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552B1 - 초흡수성 섬유의 부직 웹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초흡수성 섬유의 부직 웹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552B1
KR100546552B1 KR1020007007265A KR20007007265A KR100546552B1 KR 100546552 B1 KR100546552 B1 KR 100546552B1 KR 1020007007265 A KR1020007007265 A KR 1020007007265A KR 20007007265 A KR20007007265 A KR 20007007265A KR 100546552 B1 KR100546552 B1 KR 100546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line
gas source
nonwoven web
fibers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3742A (ko
Inventor
지안 킨
용 리
웬디 린 반다이크
안토니 존 위스네스키
팔라니 라즈 라마스와미 왈러재펫
한농 림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03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unsaturated organic esters as the major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01D5/0985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by means of a flowing gas (e.g. melt-blow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1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unsaturated organic esters, e.g. polyacrylic esters, polyvinyl acetate

Abstract

부직 웹, 및 초흡수성 섬유의 신규한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의 수용액을 다수의 다이 오리피스를 통해 정해진 조건하에 압출하여 다수의 트레드라인(threadline)을 형성한다. 각 트레드라인이 다이 오리피스를 나올 때 약 8 ㎝ 이하의 거리에서 제어된 거대 규모 난류의 조건, 및 각 트레드라인의 점도를 다이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조건하에, 방사상 방향으로 점도의 균일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섬유 파손이 거의 없이 원하는 미세화(attenuation) 및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 섬유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상기 트레드라인을 1차 기체원으로 미세화한다. 미세화된 트레드라인을 정해진 2차 기체원으로 건조시킨다. 생성된 섬유를 이동 유공성 표면에 무작위적으로 침적시켜 실질적으로 균일한 웹을 형성한다. 이동 유공성 표면은 트레드라인과 접촉하는 마지막 기체원으로부터 약 10 내지 약 100 ㎝에 위치한다.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약 0.1 내지 30 ㎛이고, 샷(shot)이 거의 없다. 미세화 및 건조 단계는 제어된 거대 규모 난류의 조건하에 수행된다.
부직 웹,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 트레드라인, 미세화, 기체원, 거대 규모 난류, 이동 유공성 표면, 평균 섬유 직경, 샷

Description

초흡수성 섬유의 부직 웹 및 그의 제조방법{Nonwoven Web of Superabsorbent Fiber and Method}
본 발명은 초흡수성 섬유의 부직 웹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상으로, 본 발명은 초흡수성 미세섬유의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중합체는 유체를 흡수하고 수용하는 능력때문에 초흡수성 중합체로 불린다.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가 그러한 초흡수성 중합체의 한 예이다.
건식 방사에 의해 초흡수성 중합체를 연속적인 필라멘트로 만들 수 있다. 건식 방사는 중합체의 수용액을 공기중으로 압출한다. 매우 농축된 중합체 용액을 사용하여, 액체 필라멘트를 압출한 다음 고화하고, 건조시키고, 고온-인발하고, 기상 환경에서 열처리한다.
부직 초흡수성 섬유상 웹은 우선 섬유-형성 중합체 수용액을 필라멘트로 성형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는데, 필라멘트는 필라멘트를 미세화(attenuation)하기에 충분한 속도를 갖는 1차 공기 스트림과 접촉된다. 미세화된 필라멘트는 필라멘트를 더 미세화하고, 필라멘트를 섬유로 "분해"하고, 섬유를 웹-형성 대역으로 운반하기에 효과적인 속도를 갖는 2차 공기 스트림과 섬유-형성 대역에서 접촉된다. "분해"된 섬유를 웹-형성 대역에서 형성된 망상 웹에 모으고, 웹을 경화한다.
수용성 수지 섬유의 부직 패브릭은 평균 섬유 직경이 30 ㎛ 이하이고, 기본중량이 5 내지 500 g/㎡인 수용성 수지 미세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패브릭은 수용성 수지의 수용액 또는 물로 가소화된 수용성 수지 용융물을 노즐을 통해 압출하고, 압출된 물질을 고속의 기류에 의해 연신하여 섬유를 형성하고, 섬유를 가열하여 섬유내의 물을 증발시킨 다음, 섬유를 모음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수용성 수지는 그 용도가 주로 천연 글루칸인 플루란의 사용에 관한 것인 경우 폴리(비닐 알콜)을 포함할 수 있다. 고속의 기류는 온도 20 ℃ 내지 60 ℃, 선속도 10 내지 1,000 m/s의 공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섬유는 섬유 스트림의 양쪽에 또한 그와 평행하게 위치된 적외선 가열기의 뱅크(bank)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중합체 또는 용융 중합체의 용액으로부터 섬유상 웹 또는 생성물을 형성하는 몇몇 방법은 매우 짧은 섬유를 생성하며, 따라서 용융된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부직 웹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용융취입 또는 스펀본딩 공정과는 상당히 상이하다.
섬유-형성 공정에 스팀을 사용할 수 있다. 초임계 유체 용액을 사용하고, 플래싱(flashing)을 방지하고, 물이 흡수된 겔화 섬유를 분무하는 조건하에 물-함유 중합체 조성물을 압출하여 웹을 형성할 수 있다.
섬유-형성 공정에 용융취입을 사용할 수 있다.
섬유-형성 공정에 동시성형을 사용할 수 있다. 섬유 또는 입자를 용융취입 섬유가 형성될 때 용융취입 섬유와 혼합한다.
섬유-형성 공정에 스펀본딩을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량, 예컨대 500,000보다 큰 분자량 및 최소 가교결합을 갖는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는 하중하의 높은 유체 흡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초흡수성 중합체란 건조 흡수성 섬유 또는 부직 웹 1 g당 0.9중량% 수성 염화 나트륨 10 g 정도의 하중하의 높은 유체 흡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중합체를 뜻한다.
고분자량 중합체로부터 섬유를 방사하는 것은, 중합체가 직쇄 중합체인 경우에도, 특히 분자 쇄가 가요적인 경우, 매우 해볼 만한 일이다.
매우 큰 분자량의 폴리에틸렌으로부터의 매우 높은 모듈러스 및 높은 강도의 섬유는 저속 겔 방사에 의해서만 제조된다.
직쇄의 가요성 중합체의 용액으로부터의 섬유 방사는 용액내의 꼬이고 얽힌 중합체 분자를 풀고 연신함을 포함한다. 이들 분자가 클 경우, 성공한다 하더라도 풀고 연신하는 공정은 매우 어렵고 느리게 된다. 완화 시간은 길다.
따라서, 고분자량 중합체의 용액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를 제조하는 것은 특히 고속의 부직 방사 공정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었다. 고속의 부직 방사 공정은 종래의 직물 섬유 방사에서보다 10배 내지 100배 빠른 방사 속도로 수행된다. 더 빠른 방사 속도에서, 고분자량(124,000-180,000)의 폴리(비닐 알콜)로부터의 미소섬유 웹은 샷(shot)이 생긴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섬유 파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부직 웹, 및 기계강도, 높은 유체 흡수성 및 바람 직한 취급 특성을 갖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를 포함하는 상당히 개선된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부직 웹, 및 기계강도, 높은 유체 흡수성 및 바람직한 취급 특성을 갖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신규한, 상당히 개선된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한, 상당히 개선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 및 기계강도, 높은 유체 흡수성 및 바람직한 취급 특성을 갖는 상기 미소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당히 개선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 및 기계강도, 높은 유체 흡수성 및 바람직한 취급 특성을 갖는 상기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를 포함하는 상당히 개선된 부직 웹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상당히 개선된 부직 웹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의 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목적 및 그밖의 목적을 더 알 수 있을 것이다.
