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857B1 - 앰플수집장치 - Google Patents

앰플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857B1
KR100545857B1 KR1019980008988A KR19980008988A KR100545857B1 KR 100545857 B1 KR100545857 B1 KR 100545857B1 KR 1019980008988 A KR1019980008988 A KR 1019980008988A KR 19980008988 A KR19980008988 A KR 19980008988A KR 100545857 B1 KR100545857 B1 KR 10054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oule
ampoules
collecting
bottom cov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356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나오키 고이케
요스케 이시무라
나카지 다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1998008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Storage devices mechanical in a circular arrangement, e.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앰플수집장치에 있어서의 앰플의 막힘, 파손을 방지하면서 고효율로 단시간에 소요의 앰플을 앰플피더로부터 수집하여 공급한다.
각종 앰플을 수납하는 앰플피더(10)를 원통적층형태로 배치하고, 각각의 앰플피더(10)로부터 불출될 앰플을 불출하고 낙차가 없는 상태로 수집하기위한 승강자유자재인 앰플 수집용기(20)를 중앙에 앰플피더를 따라서 설치한 앰플 수집장치로 하여, 앰플수집용기(20) 중심부의 바닥덮개(21)를 회전시키고 또한 원추내면상의 돌기(21a)에서 교반하여, 원추내면상의 안내날개(27)로 앰플의 방향을 바꿔 막힘을 방지하고, 바닥덮개(21)의 아래 쪽의 앰플스토커(S)에 삽입된 상태에서 열어 앰플을 흠이 가지 않도록 공급한다.

Description

앰플 수집장치{AMPULE COLLECTOR}
본 발명은 처방전의 지시에 따라서 앰플피더로부터 각 환자마다 필요한 동종, 이종의 것을 포함해서 불출될 주사약의 앰플을 수집하는 앰플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병원 등 내에서 각 환자마다 필요한 주사약의 앰플을 처방전의 지시에 따라서 수집하는 앰플 수집장치가, 예컨대 일본 특개평2-28416호 공보, 특개평2-28417호 공보에 의해 공지되어있다. 상기 공보는 모두 본출원인의 것으로, 이것에 개시된 장치는 동종 또는 이종의 주사약을 넣은 사이즈가 다른 앰플 (LL특대, L대, M중, S 소)을 카셋트수납한 선반으로부터 각 환자마다 지정된 것을 선택하여 꺼내, 이것을 각 사이즈마다 설정된 복수단의 수평컨베이어에 태우고, 수평컨베이어의 한끝에서 이송적재수단에 의해 수직방향컨베이어에 이송적재하여, 이 컨베이어의 정상을 지나간 위치에서 정렬시켜 불출할 세트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장치에서는 이송적재수단으로서 수평컨베이어로부터의 앰플을 경사 저장판상에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경사 아래 쪽의 앰플을 밀어 올리는 부재로 1개씩 밀어 올려 수직방향컨베이어에 이송적재하도록 하고 있다. 이 앰플 수집장치는, 1명의 환자용으로서 선택된 앰플이 수직컨베이어에 이송적재되면 아직 최종 세트수단에서의 작업이 완료하지않은 단계에서 다음 환자용의 앰플의 선택을 하고 앰플공급작업을 개시하여, 복수환자용의 앰플의 선택, 공급을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공보에 의한 앰플수집장치는 복수환자용의 앰플을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반송처리할 수 있다고 되어있지만, 이송적재수단이 밀어올리는 방식이기때문에 앰플을 연속처리할 때에 앰플이 파손하지않도록 속도를 비교적 천천히 밀어 올릴 필요가 있고, 컨베이어에 의한 이송속도를 일정이상으로 올리고자 하면 연동하여 이송적재수단에서의 밀어올리는 속도도 커져 앰플을 파손하게 된다.
