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722B1 -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722B1
KR100550722B1 KR1020007013436A KR20007013436A KR100550722B1 KR 100550722 B1 KR100550722 B1 KR 100550722B1 KR 1020007013436 A KR1020007013436 A KR 1020007013436A KR 20007013436 A KR20007013436 A KR 20007013436A KR 100550722 B1 KR100550722 B1 KR 10055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hamber
gas
curtain
s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3912A (ko
Inventor
조스트스테판
로이터조르크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4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16Inner seams, e.g. creating separate compartments or used as teth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60R2021/2617Curtain ba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공급 장치(12)에 연결될 수 있는 제 1 챔버(4)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챔버(6) 및 밸브 장치(16)를 포함하며, 인열 개방형 이음매는, 승객과 에어백(2)의 충돌로 인해 상기 제 1 챔버(4)의 내부가 소정 압력에 도달한 경우에만 상기 제 1 챔버(4)로부터 상기 제 2 챔버(6)로 가스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에어백 모듈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AIRBAG WITH COMPENSATING VOLUME}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 특히 커튼 에어백 모듈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 에어백 모듈은 승객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위치에 종종 제공된다. 이러한 에어백 모듈은 차량의 사고 또는 충돌시에 가스 발생기를 통해 가스로 충전되는 에어백을 갖는다. 승객은 이러한 에어백에 의해 충격이 완충되며, 그에 따라 차량의 단단하거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한 상해를 방지한다. 승객이 에어백과 충돌할 때, 에어백은 그것과 충돌하는 승객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승객과의 충돌을 "느리게" 지연시킬 수 있는 적절한 감쇠 특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에어백의 감쇠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공지된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은 종종 유출 개구 또는 유출 밸브를 구비한다. 이들 유출 개구는 승객이 충돌할 때 특별한 방식으로 에어백으로부터 주위에 가스를 배기 가능하게 함으로써, 에어백내의 내압은 감소되고 에어백과 승객의 충돌은 감쇠된다. 또한, 에어백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가스 투과성 직물로 제조하여 가스를 직물을 통해 주위로 배기시키고, 결과적으로 승객의 충돌시에 에어백의 내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최근에, 전개 시간이 긴, 즉 에어백의 충전 상태가 가능한 길게 지속되는 에어백 모듈의 사용이 증가되어 왔다. 특히 이러한 에어백 모듈은 소위 커튼 에어백 모듈로서,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방향 지붕 부재 영역에서 측방향으로 차량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은 사고시에 기본적으로 측면 창과 승객의 머리 사이의 차량의 측방향 영역에서 전개한다. 이러한 에어백은 특히 차량내의 측면 충돌 또는 전복시에 승객의 머리를 보호하게 된다. 특히 차량 전복시에, 팽창식 에어백의 긴 전개 시간은, 차량이 완전히 전복되는 동작 중에 승객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전개 시간은, 예컨대 공지된 차량의 핸들에 배치된 에어백 모듈보다 상당히 더 길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이러한 에어백 모듈의 경우, 팽창식 에어백의 적절한 감쇠를 제공하기 위해 공지된 해결 방법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유출 개구의 구성 및 통기성 직물의 사용은 에어백으로부터 너무 빠른 가스 배출을 초래하여, 그 결과로서 에어백의 팽창된 상태의 전개 시간이 상당히 감소된다. 보다 대형의 가스 발생기가 사용되어 대용량의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조기 배출된 가스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더라도, 팽창식 에어백의 충분히 긴 전개 시간은 달성될 수 없다. 유출 개구가 없으면, 대부분 기밀한 에어백이 된다. 