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175B1 - 진공밸브 - Google Patents

진공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175B1
KR100548175B1 KR1020047001132A KR20047001132A KR100548175B1 KR 100548175 B1 KR100548175 B1 KR 100548175B1 KR 1020047001132 A KR1020047001132 A KR 1020047001132A KR 20047001132 A KR20047001132 A KR 20047001132A KR 100548175 B1 KR100548175 B1 KR 100548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lve
vacuum
opening
closing operation
mol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654A (ko
Inventor
오카자와히로시
사토토시후미
우에누시마사시
사노고우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01H2033/6623Details relating to the encasing or the outside layers of the vacuum switch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진공밸브의 고압충전부인 션트부를 완전히 절연보호하고, 여러대를 컴팩트하게 일괄배치 할 수 있는 진공밸브를 제공하기 위해 진공밸브는 션트부를 진공용기 내부에서 가동전극과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 뻗는 절연조작 로드 사이에 설치 하였다.
진공용기를 고정측 및 가동측 단자와 함께 거의 직방체 형상의 몰드수지 절연체에 매설한다. 개폐조작장치의 외형을 진공밸브의 몰드수지 절연체의 축방향 투영형상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으로 하고, 전체적으로 거의 직방체의 진공밸브 조립체로 한다.
진공밸브 조립체를 3대 나란하게 배치해서 3상 일괄형으로 할 수도 있고, 몰드수지 절연체는 개별적으로 하거나 일괄몰드로 해도 된다.
진공밸브,고압충전부,션트부,진공용기,가동전극,절연조작로드.

Description

진공밸브{VACUUM VALVE}
본 발명은 진공밸브에 관해, 특히 수배전(受配電) 설비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진공밸브 및 그와 같은 진공밸브를 몰드수지 절연체에 의해 3상 일괄해서 유니트하게 된 진공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31 및 도 32에는 수배전 설비에서 사용되는 폐쇄형 배전반을 구성하는 단위 회로기기의 하나인 종래의 진공밸브와 이 진공밸브를 조작하는 절연로드와의 관계를 표시하고 있다.
도 31은 진공밸브의 외관을 사시도로 표시하고, 도 32는 도 31의 진공밸브를 축심을 따라 판단해서 단면 사시도로 표시하였다.
이들의 도면에서 진공밸브(1)는 양단이 막힌 중공원통형의 절연성의 진공용기(2)를 구비하고, 이 진공용기(2)내에는 서로 분리 및 접속하는 고정전극(3)과 가동전극 (4)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전극(3) 및 (4)는 각각 고정측 도체(5)와 가동측 도체 (6)에 의해 진공용기(2)내에 지지되어 있다.
가동측 도체(6)는 진공용기(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밸런스(7)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고, 진공용기(2)의 축방향 단벽을 관통해서 외부로 뻗은 외단(6a)을 가지고 있다. 가동측 도체(6)의 외단(6a)에는 고압충전부인 나사가 맞물려 있는 접속도체(8)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 접속도체(8)의 타단에는 절연로드(9)가 맞물림(계합)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 절연로드(9)의 선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조작장치가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저압충전부인 연결부(9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접속도체(8)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동측 단자도체인 션트도체(연결용 도체)가 접속되어 있어 외부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개폐조작장치에 의해 절연로드(9)를 축방향으로 구동하면 접속도체(8) 및 가동측 도체(6)를 통해서 가동전극(movable electrode)(4)을 고정전극(stationary electrode)(3)에 대해 접속 및 분리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밸브(1)에서는 가동전극(4)을 지지하는 가동측 도체 (6)가 진공용기(2)의 축방향 단벽을 관통해서 외부로 뻗은 외단(outer end)(6a)을 가지고 있다.
이 외단(6a) 및 여기에 접속된 접속도체(8)는 어느 것이나 금속제로 된 고압충전부이다. 이 고압충전부는 동시에 가동부분이기도 하므로 지금까지는 배전반내에서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작은 동물 등이 고압충전부에 접촉되어 회로가 불량상태로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연재료제의 몰드프레임이 필요했었다. 또, 폐쇄형 배전반에 절연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연가스 밀봉용기가 필요했었다.
또, 상간절연(insulation between the phases), 대지절연(insulation relative to the ground) 및 극간절연(insulation between the poles)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각각 적절한 위치에 절연물 몰드프레임이 필요했었거나, 절연가스와 이것을 밀봉하는 밀봉용기가 필요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진공밸브를 사용한 배전반에서는 진공밸브와 조작용 절연로드 사이에 고압충전부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몰드프레임이나 밀봉용기가 필요하고, 조립시에는 고정이나 용접할 필요가 있고, 배전반의 소형화에 방해가 되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밸브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압충전부인 션트부(shunt portion)(연결부)가 완전하게 절연보호된 진공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진공밸브를 컴팩트하게 일괄배치 할 수가 있는 진공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이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진공밸브는 진공용기와, 상기 진공용기내에 설치된 고정전극 및 가동전극과,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될 수 있고 타단에서 상기 고정전극에 접속된 고정측 도체와,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될 수 있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접속된 가동측 도체와,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외에서 개폐조작장치에 결합할 수 있는 절연로드를 구비한 진공밸브이다.
(2) 상기 진공용기는 거의 원통형으로 그 축방향 일단에서 상기 고정측 도체에 결합되고, 축방향 타단에서 벨로즈를 통해서 상기 절연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가동측 도체가 상기 진공용기의 주벽을 관통해서 뻗은 외부 접속도체와, 상기 가동전극에 접속된 가요성도체를 구비해도 된다.
