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736B1 -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736B1
KR100545736B1 KR1020040011711A KR20040011711A KR100545736B1 KR 100545736 B1 KR100545736 B1 KR 100545736B1 KR 1020040011711 A KR1020040011711 A KR 1020040011711A KR 20040011711 A KR20040011711 A KR 20040011711A KR 100545736 B1 KR100545736 B1 KR 100545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pvc corrugated
piping material
pvc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110A (ko
Inventor
박용길
Original Assignee
(주)무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한 filed Critical (주)무한
Priority to KR102004001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7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phase control, e.g. using a tri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3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ignition at the zero crossing of the voltage or the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공정에 의해 PVC 주름관의 내측으로 배관재를 지속적으로 삽입하고 밀봉하여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내구성을 높이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재의 외측에 PVC 주름관을 덧씌우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PVC 주름관을 일정 속도로 이송하는 제1이송수단과; 상기 배관재를 상기 PVC 주름관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과;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PVC 주름관의 일측을 절개하는 절개수단과; 상기 절개수단에 의해 절개된 상기 PVC 주름관을 벌려 상기 배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확관수단과; 상기 확관수단에 의해 벌려진 상기 PVC 주름관에 상기 배관재를 삽입하는 삽입수단과; 상기 삽입수단에 의해 상기 배관재가 삽입된 상기 PVC 주름관을 봉합하는 봉합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인력의 소요를 최소화고 제작시간을 더욱 단축시켜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외측에 PVC 주름관을 덧씌울 수 있게 됨으로서 제조원가가 하락할 뿐만 아니라, 덧씌워진 PVC 주름관에 의해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설치중 발생되는 파손을 최소화하고 배관재가 옥외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쉽게 부식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an apparatus for covering wrinkled PVC pipe of an air conditioner pipe}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이송수단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개수단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확관수단 및 삽입수단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봉합수단과 냉각부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봉합수단과 냉각부의 정면도,
도 5b는 봉합수단과 냉각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열부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개략 구성도.
도 8는 도 8의 배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이송수단
10 : 이송롤러 11 : 오목면
12 : 돌기
2 : 제2이송수단
3 : 절개수단
31 : 절단날 32 : 받침롤러
321 : 오목면 322 : 돌기
4 : 확관수단
40 : 벌림가이드
5 : 삽입수단
50 : 압입롤러
52 : 삽입받침롤러
521 : 오목면 522 : 돌기
6 : 봉합수단
60 : 볼스크류
601 : 나사축 602 : 가이드
603a, 603b : 다이
61 : 지지롤러 62 : 가열노즐
63 : 유니버셜조인트 64 : 동력전달부
7 : 가열부
71 : 받침대 72 : 가열관
73 : 전열선 74 : 접속단자
8 : 냉각부
81 : 냉각노즐
100 : PVC 주름관
101 : 절개부
200 : 배관재
201 : 파이프 202 : 전선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공정에 의해 PVC 주름관의 내측으로 배관재를 지속적으로 삽입하고 밀봉하여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내구성을 높이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10)와 실외기(120)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이들 사이는 배관(1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발포수지로 된 단열재(131)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고, 그 각각의 홈에 파이프(133)및 전선(134)이 삽입 수용되는 것이며, 상기 파이프(133)및 전선(134)이 삽입 수용된 단열재(131)의 외주면은 테이프(132)로 감싼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관은 옥외에 설치되고 건물의 벽체를 통과하여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함에 따라, 오랜 기간 설치 후에는 직사광선 및 반복되는 온도의 변화와 습기 등에 의해 상기 고압관 및 저압관, 전선 및 통신케이블이 부식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설치과정에서도 배관이 철근 등에 걸려 외주면의 테이프가 찢어지거나 고압관 및 저압관, 전선 및 통신케이블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속공정에 의해 PVC 주름관의 내측으로 배관재를 지속적으로 삽입하고 밀봉하여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내구성을 높이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PVC 