이로써, 비록 팽창된 에어백의 충분히 긴 전개 시간은 달성될 수 있지만, 에어백과 승객과의 충돌은 거의 감쇠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승객의 상해 위험은 커진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의 충돌 사고시에 양호한 감쇠 특성을 가지면서 팽창된 상태에서 보다 긴 전개 시간을 허용하는 향상된 에어백 모듈용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에 개시된 특징부를 갖는 에어백 모듈용 에어백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은 사고시에 가스 발생기에 의해 가스로 충전되는 제 1 챔버를 갖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에어백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챔버는 제 2 챔버가 초기에 가스로 충전되어 있지 않도록 제 1 챔버로부터 분리 또는 분할되어 있다. 승객이 에어백에 또는 에어백의 제 1 챔버와 충돌하는 경우, 제 1 챔버내의 가스의 내압은 증가하고 밸브 장치는 유동 경로를 개방하여, 가스가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승객이 에어백과 충돌하는 동안 제 1 챔버의 내압이 감소됨으로써 충돌은 감쇠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2개 챔버 사이에서 압력 평형이 성립될 때까지 제 2 챔버에 대응하는 가스의 용적만이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 유동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체 가스는 제 1 챔버로부터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스가 주위로 유출 가능하게 하여 가스가 완전히 배출될 수도 있는 유출 개구의 개방 없이도 에어백과 승객의 충돌 감쇠가 가능하다. 따라서, 승객과 에어백의 충돌 이후에 충돌을 감쇠시키기 위한 필요 가스의 용적 이상으로 에어백이 완전히 비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 가스가 유동한 후에, 내압이 감소되더라도 제 1 챔버의 팽창된 상태는 보존됨으로써, 승객과의 또 다른 충돌이 있더라도 적절한 보호가 보장된다. 결과적으로,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 동안에 보다 긴 전개 시간이 가능해짐으로써, 승객과의 반복된 충돌시에도 적절한 보호가 보장된다.
또한, 승객과 제 1 챔버가 충돌한 이후에 충전되는 제 2 챔버는 추가적인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챔버는 에어백과의 또다른 충돌시에 승객이 차량 또는 차체의 일부와 접촉하는 것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상해의 위험을 더 최소화한다.
개별 챔버는 외측으로 기밀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에어백으로터 외부로 가스가 배출될 수 없기 때문에 팽창 상태에서의 최장 전개 시간이 달성될 수 있다. 에어백의 제 1 챔버와 승객과의 충돌시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챔버의 용적에 대응하는 가스의 체적만이 제 1 챔버로부터 제 2 챔버로 배출된다. 그 후로,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사이에 압력 평형이 이루어지며, 제 1 챔버 또는 전체 에어백으로부터 외측으로 더이상의 가스는 배출되지 않는다. 열 작동식 가스 발생기가 사용되는 경우, 고온으로 유입된 가스의 냉각으로 인하여 이후에 에어백은 접혀진다. 이로써, 기밀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에어백은 차량 승객을 보호하는 가능한 기간 동안에 추가적인 장애를 나타내지 않는다.
밸브 장치는 인열 개방형 이음매로 유리하게 형성된다.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는 이음매가 인열 개방될 때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사이에 유동 경로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인열 개방형 이음매에 의해 분리된다. 인열 개방형 이음매는 소정의 분할 위치에 설계되어,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 인열 개방된다. 이러한 힘은 승객의 충돌에 의해 야기된 제 1 챔버내의 소정 내압이 존재할 경우 발생한다. 인열 개방형 이음매의 강도는 에어백이 설치되는 차량의 유형 및 위치에 따라 소망되는 압력 레벨에 정확히 적당하게 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써 개방형 이음매는 예를 들면 에어백이 충전되었을 때 너무 일찍 개방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밸브 장치는 인열 개방형 이음매의 부분적인 영역에서만 개방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된 상태, 즉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의 유동 경로가 개방되었을 때 밸브 장치의 단면적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 가스 유속은 사전에 결정 또는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에어백의 감쇠 특성을 정확히 사전 설정할 수 있다.