(3) 상기 진공용기를 둘러싼 몰드수지 절연체와,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되어 상기 고정측 도체에 접속된 고정측 단자도체를 갖는 고정측 단자와,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되어서 상기 가동측 도체에 접속된 가동측 도체에 접속된 가동측 단자도체를 갖는 가동측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4) 상기 고정측 단자 및 상기 가동측 단자는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의 외표면에 대해 요철부(凸부 또는 凹부)를 이루고, 상기 凸부 또는 凹부는 서로 축정렬해서 보완 관계에 있어서 계면절연이 가능한 표면형상을 갖는 대략적인 원추대(truncated conical) 형상이라도 된다.
(5)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는 상기 절연모드를 이격시켜 둘러싼 내주면을 갖는 오목부(凹부)를 갖는 것도 된다.
(6) 상기 진공밸브가 3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가 3대의 진공밸브에 공통의 단일의 대략 직방체의 몰드수지 절연체인 것도 된다.
(7) 또, 본 발명의 진공밸브 조립체는 진공밸브와, 상기 진공밸브를 개폐구동하는 개폐조작장치를 구비한 진공밸브 조립체로서 상기 진공밸브는 진공용기와 상기 진공용기내에 설치된 고정전극 및 가동전극과,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되고 타단에서 상기 고정전극에 접속된 고정측 도체와,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이 가능하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접속된 가동측 도체와,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외에서 개폐조작장치에 결합할 수 있는 절연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는 상기 절연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의 외형은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 투영형상과 대략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대략 직방체이다.
(8) 상기 진공밸브 조립체가 3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는 상기 절연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의 외형은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3대의 진공밸브가 형성하는 윤곽 외형선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거의 직방체이라도 된다.
(9)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가 3대의 진공밸브에 공통의 단일 몰드수지 절연체이고, 상기 절연로드에 연결된 개폐조작장치가 상기 3대의 진공밸브의 각각에 서로 독립해서 연결된 거의 직방체라도 된다.
(10)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가 3대의 진공밸브에 공통인 단일의 몰드수지 절연체이고, 상기 절연로드에 각각 연결된 개폐조작장치가 공통인 단일의 거의 직방체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11) 상기 개폐조작장치는 상기 진공밸브에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와 상기 진공밸브의 사이에 상기 개폐조작장치의 구동력을 각 상의 상기 진공밸브에 전달하는 상간 링크를 구비한 것이라도 된다.
(12) 상기 절연로드에 접속된 개폐조작장치와 상기 진공용기를 상기 개폐조작장치와 함께 둘러싼 단일의 거의 직방체 형상의 몰드수지 절연체와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되어 상기 고정측 도체에 접속된 고정측 단자도체를 갖는 고정측 단자와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되어서 상기 가동측 단자도체에 접속된 가동측 단자도체를 갖는 가동측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3) 상기 진공밸브가 3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가 3대의 상기 진공밸브에 공통인 거의 직방체의 단일 몰드수지 절연체라도 된다.
도 1은 션트부를 진공용기내에 수용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진공밸브의 축심에 따른 파단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진공밸브를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진공밸브의 축심에 따른 파단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진공밸브를 3상 일괄해서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진공밸브의 파단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진공밸브에 개폐조작장치를 연결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축심에 따른 파단 사시도,
도 9는 개폐조작장치를 연결한 도 7의 진공밸브 조립체를 3상분 배치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축심에 따라 절단한 파단 사시도,
도 11은 도 3의 진공밸브를 3상분 나란하게 배치해서 공통의 개폐조작장치를 연결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파단 사시도,
도 13은 도 5의 진공밸브에 각각의 상마다 개폐조작장치를 연결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파단 사시도,
도 15는 도 5의 진공밸브에 공통의 개폐조작장치를 연결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파단 사시도,
도 17은 도 3의 진공밸브를 3상분 나란하게 배치해서 상간 링크를 통해서 공통의 개폐조작장치를 연결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파단 사시도,
도 19는 도 5의 진공밸브 조립체에 상간 링크를 통해서 공통의 개폐조작장치를 연결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파단 사시도,
도 21은 도 1의 진공밸브에 개폐조작장치를 연결하고, 또 몰드수지 절연체에 매설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축심에 따라 절단한 파단 사시도,
도 23은 도 1의 진공밸브에 개폐조작장치를 연결한 것을 3상분 나란하게 배치하고, 공통의 몰드수지 절연체에 매설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진공밸브 조립체의 파단 사시도,
도 25는 도 3 및 도 4에 표시하는 진공밸브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26은 도 3 및 도 4에 표시하는 진공밸브의 다른 변형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27은 도 3 및 도 4에 표시하는 진공밸브의 또 다른 변형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28은 도 11 및 도 12에 표시한 진공밸브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진공밸브의변형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29는 도 11 및 도 12에 표시하는 진공밸브의 다른 변형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30은 도 11 및 도 12에 표시하는 진공밸브의 또 다른 변형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31은 션트부가 진공용기 외부에 노출한 종래의 진공밸브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32는 도 31에 진공밸브의 축심을 따라 절단한 사시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형태 1.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진공밸브의 일실시형태를 표시하고, 도 1은 션트부를 진공용기내에 수용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공밸브의 축심에 따라 절단한 파단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진공밸브(10)는 중공이고, 기밀이 잘된 거의 원통형의 진공용기(11)를 구비하고, 진공용기(11)는 금속제의 한쌍의 거의 원형의 단판(12) 및 (13)과, 단판(12) 및 (13)에 용착(용융 부착)등에 의해 고착(고정 장착)되어 서로 축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된 2개의 거의 원통형의 세라믹의 절연관체(14) 및 (15)와, 절연관체(14) 및 (15)간에 용착 등에 의해 고착된 슬리브(16) 및 (17)에 의해 연결된 거의 장원통형 (타원형) 세라믹의 절연상자체(18)를 구비하고 있다.
