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119B1 - 연약지반 개량용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개량용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119B1
KR100749119B1 KR1020060088171A KR20060088171A KR100749119B1 KR 100749119 B1 KR100749119 B1 KR 100749119B1 KR 1020060088171 A KR1020060088171 A KR 1020060088171A KR 20060088171 A KR20060088171 A KR 20060088171A KR 100749119 B1 KR100749119 B1 KR 10074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hinge
plates
determi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재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담이앤씨
이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담이앤씨, 이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담이앤씨
Priority to KR1020060088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공사시 지중으로 관입되는 페이퍼 드레인 보드 선단부의 지중(地中) 정착이 공고히 이루어져 드레인 케이싱을 뽑아 올릴 때 정착장치가 딸려 올라가는 현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시공시 해수와 이토가 드레인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평을 이루는 사각판형의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적어도 둘이상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최소 직각 이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지중에 정착시 외측으로 더 펼쳐지게 되는 정착날개판;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가 제공된다.
연약지반, 처리,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

Description

연약지반 개량용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장치{Device for settling down paper drain board for improvement the weak groun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힌지의 구조예를 보여주는 참고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5실시예에 적용되는 힌지의 구조예를 보여주는 참고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메인플레이트 2:힌지
3:정착날개판 4:정착판
5:실린더바디 6:실린더로드
7:힌지브라켓 8:제1링크
9:제2링크 10:고정부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용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공사시 지중으로 관입되는 페이퍼 드레인 보드의 선단부 지중 정착이 공고히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시공시 해수와 이토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를 목적으로 하는 연약지반 처리 공법으로는 페이퍼 드레인 보드 공법과 샌드 드레인 공법이 있다.
이중에서 페이퍼 드레인 보드(paper drain board) 공법의 장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께지가 공장생산품이므로 품질이 균일하여 배수(drain)효과가 일정하다.
둘째, 재료의 구입이 용이하며, 무게가 가볍고 운반취급이 용이하다
셋째, 타설기가 가볍고 샌드 드레인의 시공이 불가능한 초연약지반까지 시공이 가능하다.
넷째, 지중에서 단면이 불균일하게 되지 않고 샌드 드레인보다 시공관리가 간단하며 시공속도가 빠르다.
다섯째, 샌드 드레인 공법에 비하여 공사비가 아주 저렴하며, 샌드 드레인 공법에 비하여 교란영역, 배수재 및 샌드심 절단 가능성이 적다.
상기한 장점들에 덧붙여, 페이퍼 드레인 보드 공법은 국내 시공사례 및 경험이 풍부하고, 시공 장비가 가볍다(약 3~4t)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페이퍼 드레인 보드 공법은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공법이라고도 하는데,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해서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드레인 케이싱에 투수성(透水性)을 갖는 페이퍼 드레인 보드를 삽입하고, 상기 페이퍼 드레인 보드의 끝단에는 정착장치가 결속되도록 하여, 상기 드레인 케이싱을 지중(地中)으로 관입시킨 다음, 정착장치와 페이퍼 드레인 보드만 지중에 남기고 드레인 케이싱을 빼냄으로서 지중에 남은 페이퍼 드레인 보드를 통해 연약지반 내에 함유된 간극수가 배출되어 지반이 강화되도록 한 것이다.
이 공법을 이용하여 시공시 발생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드레인 케이싱과 정착장치와의 밀착 상태가 좋지 않아, 드레인 케이싱 관입시에 상기 드레인 케이싱 내부로 이토(泥土 ; 흙이나 펄 또는 토사를 총칭한다)와 해수등이 유입되어 시공성이 저하되는 것과, 페이퍼 드레인 보드가 설계된 깊이까지 위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다.
