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614B1 -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614B1
KR100544614B1 KR1020010083734A KR20010083734A KR100544614B1 KR 100544614 B1 KR100544614 B1 KR 100544614B1 KR 1020010083734 A KR1020010083734 A KR 1020010083734A KR 20010083734 A KR20010083734 A KR 20010083734A KR 100544614 B1 KR100544614 B1 KR 100544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ot rolled
rolled coil
tip
loos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3744A (ko
Inventor
안범영
이민수
이점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3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6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연코일을 묶고 있는 밴드가 절단된 후 그 선단부의 풀림이 감지되면, 열연코일의 외경과 선단부 위치를 자동으로 측정한 다음 선단부가 풀리지 못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결함제거기가 위치된 곳까지 따라간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워킹빔 콘베이어(20)를 따라 평행하게 직선운동되면서 밴드절단구간과 결함제거구간을 왕복운동하는 왕복대(42)를 갖는 왕복운동기구(40)와, 열연코일(30)의 풀림을 검출하기 위한 코일풀림 감지장치(50)와, 왕복대(42)에 설치되고, 열연코일(30)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더(52)를 갖는 직선운동기구(200)와, 슬라이더(52) 상에서 승강운동기구(6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되고, 그 자유단(72)이 열연코일(30)의 상부를 향해 뻗은 승강대(70)와, 승강대(70)의 자유단(72)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외경을 측정하기 위한 코일외경 측정장치(80)와, 승강대(70)의 자유단(72)에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 위치를 검출해내기 위한 코일 선단위치 검출장치(90) 및 슬라이더(52)에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풀려진 부분을 밀착시키기 위한 코일 지지기구(100)로 구성된 것이다.
열연코일, 냉연, 열연, 선단부, 풀림, 유도, 방지, 실린더, 외경

Description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AN APPARATUS FOR GUIDING COIL END PORTION TO PREVENT UNWINDING OF COIL}
도 1은 일반적인 코일 이송라인과 밴드절단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코일 이송라인에 위치되어 있는 밴드절단기와 결함제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코일 이송라인에서 코일의 선단부가 정상위치로 되어 자연적으로 풀리지 않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은 일반적인 코일 이송라인에서 코일의 선단부가 비정상위치로 되어 자연적으로 풀리게 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풀림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외경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외경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7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워킹빔 콘베이어 30 : 열연코일
32 : 선단부 40 : 왕복운동기구
42 : 왕복대 50 : 코일풀림 감지장치
52 : 슬라이더 200 : 직선운동기구
54 : 전후진용 실린더 56 : 완충기구
57 : 와이어 58 : 리니어스케일
60 : 승강운동기구 72 : 자유단
70 : 승강대 80 : 코일외경 측정장치
81 : 고정판 82a,82b : 가이드부쉬
83a,83b : 승강봉 84 : 회전너트
85 : 승강스크류 86 : 서보모터
87 : 로터리인코더 88 : 승강판
89 : 터치센서 90 : 코일 선단위치 검출장치
91a,91b : 고정링크 92a,92b : 가동링크
93 : 크로스바 94 : 클레비스 실린더
95 : 검출롤러 96 : 회전검출센서
100 : 코일 지지기구 102 : 가압판
104,106 : 클레비스부 110,112 : 고정암
114,116 : 회동암 120 : 회전축
122 : 피동스프로킷 휠 124 : 구동스프로킷 휠
126 : 체인 130 : 각도조절용 모터
본 발명은 열연공정에서 냉연공정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열연코일의 선단부가 비정상위치에 놓일 경우 선단부 풀림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연코일을 묶고 있는 밴드가 절단된 후 그 선단부의 풀림이 감지되면, 열연코일의 외경과 선단부 위치를 자동으로 측정한 다음 선단부가 풀리지 못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결함제거기가 위치된 곳까지 따라간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공정에서 생산된 핫 코일은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결속기(도시 않됨)를 이용해서 풀리지 않도록 밴드(12)로 결속된 다음 크레인(도시 않됨)에 의해 워킹빔 콘베이어(14) 위의 올려져서 냉연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워킹빔 콘베이어(14) 위에 얹혀진 열연코일(10)을 묶고 있는 밴드(12)는 밴드절단기(16)에 의해 절단되어 제거된 후 이송된 다음 결함제거기(18) 앞에 위치되면, 열연코일(10) 선단부(10a)에 발생된 결함부위 및 형상불량 부분이 제거된 후 냉연공정의 자동용접기(도시 않됨)에서 선·후행 열연코일(10)의 선단부(10a)를 서로 접합하여 대형화 작업을 실시한 다음 이어지는 공정으로 진행 된다.