진공용기(11)의 제1의 단판(12)에는 그 축심과 동축으로 고정측 도체(19)가 관통해서 뻗어 있게 고정되어 있고, 고정측 도체(19)의 내단에는 고정전극(20)이 동축에 고착되어 있다.
이 고정전극(20)에 분리 및 접속 가능하게 대향해서 가동전극(21)이 설치되고, 서로 분리 및 접속하는 한쌍의 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가동전극(21)의 타단에는 직경이 작은 소경부(2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소경부(22)에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션트인 가요성도체(23)의 일단이 끼워져 접속되어 있고, 션트부(24)를 구성하고 있다.
이 소경부(22)에는 다시 절연로드(25)의 내단에 설치한 중심공(26)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어 가동전극(21)과 절연로드(25)는 일체의 강성의 봉 모양의 봉상체로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절연로드(25)의 중간부에는 외단(외주)에서 진공용기(11)의 주벽부에 봉합 접속된 벨로즈(27)의 내단(내주)이 봉합 접속되어 있고, 절연로드(25)의 외단(28)은 진공용기(11)의 제2의 단판(13)에서 외부로 뻗어있고 도시하지 않은 개폐조작장치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동전극(21)과 절연로드(25)의 사이의 션트부(24)에 접속된 가요성도체 (23)의 타단은 외부 접속도체(29)에 접속되어 지지되어 있다. 외부 접속도체(29)는 거의 L자형으로 구부려지고, 한쪽의 다리부는 경방향으로 뻗어 세라믹의 절연상자체(18)를 관통해서 내부에서 가요성도체(23)에 접속되어 있다.
이 다리부는 또 절연상자체(18)에 용착된 금속제의 봉합부재(30)에 용접되어 기밀하게 봉합되는 동시에 기계적 지지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른쪽의 다리부는 진공용기(11)의 축에 거의 평행하게 뻗어있고, 도시하지 않은 외부회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요성도체(23)와 외부 접속도체(29)로 고정측 도체(19)에 대응한 가동측 도체(31)가 구성되어 있다.
또, 고정측 도체(19) 및 가동측 도체(31)는 진공용기(11)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가동전극(20) 및 고정전극(21)의 각각에 접속된 도체를 구성하고 있다.
진공용기(11)의 내부에서 고정전극(20) 및 가동전극(21)을 이격시켜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은 전계완화 및 금속증기 비산 방지를 하기 위한 거의 통 모양의 실드(32)이다.
진공용기(11)의 내부에서 제1의 단판(12)에는 마찬가지로 전계완화를 목적으로 대략 접시형태의 실드(3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절연상자체(18)의 내면에는 한쌍의 대략 원통형의 전계완화를 위한 실드(34)가 용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가동전극(21)과 가요성도체(23)의 접속부인 션트부(24)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이들 실드(34)는 각각 가동전극(21) 또는 절연로드(25)를 동축에 둘러싼 원통부분(35)과 원통부분(35)의 가요성도체(23)측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원활하게 구부려진 플랜지부분(36)을 갖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이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표시하는 본 발명의 진공밸브(10)에 의하면 션트부(24)가 진공용기(11)내에 배치되고, 절연로드(25)가 벨로즈(27)를 통해서 진공용기(11)의 단벽을 기밀하게 관통하고, 또 가동측 도체(31)가 진공용기(11)의 주벽을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고 있다. 따라서, 진공밸브의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고, 작은 동물 등에 의한 고압충전부에의 접촉 때문에 회로에 불량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절연재료제의 몰드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폐쇄형 배전반에 절연가스를 사용할 필요도 없다.
실시형태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진공밸브(40)를 표시한다. 도 3에는 위에 설명한 도 1의 진공밸브(10)를 몰드수지 절연체(41)내에 매설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40)의 외관을 표시하고, 도 4에는 도 3의 진공밸브(40)를 그 축심을 따라 파단한 상태를 사시도로 표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 진공밸브(40)는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진공밸브(10)와, 진공밸브(10)의 고정측 도체(19)에 접속된 고정측 접속도체(42)와, 이 고정측 접속도체 (42)에 접속된 고정측 단자도체(43)와, 진공용기(11)의 가동측 도체(31)에 접속된 가동측 접속도체(44)와, 이 가동측 접속도체(44)에 접속된 가동측 단자도체(45)와, 이들의 구성요소를 매설 지지해서 외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에폭시수지 등의 적당한 재질의 몰드수지 절연체(41)를 구비하고 있다.
몰드수지 절연체(41)는 전체적으로 기둥 모양이고, 도시한 예에서는 직방체 형상이나 몰드수지 절연체(41)의 표면(도 4에서 저면)에서 형성된 대략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凹부)(4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오목부(凹부)(46)의 저면(바닥면)으로부터는 원추대 모양의 축심(47)과 동축으로 거의 원통형인 고정측 단자도체(43)가 돌출해서 오목부(凹부)(46)의 깊이의 거의 반까지의 위치까지 뻗어 있다.
