것으로서, 종래의 측구 덮개의 상부방향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측구 덮개는 평면에 유수공(101)이 형성되고, 양측에 날개(110)가 돌출형성된 덮개본체(100)와, 상기 덮개본체(100)의 전측 중앙부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끼움돌기(121), 상기 끼움돌기(121)의 상면 후방에 연설되는 고정바(122), 상기 고정바(122)의 후면 중앙부에 돌출되어 상기 덮개본체(100)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바(123)로 이루어진 연결고정부(120)와, 상기 덮개본체(100)의 전측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연결고정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덮개본체(100)의 후측 중앙면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고정부(120)의 연결바(123)의 외관에 대응되게 형성된 연결바 안착요홈(131), 상기 연결고정부(120)의 고정바(122)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고정바(122)의 전측면과 맞닿는 일측면의 깊이가 상기 고정바(122)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고정바(122)와 연설된 상기 끼움돌기(121)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갖아 상기 끼움돌기(121)의 상면이 상기 덮개본체(100)의 하면에 맞물리도록 제공하는 고정바 인입유도공(132)으로 이루어진 연결고정 수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측구 덮개는 측구의 양 측벽 상에 덮개본체(100)를 놓은 후 다른 덮개본체(100)를 그 안착된 덮개본체(100)의 후방에 맞물리게 안착시키면, 각 덮개본체(100) 간은 다음과 같은 연결구조로 연결된다.
다른 덮개본체(100)에 구성된 연결고정부(120)의 끼움돌기(121)의 상면이 안착된 덮개본체(100)에 구성된 연결고정 수용부(130)의 고정바 인입유도공(132)을 관통하여 그 안착된 덮개본체(100)의 하면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다른 덮개본체(100)에 구성된 연결고정부(120)의 고정바(122)는 그 고정바(122)와 동일한 외관을 갖는 연결고정 수용부(130)의 고정바 인입유도공(132)에 인입되고 또한, 다른 덮개본체(100)에 구성된 연결고정부(120)의 연결바(123)는 그 연결바(123)와 동일한 외관을 갖는 것으로 안착된 덮개본체(100)에 구성된 연결고정 수용부(130)의 연결바 안착요홈(131) 상에 안착된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충격량 전달되더라도 서로 맞물린 측구 덮개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측구 덮개는 측구 내부에 퇴적된 오물쓰레기의 수거를 위해 각 측구 덮개의 연결을 해제해야 하는데, 이때 연결해제된 모든 측구 덮개는 차도 또는 노면 등에 놓여지기 때문에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주고, 차량의 주행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까지도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측구 덮개가 놓여지는 측구의 경우 정해진 규격(여기서는 길이)에 따 라 양생되나 이때, 양생 시의 각종 인자(작업자의 숙련도 또는 기후환경 등)에 따라 정해진 규격대로 양생되지 않고, 양 측벽 간의 간격이 안착되는 측구 덮개의 너비보다 길게 양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측구 덮개를 측구의 양 측벽에 안착 시 측구 덮개의 측면과 측벽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이동중인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동적 충격량으로 인해 덜컹거려 교통소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측구 덮개를 간을 회동가능하게 고정연결 시켜주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측구의 유지보수를 위해 연결해제되어 인도 또는 차도 등의 주변에 놓여지는 측구 덮개의 개수를 단 1개로 최소화시켜주는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구 덮개와 측벽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경우 측구 덮개를 측벽에 고정시켜주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동중인 차량으로부터 충격량이 전달된다 할지라도 흔들리지 않아 교통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켜주는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측구를 따라 연이어 배치되는 측구 덮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측구 덮개는, 평판에 유수공이 형성되고, 평판의 양측에 거치대가 하부로 돌출된 덮개본체와, 상기 덮개본체를 구성하는 평판의 전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이음평판, 상기 이음평판의 하면 양측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한 쌍의 회동방지돌기, 상기 회동방지돌기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것으로 측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동구로 이루어진 이음연결부와, 상기 덮개본체의 전측에 구비된 이음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덮개본체의 후측에는 상기 이음연결부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수용공간과, 그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본체의 내측 양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것으로 상기 회동구가 안치될 수 있도록 그 회동구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회동구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관통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안치턱과, 상기 덮개본체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연결 시 상기 회동구가 안치된 상기 한 쌍의 안치턱의 각 연결관통구멍을 통해 인입되어 각 덮개본체를 연결고정시켜주는 고정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측구 덮개에는 이탈방지용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가 