간단하게는, 본 발명은 신규한 부직 웹 및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의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중합체 수용액은 분자량 약 300,000 내지 약 10,000,000의 선형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 약 10 내지 약 75중량%로 구성하여 제조한다. 중합체 용액은 다수의 오리피스를 갖는 다이를 통하여 약 20 ℃ 내지 약 180 ℃의 온도, 약 3 내지 약 1000 Pa·s의 속도에서 압출하여 다수의 트레드라인(threadline)를 형성한다. 다이 오리피스의 직경은 약 0.20 내지 약 1.2 ㎜이다. 생성된 트레드라인은, 각 트레드라인이 다이 오리피스를 나올 때 약 8 ㎝ 이하의 거리에서 각 트레드라인의 점도를 다이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조건하에, 방사상 방향으로 점도의 균일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섬유 파손이 거의 없이 원하는 미세화 및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 섬유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1차 기체원으로 미세화한다. 1차 기체원은 상대 습도가 약 30 내지 100%이고, 온도가 약 20 ℃ 내지 약 100 ℃이고, 속도가 약 150 내지 약 400 m/s이고, 수평 입사각이 약 70°내지 약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약 90°이하이다. 트레드라인은 약 140 ℃ 내지 약 320 ℃의 온도 및 약 60 내지 약 125 m/s의 속도에서 2차 기체원으로 건조시켜 섬유를 형성한다. 2차 기체원은 수평 입사각이 약 70°내지 약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약 90°이하이다. 섬유는 이동 유공성 표면에 무작위적으로 침적되어 약 0.4 내지 약 1.9 ㎠ 규모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웹을 형성한다. 이동 유공성 표면은 트레드라인과 접촉하는 마지막 기체원이 나오는 곳의 개구로부터 약 10 내지 60 ㎝에 위치한다.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약 0.1 내지 약 10 ㎛이고, 샷이 거의 없다. 미세화 및 건조 단계는 조절된 거대 규모 난류의 조건하에 수행되고, 섬유는 그 직경에 비하여 연속적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균일한 웹을 열, 전자선, 마이크로파 및 고주파 방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고에너지원에 노출하여 중합체를 불용화시키고,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내에 안정한 가교결합을 제공한다. 안정화된 웹은 특정 웹 구조 및 속성을 가지도록 후처리한다(예: 가습, 압축, 엠보싱, 결합 및 적층).
본 발명은 또한 신규한 부직 웹 및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상당히 개선된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때 1차 기체원은 상대 습도가 약 60 내지 95%이고, 온도가 약 20 ℃ 내지 약 100 ℃이고, 속도가 약 30 내지 약 150 m/s이고, 수평 입사각이 약 70°내지 약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약 90°이하이다. 트레드라인은 온도가 약 140 ℃ 내지 약 320 ℃이고, 속도가 약 30 내지 약 150 m/s이고, 수평 입사각이 약 70°내지 약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약 90°이하인 2차 기체원으로 건조시켜 섬유를 형성한다. 섬유를 이동 유공성 표면에 무작위적으로 침적하여 약 1.9 내지 약 6.5 ㎠ 규모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웹을 형성하는데, 이동 유공성 표면은 트레드라인과 접촉하는 마지막 기체원이 나오는 곳의 개구로부터 약 10 내지 약 100 ㎝에 위치하며,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약 10 내지 약 30 ㎛이고, 직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미세화 및 건조 단계는 최소 거대 규모 난류의 조건하에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신규한 부직 웹 및 상당히 개선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 및 이들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때 1차 기체원은 상대 습도가 약 65 내지 90%이고, 온도가 약 20 ℃ 내지 약 100 ℃이고, 속도가 약 30 m/s 미만이고, 수평 입사각이 약 70°내지 약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약 90°이다. 트레드라인은 온도가 약 140 ℃ 내지 약 320 ℃이고, 속도가 약 30 미만 m/s이고, 수평 입사각이 약 70°내지 약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약 90°이하인 2차 기체원으로 건조시켜 섬유를 형성한다. 생성된 섬유를 온도가 약 10 ℃ 내지 약 50 ℃이고, 속도가 약 30 내지 약 240 m/s이고, 수평 입사각이 약 70°내지 약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약 90°이하인 3차 기체원으로 미세화한다. 섬유를 이동 유공성 표면에 무작위적으로 침적하여 약 1.9 내지 약 6.5 ㎠ 규모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웹을 형성하는데, 이동 유공성 표면은 트레드라인과 접촉하는 마지막 기체원이 나오는 곳의 개구로부터 약 10 내지 약 100 ㎝에 위치하며,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약 10 내지 약 30 ㎛이고, 직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하며, 콘디쇼닝, 건조 및 미세화 단계는 최소 거대 규모 난류의 조건하에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당히 개선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 및 이들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웹을 제공하는데, 이때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약 0.1 내지 10 ㎛이고, 거의 샷이 없고, 직경에 비해 연속적이라고 여겨질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웹은 평균 섬유 직경에 따라 약 0.4 내지 약 1.9 ㎠의 규모로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포함하는 상당히 개선된 부직 웹을 제공하는데, 이때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약 10 내지 약 100 ㎛이고, 본질적으로 샷이 없고, 직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하며, 웹은 평균 섬유 직경에 따라 약 1.9 내지 약 6.5 ㎠ 규모로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초흡수성 섬유 또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상당히 개선된 부직 웹을 갖는 일회용 흡수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초흡수성 섬유 부직 웹은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티, 생리용품(예: 생리대, 탐폰(tampon) 등), 요실금자용 제품, 와이프(wipe) 등과 같은 일회용 흡수 제품의 제조에 특히 유용하다.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즉 "샷"이 거의 없는 섬유를 포함하는 고흡수성의 부직 웹은 신규한 공정 변경에 의해 8,000,000 정도의 매우 높은 분자량의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로부터 고속 부직 방사 공정에 의해 얻어짐이 실험적인 발달을 통해 발견되었다.
신규한 섬유 형성의 메카니즘은, 예를 들어 긴 중합체 쇄를 경화시켜 풀림과 연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공중합체의 카르복실 기에 대한 물 분자의 강한 친화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메카니즘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공중합체의 카르복실 기의 이온 회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개선된 부직 웹은 용액 트레드라인이 압출되는 기상 환경의 세심한 제어를 포함하는 신규한 공정하에, 습윤된 트레드라인이 파손 또는 "분해"되지 않고 바람직한 미세 크기로 미세화되기 전에 용매인 물의 때이른 과도한 증발을 방지하는 습도 및 온도에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되었다.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는 "샷"이 거의 없고, 웹은 특히 1차 스팀 및 2차 고온 건조 공기의 난류가 제어되는 경우 매우 유연하고 균일하였다.
"웹 균일성"은 주어진 면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직 웹의 임의의 부분이 같은 면적을 갖는 임의의 다른 부분과 같은 정도를 가리키기 위해 본원에 사용된 용어이다. 웹 균일성은 섬유 직경, 및 이동 유공성 표면에 섬유가 침적되 는 방식의 함수이다. 이상적으로, 웹의 임의의 주어진 면적은 다공성, 공극율, 기공 크기, 웹 두께 등과 같은 파라미터에 대해 임의의 다른 면적과 구별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균일성 변화는 웹에서 다른 부분보다 얇은 부분으로서 드러난다. 이러한 변화는 육안으로 판단하여 균일성을 주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웹 균일성은 웹 두께 또는 웹을 통한 빛의 투과를 측정하여 정성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비교적 작은 규모"란 용어는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웹 균일성에 대해 사용되며, 비교할 웹의 몇몇 각 부분의 대강의 면적을 한정한다. 일반적으로, 규모는 전형적으로 평균 섬유 직경에 따라 약 0.4 내지 약 6.5 ㎠일 것이다.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경우, 웹 균일성을 평가하기 위한 적당한 면적(㎠), 즉 규모는 평균 섬유 직경(㎛)의 0.19배 또는 0.4 ㎠ 로서 어느 쪽이든지 큰 쪽이다. 규모는 평균 섬유 직경이 약 2.1 내지 약 10 ㎛인 경우, 평균 섬유 직경에 0.19를 곱하여 결정한다. 그러나, 평균 섬유 직경이 약 2.1 ㎛ 이하인 경우, 규모는 0.4 ㎠이다. 평균 섬유 직경이 10 ㎛보다 큰 경우, 적당한 승수는 0.215이다.
"약 0.4 내지 약 6.5 ㎠의 규모"란 용어는 본질적으로 같은 면적을 갖는, 부직 웹의 다른 부분과 비교할 같은 부직 웹의 한 부분의 면적이 주어진 범위내에 있음을 뜻한다. 선택된 면적(㎠)은 (1)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경우에는, 평균 섬유 직경의 약 0.19배 또는 0.4 ㎠로서 어느 쪽이든 큰 쪽이고, (2) 평균 섬유 직경이 10 ㎛보다 큰 경우에는, 평균 섬유 직경의 약 0.215배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샷"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압출 공정에 의해 제 조된 섬유의 평균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합체 입자를 가리킨다. 샷의 생성은 전형적으로 필라멘트 파손 및 그에 따른 다이 끝에서의 중합체 용액의 축적과 관련있다.