또, 몰드수지 절연체(41)의 대향표면(도 4에서 상면)에는 凹부(46)의 축심 (47)(즉 고정측 단자 43의 축심 47)과 동축으로 거의 원추대 형상의 볼록부(凸부)(48)가 설치되어 있어 그 내부의 동축에 거의 원통형인 가동측 단자도체(45)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측 단자도체(45)는 볼록부(凸부)(48)의 높이의 대략 반까지의 위치까지 뻗어 있고, 가동측 단자도체(45)의 선단 부분에는 가동측 단자도체(45)와 거의 같은 직경의 공동(49)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해서 도시한 예에서는 고정측 단자도체(43)와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凹부)(46)에서 진공밸브(40)의 고정측 단자(50)가 구성되고, 가동측 단자도체(45)와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凸부)(48)를 포함하여 가동측 단자(51)가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단자(50)와 가동측 단자(51)는 그 치수 형상이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즉, 도 2에 표시하는 진공밸브(40)와 같은 진공밸브를 여러개 상하로 쌓아올린 형태로 배치해서 서로 접속하는 경우에 하단의 진공밸브(40)의 고정측 단자 (50)의 오목부(凹부)(46)내에 상단의 진공밸브(40)의 가동측 단자(51)의 오목부(凸부)(48)를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하게 되면, 오목부(凹부)(46)의 내주면과 볼록부(凸부)(48)의 외주면이 서로 거의 틈새가 없이 밀착해서 계면절연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그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고정측 단자도체(43)와 가동측 단자도체(45)가 서로 밀착해서 양호한 전기적 접속관계가 형성된다.
몰드수지 절연체(41)에는 또 진공밸브(40)의 원통형의 절연관체(15)로부터 돌출한 절연로드(25)의 외단(28)을 이격시켜 둘러싼 원통형 내주면을 갖는 오목부(凹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로드(25)의 외단(28)에는 이 오목부(凹부)(52)를 이용해서 도시하고 있지 않은 공지의 개폐조작장치, 또는 예를들면 도 7에 표시하고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은 개폐조작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3 및 도 4에 표시하는 본 발명의 진공밸브(40)에 의하면 진공밸브(10)의 고정측 도체(19)에는 고정측 접속도체(42)를 통해서 고정측 단자도체 (43)가 접속되어 있고, 가동측 도체(31)에는 가동측 접속도체(44)를 통해서 가동측 단자도체(45)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구성요소가 몰드수지 절연체(41)에 의해 덮혀 있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필요했던 상간절연, 대지절연 및 극간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절연물의 몰드프레임이 필요없게 되고, 절연가스와 이를 밀봉하는 밀봉용기도 필요없게 되어 배전반 등의 수배전 설비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 3.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진공밸브(55)를 표시한다. 도 5는 션트부를 진공용기내에 수용한 도 1의 진공밸브(10)를 3상 일괄해서 단일의대략 직방체 형상의 몰드수지 절연체(54)내에 매설한 본 발명의 진공밸브(55)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진공밸브(55)의 파단 사시도이다. 진공밸브(55)는 도 1 및 도 2에 표시하는 진공밸브(10)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해서 3대 구비하고, 도 3 및 도 4에 표시하는 몰드수지 절연체(41)와 같은 단 3대의 진공밸브(10)에 공통인 단일의 몰드수지 절연체(56)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5 및 도 6에 표시하는 본 발명의 진공밸브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진공밸브(55)는 거의 직방체 형상의 단일 몰드수지 절연체(54)내에 매설된 3상 일괄형의 것이므로 부품수가 적어지고, 취급도 쉬워져 다시 도 3 및 도 4에 표시하는 진공밸브(40)에 의한 것보다 배전반 등의 수배전 설비를 한층 더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 4.
도 7 및 도 8은 도 3 및 도 4에 표시한 진공밸브(40)에 개폐조작장치(58)를 연결해서 진공밸브(40)와 개폐조작장치(58)와의 조립체를 구성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의 진공밸브 조립체(57)를 표시한다. 도 7은 진공밸브 조립체(57)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진공밸브 조립체(57)의 축심에 따라 절단한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진공밸브 조립체(57)의 개폐조작장치(58)는 에폭시수지 등의 몰드수지 절연체의 거의 직방체의 하우징(59)내에 도시하지 않은 전자 구동장치를 수용한 것이고, 전자구동장치는 절연로드(25)에 연결되어 있다.
진공밸브(40)와 개폐조작장치(58)는 도시하지 않은 폐쇄형 배전반의 구조체로 고정되고, 도시한 바와 같은 양자의 관계가 유지된다.
개폐조작장치(58)의 하우징(59)과 진공밸브(40)의 몰드수지 절연체(41)의 사이에는 약간의 축방향 간극 G가 설치되어 있고 개폐조작장치(58)는 진공밸브(40)의 축방향 투영형상(진공밸브 40의 축방향으로 본 몰드수지 절연체 41의 정면의 형상)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대략 직방체이다.
따라서, 개폐조작장치(58)와 진공밸브(40)의 조합인 진공밸브 조립체(57)는 마치 하나의 직방체인 것 같이 취급할 수가 있다.
개폐조작장치(58)의 내부 구동장치는 모터에 의해 축적된 스프링의 작동력을 이용하는 기계적 구동장치라도 되나, 전자식이나 기계식에서 하우징(59)의 외표면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단자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이와 같이, 도 7 및 도 8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57)에 의하면 몰드된 개폐조작장치(58)와 몰드된 진공밸브(40)가 연결되어서 거의 일체가 된 상태로 조합되어 있으므로 개폐조작장치(58)와 진공밸브(40)를 조립조정할 필요가 없고, 수배전반내에 설치가 간단하다.
실시형태 5.