즉, 열연공정으로부터 워킹빔 콘베이어(14)를 타고 냉연공정으로 이송되는 열연코일(10)은 이를 감싸고 있는 밴드(12)를 제거하여야만 후 공정인 열연코일(10)의 선단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2)에 의해 결속된 열연코일(10)의 선단부(10a)가 그 열연코일(10)의 이송방향 앞쪽에서 축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8시∼9시 방향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밴드(12)를 제거하여도 열연코일(10)의 선단부(10a)가 탄성복원력과 자체의 무게, 기타 외부적인 흔들림이 작용되어도 자연적으로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첨부도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연코일(10)의 선단부(10a)가 대략 10시∼4시 방향에 위치된 경우에는 탄성복원력, 자체의 무게, 외부적인 흔들림에 의해 자연적으로 풀어지면서 이송도중 주변의 설비와 간섭을 일으켜서 설비가 파손되거나 열연코일(10)의 일부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열연코일(10)의 선단부(10a)가 10시∼4시 방향에 위치되었을 때에는 밴드절단기(16)에서 밴드(12)를 절단하지 못하도록 수동조작 하여 그대로 통과시킨 후 결함제거기(18)에 위치되었을 때 수작업으로 밴드(12)를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냉연공정에서 열연공정으로 넘어가는 열연코일의 선단부가 풀어진 경우 이를 자 동으로 감지하여 열연코일이 결함제거기로 이송될 때까지 그 열연코일의 선단부가 풀어지지 못하도록 지지하면서 유도할 수 있는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워킹빔 콘베이어를 따라 평행하게 직선운동되면서 밴드절단구간과 결함제거구간을 왕복운동하는 왕복대를 갖는 왕복운동기구와, 왕복대에 설치되어 열연코일의 풀림을 검출하기 위한 코일풀림 감지장치와, 왕복대에 설치되고, 열연코일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더를 갖는 직선운동기구와, 슬라이더 상에서 승강운동기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되고, 그 자유단이 열연코일의 상부를 향해 뻗은 승강대와, 승강대의 자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열연코일의 외경을 측정하기 위한 코일외경 측정장치와, 승강대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열연코일의 선단부 위치를 검출해내기 위한 코일 선단위치 검출장치 및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열연코일의 풀려진 부분을 밀착시키기 위한 코일 지지기구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풀림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외경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외경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7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빔 콘베이어(20)를 따라 평행하게 직선운동되면서 밴드절단구간과 결함제거구간을 왕복운동하는 왕복대(42)를 갖는 왕복운동기구(40)와, 왕복대(42)에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풀림을 검출하기 위한 코일풀림 감지장치(50)와, 왕복대(42)에 설치되고, 열연코일(30)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더(52)를 갖는 직선운동기구(200)와, 슬라이더(52) 상에서 승강운동기구(6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되고, 그 자유단(72)이 열연코일(30)의 상부를 향해 뻗은 승강대(70)와, 승강대(70)의 자유단(72)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외경을 측정하기 위한 코일외경 측정장치(80)와, 승강대(70)의 자유단(72)에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 위치를 검출해내기 위한 코일 선단위치 검출장치(90) 및 슬라이더(52)에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풀려진 부분을 밀착시키기 위한 코일 지지기구(100)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밴드절단구간과 결함제거구간을 왕복운동하는 왕복운동기구(40)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41)의 양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서포트플레이트(42a)(42b)를 설치하고, 그 베이스플레이트(41)의 상면에는 왕복대(42)를 직선안내하는 가이드레일(43)을 워킹빔 콘베이어(20)와 평행하게 설치하며, 왕복대(42)에 나사결합되는 이송스크류(44)의 양단을 일측의 서포트플레이트(42b)와 베이스플레이트(41)에 설치되는 베어링서포터(45a)(45b)에 의해 지지하고, 베이스플레이트(41) 위에 설치되는 이송모터(46)를 체인구동기구에 의해 이송스크류(44)와 연결하며, 베이스플레이트(41)의 양측에는 왕복대(42)의 종단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LS1)(LS2)를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슬라이더(52)를 구동하기 위한 직선운동기구(200)는 왕복대(42)의 상면 에 이 왕복대(42)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안내홈(202)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202)에 