"분자량"이란 용어는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리킨다.
"난류"란 용어는 원활하거나 유선형인 흐름으로부터 유체, 전형적으로는 유체의 이탈을 가리키기 위해 본원에 사용된다. 이 용어는 유체 흐름이 시간에 따라 크기 및 방향이 불규칙적으로 변하는 수준 또는 정도에 적용하기로 되어 있고, 본질적으로 패턴이 가변적이다. "거대 규모 난류"란 용어는 오직 난류가 섬유 또는 섬유 단편이 웹-형성 표면에 접근할 때만 서로에 대한 배향 및 간격에 영향을 주는 규모임을 뜻하며, 이때 상기 섬유 단편의 길이는 규모와 같거나 그보다 작다. 난류는 그 크기가 실험적으로 정해진 수준 미만으로 유지될 때 "제어"된다. 최소 난류는 공정 변수를 적절히 선택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주어진 목표를 이루는데 필요한 정도로만 증가되도록 허용된다.
난류 측정의 곤란함 때문에, 난류가 충분한 정도로 제어되고 있을 때를 결정하기 위해 간접 수단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간접 수단은 웹 균일성이다. 웹 균일성은 평가할 웹의 면적 및 웹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직경의 함수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부직 웹의 제조는 규모, 즉 비교 목적을 위해 사용된 웹의 면적이 크면, 예를 들어 수 평방미터 정도이면 매우 균일한 제품을 제공할 것이다. 반대로, 동일한 웹의 균일성은 규모가 섬유의 평균 직경 정도로 작다면 매우 불량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웹을 평가하기 위해 선택된 규모는 다양한 용도를 위한 몇몇 공정에 의해 부직 웹을 제조함을 기본으로 한다.
"트레드라인"이란 용어는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 걸쳐 형상화된 제품이 고화되거나 건조되기 전에 중합체 용액이 다이 오리피스를 통해 강제될 때 형성된 셩상화된 제품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트레드라인은 본질적으로 액체 또는 반고체이다. "섬유"란 용어는 고화되거나 건조된 트레드라인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트레드라인으로부터 섬유로의 변이는 점차 이루어진다.
트레드라인 커텐(curtain)의 "배면" 및 "전면"에 관하여, 커텐의 배면은 이동 유공성 표면이 접근하는 곳을 향하는 면이다. 유동성 표면은 트레드라인 커텐 아래를 통과하며 부직 웹이 형성되면서 그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웹이 형성된 면은 트레드라인 커텐의 전면이다.
가능할 때는 언제나, 모든 단위는 기본 단위이든지 유도 단위이든지 SI 단위(국제 단위계)이다. 따라서, 점도 단위는 파스칼-초로서, 본원에서는 약자로 Pa·s이다. 파스칼-초는 10포이즈와 같으며, 이는 더 일반적인 점도 단위이다.
먼저 초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개선된 부직 웹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돌아가서,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하기 단계 A 내지 F를 포함한다:
A. 선형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의 중합체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생성된 중합체 용액을 다수의 오리피스를 갖는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다수의 트레드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C. 생성된 트레드라인을 1차 기체원으로 미세화하는 단계;
D. 미세화된 트레드라인을 2차 기체원으로 건조시켜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E. 생성된 섬유를 이동 유공성 표면에 무작위적으로 침적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한 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섬유를 수팽윤성이지만 수불용성인 웹내에 불용화시키는 단계.
일반적으로, 처음 두 단계는 사용한 공정의 장치 또는 세부와 무관하다. 그러나, 이후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이는 나머지 단계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다. 즉, 미세화, 건조 및 침적 단계의 몇몇 제한은 제조된 초흡수성 선구 섬유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지 또는 연속적인지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첫번째 단계(단계 A)는 중합체 약 10 내지 약 75중량%를 포함하는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 수용액을 제조함을 포함한다. 물에 대한 중합체의 용해도는 중합체 분자량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더 높은 농도, 즉 약 40중량%보다 높은 농도는 중합체 분자량이 약 100,000 미만일 경우에만 실제적이다. 바람직한 농도 범위는 약 20 내지 약 60중량%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용액내의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의 농도는 약 25 내지 약 40중량%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300,000 내지 약 10,000,000이다. 바람직한 범위는 약 3,000,000 내지 약 8,000,00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000 내지 약 4,000,000이다.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 용액은 또한 중합체 주쇄 및(또는) 가교결합제에 가교결합성 잔기 외에, 소량의 다른 물질, 즉 용액의 전체 고형분의 50중량% 미만을 함께 구성하는 양의 다른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물질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과 같은 가소화제; 착색제 또는 염료; 점토, 전분 등과 같은 증량제; 그밖의 기능성 물질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지 예일 뿐이다.
두번째 단계(단계 B)에서, 중합체 용액은 약 20 ℃ 내지 약 180 ℃의 온도 및 약 3 내지 약 1000 Pa·s의 압출온도에서의 점도에서 다수의 오리피스를 갖는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다수의 트레드라인을 형성하며, 오리피스의 직경은 약 0.20 내지 약 1.2 ㎜이다. 압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70 ℃ 내지 약 95 ℃일 것이다. 바람직한 중합체 용액 점도는 약 5 내지 약 30 Pa·s이다. 다이의 오리피스는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약 0.3 내지 약 0.6 ㎜일 것이다. 오리피스는 약 7열 정도로 배열된다. 이러한 열은 부직 웹이 형성되는 이동 유공성 표면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다. 이러한 열의 길이는 형성되는 웹의 폭을 한정한다. 이러한 오리피스의 배열에 의해 트레드라인의 "시이트" 또는 "커텐"이 생성된다. 이러한 커텐의 두께는 오리피스의 열 수에 의해 정해지지만, 커텐의 폭에 비하면 매우 작다. 편리하게는, 이러한 트레드라인의 커텐은 때때로 본원에서 "트레드라인 면"으로서 불릴 것이다. 이러한 면은 웹이 형성되는 이동 유공성 표면에 수직이지만, 이러한 배향은 본질적이지도 않고 요구되지도 않는다.
용액 점도는 온도의 함수인 한편, 또한 중합체 분자량 및 용액내 중합체 농도의 함수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들 모든 변수는 적당한 범위의 압출온도에서 용액 점도를 유지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 생성된 트레드라인은 단계 C에서 각 트레드라인이 다이 오리피스를 나올 때 약 8 ㎝ 이하의 거리에서 각 트레드라인의 점도를 다이로부터의 거리가 증 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조건하에, 방사상 방향으로 점도의 균일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1차 기체원으로 미세화한다. 트레드라인 미세화 속도는 섬유 파손이 거의 없이 원하는 강도 및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 섬유를 제공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1차 기체원은 상대 습도가 약 40 내지 100%이고, 온도가 약 20 ℃ 내지 약 100 ℃이고, 수평 입사각이 약 70°내지 약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약 90°이하이다.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가 형성될 때, 1차 기체원의 속도는 약 150 내지 약 400 m/s이다. 더 바람직한 1차 기체원 속도는 약 60 내지 약 300 m/s이다. 1차 기체원 속도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200 m/s이다. 그러나, 연속적인 섬유의 제조에 있어서, 1차 기체원의 속도는 약 30 내지 약 150 m/s이다.
미세화 단계는 트레드라인으로부터 약간의 물의 손실이 일반적으로 불가피하기 때문에 미세화 양상과 건조 양상 사이에 균형을 포함한다. 그러나, 최적의 미세화 조건은 항상 최적의 건조 조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두 파라미터 사이에 충돌이 일어날 수 있어서 조건간에 절충안을 찾아야 한다.