도 9 및 도 10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60)는 도 7 및 도 8에 표시한 진공밸브(57)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3대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표시한 것이다. 진공밸브 조립체(60)는 도시하지 않은 배전반내에 이와 같이 배열 지지되어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이다.
물론, 적당한 스페이서나 대상체 또는 타이 로드(tie rods) 등(어느 것도 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해서 3대를 결합해서 3상일괄형의 진공밸브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9 및 도 10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60)는 개폐조작장치(58)를 갖는 3상분의 진공밸브 조립체(57)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진공밸브 조립체 (60)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도 11 및 도 12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64)는 도 3 및 도 4에 표시한 진공밸브(40)가 3대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들 진공밸브(40)의 3개의 절연로드(25)에 연결되고, 몰드수지 절연체에 의해 몰드된 공통의 단일 개폐조작장치(65)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조작장치(65)의 외형은 거의 직방체로서 진공밸브(64)의 축방향에 대해 3대 나란하게 배치된 진공밸브(40)가 그리는 윤곽외형선과 거의 같은 축방향 투영형상을 가지고 있다
공통의 개폐조작장치(65)내에는 개폐조작장치(65)내의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가 각상에 대해 같게 작용하도록 상간을 서로 연동시키는 상간 링크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3대의 진공밸브(40)와 공통의 개폐조작장치(65)는 이와 같이 조합되어서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11 및 도 12에 표시하는 진공밸브 조립체(64)는 개폐조작장치 (58)를 갖는 3상의 진공밸브 조립체(57)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진공밸브 조립체(60)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개폐조작장치(65)가 공통으로 단일의 몰드수지 절연체로 덮인 직방체 형상의 것이고 진공밸브 조립체(64)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이므로 배전반내에서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컴팩트하다.
실시형태 7.
도 13 및 도 14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66)는 도 5 및 도 6에 표시한 3대의 진공밸브(10)가 공통의 단일 몰드수지 절연체(54)내에 매설된 진공밸브(55)와 각 진공밸브(10)에 연결된 독립된 3대의 개폐조작장치(58)를 구비하고 있다.
각 개폐조작장치(58)의 외형은 도 9 및 도 10에 표시하는 것과 거의 같은 직방체이고, 마찬가지로 배열되어 있다.
진공밸브(55)와 3대의 개폐조작장치(58)는 이와 같이 조합되어서 전체적으로는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13 및 도 14에 표시하는 진공밸브 조립체(66)는 3상 일괄형의 진공밸브 조립체(55)에 개폐조작장치(58)를 연결한 것으로 진공밸브 조립체(60)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개폐조작장치(65)가 공통이고, 단일의 몰드수지 절연체로 덮혀 있는 직방체 형상의 것이고, 진공밸브 조립체(66)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이므로 배전반내에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컴팩트하다.
실시형태 8.
도 15 및 도 16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68)는 도 5 및 도 6에 표시한 것과 같이 3대의 진공밸브(10)에 공통의 단일몰드수지 절연체를 구비한 진공밸브(55)에 도 11 및 도 12에 표시한 것과 같은 공통의 단일의 거의 직방체의 하우징을 구비한 개폐조작장치(65)를 연결한 것이다.
이 진공밸브 조립체(68)도 진공밸브(65)와 개폐조작장치(65)가 조합되어서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5 및 도 16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68)는 개폐조작장치 (6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으로되어 있으므로 내전반내에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컴팩트하다.
실시형태 9.
도 17 및 도 18에 표시하는 진공밸브 조립체(70)에서는 도 3 및 도 4에 표시한 진공밸브(40)가 3대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각 진공밸브(40)의 절연로드(25)(도 4)에는 각 상을 일괄해서 조작하기 위해 거의 직방체 형상의 단일의 몰드수지 절연체 (71)로 몰드된 상간 링크(72)가 연결되어 있다.
상간 링크(72)에는 진공밸브(40)의 측면에 인접해서 배치된 개폐조작장치 (73)가 연결되어 있어 개폐조작장치(73)는 거의 직방체의 몰드수지 절연체(74)를 구비하고 있다.
상간링크(72)의 몰드수지 절연체(71) 및 개폐조작장치(73)의 몰드수지 절연체 (74)는 3상의 진공밸브(40)와 거의 연속된 윤곽 외형선을 형성해서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의 진공밸브 조립체(70)를 구성하고 있다.
개폐조작장치(73)의 구동력은 각 상의 진공밸브(40)에 상간링크(72)를 통해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도 17 및 도 18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70)는 진공밸브(40), 상간링크(72) 및 개폐조작장치(73)가 거의 연속하는 윤곽 외형선을 형성해서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의 진공밸브 조립체(70)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배전반내에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는 컴팩트하다.
실시형태 10.
도 19 및 도 20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75)에서는 도 17 및 도 18에 표시하는 상간링크(72) 및 개폐조작장치(73)가 도 5 및 도 6에 표시하는 단일의 몰드수지 절연체(54)내에 진공밸브(10)가 일괄 매설되어 구성된 3상 일괄형의 진공밸브 (55)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 진공밸브 조립체(75)에서는 상간링크(72)의 몰드수지 절연체(71) 및 개폐조작장치(73)의 몰드수지 절연체(74)는 3상 일괄형의 진공밸브(55)와 거의 연속하는 윤곽 외형선을 형성해서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9 및 도 20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75)는 진공밸브(55), 상간링크(72) 및 개폐조작장치(73)가 거의 연속하는 윤곽 외형선을 형성해서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의 진공밸브 조립체(75)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배전반내에서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쉽고, 전체적으로는 컴팩트하다.
실시형태 11.
