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706B1 -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 처리된 플라스틱 제품 및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 처리된 플라스틱 제품 및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706B1
KR100548706B1 KR1020030039800A KR20030039800A KR100548706B1 KR 100548706 B1 KR100548706 B1 KR 100548706B1 KR 1020030039800 A KR1020030039800 A KR 1020030039800A KR 20030039800 A KR20030039800 A KR 20030039800A KR 100548706 B1 KR100548706 B1 KR 100548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lastic
plastic product
temperature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468A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김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철 filed Critical 김병철
Priority to KR102003003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706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5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LC-resonance circuit in the main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9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bipolar static induction transistors [BSIT]
    • H01L29/7393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s, i.e. IGBT; IGT; COMF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AC supply for both the rotor and the stator circuits, the frequency of supply to at least one circuit being vari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동시에 야광 처리되어 야간에도 식별 가능한 플라스틱 제품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들은 플라스틱 소재를 주성분으로 하고, 야광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형광안료 또는 축광안료와,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조성물과, 상기 안료와 상기 조성물을 혼합시킬 때 혼합이 잘되도록 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플라스틱 제품, 온도, 색깔, 야광.

Description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 처리된 플라스틱 제품 및 그 조성물{ plastic goods of luminous}
본 발명은 플라스틱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동시에 야광 처리되어 야간에도 식별 가능한 플라스틱 제품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PVC 수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성형재료를 성형장치에서 고온으로 용융한 다음, 이 용융된 성형재료를 성형장치 내에 설치된 금형내에 주입하므로 소망하는 형태의 플라스틱 제품을 제공받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스틱 제품에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별다른 기능, 예를 들어 햇빛을 받으면 플라스틱의 색깔이 변하든지 또는 야간에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기능을 구현한다든지 등의 특별한 기능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사안들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면서 동시에 야간에도 식별 가능하도록 야광 처리된 플라스틱 제품 및 그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소재를 주성분으로 하고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 처리된 플라스틱 제품의 조성물에 있어서, 형광안료 또는 축광안료와;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조성물과; 상기 안료와 상기 조성물을 혼합시킬 때 혼합이 잘되도록 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 조성물의 Chemical Name을 한글로 표기하지 않고 영어로 기재할 것이며, 이는 한글로 표기했을 때의 전반적인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할 때 사용되는 조성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야광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Phosphorescent Zinc Sulfide Cupper(CAS NO: 1314-98-3, 68611-70-1)를 사용하며, 또한 온도에 따라 색깔이 바뀌도록 하기 위하여 1,3-Dihydro-1,3, 3-Trimethyl-6`-(2,3-dihydro-1H-indole-1-yl)-spiro(2H-indole-2,3`-[3H]-naphto[2,1-b][1,4]oxazine(CAS NO: 114747-44-3)을 사용한다. 이때 전술한 2가지 조성물을 혼합시킬 때 혼합 및 교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 하여 Magnesium Stearate(CAS NO: 557-04-0), Zinc Stearate(CAS NO: 557-05-1), Ethylenebis(Stearamide)(CAS NO: 110-30-5)를 사용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제품이란, 차양모자(또는 썬캡)나 자동차의 썬바이저 또는 헤드라이트의 캡 등의 모든 자용차용 플라스틱 부품 및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용기 등의 모든 플라스틱 제품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상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플라스틱 소재 100중량부와 Phosphorescent Zinc Sulfide Cupper 5중량부 및 1,3-Dihydro-1,3, 3-Trimethyl-6`-(2,3-dihydro-1H-indole-1-yl)-spiro(2H-indole-2,3`-[3H]-naphto[2,1-b][1,4]oxazine 0.1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여기에 Magnesium Stearate와 Zinc Stearate 및 Ethylenebis(Stearamide) 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고온 고압에서 사출하여 본 발명의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한편, 전술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혼합할 때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즉 전술한 조성물에 Pigment Blue 15:3과 Pigment Green 7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이를 사출하여 청색 개통의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또한, 전술한 실시예 2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에 Pigment White 6과 Pigment Violet 19 및 Pigment Red 209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이를 사출하여 분 홍색 개통의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하였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스틱 제품은 햇빛을 받을 때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게 되고 또한 야광 처리하여 어두운 장소나 야간 및 먼 거리에서도 식별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삭제)
  2. 플라스틱 소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플라스틱 제품의 조성물에 있어서,,
    Phosphorescent Zinc Sulfide Cupper;
    Magnesium Stearate;
    Zinc Stearate;
    Ethylenebis(Stearamide);
    1,3-Dihydro-1,3, 3-Trimethyl-6`-(2,3-dihydro-1H-indole-1-yl)-spiro(2H-indole-2,3`-[3H]-naphto[2,1-b][1,4]oxazine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처리된 플라스틱 제품의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100중량부와;
    Phosphorescent Zinc Sulfide Cupper 2~8중량부와;
    Magnesium Stearate, Zinc Stearate, Ethylenebis(Stearamide) 0.7~1.3중량부 및;
    1,3-Dihydro-1,3, 3-Trimethyl-6`-(2,3-dihydro-1H-indole-1-yl)-spiro(2H-indole-2,3`-[3H]-naphto[2,1-b][1,4]oxazine 0.07~0.4중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처리된 플라스틱 제품의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Pigment White 6, Pigment Violet 19, Pigment Red 20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처리된 플라스틱 제품의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Pigment Blue 16:3, Pigment Green 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처리된 플라스틱 제품의 조성물.
  6. (정정)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제품은 차양모자 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처리된 플라스틱 제품.
KR1020030039800A 2003-06-19 2003-06-19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 처리된 플라스틱 제품 및그 조성물 KR100548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800A KR100548706B1 (ko) 2003-06-19 2003-06-19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 처리된 플라스틱 제품 및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800A KR100548706B1 (ko) 2003-06-19 2003-06-19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 처리된 플라스틱 제품 및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468A KR20040110468A (ko) 2004-12-31
KR100548706B1 true KR100548706B1 (ko) 2006-02-02