차량의 측면 영역에서 제 1 챔버가 승객 머리의 측면으로 전개 될 수 있는 동시에 제 2 챔버가 머리 위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커튼 에어백 모듈내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의 이러한 구성은 차량의 측면 충돌 또는 전복시에 승객의 머리 및 어깨 영역의 최적 보호를 허용한다. 특히 이러한 에어백의 경우, 전체 전복 동작 동안에 차량 승객을 가능한 상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이 팽창되어 있도록, 긴 전개 시간이 소망된다. 머리 위의 영역에 제 2 챔버를 배치함으로써, 승객이 제 1 챔버와 충돌한 이후에 마찬가지로 팽창되는 제 2 챔버에 의해 추가적인 보호가 보장될 수 있다. 에어백은 실리콘 피복 직물 또는 PU 피복 직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물은 에어백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기밀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에어백의 특히 긴 전개 시간이 달성되게 한다. 또한, 실리콘 피복 직물 또는 PU 피복 직물은 쉽게 용접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다수의 직물 조각으로 이루어진 에어백은 용접, 예를 들면 초음파 용접에 의해 매우 저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접식 이음매는 완전히 기밀(gastight)하게 제조될 수 있는 종래의 이음매에 비해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인열 개방형 이음매가 용접식 이음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인열 개방형 이음매는, 특히 나머지 에어백 이음매 또한 용접 형성된 경우라면 마찬가지로 매우 저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사이의 밸브 장치는 제 1 챔버내에 어느 정도의 내압이 존재할 때, 용접식 이음매의 용접 깊이 또는 폭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사이의 유동 이송을 확실히 개방하도록 보장되게 하여, 이음매의 소망의 인열 특성이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인열 개방형 이음매가 초음파 용접식 이음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확히 제한된 용접식 이음매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매우 저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예로서 상술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의 평면도.
도시된 에어백(2)은 2개의 챔버(4, 6)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 1 챔버(4)는 실제적인 보호 기능을 갖는 동시에, 제 2 챔버(6)는 제 1 챔버(4)에 의한 승객의 충격을 감쇠시키기 위한 상쇄 체적(compensating volume)으로 기능한다. 본원에 도시된 에어백(2)은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방향 지붕 부재를 따라 설치되는 소위 커튼 에어백 모듈용 에어백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에어백(2)은 상부 영역(8)에 의해 차량의 측방향 지붕 영역에 고정되며, 상부 영역(8)은 에어백의 종방향으로 제 1 공기실(4)의 위로 연장한다.
서로 접혀진 상태에서, 에어백(2)은 지붕 라이닝(roof lining)내에 또는 지붕 라이닝과 실제 지붕 패널 사이에 놓인다. 전개된, 즉 팽창된 상태에서 에어백(2)의 제 1 챔버(4)는 측면 창 위의 차량 지붕에서 시작해 하방으로 연장하여, 승객과 차량 측면 창 사이에 위치된다. 동시에, 에어백(2)의 제 1 챔버(4)는 차량의 A형 보로부터 시작해 차량의 C형 보로 이어지는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에어백(2) 또는 제 1 챔버(4)의 하측 2개 모서리 또는 단부 영역에는 고정 밴드(clamping band)(10)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 밴드에 의해 에어백(2)은 A형 보 또는 C형 보상의 하측 영역에 보유된다.
상부 영역(8)에는 가스 공급 장치(12)가 배열되고, 이 가스 공급 장치는 에어백(2)의 후방 영역, 즉 C형 보에 대면하는 영역으로부터 전체 에어백(2)을 사실상 관통하여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요성 호스로 형성된다. 호스는 이음매(14, 16)에 의해 적송 고정되며, 이음매는 에어백(2)을 형성하는 재료 또는 직물의 2개 층을 서로 연결하여 에어백(2)을 형성한다. 가스 공급 장치(12)는 에어백(2)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가스 배출 개구를 구비하여 에어백(2)의 가스로 균일하게 충전하거나 제 1 챔버(4)를 구비한다. 필요한 가스 체적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 발생기는 에어백(2)의 후방 영역, 즉 C형 보에 대면하는 영역에서 가스 공급 장치(12)에 연결된다. 가스 공급 장치(12)를 구비한 상부 영역(8) 위에는 에어백(2)의 제 2 챔버(6)가 제 1 챔버(4)와 평행하게 에어백(2)의 종방향, 즉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따라서, 에어백(2)이 차량에 장착될 때, 제 2 챔버(6)는 차량의 지붕 영역에 배치된다. 이음매(16)는 에어백(2)의 제 1 챔버(4)와 제 2 챔버(6)를 서로 분리시킨다. 동시에, 이음매(1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열 개방형 이음매(tear-open seam)로 설계되어, 가스가 제 1 챔버(4)로부터 제 2 챔버(6)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제 1 챔버(4)와 제 2 챔버(6) 사이에 유동 통로를 개방할 수 있다.