주름관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PVC 주름관이 이송롤러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재가 PVC 주름관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PVC 주름관의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절개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도 PVC 주름관의 내부로 배관재가 용이하게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PVC 주름관의 내부로 배관재가 완전히 밀려들어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재가 삽입된 PVC 주름관의 절개부가 균일하게 재접착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직경의 PVC 주름관을 가공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PVC 주름관의 가공이 더욱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된 PVC 주름관을 더욱 급속히 냉각시키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재의 외측에 PVC 주름관을 덧씌우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PVC 주름관을 일정 속도로 이송하는 제1이송수단과; 상기 배관재를 상기 PVC 주름관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과;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PVC 주름관의 일측을 절개하는 절개수단과; 상기 절개수단에 의해 절개된 상기 PVC 주름관을 벌려 상기 배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확관수단과; 상기 확관수단에 의해 벌려진 상기 PVC 주름관에 상기 배관재를 삽입하는 삽입수단과; 상기 삽입수단에 의해 상기 배관재가 삽입된 상기 PVC 주름관을 봉합하는 봉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이송수단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롤러가 상기 PVC 주름관과 접촉되면서 상기 PVC 주름관을 밀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는, 외주면에 상기 PVC 주름관과 밀착되도록 오목면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면에는 PVC 주름관의 주름부에 삽입 밀착되는 돌기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이송수단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롤러가 상기 배관재와 접촉되면서 상기 배관재를 밀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수단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의 절단날로 형성되어 상기 PVC 주름관의 이송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PVC 주름관의 일측을 절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관수단은, 상기 PVC 주름관의 이동로 상에 구비되고, 전협후광의 형상으로 형성된 벌림가이드로 구성되어, 좁은 선단이 상기 외피의 절개부에 삽입되면서 넓은 후단에 의해 절개부가 벌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수단은, 상기 제1이송수단에 의해 하부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공급되는 PVC 주름관과, 상기 제2이송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공급되는 배관재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압입롤러의 하부에서 서로 겹쳐지면서 상기 배관재가 상기 PVC 주름관의 절개부로 눌려 들어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합수단은, 상기 배관재의 진행방향 일직선 상으로 배치된 다이의 상면에 다수개가 쌍으로 배치되고, 동력전달부를 통해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를 가열하여 융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롤러는, 공급되는 PVC 주름관의 직경에 따라 배열 간격이 조절되도록 분리된 다이가 각각 볼스크류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지지롤러의 위치 변화에도 동력을 전달하는 유니버셜조인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수단의 전방에 상기 PVC 주름관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합수단의 후방에 가열된 PVC 주름관을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VC 주름관(100)을 가열하는 가열부(7)와, PVC 주름관(100)을 이송하는 제1이송수단(1)과, 내측으로 파이프와 전선이 삽입된 배관재(200)를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2)과, PVC 주름관(100)을 절개하는 절개수단(3)과, 절개된 PVC 주름관(100)을 벌리는 확관수단(4)과, PVC 주름관(100)의 내측으로 배관재(200)를 삽입하는 삽입수단(5)과, 절개된 PVC 주름관(100)을 봉합하는 봉합수단(6)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 등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1이송수단(1)에 의해 PVC 주름관(100)은 일정속도로 전진하게 되고, 제2이송수단(2)에 의해 PVC 주름관(100)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단열재의 내측으로 파이프 및 전선이 삽입된 배관재(200)가 이송된다.
또한, 전진하는 PVC 주름관(100)은 절개수단(3)을 통과하면서 일측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도록 하고, 후속되는 확관수단(4)에 의해 절개된 PVC 주름관(100)이 벌려지면서 상술한 배관재(20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삽입수단(5)에 의해 PVC 주름관(100)의 내측으로 배관재(200)가 눌려 들어가게 하여 PVC 주름관(100)이 배관재(200)를 덧씌우게 한다.
또한, 상기 삽입수단(5)에 의해 PVC 주름관(100)의 내측으로 배관재(200)가 삽입된 후에는 봉합수단(6)에 의해 상기 절개수단(3)을 거치면서 절개된 PVC 주름관(100)의 절개부(101)가 재접착되도록 하여 배관재(200)가 PVC 주름관(100)의 외부로 이탈되거나, PVC 주름관(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배관재(200)의 외측에 PVC 주름관(100)을 덧씌우는 작업이 마무리된다.
