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678Y1 - 컵 반출장치 - Google Patents

컵 반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678Y1
KR0124678Y1 KR2019920008885U KR920008885U KR0124678Y1 KR 0124678 Y1 KR0124678 Y1 KR 0124678Y1 KR 2019920008885 U KR2019920008885 U KR 2019920008885U KR 920008885 U KR920008885 U KR 920008885U KR 0124678 Y1 KR0124678 Y1 KR 0124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arrying
cam
receiving portion
dispen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08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299U (ko
Inventor
료오이찌 세끼구찌
다까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우시구보 마사요시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구보 마사요시,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구보 마사요시
Publication of KR930003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2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6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10De-stacking nested articles
    • B65G59/107De-stacking nested articles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 B65G59/108De-stacking nested articles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the axis of rotation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 B67D2210/00076Cup conveyors

Abstract

컵이 기울어지면서 수용부 안에 공급되었다 하여도, 그 하단 가장자리가 반출 캠에 걸리지 않는 컵 반출 장치를 제공한다.
컵 수용부(10)안에 컵 A가 공급된 때에 컵 A가 기울어지면서 낙하하여 그 하단 가장자리가 반출 캠(11)에 걸리게 하여도, 컵 A의 하단 가장자리가 반출 캠(11)의 경사부(11c)에 의하여 컵 수용부(10)의 중심측에 안내되어 걸리지 않고, 도시한 바와같이 적정한 지지상태가 달성된다.