도 21 및 도 22의 진공밸브 조립체(77)는 도 1 및 도 2에 표시하는 진공밸브 (10)를 도 7 및 도 8에 표시하는 개폐조작장치(58)와 함께 거의 직방체 형상의 단일 몰드수지 절연체(78)내에 매설한 것이다.
즉, 이 진공밸브 조립체(77)에서는 진공밸브(10)의 절연로드(25)에 에폭시수지 등의 몰드수지 절연체로 몰드된 개폐조작장치(58)가 연결되어 있어 이 진공밸브 조립체(77)가 이 개폐조작장치(58)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진공밸브(10)의 진공용기(11)와 개폐조작장치(58)를 둘러싼 단일의 거의 직방체 형상의 몰드수지 절연체(78)도 에폭시수지 등의 적당한 유기 절연체 재료로 되어 있다. 몰드수지 절연체(78)내에는 도 3 및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측 도체(19)에 고정측 접속도체(42)를 통해서 접속된 고정측 단자도체(43)를 갖는 고정측 단자(50)와, 가동측 도체(31)에 가동측 접속도체(44)를 통해서 접속된 가동측 단자도체(45)를 갖는 가동측 단자(51)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21 및 도 22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77)는 개폐조작장치 (58)를 구비한 진공밸브(10)의 전체를 몰드수지 절연체(78)로 몰드한 것이므로 진공밸브 조립체로서의 완성도가 높고, 배전반에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쉽고, 전체적으로는 컴팩트하다.
실시형태 12.
도 23 및 도 24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80)는 도 21 및 도 22에 표시한 진공밸브(77)가 3대 나란하게 배치된 것과 같으나, 몰드수지 절연체가 3개의 독립한 것이 아니고, 3대의 진공밸브(10)에 공통인 단일의 거의 직방체의 몰드수지 절연체(81)인 것이 상위하다.
이와 같이 도 23 및 도 24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80)는 도 21 및 도 22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77) 보다도 진공밸브 조립체로서의 완성도가 높고, 배전반내에서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전체적으로는 컴팩트하다.
도 25 내지 도 30은 진공밸브 조립체의 몰드수지 절연체의 변형예를 표시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몰드수지 절연체가 거의 직방체 형상이라고 설명하였으나, 몰드수지 절연체를 예를들면 여러가지 단면형의 기둥 모양 등의 직방체 이외의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는 것으로, 도 25 내지 도 30에는 그 바람직한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도 25 내지 도 27에 표시한 진공밸브는 도 3 및 도 4에 표시하는 진공밸브 (40)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 몰드수지 절연체의 형태만이 다르다. 도 25의 진공밸브(82)의 몰드수지 절연체(83)는 반원형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형상으로 직방체의 상면에 반원 기둥 구조체가 올려 놓여진 상태이다. 도 26의 진공밸브(84)의 몰드수지 절연체(85)는 타원형으로 직방체의 상하 양면에 반원 기둥 구조체가 올려 놓여진 형태이다. 도 27의 진공밸브(86)의 몰드수지 절연체(87)는 원주형상이고, 단면이 원형이다.
도 28 내지 도 30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는 도 11 및 도 12에 표시한 진공밸브 조립체(64)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 몰드수지 절연체의 모양이 다르다. 다시 말하면, 도 11 및 도 12의 진공밸브 조립체(64)에서 진공밸브(40) 대신에 도 25 내지 도 27의 진공밸브(82, 84, 86)를 사용한 것이다.
즉, 도 28의 진공밸브 조립체(90)는 반원형의 몰드수지 절연체(83)를 갖는 3대의 진공밸브(82)를 구비하고 있어 개폐조작장치(91)는 몰드수지 절연체(83)의 높이에 따라 높게 되어 있고, 3대의 나란하게 배치된 진공밸브(82)가 그리는 윤곽외형선과 거의 같은 축방향 투영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29의 진공밸브 조립체(92)는 타원형 단면의 몰드수지 절연체(85)를 갖는 3대의 진공밸브(84)를 구비하고 있고, 개폐조작장치(93)는 몰드수지 절연체(85)의 높이에 따라 높게 되어 있고, 3대 나란하게 배치된 진공밸브(84)가 그리는 윤곽외형선과 거의 같은 축방향 투영형상을 갖고 있다.
도 30의 진공밸브 조립체(94)는 원주형의 몰드수지 절연체(87)를 갖는 3대의 진공밸브(86)를 구비하고 있고, 개폐조작장치(95)는 몰드수지 절연체(87)의 높이에 따라 높게 되어 있고, 3대 나란하게 배치된 진공밸브(86)가 형성하는 윤곽외형선과 거의 같은 축방향 투영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변형은 도 7 및 도 8의 진공밸브 조립체(57), 도 9 및 도 10의 진공밸브 조립체(60), 도 17 및 도 18의 진공밸브 조립체(70), 도 21 및 도 22의 진공밸브 조립체(77)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진공밸브 또는 진공밸브 조립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본 발명의 진공밸브는 진공용기와, 상기 진공용기내에 설치된 고정전극 및 가동전극과,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이 가능하고 타단에서 상기 고정전극에 접속된 고정측 도체와,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될 수 있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접속되어 션트부를 형성하는 가동측 도체와,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외에서 개폐조작장치에 결합할 수 있는 절연로드를 구비한 진공밸브이다.