또한, 이송적재수단이나 세트장치에서는 앰플이 높이가 다른 부재로 이송적재되기때문에 이송속도를 천천히 해도 앰플끼리 또는 각 부재에 충돌하여 깨지기 쉽다는 불리함이나, 또한 카셋트선반, 수평컨베이어, 이송적재수단, 수직컨베이어, 세트수단 등 많은 구성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치가 매우 복잡하고 대형화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앰플 수집장치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유의하여, 앰플피더로부터 불출되는 앰플이 장치로부터 배출, 공급될 때까지 앰플의 막힘, 파손을 방지하면서 앰플을 단시간에 고효율로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는 앰플수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앰플을 수납하는 앰플수납용기로부터 앰플을 1개씩 공급하는 앰플피더의 복수조를 적층배치하고, 이들 피더로부터의 앰플을 각층 레벨로 수집하기 위해서 적층형태의 피더에 따라서 승강하는 앰플수집수단을 설치하며, 이 수집수단에 앰플을 교반하는 교반수단과 앰플의 배출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앰플 수집장치로 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한 본 발명의 앰플 수집장치에서는, 다수의 앰플피더가 적층배치되고, 그 앰플피더에 따라서 앰플 수집수단이 승강하여,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불출될 앰플을 막힘없이 파손하지않도록 수집하여 특정한 환자에게 필요한 복수 또는 복수종류의 앰플을 공급한다.
앰플수집수단은 불출될 앰플의 불출 레벨에 합치하는 높이까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앰플피더로부터의 앰플을 받아들이기때문에, 불출구와의 사이에 불출낙차가 없는 상태로 앰플이 받아 들여진다. 또한, 앰플수집수단에는 앰플을 교반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받아 들인 앰플이 1군데에 집중하여 막히는 일 없이 전체적으로 분산하여 수집되어, 파손이 극력히 생기지 않도록 모인다.
특정환자에게 필요한 소요의 앰플이 수집되면, 앰플수집수단은 하강하여 앰플을 배출구에서 배출한다. 이 때, 앰플수집수단의 하강위치의 바로 아래에 접근하여 앰플스토커를 설치해 놓으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앰플을 파손하지 않고 주고 받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앰플 수집장치의 개략주요단면도, 도 2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0은 앰플피더, 20은 앰플 수집용기, 30은 이 앰플 수집용기(20)를 승강시키기위한 승강기구, 40은 용기바닥덮개의 개폐기구이다. 또, 도시한 예는 다수의 앰플을 임의로 수납하는 앰플피더(10)를 복수조 원통형상으로 적층한 예를 게시하고 있지만, 앰플피더(10)는 반드시 임의수납방식이 아니고 정렬수납방식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도시의 앰플피더(10)는 단순한 일례이기때문에, 이하 간단히 구성을 설명한다.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앰플피더(10)는, 앰플을 임의로 수납하는 앰플수납용기(1)와, 그 한쪽벽 내측에 따라서 승강하는 앰플정렬받이부재(2)와, 이 받이부재(2)에 편성된 불출수단(3)을 구비하고 있다.
앰플수납용기(1)의 바닥판(1a)은, 도시와 같이 한방향에 경사형으로 설치되어, 그 경사로 앰플(A)을 정렬받이부재(2)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앰플정렬받이부재(2)는 폭이 앰플지름과 대략 같은 정도로, 길이가 앰플(A) 길이의 적어도 1. 5배 이상의 것으로 하고, 측벽(5)을 따라서 상승함으로써 그 위에 실은 앰플(A)을 필연적으로 정렬시켜 들어 올리도록 하고 있다.
불출수단(3)은, 이 예에서는 수평인 무단벨트(14)로 이루어지고, 이것을 앰플정렬받이부재(2)의 윗쪽에 조립되어 있다. 앰플정렬받이부재(2)는, 측벽 밖에 설정된 승강체(11)를 모터 (도시 생략)로 승강시키고, 이것에 연결 아암(12)을 통해 연결되어, 승강체(11)가 지지기둥(13)을 따라서 승강하면 거기에 따라 측벽(5)내에서 승강한다.