이러한 시공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는 있기는 하나, 현재까지는 통상 금속재질로 된 드레인 케이싱과 정착장치의 재질 특성상 상기한 두 요소간의 밀착 상태가 긴밀하게 유지되지 못하며, 다른 방법으로 밀착 상태를 개선하게 되면 드레인 케이싱을 빼내는 과정에서 드레인 케이싱과 정착장치와의 분리가 원활하지 못해 정착장치가 따라 올라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등, 작업 효율의 저하가 야기될 뿐만 아니라 시공 품질의 저하도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공사시 지중으로 관입되는 페이퍼 드레인 보드 선단부의 지중 정착이 공고히 이루어져 드레인 케이싱을 뽑아 올릴 때 정착장치가 딸려 올라가는 현상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시공시 해수와 이토가 드레인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르면, 수평을 이루는 사각판형의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각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최소 직각 이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지중에 정착시 외측으로 더 펼쳐지게 되는 정착날개판;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르면, 수평을 이루는 사각판형의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중 마주보는 두 개의 메인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최소 직각 이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지중에 정착시 외측으로 더 펼쳐지게 되는 정착날개판;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형태에 따르면, 수평을 이루는 사각판형의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적어도 둘이상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최소 직각 이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지중에 정착시 외측으로 더 펼쳐지게 되는 정착날개판과; 상기 두 정착날개판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형태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V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정착판과; 상기 두 정착판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두 정착판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형태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V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되 소정의 사이각을 갖는 두 개의 정착판 과; 상기 두 정착판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각 힌지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두 정착판 내측방향으로 접어지거나 외측으로 펴지게 되는 정착날개판과; 상기 두 정착날개판 상단부의 최소 거리 및 최대 거리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는, 수평을 이루는 사각판형의 메인플레이트(1)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의 각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힌지(2)와; 상기 힌지(2)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메인플레이트(1)에 대해 최소 직각 이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지중에 정착시 외측으로 더 펼쳐지게 되는 정착날개판(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힌지(2)는 마주보는 두 쌍의 정착날개판(3)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하단부 사이의 거리에 비해 멀거나 최소한 같은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힌지(2)는 정착날개판의 회동각(α)이 0 ~ 90도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제작되되, 도 1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날개판(3)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내측으로는 기울지 않도록 스톱퍼(2a)를 갖는 구조로 제작된다(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메인플레이트(1)의 면 중앙부에는 페이퍼 드레인 보드(미도시)를 결속하기 위한 고정부(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1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정착장치는, 메인플레이트(1)의 각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된 정착날개판(3)의 회동각(α)이 최대 90도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 펼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드레인 케이싱(미도시)이 지중으로 관입될 때에는 각 정착날개판(3)이 상기 드레인 케이싱 쪽으로 접히면서 땅속을 꿰뚫고 들어가게 되므로 정착장치의 기울어짐 현상이나 이토 및 해수의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드레인 케이싱의 지중 관입시와는 달리, 드레인 케이싱을 뽑아 올리는 경우에는 4개의 정착날개판(3)이 각각 지반쪽으로 펼쳐지면서 닻(anchor)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됨으로 인해 정착장치가 드레인 케이싱을 따라 올라가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페이퍼 드레인 보드 시공에 있어서, 드레인 케이싱의 지중 관입시에는 정착날개판(3)이 접히면서 정착장치의 기울어짐이 방지됨과 더불어 이토 및 해수 유입이 최소화되고, 드레인 케이싱을 뽑아 올림에 있어서는 정착날개판(3)이 펴져서 정착력을 강화시키게 되므로, 부실공사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실시예2]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는, 수평을 이루는 사각판형의 메인플레이트(1)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힌지(2)와; 상기 힌지(2)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메인플레이트(1)에 대해 최소 직각 이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지중에 정착시 외측으로 더 펼쳐지게 되는 정착날개판(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힌지(2)는 상기 두 정착날개판(3)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하단부 사이의 거리에 비해 멀거나 최소한 같은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힌지(2)는 정착날개판(3)의 회동각(α)이 0 ~ 90도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제작되되, 도 2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날개판(3)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내측으로는 기울지 않도록 스톱퍼(2a)를 갖는 구조로 제작된다(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메인플레이트(1)의 면 중앙부에는 페이퍼 드레인 보드(미도시)를 결속하기 위한 고정부(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2에 따른 본 발명 역시, 실시예1에서와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즉,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페이퍼 드레인 보드 시공에 있어서, 드레인 케이싱의 지중 관입시에는 정착날개판(3)이 접히면서 정착장치의 기울어짐이 방지됨과 더불어 이토 및 해수 유입이 최소화되고, 드레인 케이싱을 뽑아 올림에 있어서는 마주보는 정착날개판(3)이 각각 펴져서 지중에 견고히 정착되어 정착력을 강화시키게 되므로, 부실공사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는 정착날개판(3)의 갯수가 2개로서 전술한 실시예1에 비해 줄어들어 정착면적이 줄어든 형태이나, 정착력 및 효과면에 있어서는 충분히 유효하며, 실시예1에 비해 정착력은 상대적으로 줄어드나 정착장치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 및 비용이 절감되고 정착장치의 무게가 줄어듦에 따라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잇점이 있다.