상기 슬라이더(52)의 하단부를 미끄럼결합하는 한편, 왕복대(42)의 후단부와 슬라이더(52) 사이에 가압실린더(204)의 실린더튜브와 피스톤로드를 연결하여 이 가압실린더(204)의 신축에 의해 슬라이더(52)를 전후진시킴으로써 가압판(102)이 열연코일(30)을 가압하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직선운동기구(200)를 구성하는 체인구동기구는 상기 이송스크류(44)와 이송모터(46)에 각각 스프로킷 휠(47)(48)을 설치하고, 이들 스프로킷 휠(47)(48)을 체인(49)으로 연결하여 이송모터(46)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이송스크류(44)로 전달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코일풀림 감지장치(50)는 왕복대(42)에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예컨대, 에어실린더로 구성되는 전후진용 실린더(54)와, 전후진용 실린더(54)에 의해 열연코일(3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그 열연코일(30)의 풀린 정도에 따라 길이가 축소되는 완충기구(56) 및 와이어(57)를 통해 완충기구(56)의 선단에 연결되어 완충기구(56)의 축소길이를 검출하는 리니어스케일(58)로 구성하였으며, 왕복대(42) 위의 좌우양측에 두 개 설치하였다.
여기서 상기 완충기구(56)는 상기 전후진용 실린더(54)의 피스톤로드(54a) 선단에 설치되는 스프링시트부(56a)와, 이 스프링시트부(56a)가 삽입되어 미끄럼결합되고 선단에는 열연코일(30)과 접촉되는 터치팁(56e)이 설치되는 원통부(56b)와, 이 원통부(56b) 내부에 수용되고 스프링시트부(56a)와 원통부(56b) 사이에서 반발하도록 설치되는 완충스프링(56c)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원통부(56b)의 선단부와 전후진용 실린더(54)의 실린더튜브(54b) 사이에는 주름관(56d)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상기 원통부(56b)와 스프링시트부(56a), 피스톤로드(54a)를 두어 은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승강대(70)는 슬라이더(52)의 양측에 미끄럼결합되는 두 개의 수직빔(70a)(70b)과, 이 수직빔(70a)(70b)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설치되는 천정판(70c)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운동기구(60)는 크게 직선안내기구와 랙/피니언 구동기구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직선안내기구는 승강대(7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직빔(70a)(70b) 중 한쪽의 수직빔(70a) 내측 벽면에 도브테일홈(70g)을 형성하고, 이 도브테일홈(70g)과 미끄럼결합되는 도브테일레일(70r)을 상기 슬라이더(52)의 측벽에 수직으로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승강운동기구(60)의 랙/피니언 구동기구는 슬라이더(52)의 상면에 승강모터(62)를 설치하고, 승강대(7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직빔(70a)(70b) 중에서 도브테일홈(70g)이 형성된 수직빔(70a)의 반대편 수직빔(70b) 내측 벽면에 랙(64)을 설치하며, 이 랙(64)과 맞물리는 피니언(66)을 승강모터(62)의 모터축에 설치하여 승강모터(62)의 회전력을 피니언(66)과 랙(64)으로 전달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승강대(7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 상기 승강모터(62)는 구동전류가 차단되었을 때 승강대(70)의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내려 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지 기능을 갖는 웜감속기를 승강모터(62)와 피니언(66) 사이에 구비하거나 감속비가 비교적 높은 감속기를 내 장한 기어드모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외경 측정장치(80)는 승강대(70)의 자유단(72)에 설치되는 고정판(81)과, 고정판(81)에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쉬(82a)(82b)와, 가이드부쉬(82a)(82b)에 미끄럼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운동되는 승강봉(83a)(83b)과, 고정판(81)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너트(84)와, 승강봉(83a)(83b)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회전너트(84)에 나사결합되는 승강스크류(85)와, 고정판(81)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너트(84)를 구동하기 위한 서보모터(86)와, 서보모터(86)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로터리인코더(87)와, 승강스크류(85)와 승강봉(83a)(83b) 하단에 설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승강판(88) 및 승강판(88)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승강스크류(85)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외주면에 접하면 터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센서(89)로 구성하였다.