승강체(11)에는 지지 아암 (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 아암으로 지지된 모터 (도시생략)의 회전을 회전연결축을 통해 무단벨트(14)의 양단의 풀리(15)에 전달하여 불출수단(3)을 구동한다.
불출수단(3)의 배출구의 연장선상에는 앰플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류통로(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저류통로의 적당한 위치에 적어도 2개의 솔레노이드(17)가 설치되어, 솔레노이드의 로드를 돌출시켜, 불출수단(3) 외측의 불출구(18)로부터 불출되는 앰플(A)을 1개 씩 불출하게 되도록 2개의 솔레노이드로 불출되기 전의 앰플(A)을 1개 씩 저류통로(16)상에 정지시켜 놓고, 2개의 솔레노이드를 교대로 작동시켜 선두의 앰플(A)을 1개 불출되면 다음 앰플(A)을 선두위치에 이송하고, 이것을 되풀이함으로써 앰플(A)을 1개 씩 불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앰플피더(10)로부터 1개 씩 불출하게되는 앰플(A)을 파손하지않도록 각 층마다 피더(10)의 레벨에서 수집하기위해서 도1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앰플피더(10)중 특정한 것의 레벨에 승강할 수 있는 앰플 수집용기(20)가 다수의 앰플피더(10)를 따라서, 특히 이 예에서는 원통형상으로 설치된 앰플피더(10)의 중앙공간내에서 모든 앰플피더(10)로부터 앰플(A)을 수집할 수 있도록 단면으로 보아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설치된다.
앰플 수집용기(20)는, 도 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가 수직 하강하는 원추형이고, 그 중앙부 아래바닥에 바닥덮개(21)가 설치된다. 수집용기(20)의 원추내면상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형상의 안내날개(27)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군데 설치된다. 낙하하는 앰플(A)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이다. 또, 28은 수집용기(20)가 승강할 때의 안내 롤러, 28G는 그 가이드로드이다. 바닥덮개(21)는 용기(20)의 중앙에 지지프레임(22)으로 지지한 모터(23)의 출력축에 연결된 길이가 가변성인 연결로드(24)를 아래쪽으로 연장한 그 하단에 설치한 연결부재(25)의 아래쪽으로 고정되어 있다. 바닥덮개(21)의 수집용기(20) 내주면측에는 돌기(21a)가 복수군데 (도시한 예에서는 2군데) 설치된다. 앰플을 교반하기 위해서이다.
연결로드(24)의 하단은 연결부재(25)에 스플라인을 설치하여 연결로드(24)의 회전에 대해서는 일체가 되고, 길이방향에는 연결부재내에 설치한 탄성부재 (이 예에서는 코일용수철)를 통해 길이가변적이고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연결부재(25)를 밀어 내리지 않는 한 바닥덮개(21)가 수집용기(20)의 바닥의 배출구(26)를 닫게 되어 있다.
바닥덮개(21)를 배출구(26)로부터 개방하는 경우는, 용기바닥덮개 개폐기구(40)의 개폐 아암(41)의 선단으로 상기 연결부재(25)를 밀어 내려 개방한다. 상기 개폐기구(40)는, 원통형상으로 배치되는 앰플피더군(10)의 아래 쪽의 적당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개폐블록(42)(도7 참조)과, 수집용기(20)의 윗쪽에 이 수집용기(20)를 둘러싸도록 설치한 수직의 지지프레임(22a)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개폐 아암(41)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와 같이, 개폐 아암(41)은 へ 자 모양으로 굴곡한 아암부재를 외측 기부가 수집용기(20)밖에, 내측선단부분이 상기 연결부재(25)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기부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한 원호형상의 긴 구멍(44)에서 지지프레임의 수직부에 설치한 핀(45)으로 걸어맞추어 아암부재(41)가 안내되면서 변위하고, 아암부재의 중간위치로부터 비스듬히 외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 아암(43)의 선단을 상기 지지프레임(22a)의 수직부에 설치한 수평지지축(46)의 둘레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개폐 아암(41)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굴곡 아암부재의 기부에는 회전자유자재인 롤러(47)가 설치되고, 선단에는 상기 연결부재(25)를 밀어 내리기위한 억압 헤드(48)가 설치된다.