안치된 상기 한 쌍의 안치턱의 각 연결관통구멍을 통해 인입된 상기 고정봉의 일단에는 나사머리가 일체고 구비되고, 관통되어 노출된 타단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용 핀을 상기 삽입공을 통해 끼움으로서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측구 덮개에는 소음방지용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의 측면부에는 내주연에 나사홈부가 형성된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소음방지용 볼트가 상기 볼트구멍을 통해 나선체결되되, 그 나선체결된 소음방지용 볼트의 끝단이 상기 양 측벽에 압착지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도 2는 제 1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의 하부방향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의 상부방향 사시도이며, 도 4는 제 1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복수의 측구 덮개가 측구를 따라 연결설치된 것을 나타낸 설치상태 평면도이고, 도 5는 제 1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간의 고정연결된 것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6은 제 1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가 측구에 안치된 것을 설치상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제 1실시예로서, 오물수거를 위해 측구를 따라 연결고정된 본 발명인 복수의 측구 덮개를 감아 올려 측구를 개방시킨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에인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는 크게 덮개본체(200), 이음연결부(20), 안치턱(240) 및 고정봉(250) 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덮개본체(200)는 평판(201)에 유수공(202)이 형성되고, 평판(201)의 양측에 거치대(210)가 하부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덮개본체(200)의 하부에는 보강프레임(203)을 일체로 돌출시켜 사용 중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량에도 피로파 괴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제공하다.
그리고 이음연결부(20)는 평판(201)의 전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이음평판(221)의 하면 양측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한 쌍의 회동방지돌기(222)가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된 각 회동방지돌기(222)의 후단에 회동구(223)가 일체로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동구(223)의 측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덮개본체(200)의 전측에 구비된 이음연결부(220)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덮개본체(200)의 후측에는 상기 이음연결부(220)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됨으로써 수용공간(230)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측구 덮개를 연결 시 요철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안치턱(240)은 상기 수용공간(230)을 형성하는 덮개본체(200)의 내측 양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측구 덮개를 연결 시 상기 회동구(223)가 안치되어 개폐 중 회동지지될 수 있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치턱(240)의 내측면은 회동구(223)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안치턱(240)의 측면에는 연결관통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회동구(223)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측구 덮개를 연결 시 각 측구 덮개 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된 각 측구덮개 중 앞쪽 덮개본체(200)의 안치턱(240)에 뒤쪽 덮개본체(200)의 회동구(223)가 안치된 상태에서 중첩된 안치턱(240)의 연결관통구멍과 회동구(223)의 관통구멍을 통해 고정봉(250)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고정봉(250)의 타단부에 형성된 삽입공(252)에 이탈방지용 핀(260)을 끼워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봉(250)은 거치 대(210)에 형성된 인입구멍(211)을 통해 최초 통과된다. 또한, 상기 고정봉(250)의 일단에는 나사머리(25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사용 중 외부로부터 충격량이 전달되어도 관통된 고정봉(250)이 빠지지 않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를 인도(10)와 차도(20) 사이에 형성된 측구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측구 덮개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측구 내에 형성되는 양 측벽(W)을 따라 앵글(30)이 설치된 상태인데 이때, 측벽(W)에는 소정간격마다 지지핀(40)이 매설되어 있고, 외부로 노출된 지지핀(40)의 일단과 앵글(30)을 용접 접합함으로써 앵글(30)이 움직이지 않도록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1실시예인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덮개를
측구의 양측벽(W)에 안착하기 전에 각 덮개본체(200)를 소정개수(3-7개 정도) 씩 연결한 후 고정봉(250)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덮개본체 연결군을 조립한다.
이후, 양 측벽(W) 상에 조립된 하나의 덮개본체 연결군을 놓은 후 그 놓인 덮개본체 연결군의 가장 마지막에 연결고정된 덮개본체(200)에 단독의 덮개본체(200)를 연결한다. 이때, 덮개본체 연결군의 가장 마지막에 연결고정된 덮개본체(200)의 안치턱(240)에 단독의 덮개본체(200)의 회동구(223)가 안치된 곳의 구멍에는 고정봉(250)을 내삽고정시키지 않는다.
