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763Y1 -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 Google Patents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763Y1
KR200381763Y1 KR20-2005-0001560U KR20050001560U KR200381763Y1 KR 200381763 Y1 KR200381763 Y1 KR 200381763Y1 KR 20050001560 U KR20050001560 U KR 20050001560U KR 200381763 Y1 KR200381763 Y1 KR 200381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water
sleeve structure
water pi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민희
Original Assignee
맹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민희 filed Critical 맹민희
Priority to KR20-2005-0001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수관의 보수 또는 시공과정에서 단차를 갖는 양측의 도수관의 연결작업시 보다 효율적인 설치가 이루어지고, 특히 도수관의 내벽에 밀착 설치를 위한 확장이 이루어진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한 역방향 수축동작이 안정적으로 방지되어짐으로서 시공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게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탄성판재가 원형으로 권취된 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양측 단부의 일부분이 상호 중첩되어지도록 구비되는 상.하수관 연결 슬리브(100)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중첩이 이루어지는 판재의 일측면에는 일정 간격(d,D)으로 다수의 체결홀(102,10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체결홀(102,102')과 대응되어지는 판재의 타측단부에는 스토퍼(103)가 돌출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CONNECT SLEEVE STRUCTURE FOR WATER PIPE}
본 고안은 상.하수관 연결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 시공되어지는 상.하수관의 보수 또는 연결 시공시 도관간의 단차 발생시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슬리브의 효율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슬리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 사회는 급속한 대도시의 인구증가로 상하구관이 지하에 거미줄처럼 연결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많은 상하수관이 도로마다 매설되어 있어 도로공사중에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관이 파손되어 부분적으로 보수를 행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새로운 상하수관을 매설할 경우 복잡한 매설물이나 지형적인 상황에 따라 연결해야할 도수관이 서로 수평방향의 위치 또는 수직방향의 높이에 따른 단차를 가지고 있어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지보강 슬리브를 사용하여 도수관을 연결시키는 기술이 수행되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지지보강 슬리브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탄성판재를 권취시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하고, 중첩되는 한 탄성판재의 중간에 다수의 구멍(30)을 띠모양으로 형성하였으며, 중첩되는 다른 판재에 상기 구멍들(30)에 결합할 수 있는 돌기(40)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슬리브를 도수관의 입구부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튜브관과 같이 공기 급송에 의해 팽창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압압지지기구를 위치시키고 공기주입을 통해 팽창시키게 되면 지지보강 슬리브가 확장되어지면서 돌기(40)가 구멍(30)에 끼워지게 되어 구멍(30)의 끝단에 돌기(40)가 걸려 단계적으로 역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지지보강슬리브의 역방향 이동 방지 구조는 지지보강슬리브의 확장 시에 돌기(40)가 끼워지는 각 구멍(30) 위치의 변화가 용이하지 않고, 지지보강슬리브의 최대 확장 시에 돌기(40)가 구멍(30)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풀리는 단점을 갖고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 슬리브 구조체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특허 출원번호 제2004-87863호 및 국내실용신안 제2004-31048호에는 슬리브 판재의 양 모서리에 다수의 톱니형상을 형성하여 힌지를 결합시킴으로서 슬리브의 확장이 용이하고, 최대 확장시 역방향 이동이 방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개선된 슬리브 구조체의 실제 설치 시공시 모래나 흙 등의 이물질이 톱니 사이에 유입됨으로서 슬리브의 정상적인 확장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슬리브 구조체의 구조적 변경을 통해 도수관의 연결작업시 슬리브 확장에 따른 위치가변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견고한 결합상태 유지를 통한 역방향 수축동작이 효율적으로 방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탄성판재가 원형으로 권취된 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양측 단부의 일부분이 상호 중첩되어지도록 구비되는 상.하수관 연결용 슬리브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중첩이 이루어지는 판재의 일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체결홀과 대응되어지는 판재의 타측단부에는 스토퍼가 돌출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 연결용 슬리브의 외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슬리브의 중첩 권취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슬리브의 체결홀 형태를 실시예로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고안 슬리브의 시공 설치시 상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슬리브(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소정 폭으로 재단된 탄성의 판재를 일부가 중첩되도록 원형의 형태로 권취성형시킴에 있어, 상기 중첩이 이루어지는 판재의 일측면에는 일정 간격(d,D)으로 다수의 체결홀(102)을 권취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시켰으며, 체결홀(102)과 대응되어지는 판재의 타측단부에는 스토퍼(103)를 돌출 구비하였다.