사고시에, 에어백 모듈의 가스 발생기가 작동되고 가스는 가스 공급 장치(12)에 의해 에어백(2)에 공급된다. 이러한 경우, 가스는 처음에 제 1 챔버(4)내로 유동하여 완전히 충전시키는 반면, 제 2 챔버(6)는 이음매(16)에 의해 기밀한 방식으로 분리된 채로 남고 그 결과 처음에는 가스로 충전되지 않는다. 그 다음, 승객이 제 1 챔버(4)와 충돌하면, 제 1 챔버(4)의 내압은 증가하여, 이러한 이음매에 가해진 증가된 힘이 인열 개방형 이음매(16)를 인열 개방시켜서, 제 1 챔버(4)와 제 2 챔버(6) 사이의 연결부가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가스는 제 1 챔버(4)로부터 제 2 챔버(6)로 유동할 수 있어서, 제 1 챔버(4)의 내압은 감소되고 제 1 챔버(4)와 승객의 충돌은 결과적으로 감쇠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 유동이 끝나는 동안, 2개의 챔버(4, 6) 사이에 압력 균형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제 2 챔버(6)가 충전될 때까지 제한된 가스 체적만은 제 1 챔버(4)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제 1 챔버(4) 및 제 2 챔버(6) 양자가 외측, 즉 주위에 대해 기밀하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챔버(4)로부터 가스는 더이상 배출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제 1 챔버(4)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스로 충전된 상태로 남아서, 승객과의 다른 충돌이 있더라도 계속 적절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다음 제 2 챔버(6)와 승객이 충돌하면 충전된 제 2 챔버(6) 또한 추가적인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챔버(6)의 크기의 선택에 따라서, 승객과 제 1 챔버(4)의 충돌시에 제 2 챔버(6)내로 배출되는 가스의 용적이 정확히 설정될 수 있어서, 승객의 충돌시의 소망 감쇠 특성 또한 미리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전체 이음매(16)가 인열 개방형 이음매로 설계될 필요는 없으며, 부분적인 영역만이 인열 개방형으로 되도록 하여, 제 1 챔버(4)로부터 제 2 챔버(6)로 가스가 이동하는 제한된 위치가 형성되도록 단지 일부 영역만을 인열 개방시키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된 위치는 제 1 챔버(4)로부터 제 2 챔버(6)로의 가스의 이송을 지연시킨다. 결과적으로, 제한된 위치의 단면적을 적절히 선택함에 따라서, 에어백의 감쇠 특성에 추가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어서, 각각의 설치 위치 또는 차량 유형에 대한 감쇠 특성의 정확한 적용이 가능하다.
본원에 도시된 에어백(2)은 추가적인 밀봉 영역(sealed-off regions)(18)을 갖는다. 이러한 밀봉 영역(18)은 에어백(2)을 형성하는 2개의 직물 층 사이의 이음매 또는 제 1 챔버(4)에 의해 형성되어, 제 1 챔버(4)의 충전 동안에 가스가 충전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된다. 이로써, 충전용 가스 또는 제 1 챔버(4)의 용적이 감소됨으로써, 에어백(2)의 보다 신속한 팽창 및 보다 작은 가스 발생기의 사용이 가능해 진다. 밀봉 영역(18, 20)은 에어백(2)의 보호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데, 밀봉 영역(18)의 경우 매우 작게 설계되거나, 또는 밀봉 영역(20)과 같이 승객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에어백(2)이 자동차에 설치되는 경우, 밀봉 영역(20)은 B형 보의 영역에 또는 앞좌석의 머리 받침대 바로 옆에 또는 뒤에 위치된다. 이러한 영역에서, 에어백(2)은 어떠한 보호도 제공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이러한 영역이 승객 또는 승객의 머리 주변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원에 도시된 에어백(2)은 높은 인열 강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매우 기밀한 실리콘 피복 합성 직물 또는 PU 피복 합성 직물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직물은 필요한 모든 이음매가 다수의 직물 층을 용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하다. 전체 에어백(2)은 기본적으로 2개의 직물 층을 포함하는데, 이 직물 층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놓여 주변 영역의 용접식 이음매(22)에서 서로 용접된다. 또한, 밀봉 영역(18, 20)은 다른 용접식 이음매에 의해 형성되며, 가스 공급 장치(12)가 설치되는 상부 영역(8)은 용접식 이음매(14) 및 용접식 이음매(16)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이음매(16)는 기밀한 방식으로 제 1 챔버(4)와 제 2 챔버(6)를 서로 분리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이음매(16)는 인열 개방형 이음매로 설계되며, 이는 제 1 챔버(4)내에 일정한 내압이 존재하고 제 1 챔버(4)에서 제 2 챔버(6)로 가스 이송이 이루어질 때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임의의 내압이 챔버(4)내에 존재할 때 용접식 이음매(16)가 개방되도록 용접식 이음매(16)의 강도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서 용접식 이음매(16)의 이음매 깊이 또는 이음매 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원에 도시된 모든 용접식 이음매는 매우 간단하고 저가의 방법인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동시에, 또한 고품질의 용접식 이음매가 달성되어, 용접식 이음매는 충분한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 도시된 에어백(2)에 제공되는 인열 개방형 이음매는 꼭 용접식 이음매로 제조될 필요는 없으며, 평범한 봉합 이음매(sewn seam)로도 설계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된 에어백(2)은 소위 커튼 에어백 모듈용 에어백(2)으로 설계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2개 챔버의 구성 또한 다른 에어백 모듈용 에어백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은 차량의 계기판, 핸들 또는 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에어백의 양호한 감쇠 특성에 추가적으로 가스 충전식 에어백의 긴 전개 시간이 요구된다면 사용이 적합하다. 충전식 에어백의 최대 전개 시간이 필요치 않고 연장된 시간 주기에 걸쳐 가스가 주위로 배출되길 원하는 경우, 추가적인 유출 개구 또는 밸브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경우에, 특히 제 2 챔버에 더 제공될 수 있다.