상기 코일 선단위치 검출장치(90)는 승강대(70)의 자유단(72)으로부터 앞쪽으로 평행하게 뻗은 복수의 고정링크(91a)(91b)와, 고정링크(91a)(91b)의 선단에 중간부위가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가동링크(92a)(92b)와, 가동링크(92a)(92b)의 중간 사이를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크로스바(93)와, 승강대(70)의 자유단(72)과 크로스바(93)에 각각 양단이 클레비스 이음되는 클레비스 실린더(94)와, 가동링크(92a)(92b)의 선단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 접촉저항에 의해 회전되는 검출롤러(95) 및 검출롤러(95)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 검출롤러(95)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검출센서(96)로 구성하였다.
상기 코일 지지기구(100)는 열연코일(30)로부터 풀어진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원호상의 가압판(102)과, 가압판(102)의 후면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클레비스부(104)(106)와, 슬라이더(52)로부터 열연코일(30)을 향해 평행하게 뻗은 복수의 고정암(110)(112)과, 고정암(110)(112)의 선단과 클레비스부(104)(106)에 각각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복수의 회동암(114)(116)과, 회동암(114)(116)과 고정암(110)(112)의 연결부위를 가로질러서 회동암(114)(116)에 양단이 고정되고, 그 일측이 고정암(110)(11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120)과, 회전축(12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피동스프로킷 휠(122)과, 슬라이더(52)에 고정되는 각도조절용 모터(130)와, 각도조절용 모터(130)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 휠(124) 및 구동스프로킷 휠(124)과 피동스프로킷 휠(122)을 연결하는 체인(126)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가압판(102)에 설치된 클레비스부(104)(106)와 회동암(114)(116)은 억지끼움으로 결합하여 가압판(102)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연공정으로부터 워킹빔 콘베이어(20)에 열연코일(30)이 얹혀져서 밴드절단기(도시 않됨)가 위치된 곳으로 이송된 후 정지되어 열연코일(30)을 묶고 있던 밴드(도시 않됨)가 절단되면, 그 밴드절단기의 반대편에 위치된 왕복대(42) 위의 코일풀림 감지장치(50)가 작동되어 열연코 일(30) 선단부(32)의 풀림을 검출하게 된다.
즉, 왕복대(42) 위에 설치된 전후진용 실린더(54)의 피스톤로드(54a)가 열연코일(30)을 향해 전진되면, 이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완충기구(56)가 피스톤로드(54a)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함께 전진되면서 동시에 와이어(57)에 인장력이 작용되어 리니어스케일(58)의 가동자가 움직이게 된다.
이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기구(56)를 구성하고 있는 터치팁(56e)이 열연코일(30)에 접촉되는 순간 원통부(56b)와 함께 뒤로 밀리게 되며, 이때 원통부(56b)와 스프링시트부(56a) 사이에 위치되어 있던 완충스프링(56c)이 압축되면서 전후진용 실린더(54)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그리고, 리니어스케일(58)의 고정자에서는 가동자의 움직임량에 따른 길이가 검출되어 제어부(도시 않됨)의 입력포트로 전송되며, 전후진용 실린더(54)의 피스톤로드(54a) 선단에 설치된 완충기구(56)가 열연코일(30)에 접촉되면, 접촉저항에 의해 전후진용 실린더(54)가 멈추게 된다.
이때 만일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가 풀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리니어스케일(58)로부터 검출된 길이가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수치와 소정편차 이내인 것으로 판정되어 제어부는 현재위치에서 측정한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는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전후진용 실린더(54)를 초기위치로 후진시킨 다음 워킹빔 콘베이어(20)에 이송신호를 출력한 후 동작을 멈추고, 이 정상 열연코일(30)이 통과한 후 뒤에 오는 열연코일(30)의 풀림을 검출하기 위해 대기하게 된다.