Description

컵 반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컵 반출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컵 반출 장치의 상면도.
제3도는 반출 캠의 사시도.
제4도는 컵 반출 장치의 작용 설명도.
제5도는 컵 반출 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컵 반출 장치의 측면도.
제7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컵 반출 장치의 상면도.
제8도는 종래의 반출 캠의 사시도.
제9도는 종래의 컵 반출 장치의 작용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컵 수용부 11 : 반출 캠
11c : 경사부 20 : 제 1컵 반출 장치
30 : 제 2컵 반출 장치 A,B : 컵
본 고안은 컵식 자동판매기의 컵 반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컵 반출 장치로써 실개소 61-168484 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컵 반출 장치는, 제 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통 형상의 컵 수용부(1)와, 컵 수용부(1)의 하단 개구부의 주위에 병설된 복수개의 반출 캠(2)을 갖추고, 컵 수용부(1)안에는 그 상방향으로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컵 공급 장치에 의하여, 적층된 복수개의 컵 A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각 반출 캠(2)은, 제 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중심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출(3)에 지지된 원판으로 되어 있고, 제 7도는 나타내는 바와같이 구동기구(4)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각 반출 캠(2)의 원주면에는 나선상의 홈(2a)이 형성되고 홈(2a)의 상단과 하단은 반출 캠(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관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홈(2a)의 상면의 주위 단부에는 단부(2a)가 형성되고, 이 단부(2b)에는 최하위의 컵 A가 상단 가장자리가 지지된다. 즉 반출 신호에 근거하여 각 반출 캠(2)이 회전하면, 최하위의 컵 A의 상단 가장자리가 홈(2a)안에 인도되어 이 컵 A만이 컵 열로부터 분리되고, 각 반출 캠(2)의 하단으로 부터 어긋나서 반출된다.
컵 A는 그 하단의 직경보다도 상단의 직경쪽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컵 공급 장치로 부터 수용부(1)내에 공급될 때에 곧바로 낙하하면, 제 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정한 지지형태가 달성되는데, 기울어져서 낙하한때 등은, 제 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그 하단 가장 자리가 반출 캠(2)의 단차부(2b)에 접촉하여 걸리고, 반출 불량이 생기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기한 문제점을 본보기로 한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컵이 기울어지면서 수용부내에 공급된다 하여도, 그 하단 가장자리가 반출 부재에 걸리지 않는 컵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부터 공급된 컵 열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된 복수개의 반출 부재를 갖추고, 각 반출 부재의 일부에 수용부내의 최하위 컵의 상단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컵 지지부를 형성한 컵 반출 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각 반출 부재의 컵 지지부에, 수용부의 중심을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도를 이루는 경사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컵 반출 장치에 의하면, 수용부에 공급된 컵이 기울어지면서 낙하하여 그 하단 가장자리가 반출 부재에 접촉하여도, 해당되는 하단 가장자리부가 반출 부재의 경사부에 의하여 수용부의 중심축에 안내되기 때문에, 컵의 하단 가장자리가 반출 부재에 걸리는 일이 없다.
제 1도 내지 제 5도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1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컵 수용부로서, 그 상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컵 공급 장치가 배치되어, 이 공급 장치로 부터 상하로 적층된 복수개의 컵 A가 공급된다.
도면부호(11)는 컵 수용부(10)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 나란히 설치된 합계 6개의 반출 캠으로서, 제 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하면에 회전축(12)을 갖는 원판상의 부재로 되어 있고, 그 하면측에는 치차(13)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각 반출 캠(11)의 측면에는 안내부로서의 나선상의 홈(11a)이 형성되고, 이 홈(11a)은 반출 캠(11)의 상하면으로 관통하고 있다. 각 반출 캠(11)의 상면의 주위 단부에는, 홈(11a)의 입구를 이루는 단부(11b)와, 이 단부(11b)에 이어서 설치된 경사부(11c)가 형성되고, 경사부(11c)는 컵 수용부(10)의 중심으로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도를 이루고 있다. 즉, 경사부(11c)는 컵 지지부를 이루고, 제 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컵 A의 상단 가장자리가 각 경사부(11c)의 대략 중간 부분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부호(14)는 컵 수용부(10)의 하단에 설치된 케이싱이고, 중앙에 컵 A를 삽통하는 개구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싱(14)의 내부에는 전기한 각 반출 캠(11)이 수용되고, 케이싱(14)의 상면벽과 하면벽에 각 반출 캠(11)의 회전축(12)이 지지되어 있다.
도면부호(15)는 각 반출 캠(11)을 구동하는 모터이고, 그 회전축(15a)이 케이싱(14)의 일단측에 수용된 구동치차(16)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15)의 회전축(15a)에는 구동치차(16)와 동축상에 제어 캠(17)이 설치되고, 제어 캠(17)의 측방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8)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제어 캠(17)의 측면의 일개소에는 돌기(17a)가 설치되어, 이 돌기(17a)에 의하여 마이크로 스위치(18)의 접촉자(18a)가 눌려진때에 모터(15)에의 통전이 차단된다. 즉, 모터(15)의 회전에 따라서 구동치차(16)가 일회전마다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부호(19)는 구동치차(16)의 회전력을 각 반출 캠(11)에 전달하는 링기어로서, 내측과 외측에 치형부(19a)(19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링기어(19)는 내측의 치형부(19a)를 각 반출 캠(11)의 치차(13)에, 외측의 치형부(15b)를 구동치차(16)의 치차(13)에 각각 걸어맞추어 놓고, 구동치차(16)의 회전에 연동하여 각 반출 캠(11)이 각각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구동치차(16)가 정지하고 있는 때는 각 반출 캠(11)의 경사부(11c)가 케이싱(14)의 개구부(14a)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컵 반출 장치에 있어서는, 반출 신호가 반출되어 모터(15)가 작동하면, 구동치차(16)가 구동하여 각 반출 캠(11)이 화살표 방향으로 일제히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각 반출 캠(11)의 경사부(11c)에 지지되어 있던 최하위의 컵 A의 상단 가장자리가 각 반출 캠(11)의 단부(11b)로 이동하여 홈(11a)에 끼워지고, 나삽되는 홈(11a)에 인도되어 하방으로 낙하 반출된다.
또, 이와같이 동작을 반출 신호에 근거하여 반복시키고, 컵 수용부(10) 안에 컵(A)이 없어지면, 도시하지 않은, 컵 공급 장치로 부터 새로운 컵 A가 공급된다. 이때, 컵 A가 컵 수용부(10)안에서 기울면서 낙하하여 그 하단 가장자리가 반출 캠(11)에 접촉하여도, 컵 A의 하단 가장자리가 제 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반출 캠(11)의 경상부(11c)에 의하여 컵 수용부(10)의 중심측에 안내되어 걸리지 않게 되고, 제 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적정한 지지상태가 달성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의 컵 반출 장치에 의하면, 각 반출 캠(11)에 경사부(11c)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11c)에서 컵 A를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컵 수용부(10) 안에 공급된 컵 A가 기울어지면서 낙하하여도 그 하단 가장자리가 반출 캠(11)에 걸리는 일이 없고, 컵 막힘에 의한 반출 불량을 확실하게 방출할 수 있다. 또, 각 반출 캠(11)과 이것을 구동하는 각 부재를 케이싱(14)내에 수납하여 단위체로 한 것으로써, 자동판매기 본체에의 조립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5도는 본 실시예의 컵 반출 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컵 A, B에 대응하여 두 대 설치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20)는 7온스 컵 용으로 설치한 컵 반출 장치(이하, 제 1의 컵 반출 장치라 함), 도면부호(30)는 9온스 컵 B용으로설치한 컵 반출 장치(이하, 제 2의 컵 반출 장치라 함)로서, 각각 전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단, 컵 수용부의 도시는 생략한다. 각각의 컵 반출 장치(20)(30)는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 2의 컵 반출 장치(30)의 케이싱(31)을 제 1 컵 반출 장치(20)의 케이싱(21)보다도 높게 배치하고, 각 케이싱(21)(31)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한다.
도면부호(40)는 상하단을 개구한 컵 단위체로서, 각각의 컵 반출 장치(20)(3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컵 슈트(40)는 상단으로 부터 하단으로 향하여 서서히 구경이 작게 되어 있고, 그 하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음료 추출부가 배치되어 있다. 즉, 각각의 컵 반출 장치(20)(30) 중에서 어느것인가 한쪽에서 반출된 컵 A 또는 B가 컵 슈트(40)에 안내되어, 전기한 음료 추출부로 송출된다. 이 설치열에 있어서는 각 케이싱(21)(31)의 겹쳐진 만큼의 폭방향 설치 스페이스가 적게 끝나게 되므로, 컵 슈트(40)를 소형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 반출 장치에 의하면, 수용부에 공급된 컵이 기울어지면서 낙하하여도 그 하단 가장자리가 반출 부재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컵 막힘에 의한 반출 불량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상방향에서 공급된 컵 열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된 복수개의 반출 부재를 갖추고, 각 반출 부재의 일부에 수용부내의 최하위 컵의 상단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컵 지지부를 형성한 컵 반출 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각 반출 부재의 컵 지지부에, 수용부의 중심으로 향하여 내려가는 기울기를 이루는 경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반출 장치.
KR2019920008885U 1991-07-26 1992-05-22 컵 반출장치 KR012467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59111U JP2578903Y2 (ja) 1991-07-26 1991-07-26 カップ搬出装置
JP1991-59111 1991-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299U KR930003299U (ko) 1993-02-26
KR0124678Y1 true KR0124678Y1 (ko) 1999-02-18