Claims (9)

  1.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2)에 있어서,
    외측으로 기밀한 구조인 제 1 챔버(4)와,
    상기 커튼 에어백(2)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포 배치되고, 상기 제 1 챔버(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가스를 실질적으로 분포시킬 수 있는 복수의 가스 배출 개구를 구비한 가스 공급 장치(12)와,
    외측으로 기밀한 구조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챔버(6)와,
    탑승자가 충돌할 수 없는 상기 제 1 챔버(4)의 부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 영역(18, 20)과,
    상기 제 1 챔버(4)내가, 차량 탑승자가 상기 커튼 에어백(2)과 충돌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압력에 도달 할 때에만, 가스가 상기 제 1 챔버(4)로부터 상기 제 2 챔버(6)내로 유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인열 개방형 이음매(tear-open seam)(16)에 의해 형성되는 밸브 장치(16)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16)는 상기 이음매의 일부의 영역에서만 인열 개방되도록 구성된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에어백(2)이, 상기 제 1 챔버(4)가 차량의 측면 영역내에서 차량 탑승자의 머리의 측면으로 전개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제 2 챔버(6)가 머리의 위쪽에 위치도록 커튼 에어백 모듈내에 부착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에어백(2)이 실리콘 피복 섬유 또는 PU 피복 섬유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개방형 이음매(16)는 용접식 이음매(welded seam)인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개방형 이음매(16)는 초음파 용접식 이음매(ultrasonically welded seam)인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장치는 가요성 호스(12)로 형성되는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장치(12)는, 한쪽의 이음매(16)가 상기 인열 개방형 이음매(16)인 한쌍의 이음매(14, 16)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또 한쌍의 이음매에 의해 소정 위치에 유지되는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KR1020007013436A 1998-06-02 1999-02-19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KR100550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4601A DE19824601C2 (de) 1998-06-02 1998-06-02 Luftsack mit Ausgleichsvolumen
DE19824601.3 1998-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912A KR20010043912A (ko) 2001-05-25
KR100550722B1 true KR100550722B1 (ko) 2006-02-08

Family

ID=786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436A KR100550722B1 (ko) 1998-06-02 1999-02-19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35493A (ko)
EP (1) EP1082237B1 (ko)
JP (1) JP3633871B2 (ko)
KR (1) KR100550722B1 (ko)
DE (2) DE19824601C2 (ko)
ES (1) ES2279612T3 (ko)
WO (1) WO1999062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5790B2 (en) 1994-05-23 2004-04-06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ide curtain air bag
US6371512B1 (en) * 1998-08-03 2002-04-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irbag apparatus for head-protecting
DE69916185T2 (de) * 1998-08-05 2005-04-14 Toyoda Gosei Co., Ltd. Airbag für Kopfschutzairbagsystem
DE29919574U1 (de) * 1998-11-09 2000-03-02 Trw Repa Gmbh Gasack mit Fangmittel
US6177365B1 (en) * 1999-06-17 2001-01-23 Milliken & Company Two-layered coating system for airbag fabrics
MXPA01001742A (es) 1999-06-17 2004-12-06 Milliken & Co Sistema de recubrimiento de dos capas para telas de bolsa de aire.