트레드라인을 파손없이 원하는 수준으로 미세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도한 미세화 속도는 트레드라인에 과도한 응력을 주어서, 특히 약 0.1 내지 약 10 ㎛의 직경을 갖는 미소섬유의 경우, 빈번한 트레드라인 또는 섬유 파손 및 샷 형성의 증가가 일어난다. 그러나, 미세화 속도가 너무 느리면 충분히 강한 섬유를 제공하지 못한다. 한편, 특히 미세화 단계중에 트레드라인 건조가 너무 빠르면 파손이 증가하고 샷 생성이 증가한다. 건조 단계중에 트레드라인 건조가 너무 느리면, 섬유가 이동 유공성 표면에 놓일 때 섬유가 너무 습윤된 결과로서 과도한 섬유간 결합 또는 융합이 일어난다. 따라서, 이상적인 건조 조건은 전형적으로 매우 미세화된 강한 섬유의 제조에 최적이 아니다. 그러므로, 트레드라인의 미세화 및 건조를 위한 다소 반대되는 요건은 1차 기체원의 속도뿐만 아니라, 상대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수행된다. 미세화 단계에 의해 단지 트레드라인의 부분 건조가 일어나, 트레드라인 점도에서 요구되는 점차적인 증가를 제공한다.
미세화되고 부분적으로 건조된 트레드라인의 건조는 스텝 D에서 2차 기체원에 의해 수행된다. 2차 기체원은 온도가 약 140 ℃ 내지 약 320 ℃이다. 수직 및 수평 입사각은 1차 기체원의 것과 동일하다.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 제조의 경우, 2차 기체원은 속도가 약 60 내지 약 125 m/s이다. 연속적인 섬유의 제조는 속도 약 30 내지 약 150 m/s의 2차 기체원을 필요로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1차 기체원"이란 용어는 다이로부터 나오자마자 트레드라인과 처음 접촉하는 기체원을 뜻한다. "2차 기체원"이란 용어는 트레드라인이 1차 기체원에 의해 접촉된 후 트레드라인 또는 섬유와 접촉하는 기체원을 가리킨다. 따라서, "1차" 및 "2차"는 트레드라인이 다이로부터 나온 후 두 기체원이 트레드라인과 접촉하는 순서를 가리킨다. 사용된다면, 후속 기체원은 "3차", "4차" 등으로 불릴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주내에 포함되지만, 그러한 후속 기체원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실제적이지도 않고 필수적이지도 않고,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단 이후 기술되는 예외가 둘 있다.
단계 C 및 D에서 요구되는 각 기체원 및 추가의 각 기체원(사용된다면)은 바 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기체 스트림을 포함하며, 2개의 스트림이 더 바람직하다. 2개의 스트림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트레드라인 커텐 또는 면의 반대면에 위치된다. 트레드라인 커텐의 전면으로부터 필라멘트와 충돌하는 스트림은 양의 수직 입사각을 가지지만, 트레드라인 커텐의 후면으로부터 필라멘트와 충돌하는 스트림은 음의 수직 입사각을 갖는다. 그러나, 각 스트림의 수직 입사각의 절대값은 본원에 기술된 한계내에 있어야 하지만, 두 스트림은 각자의 수직 입사각에 있어서 같은 절대값을 가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수직 입사각에 관한 요건은 기체원이 1개보다 많은 기체 스트림을 포함하는 경우 절대값을 가리킴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마지막 단계, 단계 E에서, 선행 단계로부터 생성된 섬유는 이동 유공성 표면에 무작위적으로 침적된다.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 제조의 경우에, 이동 유공성 표면은 트레드라인과 접촉하는 마지막 기체원이 나오는 곳의 개구로부터 약 10 내지 약 60 ㎝이다. 이동 유공성 표면과 상기 개구 사이의 거리를 본원에서 형성 거리라고 한다. 평균 섬유 직경은 약 0.1 내지 약 10 ㎛이다. 섬유는 직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하며, 거의 샷이 없다.
연속적인 섬유를 제조하는 경우, 형성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00 ㎝이고, 평균 섬유 직경은 약 10 내지 약 100 ㎛이다. 연속적인 섬유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웹을 생성한다.
웹 균일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비교 목적으로 사용된 면적 또는 규모는 섬유 직경의 함수이다.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를 포함하는 웹의 규모는 약 0.4 내지 약 1.9 ㎠인 반면에, 연속적인 섬유를 포함하는 웹의 규모는 약 1.9 내지 약 6.5 ㎠이다.
단계 C는 각 트레드라인이 다이 오리피스를 나올 때 방사상 방향으로 점도의 균일성을 유지하면서 섬유 파손이 거의 없이 원하는 미세화 및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 섬유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각 트레드라인의 점도를 다이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조건 및 제어된 거대 규모 난류를 필요로 한다. 두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은 트레드라인 커텐에 관한 상대 습도, 온도, 속도 및 배향을 포함하는, 기체원과 관련된 4가지의 파라미터 또는 변수를 제어함을 포함한다. 거대 규모 난류는 주로 기체원이 트레드라인 커텐과 충돌할 때 기체 스트림의 속도 및 기체원의 배향의 함수이다. 트레드라인의 속도는 기체원의 속도에 의해 영향받지만, 1차 기체원의 상대 습도 및 온도의 함수이다. 이러한 파라미터 또는 변수는 "거대 규모 난류" 및 "트레드라인 점도"와 관련하여 이하에 논의된다.
거대 규모 난류에 대하여, 미세화 및 건조는 제어된 거대 규모 난류의 조건하에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미세화 및 건조는 최소 거대 규모 난류의 조건하에 수행되어, 실질적으로 균일한 웹의 형성을 돕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최소 거대 규모 난류"란 용어는 부분적으로 균일한 섬유 간격 및 배향에 의존하는, 원하는 균일한 웹 형성이 일어날 수 있게 할 정도의 난류를 뜻한다.
일부 난류는 피할 수 없으며, 미세화가 이동 기체 스트림에 트레드라인을 연행함으로써 일어난다는 사실로 볼 때 사실 필요하다. 최소 기체 스트림 속도는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최소 기체원 속도는 압출 속도보다 훨씬 크다.
특정한 경우에, 거대 규모 난류는 최소보다 크지만, 여전히 제어된다. 예를 들어, 섬유 또는 입자를 형성되는 트레드라인과 혼합하여야 하는 경우, 점착성 균일한 웹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혼합 정도를 얻기 위해서는 더 큰 수준의 난류가 필요하다.
거대 규모 난류는 또한 기체원의 성질 및 기체원이 트레드라인 커텐과 충돌할 때의 배향의 함수이다. 또한, 트레드라인 미세화의 효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체원 배향에 따라 좌우된다. 기체원 배향은 수평 입사각 및 수직 입사각에 의해 한정된다.
수평 입사각은 도 1을 참조하면 가장 잘 정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른 부직 웹의 제조를 부분적으로 예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중합체 용액은 다이(10)의 표면(11)내의 다수의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되어 트레드커텐(12)을 형성한다. 트레드라인 커텐(12)이 화살표(14)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공성 벨트(13)를 만나면, 부직 웹(15)이 형성된다. 라인(16)은 트레드라인 커텐(12)의 면에 있고 다이(10)의 표면(11)과 평행하다. 화살표(17)는 라인(16)에 대한 기체 스트림의 배향을 나타내며, 흐름의 방향은 화살표(17)와 동일한 방향이다. 라인(16)과 화살표(17)에 의해 형성된 각(18)은 수평 입사각이다. 각(18)은 관찰자를 향한 다이(10)에 대하여 라인(16)의 오른쪽 부분에 대해 결정되며, 이를 향해 유공성 벨트(13)가 이동한다. 각 기체원의 수평 입사각은 약 70°내지 약 110°이고, 약 90°의 각이 바람직하다.
수직 입사각은 도 2에 관하여 가장 잘 정의된다.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취한, 오리피스(21)를 갖는 다이(20)의 작은 부분의 단면도이다. 화살표(22)는 오리피스(21)로부터 나오는 트레드라인(도시되지 않음)의 중앙선을 나타내며, 화살표의 방향은 화살표(22)의 방향과 동일하다. 화살표(23)는 화살표(22)에 대한 기체 스트림의 배향을 나타내며, 흐름의 방향은 화살표(23)와 같은 방향이다. 화살표 (21)과 (22)에 의해 형성된 각(24)은 수직 입사각이다. 임의의 기체원의 수직 입사각은 일반적으로 약 90°이하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직 입사각은 약 60°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5°이하일 것이다. 수직 입사각에 바람직한 값은 임의의 주어진 기체원이 하나 이상의 기체 스트림을 포함하는 경우 절대값과 관련있다.