이후, 다른 하나의 덮개본체 연결군의 가장 앞쪽에 연결고정된 덮개본체(200)의 전측에 일체로 구비된 이음평판(221)의 회동방지돌기(222)가 이전에 놓인 단독의 덮개본체(200)의 후측에 형성된 수용공간(230)을 이루는 면의 하면에 걸리도록 하여 연결한다.
이와 같은 연결과정을 통해 남은 본 발명의 덮개본체(200)를 측구를 따라 설치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측구 덮개가 설치된 측구 상에서 오물수거와 같은 측구 유지보수를 위해 측구 상에 연결된 덮개본체(200)의 연결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덮개본체 연결군의 마지막 덮개본체(200)와 연결된 단독의 덮개본체(200)를 들어 올려 연결을 해제한 후 후방(또는 전방)에 놓인 덮개본체 연결군을 감아 올린다. 이때, 덮개본체 연결군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덮개본체(200)는 고정봉(25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두루마리 형상으로 감아 올릴 수 있다.
덮개본체 연결군을 두루마리 형상으로 감아 올린 상태에서 측구 내부에 퇴적된 오물을 제거한 후, 감아올려진 덮개본체 연결군을 펼쳐 다시 측구의 양 측벽(W)에 놓은 상태에서 연결제거된 단독의 덮개본체(200)를 다시 연결한다. 이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내부에 측구 내부에 퇴적된 오물을 제거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측구 덮개는 단지 하나의 측구 덮개만 주변에 놓은 상태에서 측구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인도(10) 또는 차도(20) 등의 주변에 놓여지는 측구 덮개의 개수를 단 1개로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술한 제 1실시예에 기재된 측구 덮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각 구성의 도면부호는 제 2 실시예의 각 도면에서도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함과 더불어 중복되는 내용도 언급을 제외하기로 한다.
도 8은 제 2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의 하부방향 사시도이고, 도 9는 제 2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개선된 측구 덮개가 측구에 안치된 것을 설치상태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측구 덮개의 경우 제 1실시예와 차이점은 양 측벽(W)에 놓여지는 덮개 본체(200)의 양측 거치대(210)에 내주연에 나사홈부가 형성된 볼트구멍(212)이 형성되고, 그 형성된 볼트구멍(212)에 나선체결되는 소음방지용 볼트(270)가 추가된 구성이다.
이처럼, 볼트구멍(212) 및 소음방지용 볼트(270)가 추가된 이유는 측구 양생 시 야기되는 공정치수오차에 의해 정해진 규격보다 길게 양생되어 그 측벽(W) 상에 놓여지는 덮개 본체(200)의 각 거치대(210)와 측벽(W) 사이에 발생된 틈새(G)를 제거해주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덮개본체(200)가 놓여진 측벽(W)과 거치대(210) 사이에 틈새(G)가 발생된 경우 그 틈새(G)가 발생된 측벽(W) 상에 놓여지는 덮개본체(200)의 거치대(210)의 내측면에 쪽에서 소음방지용 볼트(270)를 볼트구멍(212)에 나선결합시키되, 그 나선결합되는 소음방지용 볼트(270)의 끝단이 측벽(W)에 고정된 앵글(30)의 측면에 접촉되어 가압되도록 나선결합시킨다.