상기 각각의 체결홀(102)은 레이저광선을 이용하여 절단후 펀칭작업을 통해 체결홀(102)이 형성되어지게 되며, 체결홀(102) 형성에 따른 가이드커버(102a)가 도 4의 단면도에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체결홀(102)의 형상의 실시예를 도 5에 나타내었는데, 도 5a에서와 같이 타원의 형태로 체결홀(102)을 형성시킨 경우 홀간 간격(D)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게되는데, 그 비교예로 도 5b에서와 같이 삼각형의 형태로 체결홀(102')을 형성시켰을 때의 간격(d)보다 작게할 수 있게 되어(D < d), 스토퍼가 체결홀에 체결시 체결이 보다 용이하며 또한 체결홀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된 스토퍼를 감싸는 면적이 보다 넓어져서 체결 풀림현상을 방지 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탄성 판재의 양측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경사면을 이루며 절곡 구비되어진 절곡날개부(104)를 형성시킴으로서 탄성력에 의해 도수관(200)에 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하였다.
그리고, 연결 슬리브(100)의 권취상태에서 수축 및 확장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그루브홈(101)이 권취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되어있는데, 이 그루브홈(101)은 내측면에 형성되어진 것으로서 이를 외측면에서 보면 돌출된 그루브돌기(101')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중첩부위에서 접촉면간에 상호 맞물려 끼워진 형태를 이룰 수 있게된다.
이와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고안 연결 슬리브(100)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6에서와 같이 본 고안 연결 슬리브(100)가 설치되게 될 콘크리트 또는 PVC 도수관(200)의 입구측에 연결용 주름관(130)을 설치하고, 그 아래에는 밀착을 위해 합성수지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기밀층(120)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슬리브(100)를 최대한 수축시켜 내측의 해당 위치에 배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연결 슬리브(100) 내측에는 공기의 급송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는 고무와 같은 탄성의 튜브체인 압압팽창 지지구(110)를 배치한다.
이와같이 주름관(130) 및 연결 슬리브(100)의 가체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압입팽창 지지구(110)에 공기를 주입하여 서서히 팽창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이러한 팽창압력에 의해 연결 슬리브(100)가 점차 반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확장되어지게 된다.
즉, 탄성판체가 원형으로 권취됨으로서 외측면의 그루브홈(101)과 대응위치의 내측면에 형성된 그루브돌기(101')가 상호 맞물려진 상태로 안내되는 가운데 확장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따라 일정 간격(d)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체결홀(102)중 가장 내측위치에 끼워져 체결되어져 있던 스토퍼(103)는 확장동작에 따라 점차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최대로 확장이 이루어진 위치에서 체결홀(102)에 체결되어 연결 슬리브(100)가 더이상 역방향으로 수축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연결 슬리브(100)의 원주 확장은 탄성의 튜브체인 압압팽창지지구(101)의 팽창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팽창동작은 연결 슬리브(100)가 콘크리트 또는 PVC 도수관(200), 주름관(130) 및 기밀층(120)에 완전 밀착될 때 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 밀착이 이루어진 연결 슬리브(100)는 소정의 외측 경사각을 이루고 있는 절곡날개부(104)의 탄성력으로 인해 도수관(200) 내벽측으로의 밀착력이 더욱 증대되어질 수 있게된다.
따라서, 상.하수관의 보수 또는 시공시 단차를 갖고있는 도수관(200)간의 연결작업을 위해 본 고안의 연결 슬리브(100)를 이용하는 경우, 슬리브 일측단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03)가 가변가능하도록 다수가 2열로 형성된 체결홀(102)에 견고하게 삽입 결합됨으로 확장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역방향 수축이 안정적으로 방지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도수관 연결 슬리브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토퍼가 체결되어지는 체결홀을 2열로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슬리브의 폭을 넓게 제작하는 경우에는 3열 이상으로 구비시킬수도 있게된다.