거대 규모 난류는 부분적으로 기체원의 배향의 함수이다. 도 1 및 2를 고려하여, 수평 입사각은 약 90°일 때 거대 규모 난류(즉, 웹 균일성)에 가장 영향을 덜 미친다. 유사하게, 수직 입사각은 약 0°일 때 거대 규모 난류에 가장 영향을 덜 미친다. 수평 입사각이 90°에서 벗어나고(벗어나거나) 수직 입사각이 0°보다 커지면, 거대 규모 난류는 기체원 속도가 감소됨으로써 다소 줄어든다.
임의의 기체원의 거대 규모 난류는 트레드라인 커텐의 전체 폭을 따라 조심스럽게 제어해야 한다. 이러한 부분적인 제어는 매니폴드(manifold) 디자인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점차 감소되는 단면을 갖는 매니폴드가 사용된다. 또한, 벌집모양의 단편과 체 또는 소결된 다공성 금속 배플(baffle)의 조합은 형성될 수도 있는 원하지 않는 대규모 난류 소용돌이를 효과적으로 파괴한다.
제어된 고속의 기체원이 도관 또는 매니폴드의 개구를 나오면, 주변의 주위 공기를 연행하고, 그 속도는 상기 개구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고속의 기체원과 주위 공기 사이의 모멘트(momentum) 전달 중에, 난류 소용돌이의 크기가 증가한다. 소규모 난류 소용돌이는 기체원이 나오는 곳의 개구 근처에서 초기 단계에서 섬유를 얽히게 하지만, 상기 개구로부터 약 50 ㎝ 이상의 거리에서 성장하는 소용돌이는 웹에 무거운 기본중량 및 가벼운 기본중량을 형성시켜 웹 균일성에 불리한 영향을 준다. 형성 거리를 본원에서 명시한 한계내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게다가, 일부 주위 공기의 연행은 대규모 소용돌이를 최소로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트레드라인 점도에 대해서는, 1차 기체원은 상대 습도가 약 30 내지 100%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1차 기체원은 상대 습도가 약 60 내지 약 95%일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차 기체원의 상대 습도는 약 60 내지 약 90%일 것이다.
가습된 기체원내에 물방울이 존재하면 트레드라인 및 섬유 형성에, 특히 샷의 형성에 대하여 불리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가습된 기체원내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물방울은 트레드라인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습된 기체 스트림은 본질적으로 물방울이 없다.
실제적으로, 물방울은 충돌 분리기의 사용에 의해 가습된 기체원으로부터 성공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가습된 기체원이 트레드라인과 충돌하기 전에 통과하는 모든 경로를 가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러나, 경로 온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습된 기체원의 온도가 허용가능한 한계내로 유지되는 정도이어야 한다.
1차 기체원의 온도는 약 20 ℃ 내지 약 100 ℃이다. 이러한 온도는 더 바람 직하게는 약 40 ℃ 내지 약 100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 ℃ 내지 약 90 ℃이다.
점도 요건은 도 3 및 4에 관하여 이해한다. 도 3은 트레드라인(30)이 표면(34)을 갖는 다이(33)(부분 단면으로 도시됨)의 오리피스(32)로부터 나올 때 종방향 축(31)을 갖는 트레드라인(30)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면(35)은 축(31)에 수직이고, 다이 표면(34)으로부터 거리(d1)에 있다. 면(36)은 또한, 축(31)에 수직이고, 다이 표면(34)으로부터 거리(d2)에 있으며, d2는 d1보다 크다(즉, d2>d1). 트레드라인(30)의 단편(37)은 면 (35)와 (36) 사이에 있다. 트레드라인(30)은 미세화되기 때문에, 트레드라인의 직경은 다이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줄어든다. 따라서, 트레드라인(30)의 단편(37)은 거꾸로 된 원뿔대 또는 더 적절하게는 거꾸로 된 각뿔대에 가깝다.
도 3의 면 (35)와 (36) 사이에 위치한, 도 3의 트레드라인(30)의 단편(37)을 도 4에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에서, 트레드라인(40)은 축(41)을 가지며, 상면(42)(즉, 도 3의 면(35)) 및 하면(43)(즉, 도 3의 면(36))에 의해 한정된다. 두 면은 축(41)에 수직이고, 서로 평행하다. 추가의 면 (44) 및 (45)가 도시되는데, 이들 면도 또한 축(41)에 수직이고(또는 면 (42) 및 (43)에 평행함), 도시되지 않은 다이의 표면(즉, 도 3에서 다이(33)의 표면(34))으로부터 각각 거리 (d3) 및 (d4)에 있다. 상면(42) 및 하면(43)은 다이의 표면으로부터 각각 거리 (d1) 및 (d2)에 있다. 따라서, d1<d3<d4<d2이다. 점 (42A), (42B), (42C) 및 (42D)는 상면(42)에 있다. 유사하게, 점 (43A), (43B) 및 (43C)는 하면(43)에 있고, 점 (44A), (44B) 및 (44C)는 면(44)에 있고, 점 (45A), (45B) 및 (45C)는 면(45)에 있다.
도 4에 대하여, 방사상 방향으로의 점도의 균일성은 축(41)에 수직인 면에 있는 임의의 점에서 트레드라인의 점도가 거의 같음을 제공한다. 즉, 점 (42A), (42B), (42C) 및 (42D)에서의 트레드라인의 점도는 본질적으로 같다. 게다가, 점 (43A), (43B) 및 (43C)에서의 점도는 본질적으로 같고, 점 (44A), (44B) 및 (44C)에서의 점도는 본질적으로 같고, 점 (45A), (45B) 및 (45C)에서의 점도는 본질적으로 같다.
그러나, 트레드라인의 점도는 다이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한다. 즉, 점 (44A), (44B) 및 (44C)중 임의의 점에서의 트레드라인의 점도는, 도 4를 참조하여, 점 (42A), (42B), (42C) 및 (42D)중 임의의 점에서의 점도보다 크다. 점 (45A), (45B) 및 (45C)중 임의의 점에서의 점도는 점(44A), (44B) 및 (44C)중 임의의 점에서의 점도보다 크다. 마지막으로, 점(43A), (43B) 및 (43C)중 임의의 점에서의 점도는 점 (45A), (45B) 및 (45C)중 임의의 점에서의 점도보다 크다.
전술한 모든 점도 관계는 다음과 같이 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hP43A>>hP43B>>hP43C>hP45A>>hP45B>>hP45C>hP44A>>hP44B>>hP44C>h P42A>>hP42B>>hP42C>>hP42D(식중, hPn은 점 n에서의 점도임).
다이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른 점도의 증가 정도는 본원에 명시한 다이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증가는 섬유 파손에 기여할 정도로 크거나 트레드라인이 부직 웹이 형성되는 이동 유공성 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충분히 고화되지 않을 정도로 작아서는 안된다. "점차적으로"란 용어는 그러한 증가가 매우 작은 두께를 갖는 주어진 면으로부터 다이로부터 다운스트림(downstream)에 있는 다음 또는 인접 면으로 약간 또는 미세하게 증가한다는 개념을 갖는 점도의 증가와 관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도의 변화는 미분계수 dy/dx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는데, 식중 dy는 다이로부터의 거리 증가가 0에 가까울 때 다이로부터의 거리 증가(dx)로 인한 점도의 증가이다.
임의의 주어진 점에서 트레드라인의 점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점도를 계산하거나 판정할 수 있는 농도 및 온도를 측정 또는 판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샷의 부재, 원하는 섬유 직경 및 원하는 분자 배향 미세화를 포함한 바람직한 특징을 갖는 섬유가 얻어지는 경우 점도에 대한 전술한 조건이 존재해야 함이 실험적으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점도 요건으로부터 매우 벗어나면, 샷, 파손된 섬유, 불규칙한 웹 형성 및(또는) 매우 가변적이고 불규칙한 직경을 갖는 섬유가 생성된다.
