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973A -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973A
KR20030086973A KR1020030074562A KR20030074562A KR20030086973A KR 20030086973 A KR20030086973 A KR 20030086973A KR 1020030074562 A KR1020030074562 A KR 1020030074562A KR 20030074562 A KR20030074562 A KR 20030074562A KR 20030086973 A KR20030086973 A KR 20030086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white
glass
pigments
stain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수일
Original Assignee
한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일 filed Critical 한수일
Priority to KR1020030074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6973A/ko
Publication of KR2003008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97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Landscapes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광성 및 내열성이 양호한 광투과성 무기 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유리면에 도형이나 문양에 따라 라인을 형성시키고, 상기 라인 이외의 공간부내에 물감액을 도포시켜주므로서 구성되는 스테인드 글라스 제조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 에탄올 및 안료를 혼합시킨 높은 점성을 갖는 재료로 유리표면에 도형 및 문양의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무늬라인 사이의 공간부에 열가소성수지와 에탄올이 혼합된 낮은 점성의 혼합물에 무기안료를 첨가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stained glass}
본 발명은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광성 및 내열성이 양호한 광투과성 무기 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드 글라스는 역사적으로 종교건축물에서 사용한 하나의 미적 표현방법으로서, 로마네스크 시대(11,12세기), 고딕 시대(13,14세기), 르네상스(15,16세기) 시대를 거치면서 각 시대의 건축양식이나 시대적 사상의 흐름에 반영되었고 종교예술 형태로서 전래되었다. 스테인드 글라스 색채의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조화는 유리의 특정한 색상 그 자체에 의한다기보다는 그것을 통과하는 시간과 날씨 강렬한 태양 빛의 속성에 따른 효과와 사람의 시각이 선택적으로 인지하는 광선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초기 유럽에서만 쓰였던 스테인드 글라스는 고딕건축의 탄생으로 그 전성기를 누렸고 유리창을 확대하고 갖가지 신성한 주제를 유리창에 가득히 표현했고 사람들은 창을 통해 투영되는 화려하고 강렬한 빛의 효과를 좋아했다. 이것을 강조한 스테인드 글라스를 고딕 건축에 융화되면서 예술의 경지에 도달했다. 중세 고딕 양식 성당건축의 어둡고 침침한 실내를 보석같이 찬란하게 밝혀주었던 스테인드 글라스의 색상 대비는 상당히 효과적이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스테인드 글라스 제조방법은 각종의 문양에 따라 색유리를 이용하여 그 문양에 맞도록 각양의 색유리를 절단 조합시켜 모자이크 식으로 형성시키는 방법과 각종의 문양에 따라 그 문양에 맞도록 여러 가지의 색상으로 착색하여 인쇄방식으로 형성된 셀룰로이드를 유리표면에 붙여 형성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즉, 초기의 스테인드 글라스는 채색된 색유리를 납 선으로 조립시키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방법을 개선하여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문양을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으나, 에폭시 수지와 유리의 열팽창계수가 차이가 커서 이들 사이에 기포가 생기면서 