앰플 수집용기(20)를 승강시키기위한 승강기구(30)는, 원통형상으로 적층된 앰플피더(10)군의 상판(19)에 지지 아암(31)이 수평으로 고정하여 설치되어, 이 지지 아암(31)의 선단, 기단으로 치우친 부분에 각각 설치한 풀리(32,32)에 걸어맞춘 톱니부착 벨트(33)를 구동모터(34)로 구동하고, 풀리 한끝은 수집용기(20)의 중앙위치의 앰플교반용 모터(23)의 외주에, 다른 한 끝은 앰플피더군(10)의 아래판(19′)에서 아랫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한 또하나의 1개의 풀리(32)를 통해 수집용기(20)의 외주 적당한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수집용기(20)를 자유자재로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앰플 수집용기(20)가 하강한 위치에서는, 그 아래쪽에 수집용기(20)하단의 바닥덮개(21)를 개방했을 때에 배출되는 앰플을 받기위한 앰플스토커(S)가 대기하고 있다. 이 앰플스토커(S)는 받아 들여진 앰플을 더욱 강하시키고, 그 아래 쪽을 통과하는 반송장치로 보내는 버킷(T)에 앰플을 배출하기 때문에 개방할 수 있도록 개폐기구(U)가 설치된다.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밖의 것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한 앰플 수집장치는 다음과 같이 앰플(A)를 앰플피더(10)로부터 수집하여 앰플스토커에 공급한다.
원통형으로 적층하여 설치되는 앰플피더(10)군에 대하여 특정한 환자에게 필요한 앰플이 처방전의 지시에 따라서 지정되면, 그 지시에 대응하는 앰플피더(10)가 동작을 개시하고 앰플을 1개 씩 불출구에서 불출한다. 이 실시형태의 앰플피더(10)에 대해서는 단순한 일례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정한 환자에게 필요한 앰플이 지정되면, 그 앰플을 공급하는 앰플피더(10)의 높이위치에 초기 상태에서는 최하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앰플 수집용기(20)를 승강기구(30)를 구동하여 상승시켜 앰플피더(10)로부터 불출되는 앰플을 수집한다. 이 경우 앰플 수집용기(20)의 바닥덮개(21)는 당연히 닫혀져 있고, 하부로부터 앰플이 낙하하는 일은 없다.
특정한 환자에게 필요한 앰플이 복수종류일 때는, 대기상태의 앰플 수집용기(20)에 가장 가까운 순서의 앰플피더(10)의 높이위치에 상승, 정지, 상승, 정지를 되풀이하여 앰플을 수집한다. 단, 반드시 이 순서대로가 아니고 다른 합리적인 순서이면 좋다.