AU5617400A (en) * 1999-06-17 2001-01-09 Milliken & Company Low permeability airbag cushions having film coatings of extremely low thickness
US6177366B1 (en) * 1999-06-17 2001-01-23 Milliken & Company Two-layer coating system for airbag fabrics
US6276712B1 (en) * 1999-09-10 2001-08-21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restraint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DE29916700U1 (de) * 1999-09-22 2000-02-03 Trw Repa Gmbh Gassack
JP2001114058A (ja) * 1999-10-18 2001-04-24 Takata Corp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保護装置及び自動車
US6431587B1 (en) * 1999-11-02 2002-08-13 Trw Inc. Inflatable side curtain
DE29921414U1 (de) * 1999-12-06 2000-04-13 Trw Repa Gmbh Seitenaufprall-Schutzsystem für Fahrzeuge
DE29921743U1 (de) * 1999-12-10 2000-04-13 Trw Repa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6435543B1 (en) * 1999-12-20 2002-08-20 Trw Inc. Inflatable side curtain
US6705639B2 (en) * 2000-03-03 2004-03-16 Takata Corporation Head-protection bag for vehicle occupants
DE20006927U1 (de) 2000-04-14 2000-09-21 Trw Repa Gmbh Baugruppe mit einem Gassack
US6450529B1 (en) * 2000-06-23 2002-09-17 Breed Automotive Technologies, Inc. Inflatable side air bag curtain module with chamber separators
DE10140982A1 (de) 2000-08-25 2002-03-07 Trw Repa Gmbh Fahrzeuginsassen-Schutzsystem mit Gassack
US6338498B1 (en) * 2000-10-26 2002-01-15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air bag providing enhanced coverage
KR20020043729A (ko) * 2000-12-04 2002-06-12 구광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3819709B2 (ja) * 2000-12-27 2006-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US6505853B2 (en) * 2001-03-07 2003-01-14 Trw Inc. Inflatable curtain with positioning device
GB2374053B (en) * 2001-04-06 2004-03-10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DE10225677A1 (de) * 2001-06-11 2003-01-16 Honda Motor Co Ltd Insassen-Rückhaltesystem
US6561541B2 (en) * 2001-07-11 2003-05-13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air bag incorporating inverted T-shaped flow barrier
US6758492B2 (en) 2001-12-18 2004-07-06 Delphi Technology, Inc. Curtain air bag including inflatable perimeter gas channel
US6846010B2 (en) * 2002-01-30 2005-01-25 Autoliv Asp, Inc. Pressure equalizing curtain airbag
US6733035B2 (en) 2002-03-05 2004-05-11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curtain air bag assembly
JP4063095B2 (ja) * 2002-03-08 2008-03-19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6883827B2 (en) * 2002-05-03 2005-04-26 Milliken & Company Modular air bag cushion system
DE10257790B3 (de) * 2002-12-11 2004-02-26 Daimlerchrysler Ag Gassack für eine 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EP1625050A1 (de) * 2003-05-16 2006-02-15 ACTS-Advanced Car Technology Systems GmbH & Co.KG Kopfairbaganordnung
DE10342754A1 (de) * 2003-09-16 2005-05-04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JP2005132153A (ja) * 2003-10-28 2005-05-26 Mitsubishi Motors Corp エアバッグ装置
US20050189743A1 (en) * 2004-02-26 2005-09-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with extension portion
EP1781507A2 (en) * 2004-07-26 2007-05-09 Nxgen Technologies, LLC Inflatable airbag
DE102004058564A1 (de) * 2004-12-03 2006-06-29 Takata-Petri (Ulm) Gmbh Seiten-Airbageinrichtung
DE102005005964A1 (de) * 2005-02-10 2006-08-17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airbag mit gesteuerter Öffnung einer Druckausgleichskammer
US20060208466A1 (en) * 2005-03-18 2006-09-21 Takata Restraint Systems, Inc. Curtain airbag bottom fill