섬유 또는 입자를 트레드라인과 혼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차 및 2차 기체원은 2차 기체원에 도입되는 섬유 또는 입자와 함께 사용된다. 바람직한 2개의 2차 기체 스트림이 사용되는 경우, 섬유 또는 입자는 2차 기체 스트림들중 한 쪽 또는 양쪽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동시형성 웹의 제조에 1차 기체원, 2차 기체원 및 3차 기체원을 포함하는 3개의 기체원이 사용될 수 있다. 후속 기체원, 즉 1차 및 2차 기체원 외의 기체원의 사용을 일반적으로 회피하는 것에 대한 첫번째 예외로, 섬유 또는 입자는 3차 기체원에 포함되는데, 이 경우 1개의 3차 기체 스트림이면 보통 충분하다. 섬유-운반 또는 입자-운반 3차 기체원이 사용되는 경우, 3차 기체원은 주위 온도일 것이고 약 5 내지 약 15 m/s의 속도를 갖는다. 가열된 기체원을 사용할 수 있지만, 초흡수성 선구 섬유를 서로 및(또는) 서로 혼합된 섬유 또는 입자와 과도하게 결합시키는 정도로 섬유를 유연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두번째 예외는 연속적인 섬유로부터의 부직 웹의 형성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3개의 기체원은 난류의 제어에 기여하며, 따라서 개선된 웹 균일성에 기여한다. 3개의 기체원의 특징을 이후 간단하게 기술한다.
1차 기체원은 상대 습도가 약 40 내지 100%이고, 온도가 약 20 ℃ 내지 약 100 ℃이고, 수평 입사각이 약 70°내지 약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약 90°이하이다. 1차 기체원의 속도는 약 45 m/s 이하이다. 이러한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5 m/s일 것이다. 1차 기체원의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트레드라인 점도 증가를 허용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1차 기체원은 콘디쇼닝원으로서 작용한다.
2차 기체원은 온도가 약 20 ℃ 내지 100 ℃이고, 수평 입사각이 약 70°내지 약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약 90°이하이다. 2차 기체원의 속도는 전형적으로 약 45 m/s 이하이다. 2차 기체원의 속도는 약 5 내지 약 15 m/s이다. 2차 기체원은 트레드라인을 부분적으로 건조시키는 작용을 하지만, 작은 정도의 미세화가 일어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3차 기체원은 1차 기체원 또는 2차 기체원보다 낮은 온도 및 빠른 속도를 갖는다. 3차 기체원은 섬유를 미세화하고 더 완전히 건조시키는 기능을 한다. 3차 기체원은 온도가 약 10 ℃ 내지 약 50 ℃이다. 3차 기체원의 속도는 약 30 내지 약 245 m/s이다. 또한, 이러한 기체원은 수평 입사각이 약 70°내지 약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약 90°이하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제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 예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주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른 부직 웹의 제조 및 수평 입사각을 부분적으로 예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선 2-2를 따라 취한, 도 1의 다이의 다이 끝 부분의 하위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수직 입사각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초흡수성 트레드라인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트레드라인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양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실시예 1
증류수 21.78㎏을 함유하고 교반기가 장착된 10갤론들이의 쟈켓(jacketed) 반응기에 아크릴산 5.9㎏, 수산화 나트륨 2.29㎏, 3-아미노-1-프로판올 비닐 에테르 143 g 및 과황산 칼륨 11.97 g(모두 알드리히 케미칼 캄파니(Aldrich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을 첨가하였다. 첨가된 성분들을 실온에서 혼합하여 완전히 용해된 용액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반응기를 4시간동안 60 ℃로 가열하였다. 교반기를 연속적으로 작동하였다. 형성된 폴라아크릴산 나트륨 염 용액은 아크릴산 나트륨 73.8중량%, 아크릴산 24.2중량% 및 3-아미노-1-프로판올 비닐 에테르 2중량%를 포함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중합체 용액을 사용하여 120개의 오리피스를 갖는(1인치당 20개의 오리피스 또는 1 ㎝당 약 11.8개의 오리피스) 폭 6인치(15.2 ㎝)의 다이를 갖는 장치에서 부직 웹을 제조하였다. 각 오리피스는 직경이 0.46 ㎜이었다. 다이는 미국 특허 3,755,527호, 3,795,571호 및 3,849,241호(이들은 각각 본원에 참조로 인용됨)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구성되었다. 1차 기체원은 두 스트림으로 나뉘어지고, 이들의 출구는 압출 오리피스의 열과 평행하고 그와 밀접하게 위치하였다. 각각의 1차 기체 스트림의 출구는 폭이 약 0.86 ㎜이었다. 2개의 1차 기체 스트림 출구를 인도하는 도관은 수직, 즉 압출 오리피스의 중심이 위치한 면으로부터 30°의 각을 이룬다. 따라서, 2개의 1차 기체 스트림의 수직 입사각은 각각 30°및 -30°이었다. 2개의 1차 기체 스트림의 각각의 수직 입사각의 절대값은 30°이었다. 각각의 1차 기체 스트림의 수평 입사각은 90°이었다.
2차 기체원도 또한 2개의 2차 기체 스트림으로 나뉘어졌다. 첫번째 2차 기체 스트림을 트레드라인 커텐의 배면에 도입하였다. 첫번째 2차 기체 스트림의 수직 입사각은 -30°이었다. 수평 입사각은 90°이었다. 첫번째 2차 기체 스트림의 출구는 다이 끝 약 5 ㎝ 아래 및 트레드라인 커텐으로부터 약 2.5 ㎝에 위치하였다.
두번째 2차 기체 스트림을 트레드라인 커텐의 전면에 도입하였다. 두번째 2차 기체 스트림의 수직 입사각은 0°이고, 수평 입사각은 90°이었다. 따라서, 두번째 2차 기체 스트림은 트레드라인 커텐과 거의 평행한 2차 기체 스트림 도관을 나갔다. 두번째 2차 기체 스트림의 출구는 다이 끝 약 5 ㎝ 아래 및 트레드라인 커텐으로부터 약 10 ㎝에 위치하였다. 이동 유공성 표면은 다이 끝 아래로 거의 같은 거리에 있는 2차 기체원 출구의 대충 22 내지 76 ㎝ 아래에 위치하였다. 0.005 내지 0.015 기압 (2 내지 6 인치수압)의 진공을 와이어하에서 유지하였다.
실시예 1(고형분 26%)의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공중합체 용액을 2리터들이 부치(Buchi) 오토클레이브내에서 5.4 기압(80 psig)의 공기압하에 50 ℃로 가열하였다.
이 용액을 제니스(Zenith) 계량 펌프에 의해 약 82 ℃로 가열된 전달선을 통해 다이로 펌핑하였다. 용액을 약 82 ℃에서 압출하였다. 1차 기체원은 1차 공기 갭의 출구 전에 약 93 ℃, RH 79% 및 압력 0.41 기압(6 psig)의 고온의 가습된 공기이었다. 2차 기체원은 260 내지 316 ℃로 가열된 압축 공기이었고, 유속은 300 내지 400 cfm(42.5 내지 61.4 ℓ/s)이었다. 다이 끝 온도는 82 ℃로 유지하였고, 압출 속도는 1오리피스당 1분당 0.33 내지 0.83 g이었다.
4가지의 상이한 용액 압출 속도 0.33, 0.55, 0.67 및 0.83 g/분을 사용하여 부직 웹을 형성하였다. 제조된 각 웹의 기본중량은 34 내지 38 g/㎡이었다. 이들 4개의 웹에 대하여 섬유 크기 분포 측정을 행하였다. 섬유 크기 분포 측정은 주사 전자 현미경에 그려진 임의의 직선과 교차하는 각 섬유의 직경을 측정하고, 전형적으로 50개 섬유의 직경의 측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측정 결과를 표 2a에 요약하였다.
섬유 직경 분포
빈도(%)
웹 번호 1 2 3 4
처리량(gpm) 100 80 60 40
섬유 크기(㎛)
1.5 0 0 4 4
2 0 0 6 8
2.5 0 0 2 18
3 0 0 10 4
3.5 6 2 4 18
4 10 6 6 2
4.5 8 16 6 6
5 16 18 6 6
5.5 6 4 4 6
6 16 12 14 8
6.5 8 16 12 10
7 0 2 2 2
7.5 8 12 4 2
8 8 4 2 0
8.5 0 6 12 4
9 2 0 0 2
9.5 6 0 0 0
10 2 2 0 0
10.5 2 0 2 0
11 0 2 0 0
11.5 0 0 0 0
12 0 0 2 0
초과 2 0 2 0
평균 6.015 5.8308 5.3928 4.1154
표준편차 2.06286 1.608323 2.53919 1.987291
표 2a의 데이타를 빈도 대 섬유 직경(㎛)으로서 플로팅하여 섬유 직경 빈도의 가시화를 도왔다.