특정한 환자에게 필요한 앰플이 1종류당 예컨대 8∼10개, 또는 복수종류일 때, 1개의 앰플이 앰플피더(10)의 불출구(18)로부터 불출된 위치에서 불출된 채이면, 2개째 이후의 앰플을 연속하여 또는 단속적으로 그 위에 불출해오면 앰플끼리가 겹쳐져서 불출하는 힘으로 앰플이 파손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의 앰플수집용기(20)에서는 앰플의 수집중에는 적어도 바닥덮개(21)가 회전하기때문에, 용기경사에 의해 중앙부근에 모인 앰플은 바닥덮개(21)의 회전으로 불출된 위치로부터 원형형상으로 이동하여 교반되고, 이 때문에 차례차례로 복수의 앰플을 꺼내더라도 앰플끼리가 충돌하여 파손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바닥덮개의 상면에는 돌기부재가 용기바닥판의 원추내면상에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덮개가 회전함으로써 원추상에 모여 오는 복수의 앰플이 교반되기때문에, 바닥덮개의 회전에 의한 교반과 돌기부재에 의한 교반에 의해 앰플이 분산하여, 앰플이 겹침에 의한 파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용기바닥판의 원추내면에는 나선상의 안내날개(27)가 소정 간격으로 복수군데 설치되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앰플피더로부터 불출된 앰플은 바닥덮개(21)에 닿기 전에 이 안내날개(27)에 닿아 방향이 변하고, 앞의 앰플에 뒤의 앰플이 직접 닿지 않고 바닥덮개(21)의 회전으로 차례차례 원형형상으로 보내지고 앰플이 분산하여, 앰플이 1군데에 집중하여 막히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특정한 환자용의 앰플이 모두 모이면, 앰플수집용기(20)는 하강하여 아래 쪽의 앰플스토커에 앰플(A)을 다음과 같이 하여 배출한다. 앰플수집용기(20)가 하강하면 최하한 위치의 약간 앞에서 용기바닥덮개 개폐기구(40)의 개폐 아암 기단의 롤러(47)가 개폐블록(42)에 접촉한다. 수집용기(20)가 더욱 하강하면 개폐 아암기단의 롤러(47)를 개폐블록(42)이 누름으로써 개폐 아암(41)이 수평지지축(46)의 주위에서 회전하여, 그 결과 개폐 아암선단이 밀어 내려진다.
개폐 아암선단이 밀어 내려지면 연결로드하단의 연결부재(25)를 밀어 내려 바닥덮개(21)가 함께 내려가 수집용기(20)의 바닥의 배출구(26)가 열리고, 이에 따라 수집된 앰플(A)은 배출구(26)로부터 배출되어, 그 아래쪽에 설치되는 앰플스토커에 공급된다. 이 경우, 앰플스토커(S) 에 대하여 그 바닥판에 수집용기(20)의 바닥덮개가 접촉하기 직전까지 삽입되어 앰플이 배출되기때문에, 배출구에서 앰플이 낙하할 때의 낙차가 크지 않고, 앰플이 깨어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앰플을 임의의 형태로 수납하여 정렬시켜 꺼내고, 1개 씩 불출하는 형식의 앰플피더를 원통형으로 적층배치한 앰플공급장치의 예를 게시하였지만, 앰플피더는 상기 이외의 다른 형식이나 정렬형태의 것이라도 좋고, 또한 원통형상으로 적층한 것 이외의 적층형식의 것이라도 좋다.
도 8 내지 도 10에 제2실시형태의 앰플 수집장치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5에 해당하는 상부상세단면도, 도 9는 도 6에 해당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앰플피더(10)의 수를 증가 (7 → 18)시켜, 불출구(18)를 각 피더마다 단독으로 설치하는 것은 아니고, 외주 전체에 일체로 설치한 점, 및 앰플 수집용기(20)의 단면경사를 복수 (도시한 예에서는 3가지)로 다른 기울기로 하여, 중간경사부와 앰플의 안내날개(27)의 형상을 바꿔, 앰플이 낙하하는 경로를 바꾼 점이 주로 제1실시형태와 다르다. 이하, 제1실시형태와 같은 기능부재는 같은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기능부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5, 도 6에 표시되고 있지만 도시생략되어 있는 부재는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서도 설치되어 있다.
우선, 불출구(18)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앰플피더(10)의 저류통로(16)의 출구에 대응하는 위치, 출구크기인 것에 변경은 없지만, 불출부(18G)로서 고리형의 띠판상에 앰플피더(10)의 폭보다 불출구(18)의 폭만큼 좁은 단면대(台)형상의 안내부재(18a)를 소정의 피치로 여러개 일체로 설치하여, 인접하는 안내부재(18a)와의 사이에 불출구(1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일체형태의 불출부(18G)는 각 층의 앰플피더(10)의 레벨마다 설치된다.