이 때문에, 측구 덮개와 측벽(W) 사이에 틈새(G)가 발생하였다 할지라도 본 발명의 측구 덮개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교통소음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각 측구 덮개를 간을 고정봉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고정연결 시켜줄 수 있어 측구의 유지보수 시 인도 또는 차도 등의 주변에 놓여지는 측구 덮개의 개수가 단 1개로 최소화되어 보행자의 통행 시 제공되는 불편이 종래보다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 시에도 주행방해도 종래보다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또한, 측구 덮개와 측벽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경우에도 측구 덮개가 측벽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이동중인 차량으로부터 충격량이 전달된다 할지라도 흔들리지 않아 교통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측구를 따라 연이어 배치되는 측구 덮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측구 덮개는,
    평판(201)에 유수공(202)이 형성되고, 평판(201)의 양측에 거치대(210)가 하부로 돌출된 덮개본체(200)와,
    상기 덮개본체(200)를 구성하는 평판(201)의 전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이음평판(221), 상기 이음평판(221)의 하면 양측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한 쌍의 회동방지돌기(222), 상기 회동방지돌기(222)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것으로 측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동구(223)로 이루어진 이음연결부(220)와,
    상기 덮개본체(200)의 전측에 구비된 이음연결부(220)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덮개본체(200)의 후측에는 상기 이음연결부(220)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수용공간(230)과,
    그 수용공간(230)을 형성하는 덮개본체(200)의 내측 양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돌출된 것으로 상기 회동구(223)가 안치될 수 있도록 그 회동구(223)의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회동구(223)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관통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안치턱(240)과,
    상기 덮개본체(200)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연결 시 상기 회동구(223)가 안치된 상기 한 쌍의 안치턱(240)의 각 연결관통구멍을 통해 인입되어 각 덮개본체(200)를 연결고정시켜주는 고정봉(2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측구 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이탈방지용 핀(2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223)가 안치된 상기 한 쌍의 안치턱(240)의 각 연결관통구멍을 통해 인입된 상기 고정봉(250)의 일단에는 나사머리(251)가 일체고 구비되고, 관통되어 노출된 타단부에는 삽입공(252)이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용 핀(260)을 상기 삽입공(252)을 통해 끼움으로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측구 덮개.
  3. 제 1항에 있어서,
    소음방지용 볼트(2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210)의 측면부에는 내주연에 나사홈부가 형성된 볼트구멍(212)이 형성되어, 상기 소음방지용 볼트(270)가 상기 볼트구멍(212)을 통해 나선체결되되, 그 나선체결된 소음방지용 볼트(270)의 끝단이 상기 양 측벽(W)에 압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측구 덮개.
KR1020070029114A 2007-03-26 2007-03-26 측구 덮개 KR100735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114A KR100735006B1 (ko) 2007-03-26 2007-03-26 측구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114A KR100735006B1 (ko) 2007-03-26 2007-03-26 측구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513A KR20070042513A (ko) 2007-04-23
KR100735006B1 true KR100735006B1 (ko) 2007-07-03

Family

ID=3817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114A KR100735006B1 (ko) 2007-03-26 2007-03-26 측구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0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6366A (ja) * 2002-11-08 2004-06-03 Tohoku Okajima Kogyo Kk ゴミ除去用スクリーン付き溝蓋
KR100551591B1 (ko) 2005-09-08 2006-02-13 김원주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
KR100585619B1 (ko) 2006-01-16 2006-06-07 지순용 길이조절이 가능한 측구용 덮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6366A (ja) * 2002-11-08 2004-06-03 Tohoku Okajima Kogyo Kk ゴミ除去用スクリーン付き溝蓋
KR100551591B1 (ko) 2005-09-08 2006-02-13 김원주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
KR100585619B1 (ko) 2006-01-16 2006-06-07 지순용 길이조절이 가능한 측구용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513A (ko) 2007-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922B1 (ko)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용 덮개
US7637695B1 (en) Heavy duty trench frame and grate assembly
KR101395414B1 (ko) 다기능 맨홀덮개
KR100735006B1 (ko) 측구 덮개
KR200489711Y1 (ko) 조립식 트렌치
KR100899680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배수블럭
KR20090001343A (ko) 잠금장치를 갖는 맨홀조립체
KR20080038555A (ko) 볼트 잠금식 상수도·하수도·전기·통신용 맨홀뚜껑
JP2010031629A (ja) グレーチング用固定具
KR200484470Y1 (ko) 트렌치 커버
KR100570844B1 (ko) 교량용 제설함
KR102237273B1 (ko) 미끄럼방지 조립식 맨홀뚜껑
JP6230819B2 (ja) 排水溝被覆構造
KR100977090B1 (ko) 차량 진입 방지용 볼라드
JP4308980B2 (ja) コンクリート製側溝蓋
KR100581530B1 (ko) 도로 배수측구의 집수박스
KR100753485B1 (ko)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
KR100921551B1 (ko) 도로용 델리네이트
JP5534503B2 (ja) L型側溝ブロック
KR100817777B1 (ko) 도난방지수단이 구비된 길이조절이 가능한 측구용 덮개
KR200471294Y1 (ko) 맨홀
KR100551591B1 (ko) 연결고정이 용이한 날개형 측구 덮개
KR200227076Y1 (ko) 가드레일용 시선반사유도체
GB2421266A (en) Hinged gully grate
KR200348194Y1 (ko) 우, 오수받이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