또한, 체결홀의 형상 역시 도 5에 도시된 타원형이나 삼각형 외에 다양한 기아학적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연결슬리브는, 상하수관의 보수 또는 시공과정에서 단차를 갖는 양측의 도수관의 연결작업시 보다 효율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도수관의 내벽에 밀착 설치를 위한 확장이 이루어진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한 역방향 수축동작이 안정적으로 방지되어짐으로서 시공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원의 형태로 체결홀을 형성시킨 구조로 인해 홀간 간격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 스토퍼가 체결홀에 체결시 체결이 보다 용이하며, 또한 체결된 스토퍼를 감싸는 면적이 보다 넓어져서 체결 풀림현상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판재의 절곡날개부 구조에 의해 도수관 내벽면에의 밀착력이 한층 증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수관 연결용 슬리브의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 연결 슬리브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연결 슬리브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 슬리브에 형성된 체결홀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5a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상태도.
5b는 삼각형으로 형성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연결 슬리브의 도수관 장착상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결 슬리브 101 : 그루브홈
101': 그루브돌기 102 : 체결홀
103 : 스토퍼 104 : 절곡날개부
110 : 압압팽창 지지구 120 : 기밀층
130 : 주름관 200 : 도수관

Claims (4)

  1. 탄성판재가 원형으로 권취된 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양측 단부의 일부분이 상호 중첩되어지도록 구비되는 상.하수관 연결 슬리브(100)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중첩이 이루어지는 판재의 일단측 면상에는 일정 간격(d,D)으로 다수의 체결홀(102,10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체결홀(102,102')과 대응되어지는 판재의 타단부에는 스토퍼(103)가 돌출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판재의 양측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경사면을 이루며 절곡 구비되어진 절곡날개부(104)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102,102')은 권취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102)은 타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KR20-2005-0001560U 2005-01-18 2005-01-18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KR200381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60U KR200381763Y1 (ko) 2005-01-18 2005-01-18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60U KR200381763Y1 (ko) 2005-01-18 2005-01-18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763Y1 true KR200381763Y1 (ko) 2005-04-18

Family

ID=4368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560U KR200381763Y1 (ko) 2005-01-18 2005-01-18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7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52B1 (ko) * 2007-09-18 2009-07-10 주원섭 관 이음구 및 그 시공방법
KR100981192B1 (ko) * 2009-03-05 2010-09-10 주원섭 관 이음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52B1 (ko) * 2007-09-18 2009-07-10 주원섭 관 이음구 및 그 시공방법
KR100981192B1 (ko) * 2009-03-05 2010-09-10 주원섭 관 이음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167B1 (ko) 나선형 튜우브의 밀폐형성 방법 및 이를 형성하는 스트립
US9879804B2 (en) Duct coupler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5965754B2 (ja) スパイラル巻き管形成用の帯状体及びスパイラル巻き管を用いた管更生工法
KR100651635B1 (ko) 프리 캐스트 박스 암거
KR10196383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US7306264B2 (en) Pipe having a water-tight in-line bell
JP2008546964A (ja) パイプラインにおける、又は、パイプラインに関する改良及びその設置法
KR200381763Y1 (ko)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KR20090040021A (ko) 중공 콘크리트 파일 두부 보강용 캡
JP5735808B2 (ja) 竪樋用継手及びそれを用いた雨樋構造
KR101451380B1 (ko) 내부가 보강된 이중벽체 나선관
JP5567312B2 (ja) 螺旋管の補強用部材
JPH06143420A (ja) 既設管ライニング用帯状体
KR100621651B1 (ko) 관로의 비굴착 보수부재
JP5703093B2 (ja) プロファイル
JP3779037B2 (ja) 既設管ライニング用帯状体
KR200406562Y1 (ko)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KR19990085346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KR100612955B1 (ko) 상·하수관의 보수 또는 연결용 지지보강슬리브
JPH1018396A (ja) 暗渠の継手
JP6192949B2 (ja) 溝渠連結体の設置方法及び溝渠連結体
JP5772658B2 (ja) ハット型鋼矢板およびハット型鋼矢板を用いた構造体
JP4833607B2 (ja) 補修用被覆体
JP2989544B2 (ja) 暗渠用内面平滑可撓継手
KR200437221Y1 (ko) 네일 장착용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