DE102005034249A1 (de) 2005-07-18 2007-02-01 Takata-Petri (Ulm)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e mit einem Gassack
US20110057425A1 (en) * 2005-07-26 2011-03-10 Fink Michael F Side curtain airbag
US8240708B2 (en) * 2005-07-26 2012-08-14 Nxgen Technologies, Llc Side curtain airbag with fabric diffuser
US8366144B2 (en) * 2005-07-26 2013-02-05 Nxgen Technologies, Llc Side curtain airbag with fabric diffuser
US8002311B2 (en) * 2006-10-26 2011-08-23 Tk Holdings Inc. Airbag with sections of different deployment lengths
US7658401B2 (en) * 2007-01-31 2010-0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flatable curtain airbag systems
DE202007007355U1 (de) 2007-05-22 2007-09-06 Takata-Petri Ag Gasstromverteiler für ein Gassackmodul
US20090218798A1 (en) * 2008-02-29 2009-09-03 Autoliv Asp, Inc. Dual mode inflatable curtain cushion
DE102008017246B4 (de) * 2008-04-04 2018-06-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Aufprallerkennung
DE102008062264A1 (de) 2008-12-15 2010-06-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eitenairbag für ein Kraftfahrzeug
US8408591B2 (en) * 2009-04-17 2013-04-02 Autoliv Asp, Inc. Inflatable curtain airbags with expanded-volume lower portions for ejection mitigation
US20110012328A1 (en) * 2009-07-17 2011-0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curtain airbag with pressure control device
US8376396B2 (en) * 2010-01-15 2013-02-19 Honda Motor Co., Ltd. Multi-chamber knee airbag
WO2012151261A2 (en) 2011-05-02 2012-11-08 Nxgen Side curtain airbag and method and appartus for manufacturing a side curtain airbag
DE102011085934B4 (de) * 2011-11-08 2015-11-05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mit einer ersten Kammer und einer zweiten Kammer
JP5699925B2 (ja) * 2011-12-15 2015-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13159291A (ja) 2012-02-08 2013-08-19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KR101995477B1 (ko) * 2013-09-03 2019-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 및 그의 제조 방법
US9376084B2 (en) * 2013-12-07 2016-06-28 Autoliv Asp, Inc. Multi-chamber airbags
US9156427B2 (en) * 2014-01-08 2015-10-13 Autoliv Asp, Inc.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US9580039B2 (en) 2014-04-22 2017-02-28 Autoliv Asp, Inc. Multi-chamber airbag with unidirectional vent
US9248799B2 (en) 2014-06-03 2016-02-02 Autoliv Asp, Inc. Dual cushion airbag with independent inflation
US9272684B1 (en) 2014-10-10 2016-03-01 Autoliv Asp, Inc. Multi-chamber airbag with pinch valve
US9533652B1 (en) 2015-07-14 2017-01-03 Autoliv Asp, Inc. One-directional valve for multi-chamber airbags
US10293777B2 (en) 2016-08-26 2019-05-21 Autoliv Asp, Inc. Multi-cushion airbag assemblies for reducing rotational velocity of an occupant's head
CN110525557B (zh) * 2018-05-25 2021-04-27 日本富拉司特株式会社 安全气囊
JP7103174B2 (ja) * 2018-11-06 2022-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2647194B1 (ko) * 2018-11-16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
DE102019132199A1 (de) * 2019-11-27 2021-05-27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4319A1 (de) * 1979-11-02 1981-05-1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ufblasbares aufprallschutzkissen
JPH01317847A (ja) * 1988-06-17 1989-12-22 Takata Kk エアバック用シート及びエアバッグ
KR950008145B1 (ko) * 1988-08-03 1995-07-25 아사히가세이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에어백
DE3833888A1 (de) * 1988-10-05 1990-04-1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ufprallschutzvorrichtung fuer kraftfahrzeuginsassen