[실시예3]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는, 수평을 이루는 사각판형의 메인플레이트(1)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의 적어도 둘이상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힌지(2)와; 상기 힌지(2)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메인플레이트(1)에 대해 최소 직각 이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지중에 정착시 외측으로 더 펼쳐지게 되는 정착날개판(3)과; 상기 두 정착날개판(3)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展開角) 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일측 정착날개판(3)에 일단이 고정되되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바디(5)와, 타측 정착날개판(3)에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상 기 실린더바디(5) 내측에 타측이 끼워져 상기 실린더바디(5)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실린더로드(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양측 정착날개판(3)의 면상에는 실린더바디(5)와 실린더로드(6)에 연결되는 힌지브라켓(7)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전개각 결정수단을 구성하는 실린더바디(5) 및 실린더로더(6)는, 상기 두 정착날개판(3)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하단부 사이의 거리에 비해 멀거나 최소한 동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힌지(2)는, 전술한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힌지(2)와 같이 내측으로의 회동을 방지하는 스톱퍼(2a)를 두는 구조도 적용가능하나, 내측 사이각의 제한없이 회동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이는, 전개각 결정수단에 의해 정착날개판(3)의 접어짐과 펼쳐짐에 있어서의 각도 범위가 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일측 정착날개판(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8)와, 타측 정착날개판(3)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타단은 상기 제1링크(8)에 연결되는 제2링크(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3에 따른 본 발명 역시, 기본적으로는 실시예1 및 실시예2에 따른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즉,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페이퍼 드레인 보드 시공에 있어서, 드레인 케이싱의 지중 관입시에는 정착날개판(3)이 접히면서 정착장치의 기울어짐이 방지됨과 더불어 이토 및 해수 유입이 최소화되고, 드레인 케이싱을 뽑아 올림에 있어서는 마주보는 정착날개판(3)이 각각 펴져서 닻 역할을 하여 정착력을 강화시키게 되므로, 부실공사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역시, 정착날개판(3) 수가 2개로서 실시예1에 비해 줄어들어 정착면적이 줄어든 형태이나, 정착력 및 효과면에 있어서는 충분히 유효하며, 오히려 정착장치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 및 비용이 절감되고 정착장치의 무게가 줄어듦에 따라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두 정착날개판(3)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가 전개각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지어진다.
즉, 힌지(2)가 360도 자유회전 가능한 구조라 하더라도,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구성하는 실린더바디(5)와 실린더로드(6)의 전체 길이 변화에 의해 두 정착날개판(3)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가 전개각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지어지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4]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V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정착판(4)과; 상기 두 정착판(4)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힌지(2)와; 상기 두 정착판(4)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이때,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일측 정착판(4)에 일단이 고정되되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바디(5)와, 타측 정착판(4)에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바디(5) 내측에 타측이 끼워져 상기 실린더바디(5)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실린더로드(6)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양측 정착판(4)의 면상에는 실린더바디(5)와 실린더로드(6)에 연결되는 힌지브라켓(7)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힌지(2) 역시, 앞서 설명한 실시예3에서와 마찬가지로 내측 사이각의 제한없이 회동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3에서와 마찬가지로 전개각 결정수단에 의해 정착판(4)의 접히고 펼쳐짐에 있어서의 각도가 정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페이퍼 드레인 보드(미도시)를 정착장치에 결속하기 위한 고정부(10)는 힌지(2)상에 일체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일측 정착판(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8)와, 타측 정착판(4)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타단은 상기 제1링크(8)에 연결되는 제2링크(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4에 따른 본 발명 역시, 기본적으로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따른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즉,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페이퍼 드레인 보드 시공에 있어서, 드레인 케이싱의 지중 관입시에는 정착판(4)이 접히면서 정착장치의 기울어짐이 방지됨과 더불어 이토 및 해수 유입이 최소화되고, 드레인 케이싱을 뽑아 올림에 있어서는 마주 보는 정착판(4)이 각각 펴져서 닻 역할을 함으로써 정착력을 강화시키게 되므로, 부실공사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는, 정착판(4)이 V자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인해 드레인 케이싱의 관입시에 상기 정착판(4)의 쐐기 작용에 의해 지중의 원하는 위치로의 관입 작용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정착장치 역시, 정착판(4)이 2개로서 정착면적이 줄어든 형태이나, 정착력 및 효과면에 있어서는 충분히 유효하며, 오히려 정착장치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 및 비용이 절감되고 정착장치의 무게가 줄어듦에 따라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두 정착판(4)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가 전개각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지어진다.