다음에, 앰플 수집용기(20)는, 제1실시형태에서는 단면의 기울기가 일정한 것인데 대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3가지의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부(20a, 20b, 20 c)가 거듭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경사부의 기울기는, 상단의 경사부(20a)보다 중간의 경사부(20b)의 기울기 쪽이 완만하고, 하단의 경사부(20c)의 기울기가 상단의 기울기보다 급경사가 되도록 적당한 각도로 설정되고 있다.
또한, 중간 경사부(20b)는 그 폭이 수집되는 최대앰플지름 또는 바이알(vial) 지름의 거의 반과 같은 폭으로서 형성되고, 후에 설명하듯이, 이 중간경사부(20b)의 완만히 기울어진 위를 앰플이 그 둘레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단의 경사부(20a)에는 그 대략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앰플날개(27)가 그 반경방향폭에 걸쳐 설치되고 있고, 이 안내날개(27)는 반경방향으로 낙하하여 오는 앰플을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안내하기 때문에 경사면에 따라서 곡선형상으로, 또한 그 곡선이 앰플에 대하여 오목형상으로 (제1실시형태에는 볼록) 받아 들이도록 설치된다.
안내날개(27)는, 앰플피더(10)와 동수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여, 그 위 가장자리가 상술한 불출부(18G)의 각 안내부재(18a)의 불출구(18)가 형성되는 면과 반대측의 단면에 일치하도록 대응시켜 설치한다. 단, 앰플 수집용기(20)는 각 층의 앰플피더(10)로부터 불출되는 앰플을 수집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기때문에, 상기 안내날개(27)의 위테두리와 안내부재(18a)의 끝면은 약간의 간극으로 불연속이다.
또, 하단의 경사부(20c)는 기울기가 가장 크지만, 그 깊이는 중간의 경사부(20b)에서 앰플이 낙하할 때에 바닥덮개(21)에 맞닿아 깨어지지 않을 정도의 것으로 한다. 또한, 수집용기(20)의 경사단수는 도시한 예에서는 3단으로 하고 있지만, 예컨대 상단의 경사부(20a)를 또 2개의 다른 경사의 것으로 하여 3단 이상의 복수단의 경사부로 해도 좋다. 안내날개(27 및 27)의 사이에는 불출구(18)보다 넓은 폭의 안내로(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한 제2실시형태의 앰플수집장치는, 기본적인 작용에서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니까 설명을 생략하지만, 상술한 앰플의 불출부(18G)나 수집용기(20)의 내부형상의 변경에 따라 앰플 수집용기(20)내에서의 작용이 약간 다르기때문에, 그 다른 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0에 상술한 앰플 수집장치의 수집용기(2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각 앰플피더(1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각각의 불출구(18)에서 앰플(A)을 불출하게되면 안내로(18′)를 경유하여 안내날개(27)의 곡선부에서 앰플은 반경방향에서 원주방향으로 안내되어 중간경사부(20b) 상에 실리고, 그 위를 낙하한 기세로 회전하도록 진행한다.