서로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하여 스테인드 글라스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염료로 유성안료를 사용하여 내광성과 내열성이 떨어져 색투과부분에 변색이 일어나 스테인드 글라스의 특성인 빛에 의한 색발현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하여 스테인드 글라스를 제조함으로써 스테인드 글라스의 내광성 및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유리면에 도형이나 문양에 따라 라인을 형성시키고, 상기 라인 이외의 공간부내에 물감액을 도포시켜주므로서 구성되는 스테인드 글라스 제조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 에탄올 및 안료를 혼합시킨 높은 점성을 갖는 재료로 유리표면에 도형 및 문양의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무늬라인 사이의 공간부에 열가소성수지와 에탄올이 혼합된 낮은 점성의 혼합물에 무기안료를 첨가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테인드 글라스 제조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 에탄올 및 안료를 혼합시킨 높은 점성을 갖는 된 재료로 유리표면에 도형 및 문양의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무늬라인 사이의 공간부에 열가소성수지와 에탄올이 혼합된 낮은 점성의 혼합물에 무기안료를 첨가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료(PIGMENT)라 함은 용제나 물 등에 녹지 않는 색상을 가지는 파우더이며, 염료와 틀린 점은 자체적으로는 물체에 부착되지 않으나 일정한 운반체의 도움에 의해 물체에 고착되거나 미세하게 분산되어 색상을 띄게 되는 색소이다. 이러한 안료는 유기안료와 무기안료로 분류되며, 즉, 기존에 스테인드 글라스에서 사용하던유기안료는 유기색소라 부르며, 간단히 설명하면 가시광선을 선택적으로 흡수 또는 반사함으로써 고유한 색을 나타내는 물질을 색소로 구성되며, 이 유기 색소를 가지는 미립자로서 피염물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염착 되지 않고 물리적 방법(접착 등)에 의해 피염물 표면에 색소로 부착되어 고유의 색을 내는 것을 유기안료라고 한다. 이러한 유기 안료는 탄화수소 화합물로 구성된 환식 유기화합물로 구성되며, 선명한 색조와 높은 착색력을 갖는다. 하지만, 무기안료에 비해 내광성과, 내열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유기안료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스테인드 글라스에 합성수지와의 혼합성등을 고려하여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으나, 스테인드 글라스의 용도특성이라 할 수 있는 빛에 노출되는 환경 하에서 색상 등이 최초 제조시의 색상에서 변색되기가 쉽고, 또한 강한 햇빛 및 전열기구 등에 의한 광선 등의 고열에 의해 색소의 성분이라 할 수 있는 탄화수소화합물의 물성이 변경되어 변색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에 무기질(無機質) 색소로된 무기안료를 사용한다. 이 무기안료는 유기안료(有機顔料)에 비해 일반적으로 불투명하고 농도도 불충분하지만, 내광성(耐光性) ·내열성(耐熱性)이 양호하고 유기용제(有機溶劑)에 녹지 않는다. 또 가격이 저렴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안료는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으며 색별(色別)로 나누면, 백색안료(산화아연 ·산화티탄 ·鉛白 등), 적색안료(벵갈라 ·버밀리온 ·카드뮴레드 등), 황색안료(黃鉛 ·황토 ·카드뮴옐로 등), 녹색안료(에메랄드綠 ·산화크롬녹 등), 청색안료(프러시안블루 ·코발트청 등), 자색안료(망간紫 ·mars紫 등), 흑색안료(카본블랙 ·鐵黑 등), 투명성 백색안료(體質顔料라고도 한다. 실리카백 ·알루미나백 ·白土 ·탄산칼슘 등)가 있다.
무기안료는 철 또는 비철금속 등의 무기재료를 산화시켜 만드는데, 일반적으로 내후성, 불용성 등의 점에서 유기안료보다 뛰어나며,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무기안료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본 발명에 의해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를 제조의 제조하여 내광성 및 내열성이 양호한 광투과성 무기 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를 얻었다.