즉, 힌지(2)가 360도 자유회전 가능한 구조라 하더라도,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구성하는 실린더바디(5)와 실린더로드(6)의 전체 길이 변화에 의해 두 정착판(4)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가 결정지어지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5]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힌지의 구조예를 나타낸 참고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 어 V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되 소정의 사이각을 갖는 두 개의 정착판(4)과; 상기 두 정착판(4)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힌지(2)와; 상기 각 힌지(2)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두 정착판(4) 내측방향으로 접어지거나 외측으로 펴지게 되는 정착날개판(3)과; 상기 두 정착날개판(3) 상단부의 최소 거리 및 최대 거리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접히는 방향(즉, 내측방향)으로의 정착날개판(3)의 회동을 제한하는 접힘제한수단과, 펼쳐지는 방향(즉, 외측방향)으로의 정착날개판(3)의 회동을 제한하는 펼침제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접힘제한수단은, 상기 두 정착날개판(3)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하단부 사이의 거리에 비해 멀거나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힌지(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힌지(2)는 정착날개판이 수직선상 내측으로 접어지지 않도록 스톱퍼(2a)를 갖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힌지(2) 구조는 정착날개판(3)의 일 방향(즉, 두 정착날개판(3)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회동에 대해서는 스톱퍼(2a)를 두어 정해진 위치를 넘어서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구조이므로, 두 정착날개판(3)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는 하단부 사이의 거리에 비해 멀거나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펼침제한수단은, 일측 정착날개판(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8)와, 타측 정착날개판(3)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타단은 상기 제1링크(8)에 연결되는 제2링크(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양측 정착날개판(3)의 면상에는 각 링크의 회동을 위한 힌지브라켓(7)이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일측 정착날개판(3)에 일단이 고정되되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바디(5)와, 타측 정착날개판(3)에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바디(5) 내측에 타측이 끼워져 상기 실린더바디(5)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실린더로드(6)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실시예4에 제시된 구조의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5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명 역시, 기본적으로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에 따른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즉,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페이퍼 드레인 보드 시공에 있어서, 드레인 케이싱의 지중 관입시에는 정착날개판(3)이 접히면서 정착장치의 기울어짐이 방지됨과 더불어 이토 및 해수 유입이 최소화되고, 드레인 케이싱을 뽑아 올림에 있어서는 마주보는 정착날개판(3)이 각각 펴져서 닻 역할을 함으로써 지반에 대한 정착장치의 정착력을 강화시키게 되므로, 부실공사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는, 정착판(4)이 V자형이므로 드레인 케이싱 관입시에는 상기 정착판(4)의 쐐기 작용에 의해 지중의 원하는 위치로의 관입 작용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게 되고, 드레인 케이싱을 뽑아 올릴 때에는 마주보는 정착날개판(3)이 펼쳐져서 지반에 대한 정착장치의 정착력을 강화시키는 등, 시공 상의 작업효율 및 시공품질이 극대화되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실시예에서는 두 정착날개판(3)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가 전개각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지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구성하는 실린더바디(5)와 실린더로드(6)의 전체 길이 변화에 의해 두 정착날개판(3) 사이의 최대 펼침 각도가 결정되고, 힌지(2)에 의해 두 정착날개판(3)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접힘 각도가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경, 변형,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3 내지 실시예5에서는 전개각 결정수단은 하나가 아닌 둘이 설치된 경우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이 2개가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만 중앙부에 설치되고, 대신 고정부(10)가 전개각 결정수단과 간섭되지 않도록 그 좌우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요컨대, 고정부(10)와 전개각 결정수단의 간섭이 있을 경우에는, 고정부(10)나 전개각 결정수단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3 및 실시예5에 있어서의 상기 접힘제한수단 및 펼침제한수단은 하나의 구성요소 만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 즉, 접힘제한수단 및 펼침제 한수단은 힌지(2)만으로도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힌지(2) 구조가 정착날개판(3)의 양 방향(즉, 두 정착날개판(3)이 가까워지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회동에 대해서는 두 개의 스톱퍼(2a, 2b)에 의해 각 회전 방향에 대해 정해진 위치를 넘어서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구조(도 6 참조)를 취하게 될 경우, 힌지만으로도 접힘 각도 및 펼침 각도의 제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2)에 스톱퍼가 형성되는 대신, 실시예에 따라 메인플레이트(1)나 정착날개판(3) 또는 정착판(4) 상에 내측이나 외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동시 서로 간섭됨으로써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돌출편 형태의 스톱퍼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메인플레이트나, 정착판, 정착날개판은 지중으로 의 매설시 휨이나 변형이 없을 정도로 견고한 강성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충분한 두께를 갖는 철판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르면,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공사시 지중으로 관입되는 페이퍼 드레인 보드 선단부의 지중 정착이 공고히 이루어져 드레인 케이싱을 뽑아 올릴 때 정착장치가 딸려 올라가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퍼 드레인 보드 시공시 해수와 이토가 드레인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12)