DE4101287A1 (de) * 1991-01-17 1992-07-30 Trw Repa Gmbh Aufblasbarer gassack fuer ein rueckhaltesystem in fahrzeugen
JPH05162598A (ja) * 1991-12-13 1993-06-29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5529837A (en) * 1994-02-28 1996-06-25 Shin-Etsu Chemical Co., Ltd. Silicone coated base material and air bag base material
US5556128A (en) * 1994-11-24 1996-09-17 Volkswagen Ag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occupant
GB2333076B (en) * 1995-02-20 1999-08-2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GB2299061B (en) * 1995-03-23 1998-09-30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arrangement
US5632914A (en) * 1995-05-24 1997-05-27 Davidson Textron Inc. Motor vehicle air bag cover having a skin with a virtually invisible tear seam formed by miniature holes
US5586782A (en) * 1995-06-26 1996-12-24 Alliedsignal Inc. Dual pressure side impact air bag
DE29517372U1 (de) * 1995-11-02 1996-02-01 Trw Repa Gmbh Gassack-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US5718450A (en) * 1996-01-19 1998-02-17 Takata, Inc. Inflatable restraint system having a head/thorax cushion for side impact protection
JPH09323605A (ja) * 1996-03-27 1997-12-16 Morton Internatl Inc 自動車の乗客室内の占有者を保護する方法と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を折りたたむ方法
JP3397041B2 (ja) * 1996-03-28 2003-04-14 豊田合成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
JP3430835B2 (ja) * 1996-09-26 2003-07-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ク装置
US5868782A (en) * 1996-12-24 1999-02-09 Global Therapeutics, Inc. Radially expandable axially non-contracting surgical stent
DE29709389U1 (de) * 1997-05-28 1997-09-25 Trw Repa Gmbh Gassack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62746A1 (en) 1999-12-09
EP1082237B1 (en) 2006-12-20
EP1082237A1 (en) 2001-03-14
JP2002516783A (ja) 2002-06-11
KR20010043912A (ko) 2001-05-25
EP1082237A4 (en) 2004-07-28
US6135493A (en) 2000-10-24
ES2279612T3 (es) 2007-08-16
JP3633871B2 (ja) 2005-03-30
DE69934488D1 (de) 2007-02-01
DE19824601C2 (de) 2003-04-03
DE19824601A1 (de) 199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722B1 (ko) 에어백 모듈용의 커튼 에어백
KR102518179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에어백
EP0936109B1 (en) Side impact head strike protection system
US8459690B2 (en) Vehicle seat arrangement and airbag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protecting a vehicle occupant
US9272684B1 (en) Multi-chamber airbag with pinch valve
KR100254731B1 (ko) 측면충돌용 에어백
JP2602405B2 (ja) デュアル形緩衝用エアバッグユニット
US5934743A (en) Impact absorbing outer body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KR100261389B1 (ko) 측면충돌용 에어백
KR100221910B1 (ko) 측면 충격용 가스 백 보호 장치
US20060103119A1 (en) Airbag apparatus
US6457742B1 (en) Side collision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s
EP2617607B1 (en) Airbag arrangement
KR20000069037A (ko) 에어백 장치
US20090322062A1 (en) Airbag for a motor vehicle
JP2006224776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3718763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20020033590A1 (en) Air bag diffusion device
US7213838B2 (en) Inflator
JPH1120594A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JP51957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692533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20220085949A (ko) 차량용 에어백
KR101372547B1 (ko) 커튼에어백
JPH06262993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ガス排出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