(2) 또, 상기 진공용기는 거의 원통형으로 그 축방향 일단에서 상기 고정측 도체에 결합되고, 축방향 타단에서 벨로즈를 통해서 상기 절연로드에 결합되어서 있고, 상기 가동측 도체가 상기 진공용기의 주벽을 관통해서 뻗은 외부 접속도체와 상기 가동전극에 접속된 가요성도체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진공밸브의 충전부가 노출되어 있지 않고 작은 동물 등에 의한 고압충전부에의 접촉을 위해 회로에 불편한 일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 절연재료제의 몰드프레임을 필요로하지 않고, 또 폐쇄형 배전반에 절연가스를 사용할 필요도 없다.
(3) 또, 상기 진공용기를 둘러싼 거의 직방체 형상의 몰드수지 절연체와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되어서 상기 고정측 도체에 접속된 고정측 단자도체를 갖는 고정측 단자와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되어서 상기 가동측 도체에 접속된 가동측 단자도체를 갖는 가동측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간절연, 대지절연 및 극간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절연물의 몰드프레임이 필요없게 되고, 절연가스와 이를 밀봉하는 밀봉용기도 불필요 해졌으므로 배전반 등의 수배전 설비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4) 또, 상기 고정측 단자 및 상기 가동측 단자는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의 외표면에 대해 볼록부(凸부) 또는 오목부(凹부)를 이루고, 상기 볼록부(凸부) 또는 오목부(凹부)는 서로 축정렬해서 보완 관계에 있어 계면절연이 가능한 표면형상을 갖는 거의 원추대 형상이다.
따라서, 진공밸브를 상하로 쌓아 올려 배치하는 동시에 전기적 접속을 할 수가 있고, 수배전설비를 컴팩트하게 하고,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5) 또,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는 상기 절연로드를 이격시켜 둘러싼 내주면을 갖는 오목부(凹부)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계면절연이 용이하다.
(6) 상기 진공밸브가 3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가 3대의 진공밸브에 공통의 단일로 거의 직방체의 몰드수지 절연체인 것도 된다. 따라서, 진공밸브는 3상 일괄형이되고 부품수가 적고 취급도 용이해져 배전반 등의 수배전 설비를 한층더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7) 또, 본 발명의 진공밸브 조립체는 진공밸브와, 상기 진공밸브를 개폐구동하는 개폐조작장치를 구비한 진공밸브 조립체로, 상기 진공밸브는 진공용기와 상기 진공용기내에 설치된 고정전극 및 가동전극과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가능하고 타단에서 상기 고정전극에 접속된 고정측 도체와,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고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이 가능하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접속되어 션트부를 형성하는 가동측 도체와,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 외에서 개폐조작장치에 결합이 가능한 절연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는 상기 기록 절연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조장장치의 외형은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 투영형상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직방체이다.
따라서, 수배전반내에 설치가 간단하고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형이 전체로는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8) 또, 상기 진공밸브 조립체가 3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는 상기 절연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의 외형은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3대의 진공밸브가 그리는 윤곽외형선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거의 직방체이다. 따라서,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된다.
(9) 또,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가 3대의 진공밸브에 공통의 단일몰드수지 절연체이고, 상기 절연로드에 연결된 개폐조작장치가 상기 3대의 진공밸브의 각각에 서로 독립해서 연결된 거리의 직방체라도 된다.
따라서, 진공밸브 조립체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할 수 있고, 배전반내에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컴팩트하다.
(10) 또,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가 3대의 진공밸브에 공통의 단일 몰드수지 절연체이고, 상기 절연로드에 각각 연결된 개폐조작장치가 공통의 단일의 거의 직방체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개폐조작장치를 포함해서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이므로 배전반내에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컴팩트하다.
(11) 또, 상기 개폐조작장치는 상기 진공밸브에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와 상기 진공밸브 사이에 상기 개폐조작장치의 구동력을 각상의 상기 진공밸브에 전달하는 상간링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진공밸브, 상간링크 및 개폐조작장치가 거의 연속한 윤곽외형선을 형성해서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의 진공밸브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배전반내에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컴팩트하다.
(12) 또, 상기 절연로드에 접속된 개폐조작장치와 상기 진공용기를 상기 개폐조작장치와 함께 둘러싼 단일의 거의 직방체 형상의 몰드수지 절연체와,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되어 상기 고정측 도체에 접속된 고정측 단자도체를 갖는 고정측 단자와,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되어 상기 가동측 도체에 접속된 가동측 단자도체를 갖는 가동측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배전반내에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해지고, 전체적으로는 보다 컴팩트하다.
(13) 또, 상기 진공밸브가 3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가 3대의 상기 진공밸브에 공통의 거의 직방체의 단일몰드수지 절연체이다. 따라서, 배전반내에의 설정이나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전체로는 보다 컴팩트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진공밸브는 수배전설비에 설치하는 개폐장치로 유용하다.

Claims (3)

  1. 진공용기(11);
    상기 진공용기내에 설치된 고정전극(20) 및 가동전극(21);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하게 뻗어,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될 수 있고, 타단에서 상기 고정전극(20)에 접속된 고정측 도체(19);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하게 뻗어,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될 수 있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21)에 접속된 가동측 도체(31); 및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하게 뻗어,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21)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 외부에서 개폐조작장치에 결합할 수 있는 절연로드(25)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밸브.