Family

ID=3738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800A KR100548706B1 (ko) 2003-06-19 2003-06-19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 처리된 플라스틱 제품 및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4634A (zh) * 2011-09-30 2019-08-02 汉斯·O·里比 高级多元素一次性耗材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468A (ko)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6377A (en) Polymer moulding materials for producing a partial color change by laser energy, particularly for the production of colored markings
AU2001262545B2 (en) Improved luminous materials
CA2165379A1 (en) Phosphorescent synthetic resin material,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formed article
KR101579295B1 (ko) 온도 감응형 변색성 섬유원사의 제조방법
JPH06345906A (ja) 合成樹脂成形体用可逆変色性着色模様材料
CN104151808A (zh) 一种发光注塑材料
CN110615931A (zh) 能够感温变色的文具盒及其制备方法
KR100548706B1 (ko)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고 야광 처리된 플라스틱 제품 및그 조성물
CN112829170A (zh) 一种仿真温感变色植物加工工艺
US20030030040A1 (en) Reversibly variable photochromic color composition for articles composed of synthetic resin
CN110607059A (zh) 光致变色聚乳酸纤维母粒及其制备方法
KR910014437A (ko) 자연석의 형태를 갖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성형품
CN101042016B (zh) Pvc封边条的制作方法
KR950011508A (ko) 열가소성수지의 착색방법
GB2572796A (en) Composition for darkening the colour of polymers
US20090152498A1 (en) Luminous materials
CS229672B2 (en) Stamped colored thermoplastic foil
CN110283396B (zh) 一种改善透光显示的色母粒、制备方法及应用
CN110591303A (zh) 皮芯结构纤维芯层用光致变色母粒及其制备方法
JP2005154530A (ja) 樹脂組成物及び模様付き樹脂成形品
CN107915915A (zh) 一种可变色塑料材料
CN111875917A (zh) 一种夜间发光的感温变色tpe材料
KR20030086973A (ko)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
JP2007084622A (ja) 蓄光性カラー合成樹脂
JPS5855234A (ja) 大理石模様を有する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