더불어, 상기 제1이송수단(1)의 전방측으로는 이송되는 PVC 주름관(100)을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7)를 구비하여 후속되는 절개수단(3)의 절개작업 및 확관수단(4)의 확관작업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봉합수단(6)의 후방측으로는 가열된 PVC 주름관(100)을 냉각시키는 냉각부(8)를 구비하여 제조된 배관의 포장등의 작업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제1이송수단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술한 제1이송수단(1)은 도시된 바와 같이 PVC 주름관(100)의 직경과 대응되는 간격을 형성하며 쌍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1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롤러(10)는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등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이송롤러(1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이송롤러(10)가 회전함에 따라 그 사이로 공급되는 PVC 주름관(100)은 이송롤러(10)와의 마찰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일정 속도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PVC 주름관(100)과 접촉하는 이송롤러(10)의 외주면은 오목면(11)을 형성하여 PVC 주름관(100)과의 접촉면적을 더욱 넓힘으로서 PVC 주름 관(100)이 이송롤러(10)와 더욱 밀착되면서 이송되게 되고, 오목면(11)에는 PVC 주름관(100)의 주름과 대응되는 돌기(12)를 형성하여 돌기(12)가 PVC 주름관(100)의 주름 사이에 삽입되면서 PVC 주름관(100)을 밀어내도록 함으로서, PVC 주름관(100)을 이송시키는 이송력이 극대화되도록 하여 PVC 주름관(100)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이송수단(1)과 소정 각도 이격되어 구비되고 배관재(200)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수단은 상술한 제1이송수단(1)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서, 배관재(200) 또한 PVC 주름관(100)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절개수단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술한 절개수단(3)은 상기 제1이송수단의 후방측에 배치하고, 상부에는 별도의 모터 등에 의해 회전되는 원반형의 절단날(31)을 구비하며, 하부에는 받침롤러(32)를 구비하여 절단날(31)과 받침롤러(32)의 사이를 통과하는 PVC 주름관(100)의 일측 길이방향이 절단날(31)에 의해 절개되면서 절개부(101)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송되는 PVC 주름관(100)에 일직선상의 균일한 절개부(10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상기 절개부(101)를 통해 PVC 주름관(100)의 내측으로 배관재(200)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롤러(32)는 상술한 이송롤러(10)의 구성과 동일하게 오목면(321)과 돌기(322)를 형성하여 PVC 주름관(100)의 절개과정에서 PVC 주름관(100)이 미끄러지는것을 방지하며 일정속도로 이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확관수단 및 삽입수단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술한 절개수단(3)을 거쳐 일측이 절개된 PVC 주름관(100)은 확관수단(4)에 의해 절개부(101)가 벌어지도록 하여 상술한 제2이송수단를 거쳐 공급되는 배관재(2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삽입수단(5)을 통해 파이프(201)와 전선(202)이 삽입된 배관재(200)가 PVC 주름관(10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확관수단(4)은 선단이 좁고 후방이 넓어지는 벌림가이드(40)를 구비하여 선단이 절개부(101)로 파고들면서 후방측에 의해 PVC 주름관(100)이 벌려지도록 함으로서, PVC 주름관(100)의 절개부(101)가 더욱 넓어지도록 하여 삽입수단(5)에 의해 PVC 주름관(100)의 내측으로 배관재(200)를 삽입하는 작동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삽입수단(5)은 상술한 PVC 주름관(100)이 삽입받침롤러(52)와 맞닿으면서 소정 각도 하방으로 꺾여지도록 하여 상술한 확관수단(4)에 의해 벌려진 절개부(101)의 공간이 더욱 확장되도록 하고, 상술한 배관재(200)가 삽입받침롤러(52) 의 상부에서 PVC 주름관(100)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여 PVC 주름관(100)의 내측으로 배관재(200)가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삽입받침롤러(52)의 상부측으로는 배관재(200)가 PVC 주름관(100)의 내측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배관재(200)를 눌러주는 압입롤러(50)를 구비하여 PVC 주름관(100)과 배관재(200)의 이동에 따라 배관재(200)가 PVC 주름관(100)의 내측 으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삽입받침롤러(52)를 지난 PVC 주름관(100)은 자체의 탄성에 의해 다시 오무려지면서 배관재(200)를 감싸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삽입받침롤러(52)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이송롤러(10)와 동일하게 오목면(521)과 돌기(522)를 형성하여 PVC 주름관(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봉합수단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로서, 도 5a는 봉합수단의 측면도이고, 도 5b는 봉합수단의 평면도로서, 상기 삽입수단을 통과한 PVC 주름관(100)과 배관재(200)는 지속적으로 이동하면서 봉합수단(6)에 의해 PVC 주름관(100)의 절개부(101)가 다시 봉합되어 배관재(200)를 밀봉하게 된다.