Family

ID=1310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08885U KR0124678Y1 (ko) 1991-07-26 1992-05-22 컵 반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78903Y2 (ko)
KR (1) KR0124678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5693U (ko) * 1988-08-25 1990-03-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5586U (ja) 1993-04-02
JP2578903Y2 (ja) 1998-08-20
KR930003299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3711B1 (en) Medicament dispensing cell
EP0204405B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EP0461889B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US6471093B1 (en) Tablet feeder
EP3440643B1 (en) Dispensing mechanism
KR840003865A (ko) 자동판매기의 음료컵공급장치
EP05772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cups in beverage-vending machines
CN110121325A (zh) 药物供给器
EP1142807B1 (en) Device for container rearranging machines, provided with automatic means for directing and dropping the container received
US4276894A (en) Automatic coin dispenser
KR0124678Y1 (ko) 컵 반출장치
US4721228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elongated small mechanical parts
US3119519A (en) Cup dispensing mechanism
JP3769403B2 (ja) カップ排出装置
KR0133082Y1 (ko) 컵 반출장치
US6041963A (en) Ampule collector
EP1647943B1 (en) Coin and/or token dispenser for automatic distributors or paying devices
GB2090821A (en) Vending apparatus
EP4148695A1 (en) Coin conveyance device and coin hopper
GB2258651A (en) Cup dispenser.
US6554118B2 (en) Coin supplying apparatus of a coin separator
JP4013793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リッド装着装置
CN220604083U (zh) 一种自动售货机的多杯分配组件
US4629091A (en) Workpiece escapement and divider
CN112351712B (zh) 散装胶囊分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