낙하의 기세로 진행하는 힘이 없게 되면 중간경사부(20b) 상에 실을 수 없게 되고, 종단위치로 하단의 경사부에 따라서 낙하하여 바닥덮개(21)상에 떨어진다. 상기 동작은 도시한 예에서는 수개의 앰플만을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다수의 앰플(A)이 차례차례로 연속적으로 낙하하여 바닥덮개(21)상에 수집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앰플(A)을 수집하는 경우, 제1실시예와 달리 수집용기(20)내로 반경방향의 낙하 기세로 반경방향으로만 바닥덮개(21)상에 수집하는 것은 아니고, 중간의 경사부(20b)에서 반경방향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앰플의 깨어짐이 극적으로 감소하여, 효율이 좋은 수집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앰플수집장치는 복수의 앰플피더를 적층배치하고, 이들 피더에 따라서 승강하는 앰플 수집수단을 설치하여, 이 수집수단에 앰플교반수단과 배출구를 설치한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적층형태의 각앰플피더의 레벨에 맞춰 앰플 수집수단을 승강정지시켜, 앰플피더로부터 불출되는 앰플을 낙차가 없는 상태로 받아들이고, 또한 불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속 또는 단속하여 앰플을 불출하여도 교반수단으로 교반함으로써 앰플이 불출위치에 집중하지 않고 분산하여 수집되기때문에 막힘이나 파손이 방지되고, 또한 수집수단 자체가 승강하기때문에, 앰플피더의 불출구에서 수집수단의 배출구가 강하하여 배출하기까지의 경로가 짧게 되어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앰플을 배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앰플수집장치의 개략주요단면도,
도 2는 위와 동일한 평면도,
도 3은 앰플피더정면도,
도 4는 도3의 화살표에 따른 IV - IV에서 본 단면측면도,
도 5는 앰플수집장치의 상부상세단면도,
도 6은 앰플 수집용기의 평면도,
도 7은 앰플 수집장치의 작용 설명도,
도 8은 제2실시형태의 앰플수집장치의 상부상세단면도,
도 9는 위와 동일한 평면도,
도 10은 작용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앰플피더 18: 불출구
20: 앰플수집용기 21: 바닥덮개
21a: 돌기 22: 지지프레임
23: 모터 24: 연결로드
25: 연결부재 26: 배출구
27: 안내날개 30: 승강기구
40: 개폐기구 42: 개폐블록

Claims (5)

  1. 다수의 앰플을 수납하는 앰플수납용기로부터 앰플을 1개 씩 공급하는 앰플피더의 복수조를 적층배치하고, 이들 피더로부터의 앰플을 각층 레벨로 수집하기 위해서 적층형태의 피더를 따라서 승강하는 앰플수집수단을 설치하며, 이 수집수단에 앰플을 교반하는 교반수단과 앰플의 배출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앰플수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수집수단은 앰플을 수집수단중심으로 모으는 원추형상의 용기로 이루어져, 이 용기중심 주위에 회전자유자재이면서 개폐자유자재인 바닥덮개를 설치하고, 이 바닥덮개를 닫은 상태로 용기 또는 바닥덮개중 어느 것을 회전시켜 앰플을 교반하고, 연 상태로 함으로써 앰플을 배출하는 앰플교반수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수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덮개에 바닥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앰플에 작용하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수집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수집수단의 내측에 앰플안내날개를, 수집되는 앰플의 방향을 바꾸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수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수집수단의 원추형상의 용기를, 용기단면으로보아 기울기가 다른 복수종류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중간경사부는 그 기울기가 윗쪽의 경사부보다 완만하고 또한 앰플지름이하의 폭으로 하며, 윗쪽 경사부에는 낙하하는 앰플을 원주방향으로 이끌도록 곡선형의 앰플안내날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 수집장치.