상기 봉합수단(6)은 PVC 주름관(100)의 이동로상에 PVC 주름관(100)의 직경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열되고 동력전달부(64)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의 지지롤러(61)와, 상기 지지롤러(61)의 상부에 이격되어 고온의 가스를 분사하여 상기 절개부(101)를 녹인후에 접착시키는 다수의 가열노즐(62)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송되는 PVC 주름관(100)은 지지롤러(61)에 의해 절개부(101)의 양측이 밀착된 상태에서 지지롤러(61)의 상부에 고정 구비되는 가열노즐(62)에 의해 절개부(101)가 녹으면서 다시 접착되고, 이에 따라 내부의 배관재(200)가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으면서 PVC 주름관(100)의 내측으로 습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PVC 주름관(100)의 양 측으로 배열되는 지지롤러(61)는 하부에 나사축(601)에 체결되어 그 간격이 조절되는 가이드(602)로 구성된 볼스크류(60)에 의해 이송되는 다이(603a)(603b)에 고정되도록 하여 가공되는 PVC 주름관(100)의 직경에 따라 배열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동력전달부(64) 또한 유니버셜조인트(63)로 구성하여 지지롤러(61)의 배열간격 변화에 따른 다이(603a)(603b)의 위치가 이동하더라도 원활히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봉합수단(6)의 후방 측으로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노즐(81)이 구비된 냉각부(8)를 구비하여 상기 가열노즐(62)에 의해 가열된 PVC 주름관(100)이 급속냉각되도록 함으로서, 가열노즐(62)에 의해 녹아 있는 상태의 PVC 주름관(100)에 변형이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열부(7)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술한 가열부(7)는, 전체 장치에서 PVC 주름관(100)이 진입되는 최 전방에 구비되고, 전후방이 개방되고 받침대(71)의 상부에 고정된 원통형의 가열관(72)의 내측으로 PVC 주름관(100)이 통과하면서 가열되도록 한다.
상기 가열관(72)은 내측으로 전열선(73)을 배열하여 별도의 접속단자(74)와 연결되는 전기에 의한 발열을 이용하여 PVC 주름관(100)을 가열하거나, 내측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로 고온의 가스를 주입시켜 가열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열관(72)의 내부에서 PVC 주름관(100)이 녹아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 온도 이상으로는 가열되지 않도록 하고, PVC 주름관(100)이 가열관(72)의 내측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열부(7)를 지나면서 가열된 PVC 주름관(100)은 온도의 상승에 따라 더욱 유연한 성질을 띄게 되어 절개 및 확관 등의 과정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수단과, 절개수단과, 확관수단과, 삽입수단과, 봉합수단으로 구성된 연속공정에 의해 PVC 주름관의 내측으로 배관재를 지속적으로 삽입하고 밀봉하여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내구성을 높이도록 함으로서, 인력의 소요를 최소화고 제작시간을 더욱 단축시켜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외측에 PVC 주름관을 덧씌울 수 있게 됨으로서 제조원가가 하락할 뿐만 아니라, 덧씌워진 PVC 주름관에 의해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설치중 발생되는 파손을 최소화하고 배관재가 옥외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쉽게 부식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롤러에 의해 PVC 주름관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일정한 속도로 배관재에 PVC 주름관을 덧씌우는 것이 가능해져 제작된 배관재의 외관이 더욱 균일해지고 이에 따라 상품성이 더욱 높아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롤러에 돌기를 형성하여 PVC 주름관이 이송롤러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PVC 주름관이 이송롤러에서 미끄러져 배관재가 불균일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이송수단에 의해 배관재가 PVC 주름관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배관재와 PVC 주름관의 이송속도 차이에 따른 제조과정의 결함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하는 절단날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PVC 주름관의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절개되도록 함으로서, 지속적인 공정의 연속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절개부의 재접착면도 균일하게 형성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이 좁고 후방이 넓은 확관수단을 구비하여 간단한 구성으로도 PVC 주름관의 내부로 배관재가 용이하게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함으로서, PVC 주름관의 내측으로 배관재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배관재가 PVC 주름관에 걸려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배관재의 삽입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배관재 및 PVC 주름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입롤러에 의해 PVC 주름관의 내부로 배관재가 완전히 밀려들어가도록 함으로서, PVC 주름관의 내부에 삽입된 배관재가 다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압착롤러와 가열노즐을 구비하여 배관재가 삽입된 PVC 주름관의 절개부가 균일하게 재접착되도록 함으로서, PVC 주름관의 접착면이 균일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롤러의 배열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고,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직경의 