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157B1 -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157B1
KR100544157B1 KR1020050095267A KR20050095267A KR100544157B1 KR 100544157 B1 KR100544157 B1 KR 100544157B1 KR 1020050095267 A KR1020050095267 A KR 1020050095267A KR 20050095267 A KR20050095267 A KR 20050095267A KR 100544157 B1 KR100544157 B1 KR 10054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inage
spiral
anchor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균영
김재선
최효재
Original Assignee
(주)수림건설
초석건설산업(주)
초석종합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림건설, 초석건설산업(주), 초석종합개발(주) filed Critical (주)수림건설
Priority to KR102005009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지의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에 있어서, 얇은 판재형상의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의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축(130)과, 상기 힌지축(130)을 매개로 절첩되는 한 쌍의 걸림구(150,160)와, 상기 걸림구(150,160)의 내측에 형성되어 양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40)로 구성되는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중의 간극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나선형 또는 일반형 유공 주름 배수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드레인 케이싱의 인발 공정에서 배수재의 공상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부실공사의 발생원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가 손쉽게 앵커 플레이트와 배수재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더욱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드레인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토를 차단함으로써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연약지반, 앵커, 플레이트,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 공상, 방지

Description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Anchor plate for spiral type hole bellows drain board}
도 1 - 본 발명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 - 본 발명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6 - 본 발명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 - 본 발명과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의 결합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10 - 본 발명과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의 밀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11 - 본 발명을 일반형 유공 주름 배수재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12 - 본 발명을 적용한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 1a: 일반형 유공 주름 배수재
2: 나선형 주름 배수관 2a: 일반형 주름 배수관
3: 유공(배수공) 4: 부직포
100: 본 발명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110: 플레이트 120: 지지대
130: 힌지축 140: 탄성부재
150,160: 걸림구 151,161: 걸림턱
A: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P.B.D) 시공장비
B: 드레인 케이싱
본 발명은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강화공사시 지중(地中)으로 관입하는 드레인 케이싱의 선단부 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드레인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토를 차단함으로써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드레인 케이싱의 인발 과정에서 배수재의 공상(따라 오름)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부실공사의 발생원인을 사전에 차단하여 시공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Plastic Board Drain: P.B.D) 공법은 연약지반을 강화하기 위해서 내부가 빈 파이프형태의 드레인 케이싱(B)에 투수성(透水性)을 갖는 배수재를 내부에 삽입시키고, 상기 배수재의 끝단에는 앵커 플레이트가 결속되도록 하여, 상기 드레인 케이싱을 지중으로 관입한 다음 앵커 플레이트와 배수재를 남기고 드레인 케이싱(B)을 인발함으로써 지중에 배수재를 매설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상기 배수재의 표면을 따라 지중의 간극수(間隙水)가 지상으로 서서히 배출되면서 연약지반이 강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공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드레인 케이싱의 인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수재의 공상 현상, 즉 따라 오름 현상을 최소화시키는 것으로, 만일 배수재의 따라 오름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규정 심도까지 배수재가 관입하지 못하므로, 결국 규정 심도 내의 간극수가 배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시공품질이 저하됨은 물론 이로 인해 부실시공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한편, 과거에는 시공이 편리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평면형상이 얇은 직사각형을 갖는 배수재를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연약지반의 특성 및 지중의 간극수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평면형상이 원형이며 외주연에 주름을 형성된 배수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외주연에 주름이 형성된 배수재의 따라 오름을 방지함은 물론 규정 심도 내에 배수재를 매설시키기 방안으로,
장방형상으로 된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에 일정길이의 지지대를 입설하고 이의 상단에 주름관의 요입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원판을 일체로 부착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53366호 "연약지반 탈수용 주름 배수관의 앵커 플레이트"와,
상면에 강관케이싱 하단부가 안착되는 원형의 케이싱 삽입홈이 형성된 판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케이싱 삽입홈 안쪽의 중앙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성형되며 원통형 외주면 전체 영역에 나선형 돌조가 형성된 수직지지대로 구성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08571호 "나선형 유공관 지지용 앵커 플레이트"가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주름관의 요입부에 원판이 끼워지도록 하여 지중에 앵커 플레이트를 매설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배수재와 앵커 플레이트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손으로 앵커 플레이트를 배수재의 내부로 강제적으로 밀어넣어야 하므로, 즉 결합과정에서 요입부와 원판과의 심한 마찰이 발생하여 작업의 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특히 배수재가 손상되거나 내부 지름이 늘어나게 되므로, 결국 배수재의 인발 과정에서 지중의 토압과 마찰저항으로 인해 배수재와 앵커 플레이트가 쉽게 분리되어 지중의 설계 심도 내에 배수재를 매설하지 못하게 되므로 배수재 의 따라 오름 현상으로 인한 연약지반의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외주면에 나선형 돌조가 형성된 수직지지대와 배수재가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써, 이 또한 작업자가 나선형 돌조와 배수재의 결합을 위해서는 한쪽 방향으로 돌려서 끼워넣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배수재의 외형이 변형되거나 내부에 이물질이 묻어있을 경우에는 결합작업이 불가능하였으며, 또 나선형 돌조가 형성된 수직지지대를 제작함에 있어서 압출 및 사출방식의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작비용이 가중되며, 특히 기존에 사용되던 일반형 유공관 배수재에는 적용할 수 없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로 인해 앵커 플레이트의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중의 간극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앵커 플레이트를 드레인 케이싱의 선단부와 긴밀한 밀착이 되도록 하여 드레인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토를 차단함으로써 연약지반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드레인 케이싱의 인발 공정시 배수재의 공상(따라 오름)현상을 최소화하여 부실공사의 발생원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100)는 공지의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에 있어서,
얇은 판재형상의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의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축(130)과, 상기 힌지축(130)을 매개로 절첩되는 한 쌍의 걸림구(150,160)와, 상기 걸림구(150,160)의 내측에 형성되어 양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110)는 드레인 케이싱(B)의 선단부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얇은 판재형상으로 드레인 케이싱(B)의 선단부에 맞닿아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1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지반의 특성 및 드레인 케이싱(B)의 구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레이트(110)의 평면형상은 사각, 육각, 팔각,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130)은 상기 걸림구(150,160)가 절첩되는 기준위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따라서 상기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걸림구(150,160)가 좌우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구(150,160)의 상부에는 서로 맞닿아 더 이상 절첩하지 못하도록 걸림턱(151,161)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서 걸림구(150,160)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절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걸림구(150,160)의 형성각도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나선형 및 일반형 유공 주름 배수재(1,1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에 하향 되도록 일정각도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을 전달받은 걸림구(150,160)가 상기 걸림턱(151,161)에 의해서 일정각도 이상 절첩되지 못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나선형 및 일반형 유공 주름 배수재(1,1a)와의 결합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상부방향으로 밀게 되면 이때 상기 걸림구(150,160)는 내측 방향으로 절첩되면서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구(150,1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30)을 매개로 내측 방향으로 절첩되므로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나선형 및 일반형 유공 주름 배수재(1,1a)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선형 및 일반형 유공 주름 배수재(1,1a)와의 결합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서 걸림구(150,160)가 나선형 및 일반형 주름 배수관(2,2a)의 내측면에 끼워지며, 이로 인해 보다 견고한 결합은 물론 이탈을 방 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결국 드레인 케이싱의 인발 공정에서 배수재의 공상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부실공사의 발생원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주름 배수관(2)과의 결합과정에서 작업자가 본 발명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100)를 나선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서로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드레인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걸림구(150,160)를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때 탄성부재(140)의 형상 및 구조(종류)는 당업자라면 이를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1) 뿐만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형 유공 주름 배수재(1a)에 적용할 수 있는 활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지중의 간극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나선형 또는 일반형 유 공 주름 배수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드레인 케이싱의 인발 공정에서 배수재의 공상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부실공사의 발생원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가 손쉽게 앵커 플레이트와 배수재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더욱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드레인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토를 차단함으로써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공지의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에 있어서,
    얇은 판재형상의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의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축(130)과, 상기 힌지축(130)을 매개로 절첩되는 한 쌍의 걸림구(150,160)와, 상기 걸림구(150,160)의 내측에 형성되어 양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4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150,160)의 상부에는 서로 맞닿아 상부방향으로 더 이상 절첩되지 못하도록 걸림턱(151,161)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0)의 평면형상은 사각, 육각, 팔각,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KR1020050095267A 2005-10-11 2005-10-11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KR100544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267A KR100544157B1 (ko) 2005-10-11 2005-10-11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267A KR100544157B1 (ko) 2005-10-11 2005-10-11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4157B1 true KR100544157B1 (ko) 2006-01-23