위의 경우와는 다르게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가 풀려진 경우에는 리니어 스케일(58)로부터 검출된 길이가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수치와 소정편차를 벚어난 것으로 판정하여 제어부는 현재위치에서 측정한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가 풀려진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다시 열연코일(30)의 외경을 측정하기 위해 코일외경 측정장치(80)를 구동하게 되는데, 이 동작은 승강대(70)의 자유단(72)에 설치된 서보모터(86)가 정회전하게 되면, 이와 연동되는 회전너트(84)가 회전되면서 동시에 승강스크류(85)가 아래쪽으로 하강되고, 로터리인코더(87)에 의해 서보모터(86)의 회전수가 카운트된다.
이후 승강스크류(85)가 하강하여 그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터치센서(89)가 열연코일(30)의 상측 정점에 접촉되면, 로터리인코더(87)에 의해 카운트 된 데이터가 제어부의 임시 기억장소에 저장된 후 연산처리되어 열연코일(30)의 외경이 산출되고, 서보모터(86)가 역회전되어 승강스크류(85)가 상승되면서 열연코일(3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승강스크류(85)는 양측에 설치된 승강봉(83a)(83b)에 의해 직선안내되고, 승강스크류(85)와 승강봉(83a)(83b)은 승강판(88)에 의해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이후 제어부는 코일 선단위치 검출장치(90)를 구동하여 풀어진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 위치를 측정하게 되는데, 그 동작은 먼저 앞서 측정된 열연코일(30)의 외경에 따라 승강모터(6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피니언(66)과 랙(64)에 의해 승강대(70)가 상승 또는 하강된 후 정지되면, 클레비스 실린더(94) 의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면서 가동링크(92a)(92b)를 하방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가동링크(92a)(92b)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던 검출롤러(95)가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에 접촉되면, 마찰력에 의해 회동되어 이 검출롤러(95)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검출센서(96)에 의해 회전이 검출된다.
이 순간 제어부는 클레비스 실린더(94)를 멈추고 피스톤로드를 다시 축소시켜서 가동링크(92a)(92b)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그 다음 제어부는 코일외경 측정장치(80)에 의해 측정된 열연코일(30)의 직경에 맞도록 가압판(102)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슬라이더(52)에 설치되어 있는 각도조절용 모터(130)가 회전되면, 이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구동스프로킷 휠(124)과 체인(126) 그리고 피동스프로킷 휠(122)을 통해 회전축(120)으로 전달되면서 가압판(102)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암(114)(116)을 상하방향 소정각도로 회동시키게 되고, 가압판(102)은 회동암(114)(116)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위치결정된다.
이후 제어부는 직선운동기구(200)를 구성하고 있는 가압실린더(204)의 피스톤로드를 전진시켜 슬라이더(52)를 열연코일(30)이 위치된 곳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와 동시에 슬라이더(52)에 설치되어 있던 고정암(110)(112)과 회동암(114)(116) 그리고 가압판(102)이 열연코일(30)이 위치된 곳으로 이동되면서 결국 가압판(102)이 풀어져 있던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를 열연코일(30)에 밀착시키게 된다.
그 다음 제어부는 코일 지지기구(100)에 의해 풀어진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를 지지한 상태에서 워킹빔 콘베이어(20)에 이송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이송모터(46)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워킹빔 콘베이어(20)와 동일한 속도,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대(42)를 이송시키게 되며, 열연코일(30)이 결함제거기가 위치된 곳에 이르러 멈추게 되면, 다시 이송모터(46)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때 왕복대(42)는 베이스플레이트(41) 위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43)에 의해 직선안내되며, 이송스크류(44)에 의해 이송력을 받게 된다.
이후 제어부는 뒤를 잇는 열연코일(30)을 처음과 같이 선단부(32) 풀림을 검출한 다음 그 외경을 측정하고, 선단부 위치를 검출해 낸 후 풀려진 선단부(3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함제거기가 위치된 곳으로 지지한 채 이송된 후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리미트스위치(LS1)(LS2)는 왕복대(42)에 의해 터치 "ON"되면서 종단위치검출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열연코일의 선단부가 풀어진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압축코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합제거기가 위치된 곳까지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연코일의 풀림으로 인한 주변장치와의 간섭이나 열연코일의 찢어짐을 피할 수 있게 되며, 모든 동작이 기계에 의해 자동으로 감지된 후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명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거 있다.