PVC 주름관을 가공하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제조장치로 다양한 규격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부를 구비하여 공급되는 PVC 주름관의 경도를 낮춰 PVC 주름관의 가공이 더욱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PVC 파이프의 변형이 더욱 용이해져 PVC 주름관의 공급속도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부를 구비하여 가열된 PVC 주름관을 더욱 급속히 냉각시키도록 함으로서, 생산된 배관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시간을 더욱 단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시간을 더욱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3)

  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재(200)의 외측에 PVC 주름관(100)을 덧씌우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PVC 주름관(100)을 일정 속도로 이송하는 제1이송수단(1)과;
    상기 배관재(200)를 상기 PVC 주름관(100)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2)과;
    상기 제1이송수단(1)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PVC 주름관(100)의 일측을 절개하는 절개수단(3)과;
    상기 절개수단(3)에 의해 절개된 상기 PVC 주름관(100)을 벌려 상기 배관재(2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확관수단(4)과;
    상기 확관수단(4)에 의해 벌려진 상기 PVC 주름관(100)에 상기 배관재(200)를 삽입하는 삽입수단(5)과;
    상기 삽입수단(5)에 의해 상기 배관재(200)가 삽입된 상기 PVC 주름관(100)을 봉합하는 봉합수단(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수단(1)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롤러(10)가 상기 PVC 주름관(100)과 접촉되면서 상기 PVC 주름관(100)을 밀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10)는, 외주면에 상기 PVC 주름관(100)과 밀착되도록 오목면(11)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면에는 PVC 주름관(100)의 주름부에 삽입 밀착되는 돌기(12)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수단(2)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롤러(10)가 상기 배관재(200)와 접촉되면서 상기 배관재(200)를 밀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수단(3)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의 절단날(31)로 형성되어 상기 PVC 주름관(100)의 이송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PVC 주름관(100)의 일측을 절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수단(4)은, 상기 PVC 주름관(100)의 이동로 상에 구비되고, 전협후광의 형상으로 형성된 벌림가이드(40)로 구성되어, 좁은 선단이 상기 외피의 절개부(101)에 삽입되면서 넓은 후단에 의해 절개부(101)가 벌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수단(5)은, 상기 제1이송수단(1)에 의해 하부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공급되는 PVC 주름관(100)과, 상기 제2이송수단(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공급되는 배관재(200)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압입롤러(50)의 하부에서 서로 겹쳐지면서 상기 배관재(200)가 상기 PVC 주름관(100)의 절개부(101)로 눌려 들어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200)의 PVC 주름관(100) 덧씌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수단(6)은, 상기 배관재(200)의 진행방향 일직선 상으로 배치된 다이(603a)(603b)의 상면에 다수개가 쌍으로 배치되고, 동력전달부(64)를 통해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지지롤러(61)와;
    상기 지지롤러(6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101)를 가열하여 융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노즐(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61)는, 공급되는 PVC 주름관(100)의 직경에 따라 배열 간격이 조절되도록 분리된 다이(603a)(603b)가 각각 볼스크류(60)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지지롤러(61)의 위치 변화에도 동력을 전달하는 유니버셜조인트(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수단(3)의 전방에 상기 PVC 주름관(100)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7)는, 상기 PVC 주름관(100)이 통과되면서 전기에 의해 상기 PVC 주름관(100)의 외측면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수단(6)의 후방에 가열된 PVC 주름관(100)을 냉각시키는 냉각부(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8)는, PVC 주름관(100)의 절개부(101)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노즐(8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KR1020040011711A 2004-02-21 2004-02-21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KR10054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711A KR100545736B1 (ko) 2004-02-21 2004-02-21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711A KR100545736B1 (ko) 2004-02-21 2004-02-21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110A KR20050083110A (ko) 2005-08-25