KR1019980008988A 1997-03-25 1998-03-17 앰플수집장치 KR100545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71625 1997-03-25
JP7162597 1997-03-25
JP97-71625 1997-03-25
JP97-142473 1997-05-30
JP09142473A JP3124949B2 (ja) 1997-03-25 1997-05-30 アンプル収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356A KR19980080356A (ko) 1998-11-25
KR100545857B1 true KR100545857B1 (ko) 2006-07-25

Family

ID=2641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988A KR100545857B1 (ko) 1997-03-25 1998-03-17 앰플수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41963A (ko)
JP (1) JP3124949B2 (ko)
KR (1) KR100545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949B2 (ja) * 1997-03-25 2001-01-1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アンプル収集装置
EP1285865B1 (en) * 2000-03-28 2013-07-03 Yuyama Mfg. Co., Ltd. Injection drug feeding device
US20050161934A1 (en) * 2003-10-22 2005-07-28 Rife Isaac E. Vehicle frame with integrated high pressure fuel tank
JP5383640B2 (ja) * 2010-12-28 2014-01-08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品払出装置
JP6301782B2 (ja) * 2014-08-27 2018-03-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物品を種類毎に供給する物品供給装置
CN105640774B (zh) * 2016-02-28 2021-11-16 安徽重锤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成批生产制药的烘干装置
CN113069365A (zh) * 2020-01-06 2021-07-06 吴玉梅 儿童喂药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2318A (en) * 1985-11-18 1989-04-18 Kabushiki Kaisha Universal Coin dispenser
JPH0228416A (ja) * 1988-07-19 1990-01-30 Tokyo Shokai:Kk 注射アンプル自動供給装置における水平方向搬送及び移載装置
JPH0262304A (ja) * 1988-08-25 1990-03-02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ピッカー装置
JPH08198434A (ja) * 1995-01-30 1996-08-06 Yuyama Seisakusho:Kk 薬剤の払出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564879A (en) * 1992-01-31 1996-10-15 Wing Labo Co., Ltd. Three-dimensional warehouse
KR970061737A (ko) * 1996-02-07 1997-09-12 쇼지 유야마 앰플보급방법
JPH10324415A (ja) * 1997-03-25 1998-12-08 Yuyama Seisakusho:Kk アンプル収集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2318A (en) * 1985-11-18 1989-04-18 Kabushiki Kaisha Universal Coin dispenser
JPH0228416A (ja) * 1988-07-19 1990-01-30 Tokyo Shokai:Kk 注射アンプル自動供給装置における水平方向搬送及び移載装置
JPH0262304A (ja) * 1988-08-25 1990-03-02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ピッカー装置
US5564879A (en) * 1992-01-31 1996-10-15 Wing Labo Co., Ltd. Three-dimensional warehouse
JPH08198434A (ja) * 1995-01-30 1996-08-06 Yuyama Seisakusho:Kk 薬剤の払出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70061737A (ko) * 1996-02-07 1997-09-12 쇼지 유야마 앰플보급방법
JPH10324415A (ja) * 1997-03-25 1998-12-08 Yuyama Seisakusho:Kk アンプル収集装置
US6041963A (en) * 1997-03-25 2000-03-28 Kabushiki Kaisha Yuyama Seisakusho Ampule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24415A (ja) 1998-12-08
US6041963A (en) 2000-03-28
JP3124949B2 (ja) 2001-01-15
KR19980080356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857B1 (ko) 앰플수집장치
JPH10324309A (ja) アンプル供給装置
MXPA05005421A (es) Maquina alimentadora-dispensadora de recipientes y articulos alargados en general.
KR100847404B1 (ko) 주사약 공급 장치
US5704516A (en) Ampule dispenser
JP3388935B2 (ja) 薬剤の払出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472018B2 (ja) 錠剤等の薬剤選択供給装置用の薬剤収容容器
KR20030010915A (ko) 입병장치
KR100502992B1 (ko) 앰플공급장치
KR100545856B1 (ko) 앰플전달장치
US5899357A (en) Ampule dispenser
CN116140492B (zh) 一种冲压机连续上料装置
WO1999014139A1 (en) Conical disc and associated delivery conveyor
KR100631588B1 (ko) 앰플공급장치
JP2000289844A (ja) アンプル受渡装置
JPH07257735A (ja) アンプルの定量取り出し装置
JP2000194929A (ja) カップ排出装置
KR100955946B1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CN110562696A (zh) 芯片自动输料机、芯片料盘、芯片自动检测线及其上料方法
CN209939144U (zh) 锭剂存储单元
CN110949756B (zh) 一种餐具拼装装置
KR100777931B1 (ko) 주변 코인 반송 장치를 구비한 코인 호퍼
KR950008621Y1 (ko) 용기 정렬장치
KR0141472B1 (ko) 주화 취급장치
KR0124678Y1 (ko) 컵 반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