Claims (5)

  1. 워킹빔 콘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는 열연코일(30)의 풀려진 부분을 지지한 채 밴드절단구간과 결함제거구간을 왕복운동하는 열연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킹빔 콘베이어(20)를 따라 평행하게 직선운동되면서 상기 밴드절단구간과 결함제거구간을 왕복운동하는 왕복대(42)를 갖는 왕복운동기구(40)와;
    상기 왕복대(42)에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풀림을 검출하기 위한 코일풀림 감지장치(50)와;
    상기 왕복대(42)에 설치되고, 열연코일(30)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더(52)를 갖는 직선운동기구(200)와;
    상기 슬라이더(52) 상에서 승강운동기구(6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되고, 그 자유단(72)이 열연코일(30)의 상부를 향해 뻗은 승강대(70)와;
    상기 승강대(70)의 자유단(72)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열연코일(30)의 외경을 측정하기 위한 코일외경 측정장치(80)와;
    상기 승강대(70)의 자유단(72)에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 위치를 검출해내기 위한 코일 선단위치 검출장치(90) 및;
    상기 슬라이더(52)에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풀려진 부분을 밀착시키기 위한 코일 지지기구(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풀림 방지용 유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풀림 감지장치(50)는 상기 왕복대(42)에 설치되어 상기 열연코일(30)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전후진용 실린더(54)와;
    상기 전후진용 실린더(54)에 의해 열연코일(3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그 열연코일(30)의 풀린 정도에 따라 길이가 축소되는 완충기구(56) 및;
    와이어(57)를 통해 상기 완충기구(56)의 선단에 연결되어 완충기구(56)의 축소길이를 검출하는 리니어스케일(5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외경 측정장치(80)는 상기 승강대(70)의 자유단(72)에 설치되는 고정판(81)과;
    상기 고정판(81)에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쉬(82a)(82b)와;
    상기 가이드부쉬(82a)(82b)에 미끄럼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운동되는 승강봉(83a)(83b)과;
    상기 고정판(81)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너트(84)와;
    상기 승강봉(83a)(83b)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회전너트(84)에 나사결합되는 승강스크류(85)와;
    상기 고정판(8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전너트(84)를 구동하기 위한 서보모터(86)와;
    상기 서보모터(86)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로터리인코더(87)와;
    상기 승강스크류(85)와 승강봉(83a)(83b) 하단에 설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승강판(88) 및;
    상기 승강판(88)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승강스크류(85)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외주면에 접하면 터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센서(8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선단위치 검출장치(90)는 상기 승강대(70)의 자유단(72)으로부터 앞쪽으로 평행하게 뻗은 복수의 고정링크(91a)(91b)와;
    상기 고정링크(91a)(91b)의 선단에 중간부위가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가동링크(92a)(92b)와;
    상기 가동링크(92a)(92b)의 중간 사이를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크로스바(93)와;
    상기 승강대(70)의 자유단(72)과 크로스바(93)에 각각 양단이 클레비스 이음되는 클레비스 실린더(94)와;
    상기 가동링크(92a)(92b)의 선단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열연코일(30)의 선단부(32) 접촉저항에 의해 회전되는 검출롤러(95) 및;
    상기 검출롤러(95)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 검출롤러(95)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검출센서(9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지지기구(100)는 열연코일(30)로부터 풀어진 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원호상의 가압판(102)과;
    상기 가압판(102)의 후면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클레비스부(104)(106)와;
    상기 슬라이더(52)로부터 열연코일(30)을 향해 평행하게 뻗은 복수의 고정암(110)(112)과;
    상기 고정암(110)(112)의 선단과 상기 클레비스부(104)(106)에 각각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복수의 회동암(114)(116)과;
    상기 회동암(114)(116)과 고정암(110)(112)의 연결부위를 가로질러서 회동암(114)(116)에 양단이 고정되고, 그 일측이 고정암(110)(11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120)과;
    상기 회전축(12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피동스프로킷 휠(122)과;