Claims (2)

  1. 유리면에 도형이나 문양에 따라 라인을 형성시키고, 상기 라인 이외의 공간부내에 물감액을 도포시켜주므로서 구성되는 스테인드 글라스 제조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 에탄올 및 안료를 혼합시킨 높은 점성을 갖는 재료로 유리표면에 도형 및 문양의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무늬라인 사이의 공간부에 열가소성수지와 에탄올이 혼합된 낮은 점성의 혼합물에 무기안료를 첨가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무기 안료는 백색안료(산화아연 ·산화티탄 ·연백), 적색안료(벵갈라 ·버밀리온 ·카드뮴레드), 황색안료(황연 ·황토 ·카드뮴옐로 ), 녹색안료(에메랄드록 ·산화크롬녹), 청색안료(프러시안블루 ·코발트청), 자색안료(망간자 ·mars자), 흑색안료(카본블랙 ·철흑), 투명성 백색안료(실리카백 ·알루미나백 ·백토 ·탄산칼슘)중 어느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
KR1020030074562A 2003-10-24 2003-10-24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 KR20030086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562A KR20030086973A (ko) 2003-10-24 2003-10-24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562A KR20030086973A (ko) 2003-10-24 2003-10-24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973A true KR20030086973A (ko) 2003-11-12

Family

ID=3238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562A KR20030086973A (ko) 2003-10-24 2003-10-24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697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6295B (en) * 2003-09-25 2006-09-13 Amanda Dyche Applying colour to impervious surfaces
KR100671936B1 (ko) * 2005-02-17 2007-01-19 한수일 열가소성수지 채색코팅면을 갖는 반투광성 유리타일의 제조방법 및 유리타일
KR100933102B1 (ko) * 2007-10-22 2009-12-21 강정해 크리스탈 조각효과를 갖는 스테인드 글라스 대용 시트 및그 제조방법
CN105291675A (zh) * 2015-09-27 2016-02-03 丹寨县国春银饰有限责任公司 一种浮雕银碗规范制作方法
KR101845389B1 (ko) * 2017-11-28 2018-04-04 김선숙 스테인드 글라스와 광섬유를 이용한 조형물 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6295B (en) * 2003-09-25 2006-09-13 Amanda Dyche Applying colour to impervious surfaces
KR100671936B1 (ko) * 2005-02-17 2007-01-19 한수일 열가소성수지 채색코팅면을 갖는 반투광성 유리타일의 제조방법 및 유리타일
KR100933102B1 (ko) * 2007-10-22 2009-12-21 강정해 크리스탈 조각효과를 갖는 스테인드 글라스 대용 시트 및그 제조방법
CN105291675A (zh) * 2015-09-27 2016-02-03 丹寨县国春银饰有限责任公司 一种浮雕银碗规范制作方法
CN105291675B (zh) * 2015-09-27 2017-10-31 丹寨县国春银饰有限责任公司 一种浮雕银碗规范制作方法
KR101845389B1 (ko) * 2017-11-28 2018-04-04 김선숙 스테인드 글라스와 광섬유를 이용한 조형물 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5751A (en) Laminates
KR900004886A (ko) 열 변색성 효과를 내는 코팅 조성물
CN105082812A (zh) 激光处理涂层的方法
CN102372929B (zh) 光扩散性树脂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的油墨、粘合剂、片材及模制品
KR20030086973A (ko) 광투과성 무기안료를 이용한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방법
CN1654556A (zh) 一种夜光岩彩颜料及其制品和制备方法
WO1999051680A1 (fr) Composition presentant un changement de couleur reversible et pieces exterieures d'horlogerie utilisant cette composition
CN1250402C (zh) 温变色、光辐射变色的紫外光固化镭射效应的制造方法
DE60018164D1 (de) Tintenzusammensetzung und tintenset mit hervorragender farbwiedergabe und lichtbeständigkeit sowie verfahren zur aufzeichnung mit derselben
KR20010002054A (ko) 다채무늬 유리판넬의 제조방법
CN101961707B (zh) 图案面的形成方法
KR100207178B1 (ko) 스테인드 글라스의 무늬형성방법
JP4125882B2 (ja) 金属光沢調熱変色性積層体
JP3010130U (ja) 発光ステンドグラス
KR930021414A (ko) 자개의 무늬재현 용액의 제조방법 및 장식용자개
SU178095A1 (ru) Способ окрашивания пластмасс
KR870001690B1 (ko) 화장판의 제조방법
JP3010131U (ja) 発光ステンドワッペン
KR200363416Y1 (ko) 스테인드글라스를 갖춘 장식대
KR200266679Y1 (ko)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장식용 패널
JPH0345579A (ja) 石材表面への焼成着色による模様及び文字の現出方法
Doktor Pigments of the Painter
RO126666A0 (ro) Procedeu de obţinere a unor vopsele fluorescente cu efect decorativ
CN1352626A (zh) 装饰石材及其制造方法
JP2008207510A (ja) 光輝調熱変色性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