KR100545736B1 true KR100545736B1 (ko) 2006-01-24

Family

ID=3726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711A KR100545736B1 (ko) 2004-02-21 2004-02-21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66B1 (ko) 2007-08-16 2008-01-04 김기복 에어컨 배관용 호스의 제조장치
KR100910308B1 (ko) 2008-08-12 2009-08-04 안상복 일체형 배관과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802B1 (ko) * 2014-08-21 2014-09-24 주식회사 다산 에어컨용 배관 구성물의 제조장치
CN115008770A (zh) * 2022-05-26 2022-09-06 烟台东星空调管路有限公司 一种波纹管与胶管自动装配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9980A (en) * 1944-06-01 1945-11-27 Hulson Company Locomotive exhaust nozzle
US2497011A (en) * 1946-04-23 1950-02-07 Sperry Corp Electrical system
US2651725A (en) * 1951-03-24 1953-09-08 Mcfarland Alice Margaret X-ray cassette holder and clamping device
JPS57115504A (en) * 1980-12-04 1982-07-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ptical fiber cable and its manufacture
KR950004290A (ko) * 1993-07-30 1995-02-17 배순훈 배선 삽입용 가이드
KR100248250B1 (ko) * 1997-03-12 2000-04-01 다니구찌 이찌로오 방전 가공기
KR200291154Y1 (ko) * 2002-07-09 2002-10-11 박성준 전기ㆍ전자기기의 전선 정리용 기구
KR20040071486A (ko) * 2003-02-06 2004-08-12 박용길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9980A (en) * 1944-06-01 1945-11-27 Hulson Company Locomotive exhaust nozzle
US2497011A (en) * 1946-04-23 1950-02-07 Sperry Corp Electrical system
US2651725A (en) * 1951-03-24 1953-09-08 Mcfarland Alice Margaret X-ray cassette holder and clamping device
JPS57115504A (en) * 1980-12-04 1982-07-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ptical fiber cable and its manufacture
KR950004290A (ko) * 1993-07-30 1995-02-17 배순훈 배선 삽입용 가이드
KR100248250B1 (ko) * 1997-03-12 2000-04-01 다니구찌 이찌로오 방전 가공기
KR200291154Y1 (ko) * 2002-07-09 2002-10-11 박성준 전기ㆍ전자기기의 전선 정리용 기구
KR20040071486A (ko) * 2003-02-06 2004-08-12 박용길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66B1 (ko) 2007-08-16 2008-01-04 김기복 에어컨 배관용 호스의 제조장치
KR100910308B1 (ko) 2008-08-12 2009-08-04 안상복 일체형 배관과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110A (ko)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00196A (ja) スチールストリップによって補強されたプラスチック排水管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ならびにスチールによって補強されたプラスチック排水管
KR100545736B1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JP2008536027A (ja) 部分的に浸水した地中パイプを巻回する装置および方法
HU224660B1 (hu) Csavarvonalban tekercselt habosított műanyag termék és eljárás annak előállítására
CA2685020A1 (en) Conduits and method of forming
KR101442802B1 (ko) 에어컨용 배관 구성물의 제조장치
US20230228362A1 (en) Pipe for conveying fluids in hvacr systems
RU226551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оляционной трубы
CN110076985B (zh) 一种灭火器虹吸管用外螺纹热挤压成型机
CN114081836A (zh) 一种软胶囊智能生产设备
KR101823511B1 (ko) 다중관체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EP1328752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insulated pipes
KR100525833B1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방법 및 장치
RU2003104979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оляционной трубы
KR100910308B1 (ko) 일체형 배관과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125174B1 (ko) 스파이럴 덕트 제작장치
KR102170724B1 (ko) 에어컨 배관 보온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72754B1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KR20150008751A (ko) 연속 진공 몰드 성형을 통한 냉난방 시스템용 일체형 다중배관 제조장치 및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냉난방 시스템용 일체형 다중배관
RU2003113535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изоляционных труб
CN217703581U (zh) 保温片切割机
CN212530239U (zh) 一种管材包装装置
CN114362056B (zh) 一种塑料管道在线敷设线缆装置及工艺
KR20010069849A (ko) 합성수지제 포대의 밀봉장치
CN207272204U (zh) 一种管体埋线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