얻어진 부직 웹의 인장성을 표준 시험 과정, 연방 기준 191A, 방법 5102에 따라 측정하였다. 스트립 인장 과정에 의해 최대 하중, 신장율 및 에너지 결과를 얻었다.
부직 웹의 인장 특징을 얻었다. 기본중량의 차이를 고려하여 모든 기록된 값을 정규화하였다.
인장 특징 데이타의 가시화를 돕기 위하여, 데이타를 MD 데이타, CD 데이타 및 MD와 CD 데이타의 평균을 위한 각각의 별도 막대와 함께 막대 그래프로서 플로팅하였다.
실시예 3
동시형성 웹을 제조하기 위하여, 실시예 2의 과정을 본질적으로 반복하였다. 큰 연질목 펄프 시이트(미국 알라바마주 쿠사 파인즈 소재의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Kimberly-Clark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쿠사(Coosa) CR-54)를 해머 밀(hammer mill)로 섬유화한 다음, 깊이 2.5 ㎝의 직사각형 도관을 통해 속도 83 m/s의 공기로 취입하였다. 담체 공기 용적 ㎥당 섬유화된 펄프 g으로서 정의되는 희석율은 응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약 2.8 내지 약 8.5로 유지하였다. 그 다음, 생성된 기상 섬유 스트림을 트레드라인-운반 첫번째 2차 기체 스트림과 두번째 2차 기체 스트림이 만나는 영역에서 트레드라인-운반 첫번째 2차 기체 스트림으로 주입하였다. 기상 섬유 스트림의 수직 입사각 및 수평 입사각은 약 90°이었다. 스트 림은 두 2차 기체 스트림이 만나는 영역으로부터 약 10 ㎝에 있는 직사각형 도관을 나갔다.
각각의 경우에, 생성된 동시형성 웹은 잘 통합되고 강하면서도 부드럽고 부피가 크고 흡수성이었다. 웹은 펄프 섬유 50 내지 70중량%로 구성되었고, 기본중량이 약 500 g/㎡이었다.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공중합체를 가교결합시키기 위해 대류 오븐에서 열처리한 후에도, 이들 웹은 매우 부드럽고, 흡수성이며 표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당한 기계강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동시형성 웹은 와이프 또는 다른 흡수 제품의 구성요소로서 유용하다.
최대 인장 특성
웹 번호 1 2 3 4
SAF 구성요소(%) 71 66 60 50
하중(m) 392 349 424 406
변형율(%) 11.9 14.0 16.6 9.5
에너지(m) 2.59 3.04 4.25 2.40

실시예 4
이 실시예에서, 쿠사 펄프 외에, 초흡수성 분말(스톡하우젠 인코포레이티드(Stockhausen, Inc.)의 페이버(Favor) 880)을 펄프 스트림이 트레드라인-운반 첫번째 2차 기체 스트림과 만나기 전에 펄프 스트림에 도입하였다. 조성물은 초흡수성 섬유 약 33%, 펄프 33% 및 초흡수성 분말 34%이었다. 전체 기본중량을 측정하였다. 이 물질은 제조된 후에도 꽤 부드러웠다. 30분동안에, 0.9% NaCl 수용액을 약 23 ㎝ 흡상하였다.
실시예 5
이 실시예는 물질 조성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유사하다. 초흡수성 섬유 약 3%, 쿠사 펄프 3% 및 초흡수성 분말(스톡하우젠 인코포레이티드의 페이버 880) 약 94%로 부직 동시성형 웹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이 물질은 적당한 양의 초흡수성 분말 입자가 초흡수성 섬유에 부착하였기 때문에 우수한 SAM 초흡수성 물질 봉쇄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이 실시예는 1차 기체 스트림의 상대 습도가 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유사하다. SEM으로부터 결정된 바와 같이, 상대 습도 수준이 30% 내지 100%일 경우에만 만족스러운 결과가 얻어졌다.
이렇게 지금까지 본 발명을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0)

  1. a. 분자량이 300,000 내지 10,000,000인 선형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 10 내지 75중량%의 중합체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중합체 용액을 20 ℃ 내지 180 ℃의 온도 및 3 내지 1000 Pa·s의 점도에서 직경이 0.20 내지 1.2 ㎜인 다수의 오리피스를 갖는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다수의 트레드라인(threadline)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각 트레드라인이 다이 오리피스를 나올 때 8 ㎝ 이하의 거리에서 각 트레드라인의 점도를 다이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조건하에, 방사상 방향으로 점도의 균일성을 유지하면서 섬유 파손이 거의 없이 원하는 미세화(attenuation) 및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 섬유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상기 트레드라인을 1차 기체원으로 미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차 기체원의 상대 습도가 30 내지 100%인,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1차 기체원의 온도가 20 ℃ 내지 100 ℃이고, 속도가 150 내지 400 m/s이고, 수평 입사각이 70°내지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90°이하인,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1차 기체원의 상대 습도가 60 내지 95%인,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1차 기체원의 온도가 20 ℃ 내지 100 ℃이고, 속도가 30 내지 150 m/s이고, 수평 입사각이 70°내지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90°이하인,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1차 기체원의 상대 습도가 65 내지 90%인,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1차 기체원의 온도가 20 ℃ 내지 100 ℃이고, 속도가 30 m/s 미만이고, 수평 입사각이 70°내지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90°인,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d. 온도가 140 ℃ 내지 320 ℃이고, 속도가 60 내지 125 m/s이고, 수평 입사각이 70°내지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90°이하인 2차 기체원으로 트레드라인을 건조시켜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e. 섬유를 이동 유공성 표면에 무작위적으로 침적하여 0.4 내지 1.9 ㎠ 규모의 균일한 웹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이동 유공성 표면이 트레드라인과 접촉하는 마지막 기체원이 나오는 곳의 개구로부터 10 내지 60 ㎝에 위치하고,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이 0.1 내지 10 ㎛이고, 섬유에 샷(shot)이 거의 없으며, 미세화 및 건조 단계가 제어된 거대 규모 난류의 조건하에 수행되고, 섬유가 그의 직경에 비하여 연속적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f. 상기 균일한 웹을 열, 전자선, 마이크로파 및 고주파 방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고에너지원에 노출시켜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내에 안정한 가교결합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g. 안정화된 웹을 가습, 압축, 엠보싱, 결합 또는 적층에 의해 또는 이들을 병용하여 후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d. 온도가 140 ℃ 내지 320 ℃이고, 속도가 30 내지 150 m/s이고, 수평 입사각이 70°내지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90°이하인 2차 기체원으로 트레드라인을 건조시켜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e. 섬유를 이동 유공성 표면에 무작위적으로 침적하여 1.9 내지 6.5 ㎠ 규모의 균일한 웹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이동 유공성 표면이 트레드라인과 접촉하는 마지막 기체원이 나오는 곳의 개구로부터 10 내지 100 ㎝에 위치하고,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이 10 내지 30 ㎛이고, 직경이 균일하며, 미세화 및 건조 단계가 최소 거대 규모 난류의 조건하에 수행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f. 상기 균일한 웹을 열, 전자선, 마이크로파 및 고주파 방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고에너지원에 노출시켜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내에 안정한 가교결합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g. 안정화된 웹을 가습, 압축, 엠보싱, 결합 또는 적층에 의해 또는 이들을 병용하여 후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d. 온도가 140 ℃ 내지 320 ℃이고, 속도가 30 m/s 미만이고, 수평 입사각이 70°내지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90°이하인 2차 기체원으로 트레드라인을 건조시켜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e. 온도가 10 ℃ 내지 50 ℃이고, 속도가 30 내지 240 m/s이고, 수평 입사각이 70°내지 110°이고, 수직 입사각이 90°이하인 3차 기체원으로 트레드라인을 미세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f. 섬유를 이동 유공성 표면에 무작위적으로 침적하여 1.9 내지 6.5 ㎠ 규모의 균일한 웹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이동 유공성 표면이 트레드라인과 접촉하는 마지막 기체원이 나오는 곳의 개구로부터 10 내지 100 ㎝에 위치하고,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이 10 내지 30 ㎛이고, 직경이 균일하며, 미세화 및 건조 단계가 최소 거대 규모 난류의 조건하에 수행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g. 상기 균일한 웹을 열, 전자선, 마이크로파 및 고주파 방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고에너지원에 노출시켜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내에 안정한 가교결합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h. 안정화된 웹을 가습, 압축, 엠보싱, 결합 또는 적층에 의해 또는 이들을 병용하여 후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를 갖는 부직 웹을 제조하는 방법.