    상기 슬라이더(52)에 고정되는 각도조절용 모터(130)와;
    상기 각도조절용 모터(130)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 휠(124) 및;
    상기 구동스프로킷 휠(124)과 피동스프로킷 휠(122)을 연결하는 체인(1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
KR1020010083734A 2001-12-24 2001-12-24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 KR10054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734A KR100544614B1 (ko) 2001-12-24 2001-12-24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734A KR100544614B1 (ko) 2001-12-24 2001-12-24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744A KR20030053744A (ko) 2003-07-02
KR100544614B1 true KR100544614B1 (ko) 2006-01-24

Family

ID=3221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734A KR100544614B1 (ko) 2001-12-24 2001-12-24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4730B (zh) * 2016-07-20 2024-01-12 梁启明 一种医用导管的交替供料机构
KR101859938B1 (ko) * 2016-12-23 2018-05-23 주식회사 포스코 배치 소둔로의 코일 풀림 방지장치
CN108519069A (zh) * 2018-04-30 2018-09-11 浙江联宜电机有限公司 轴外形尺寸测量装置
CN117505971A (zh) * 2023-12-19 2024-02-06 河南开瑞铝业有限公司 一种铝卷生产用余料收集智能机器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2615A (ja) * 1988-11-22 1990-05-31 Sumikura Ind Co Ltd コイル端押え装置
JPH04260562A (ja) * 1991-02-15 1992-09-16 Sumikura Ind Co Ltd コイル端押え装置
KR970027412U (ko) * 1995-12-26 1997-07-24 코일 끝단부 자동 유도장치
KR19980042482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냉연강판 코일의 풀림 방지장치
JPH10263697A (ja) * 1997-03-21 1998-10-06 Nippon Steel Corp コイル先端位置決め装置
JP2000111336A (ja) * 1998-10-01 2000-04-18 Hitachi Ltd コイル先端位置・巻方向検出装置
KR200181432Y1 (ko) * 1999-11-19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크랩 코일 권취기의 코일 풀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2615A (ja) * 1988-11-22 1990-05-31 Sumikura Ind Co Ltd コイル端押え装置
JPH04260562A (ja) * 1991-02-15 1992-09-16 Sumikura Ind Co Ltd コイル端押え装置
KR970027412U (ko) * 1995-12-26 1997-07-24 코일 끝단부 자동 유도장치
KR19980042482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냉연강판 코일의 풀림 방지장치
JPH10263697A (ja) * 1997-03-21 1998-10-06 Nippon Steel Corp コイル先端位置決め装置
JP2000111336A (ja) * 1998-10-01 2000-04-18 Hitachi Ltd コイル先端位置・巻方向検出装置
KR200181432Y1 (ko) * 1999-11-19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크랩 코일 권취기의 코일 풀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744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8290B1 (en) A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40112719A1 (en) Extendable belt conveyor
US4773609A (en) Automatic reel loading system for winding apparatus
CN107052820A (zh) 热轧双层双金属复合卷材/板材精整生产线
US3753505A (en) Article roll-over device
KR100544614B1 (ko) 코일 선단부 풀림방지용 유도장치
CN207107856U (zh) 一种板材立体式存储机构
US3304824A (en) Bar handling and shearing machine
EP0215341B1 (en) A device for providing signature stacks with endboards and for the conveyance of said stacks in stackers for printing works and the like
EP079816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oad
CN207107956U (zh) 长条型材物料数控搬运装车机械
CN109702539B (zh) 一种自动排钻上料误差调节机构
CN112960162B (zh) 钢质环向缠绕气瓶的装箱装置及方法
CN212292199U (zh) 一种打卷机的摆臂装置
US3330175A (en) Moveably supported cut off saw
CN107030331A (zh) 热轧双层双金属复合卷材/板材开卷对中夹送切边机组
KR20040020664A (ko) 열연코일 내경 처짐 방지장치
CN111661696A (zh) 一种打卷机的摆臂装置
JP3816990B2 (ja) 鉄筋構造物製作設備
EP0640540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Stückgut auf parallel und drehbar gelagerten Rollen
CN219391169U (zh) 一种全自动测温取样系统
CN112793819B (zh) 一种防塌落环式缠绕机
CN108819305A (zh) 一种胎面翻面装置
CN219859282U (zh) 一种推送辊道装置
CN219296392U (zh) 一种侧滚轮输送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