  1. 수평을 이루는 사각판형의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적어도 둘이상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최소 직각 이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지중에 정착시 외측으로 더 펼쳐지게 되는 정착날개판;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는,
    상기 정착날개판의 접힘 및 펼침 방향에 대해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
  2. 삭제
  3. 수평을 이루는 사각판형의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적어도 둘이상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최소 직각 이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지중에 정착시 외측으로 더 펼쳐지게 되는 정착날개판과;
    상기 두 정착날개판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두 정착날개판이 가까워지는 방향인 접힘 방향으로의 정착날개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접힘제한수단과,
    두 정착날개판이 멀어지는 펼침방향으로의 정착날개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펼침제한수단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
  4. 삭제
  5.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V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정착판과;
    상기 두 정착판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두 정착판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일측 정착판에 일단이 고정되되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바디와, 타측 정착판에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바디 내측에 타측이 끼워져 상기 실린더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
  6.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V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정착판과;
    상기 두 정착판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두 정착판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일측 정착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와, 타측 정착판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타단은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
  7.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V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되 소정의 사이각을 갖는 두 개의 정착판과;
    상기 두 정착판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각 힌지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두 정착판 내측방향으로 접어지거나 외측으로 펴지게 되는 정착날개판과;
    상기 두 정착날개판 상단부의 최소 거리 및 최대 거리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두 정착날개판이 가까워지는 방향인 접힘 방향으로의 정착날개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접힘제한수단과,
    두 정착날개판이 멀어지는 펼침방향으로의 정착날개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펼침제한수단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
  8. 삭제
  9.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제한수단은,
    상기 두 정착날개판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하단부 사이의 거리에 비해 멀거나 최소한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의 힌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
  10.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제한수단은,
    일측 정착날개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와, 타측 정착날개판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타단은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
  11. 수평을 이루는 사각판형의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적어도 둘이상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최소 직각 이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지중에 정착시 외측으로 더 펼쳐지게 되는 정착날개판과;
    상기 두 정착날개판 사이의 최소 펼침 각도 및 최대 펼침 각도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일측 정착날개판에 일단이 고정되되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바디와, 타측 정착날개판에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바디 내측에 타측이 끼워져 상기 실린더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
  12.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V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되 소정의 사이각을 갖는 두 개의 정착판과;
    상기 두 정착판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힌지와;
    상기 각 힌지의 가동편에 결합되어 두 정착판 내측방향으로 접어지거나 외측으로 펴지게 되는 정착날개판과;
    상기 두 정착날개판 상단부의 최소 거리 및 최대 거리를 결정짓도록 설치되는 전개각 결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개각 결정수단은,
    일측 정착날개판에 일단이 고정되되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바디와, 타측 정착날개판에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바디 내측에 타측이 끼워져 상기 실린더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정착장치.