  21. a. 건조 흡수성 섬유 1 g당 0.9중량% 수성 염화 나트륨 10 g 수준의 하중하의 높은 유체 흡수성을 갖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를 함유하는 부직 웹을 포함하고; b. 상기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이 0.1 내지 10 ㎛이고, 섬유에 샷이 거의 없으며, 섬유가 그의 직경에 비해 연속적인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의 부직 웹.
  22. 제21항에 있어서,
    분자량이 300,000 내지 10,000,000인 선형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 10 내지 75중량%의 중합체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 중합체 용액을 20 ℃ 내지 180 ℃의 온도 및 3 내지 1000 Pa·s의 점도에서 직경이 0.20 내지 1.2 ㎜인 다수의 오리피스를 갖는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다수의 트레드라인을 형성하고; 각 트레드라인이 다이 오리피스를 나올 때 각 트레드라인의 점도를 다이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조건하에, 방사상 방향으로 점도의 균일성을 유지하면서 섬유 파손이 거의 없이 원하는 미세화 및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 섬유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상기 트레드라인을 1차 기체원으로 미세화함으로써 형성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의 부직 웹.
  23. 제22항에 있어서,
    평균 섬유 직경에 따라, 0.4 내지 1.9 ㎠ 규모의 균일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의 부직 웹.
  24. a. 건조 흡수성 섬유 1 g당 0.9중량% 수성 염화 나트륨 10 g 수준의 하중하의 높은 유체 흡수성을 갖는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를 함유하는 부직 웹을 포함하고; b. 상기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이 10 내지 100 ㎛이고, 섬유에 샷이 거의 없으며, 섬유의 직경이 균일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의 부직 웹.
  25. 제24항에 있어서,
    분자량이 300,000 내지 10,000,000인 선형 초흡수성 선구 중합체 10 내지 75중량%의 중합체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 중합체 용액을 20 ℃ 내지 180 ℃의 온도 및 3 내지 1000 Pa·s의 점도에서 직경이 0.20 내지 1.2 ㎜인 다수의 오리피스를 갖는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다수의 트레드라인을 형성하고; 각 트레드라인이 다이 오리피스를 나올 때 각 트레드라인의 점도를 다이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조건하에, 방사상 방향으로 점도의 균일성을 유지하면서 섬유 파손이 거의 없이 원하는 미세화 및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 섬유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상기 트레드라인을 1차 기체원으로 미세화함으로써 형성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의 부직 웹.
  26. 제25항에 있어서,
    평균 섬유 직경에 따라, 1.9 내지 6.5 ㎠ 규모의 균일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세섬유의 부직 웹.
  27. 제23항에 기술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의 부직 웹이 도입된 일회용 흡수 제품.
  28. 제27항에 있어서,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티, 생리용품, 생리대, 탐폰(tampon), 요실금자용 제품 및 와이프(wip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일회용 흡수 제품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일회용 흡수 제품.
  29. 제26항에 기술된 연속적인 초흡수성 미소섬유의 부직 웹이 도입된 일회용 흡수 제품.
  30. 제29항에 있어서,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티, 생리용품, 생리대, 탐폰, 요실금자용 제품 및 와이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일회용 흡수 제품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일회용 흡수 제품.
KR1020007007265A 1997-12-31 1998-12-24 초흡수성 섬유의 부직 웹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46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21297P 1997-12-31 1997-12-31
US60/070,212 1997-12-31
PCT/US1998/027509 WO1999034041A1 (en) 1997-12-31 1998-12-24 Nonwoven web of superabsorbent fiber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742A KR20010033742A (ko) 2001-04-25
KR100546552B1 true KR100546552B1 (ko) 2006-01-26

Family

ID=2209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265A KR100546552B1 (ko) 1997-12-31 1998-12-24 초흡수성 섬유의 부직 웹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044294B1 (ko)
JP (1) JP2002500282A (ko)
KR (1) KR100546552B1 (ko)
CN (1) CN1218072C (ko)
AR (1) AR014240A1 (ko)
AU (1) AU743688B2 (ko)
BR (1) BR9814572A (ko)
CO (1) CO5040195A1 (ko)
DE (1) DE69832724T2 (ko)
RU (1) RU2224831C2 (ko)
WO (1) WO1999034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2662C2 (nl) * 1999-07-21 2001-01-23 Vepetex B V Vezel, garen en kabel, e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daarvan.
US6605552B2 (en) 2000-12-01 2003-08-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uperabsorbent composites with stretch
US7018497B2 (en) 2001-12-14 2006-03-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having high integrity
US6645407B2 (en) 2001-12-14 2003-1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absorbent material with in-situ polymerized superabsorbent
US6872275B2 (en) 2001-12-14 2005-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adding superabsorbent to a pre-formed fibrous web via in situ polymerization
US6918981B2 (en) * 2001-12-14 2005-07-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adding superabsorbent to a pre-formed fibrous web using two polymer precursor streams
US7001562B2 (en) 2002-12-26 2006-02-21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treating fibrous web materials
US20040203308A1 (en) * 2003-04-09 2004-10-14 Ko Young Chan Process for making absorbent material
BR112012017019A2 (pt) * 2010-09-14 2016-04-05 Thüringisches Inst Für Textil Und Kunstsoff Forschung E V velo de fiação contínua altamente funcional e fibras, contendo partículas, bem como processo para a sua produção
CN102517663B (zh) * 2011-10-28 2014-04-02 中原工学院 应用超临界流体熔喷纺丝制备微孔纤维的方法
KR102466378B1 (ko) * 2017-10-30 2022-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359128B (zh) * 2018-04-09 2020-12-25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纤维材料、纤维凝胶、具有超弹性和抗冻性的可拉伸导电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WO2023064536A1 (en) * 2021-10-14 2023-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porous superabsorbent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44954T3 (es) * 1986-11-20 1994-01-16 Allied Colloids Ltd Productos absorbentes y su fabricacion.
CA2070589C (en) * 1991-12-19 2000-11-28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a nonwoven web of poly (vinyl alcohol) fibers
GB2270030B (en) * 1992-08-19 1996-06-19 Courtaulds Plc Method of producing fibre or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224831C2 (ru) 2004-02-27
AU2012099A (en) 1999-07-19
AU743688B2 (en) 2002-01-31
DE69832724T2 (de) 2006-06-22
BR9814572A (pt) 2000-10-10
KR20010033742A (ko) 2001-04-25
EP1044294A1 (en) 2000-10-18
CN1218072C (zh) 2005-09-07
EP1044294B1 (en) 2005-12-07
JP2002500282A (ja) 2002-01-08
AR014240A1 (es) 2001-02-07
CN1285010A (zh) 2001-02-21
DE69832724D1 (de) 2006-01-12
WO1999034041A1 (en) 1999-07-08
CO5040195A1 (es) 2001-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4729B2 (en) Process of making a nonwoven web
KR100249638B1 (ko)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부직 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KR100546552B1 (ko) 초흡수성 섬유의 부직 웹 및 그의 제조 방법
EP1993501B1 (en) Absorbent non-woven fibrous mat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WO1997021863A2 (en) Low density microfiber nonwoven fabric
JP2005511918A (ja) その場で重合された超吸収体をもつ吸収性材料を作る方法
JPH02169718A (ja) ポリオレフイン系熱融着性繊維及びその不織布
US6469130B1 (en) Synthetic fiber nonwoven web and method
JP2002500282A5 (ko)
JP2007321309A (ja) 高機能性不織布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EP0581909B1 (en) Non-woven Fabric
MXPA00006476A (en) Nonwoven web of superabsorbent fiber and method
WO2019230688A1 (ja) 異形断面繊維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異形断面繊維を含む不織布及び吸遮音材
KR100402549B1 (ko) 가요성 구조물을 위한 전분 필라멘트의 전기방사 제조공정
WO2021126188A1 (en) Nonwoven web with increased cd strength
JP2022167302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
JPH06136649A (ja) アクリル系合成繊維からなる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