Family

ID=3717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267A KR100544157B1 (ko) 2005-10-11 2005-10-11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1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626B1 (ko) 2005-10-24 2007-04-30 (주)성한이노텍 연약지반 배수관용 앵커 플레이트
KR100749119B1 (ko) 2006-09-12 2007-08-13 주식회사 도담이앤씨 연약지반 개량용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장치
KR101420844B1 (ko) * 2012-02-22 2014-07-17 강명석 말뚝의 보강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626B1 (ko) 2005-10-24 2007-04-30 (주)성한이노텍 연약지반 배수관용 앵커 플레이트
KR100749119B1 (ko) 2006-09-12 2007-08-13 주식회사 도담이앤씨 연약지반 개량용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장치
KR101420844B1 (ko) * 2012-02-22 2014-07-17 강명석 말뚝의 보강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4157B1 (ko)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KR102291165B1 (ko)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KR100574640B1 (ko)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KR100587884B1 (ko)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KR200451088Y1 (ko) 배수용 유공 측구
KR200380763Y1 (ko) 교차 철근 결합용 크로스 클램프
JP3567326B2 (ja) U字溝
JPH0745637Y2 (ja) 擁壁の水抜きパイプ用フィルター
JPH01223229A (ja) 排水装置
KR102624945B1 (ko) 배수트랩
KR100676956B1 (ko) 나선형 유공관 지지용 앵커플레이트
KR200381763Y1 (ko)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KR200298296Y1 (ko)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KR101795158B1 (ko) 맨홀 뚜껑의 악취 방지 마개
JP7461681B1 (ja) 水封トラップ
JP5580141B2 (ja) 排水材
JP5089404B2 (ja) 水抜き栓
KR200380224Y1 (ko) 악취차단용 패킹
KR102453350B1 (ko) 세면대용 배수관 어셈블리
JP2006016875A (ja) 面状排水材
JP3116934U (ja) 外壁乗越え防止用忍返し
KR20080002978U (ko) 우수관용 악취 차단장치
KR100377636B1 (ko)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37852Y1 (ko) 건설공사용 배수재
JP4433965B2 (ja) 筒状部材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