  2. 진공밸브(40)와 상기 진공밸브(40)를 개폐구동하는 개폐조작장치(58)를 구비한 진공밸브 조립체(57)로서,
    상기 진공밸브(40)는 진공용기(11)와, 상기 진공용기내에 설치된 고정전극(20) 및 가동전극(21)과,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가능하고, 타단에서 상기 고정전극(20)에 접속된 고정측 도체(19)와,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외부회로에 접속되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21)에 접속된 가동측 도체(31)와, 상기 진공용기를 기밀하게 관통해서 뻗어,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21)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진공용기 외부에서 개폐조작장치(58)에 결합 가능한 절연로드(25)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조작장치(58)는 상기 절연로드(25)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58)의 외형은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 투영 형상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거의 직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밸브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로드(25)에 접속된 개폐조작장치(58);
    상기 진공용기(11)를 상기 개폐조작장치(58)와 함께 둘러싼 단일의 거의 직방체 형상의 몰드수지 절연체(41);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41)내에 매설되어 상기 고정측 도체(19)에 접속된 고정측 단자도체(43)를 갖는 고정측 단자(50)와;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41)내에 매설되어서 상기 가동측 도체(31)에 접속된 가동측 단자도체(45)를 갖는 가동측 단자(51)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밸브 조립체.
KR1020047001132A 2002-04-12 2002-04-12 진공밸브 KR100548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3689 WO2003088290A1 (fr) 2002-04-12 2002-04-12 Tube electro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654A KR20040021654A (ko) 2004-03-10
KR100548175B1 true KR100548175B1 (ko) 2006-01-31

Family

ID=2922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132A KR100548175B1 (ko) 2002-04-12 2002-04-12 진공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96535B1 (ko)
JP (1) JPWO2003088290A1 (ko)
KR (1) KR100548175B1 (ko)
CN (1) CN1290132C (ko)
TW (1) TW563280B (ko)
WO (1) WO2003088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3640A1 (en) * 2006-04-20 2009-05-28 Pets & Supplies Hong Kong Limited Bark control device and fabrication process thereof
KR101009934B1 (ko) * 2009-02-16 2011-01-20 주식회사 다이아벨 그립 돌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JP5204694B2 (ja) * 2009-03-12 2013-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
EP2312604B1 (en) * 2009-10-14 2013-03-13 ABB Technology AG Electrical device with a multi-chamber housing
US8575509B2 (en) * 2011-09-27 2013-11-05 Eaton Corporation Vacuum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assemblies, and vacuum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2832076A (zh) * 2012-08-31 2012-12-19 扬州扬开凯越科技有限公司 全绝缘全固封紧凑型户外真空断路器
CN102881508B (zh) * 2012-09-07 2015-10-07 北海银河开关设备有限公司 固体绝缘极柱
EP3107163B1 (en) 2015-06-18 2018-06-06 ABB Schweiz AG Medium voltage circuit breaker in subsea environment
EP3321950B1 (en) 2016-11-15 2019-08-28 ABB Schweiz AG An electric terminal for electric pole units
FR3098976B1 (fr) * 2019-07-17 2021-06-11 Schneider Electric Ind Sas Architecture d'un appareil électrique interrupteu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29547U (ko) * 1971-04-30 1972-12-04
JPS58176833A (ja) * 1982-04-12 1983-10-17 株式会社東芝 開閉装置
JPH041624Y2 (ko) * 1985-10-25 1992-01-21
TW389919B (en) * 1995-09-27 2000-05-11 Hitachi Ltd Insulated type switching device
DE19712182A1 (de) * 1997-03-22 1998-09-24 Abb Patent Gmbh Vakuumkammer
TW405135B (en) * 1998-03-19 2000-09-11 Hitachi Ltd Vacuum insulated switch apparatus
JP2000040449A (ja) * 1998-07-23 2000-02-08 Hitachi Ltd 真空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真空スイッチギヤ
JP3502555B2 (ja) * 1998-12-21 2004-03-02 株式会社東芝 真空バルブ、真空遮断器および受配電装置
TW512565B (en) * 1999-04-01 2002-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Switch gear and power switching apparatus
JP3905266B2 (ja) * 1999-10-26 2007-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0132C (zh) 2006-12-13
CN1535468A (zh) 2004-10-06
EP1496535A4 (en) 2007-01-31
WO2003088290A1 (fr) 2003-10-23
EP1496535A1 (en) 2005-01-12
JPWO2003088290A1 (ja) 2005-08-25
TW563280B (en) 2003-11-21
EP1496535B1 (en) 2011-08-31
KR20040021654A (ko)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22646C (zh) 金属闭锁型开闭装置
KR101488797B1 (ko) 진공 스위치 기어
TWI627650B (zh) Switching device and fuse unit
US7122759B2 (en) Compact earthing switch for gas-insulated switchgear assemblies
US6927356B2 (en) Enclosed switchgear
KR101039733B1 (ko) 고체절연 가공선로용 고전압 부하개폐기
JP4459236B2 (ja) 圧縮ガス絶縁断路器ユニット及びブッシング装置
JP4230739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0548175B1 (ko) 진공밸브
KR100370934B1 (ko) 스위치 기어 및 전력 개폐기
EP1152444B1 (en) Switch gear
JP2002152930A (ja) 密閉形スイッチギヤ
EP1496585A1 (en) Metal closed type distributor
KR101263411B1 (ko) 가스로 절연된 고전압 측정 유닛
KR102523707B1 (ko) 차단기의 극 부품 조립체
KR100554629B1 (ko) 진공차단기
US6219225B1 (en) Gas insulated switch gea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for
CN100474721C (zh) 带有组合在内的隔离开关的户外套管
JPH08242513A (ja) スイッチギヤ、電気機器
KR100492755B1 (ko) 진공차단기의 절연장치
CN109844893B (zh) 高压开关装置和带有高压开关装置的开关设备以及高压开关装置的制造方法
EP1119009A1 (en) Vacuum switch and vacuum switch gear
JP2004159415A (ja) 真空開閉装置
JPS63199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