KR1020060088171A 2006-09-12 2006-09-12 연약지반 개량용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장치 KR100749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171A KR100749119B1 (ko) 2006-09-12 2006-09-12 연약지반 개량용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171A KR100749119B1 (ko) 2006-09-12 2006-09-12 연약지반 개량용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119B1 true KR100749119B1 (ko) 2007-08-13

Family

ID=3860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171A KR100749119B1 (ko) 2006-09-12 2006-09-12 연약지반 개량용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4417A (zh) * 2018-07-27 2018-11-16 中交天航港湾建设工程有限公司 基于软基处理的塑料排水板防回带装置及施工方法
CN110029654A (zh) * 2019-04-12 2019-07-19 杭州知桔科技有限公司 左右对称可调式塑料排水板插板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532A (ja) 1998-05-06 1999-11-16 Toa Harbor Works Co Ltd ドレーン材の打設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2081049A (ja) 2000-09-11 2002-03-22 Totaku Industries Inc バーチカルドレンパイプ用ヘッド
KR100417217B1 (ko) 2001-04-18 2004-02-05 최귀봉 복수공 이상의 페이퍼 드레인보드 시공방법 및 타입장치
KR100449813B1 (ko) 2003-12-15 2004-09-22 (주)초석건설 연약지반 개량용 앵커 플레이트
KR200402916Y1 (ko) 2005-09-03 2005-12-08 이재주 나선형 유공관 및 드레인 보드 설치용 앵커부재
KR100544157B1 (ko) 2005-10-11 2006-01-23 (주)수림건설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JP3122595U (ja) * 2006-04-07 2006-06-15 サンスイ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集水管引抜き防止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532A (ja) 1998-05-06 1999-11-16 Toa Harbor Works Co Ltd ドレーン材の打設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2081049A (ja) 2000-09-11 2002-03-22 Totaku Industries Inc バーチカルドレンパイプ用ヘッド
KR100417217B1 (ko) 2001-04-18 2004-02-05 최귀봉 복수공 이상의 페이퍼 드레인보드 시공방법 및 타입장치
KR100449813B1 (ko) 2003-12-15 2004-09-22 (주)초석건설 연약지반 개량용 앵커 플레이트
KR200402916Y1 (ko) 2005-09-03 2005-12-08 이재주 나선형 유공관 및 드레인 보드 설치용 앵커부재
KR100544157B1 (ko) 2005-10-11 2006-01-23 (주)수림건설 나선형 유공 주름 배수재용 앵커 플레이트
JP3122595U (ja) * 2006-04-07 2006-06-15 サンスイ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集水管引抜き防止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4417A (zh) * 2018-07-27 2018-11-16 中交天航港湾建设工程有限公司 基于软基处理的塑料排水板防回带装置及施工方法
CN110029654A (zh) * 2019-04-12 2019-07-19 杭州知桔科技有限公司 左右对称可调式塑料排水板插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277B1 (ko) 정착수단을 이용한 네일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0749119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페이퍼 드레인 보드 정착장치
KR101703164B1 (ko) 매트 고정용 부재
KR200387370Y1 (ko) 회전 가능한 체결브라켓을 갖는 가설 흙막이 공법용경사버팀재
CN108086330A (zh) 一种管线抢修快速支护装置及使用方法
FI74507C (fi) Foerenad skop- och uppbrytningsanordning foer frusen jord.
KR102027577B1 (ko) 계류 장치
KR100686697B1 (ko) 인장과 압축을 겸한 지지파일
CN210002445U (zh) 一种下水道井盖
US20220018082A1 (en) Trench shoring apparatus and its method of use
CN107938607B (zh) 防淤旋转挡水闸门
JP2020153196A (ja) フラップゲート用水密構造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フラップゲート
CN216195015U (zh) 一种两栖工程作业车及其推土装置
CN216339586U (zh) 一种市政建筑基坑施工的钢板桩
CN114687362A (zh) 一种箱式沟槽支护结构及支护方法
CN210031525U (zh) 一种方便运输的折叠式贝雷梁
RU266657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насыпи
KR100950067B1 (ko) 드레인보드 타입을 위한 케이싱 타입장치
CZ291634B6 (cs) Pouzdro pro opěrnou botku
CN209066445U (zh) 一种基坑支护
KR20050069954A (ko) 접이식 교반날개가 설치된 지반굴착용 교반로드
KR102272014B1 (ko)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WO2003025293A2 (en) Walking sand snare and method for beach renourishment
KR970006574B1 (ko)
KR102230725B1 (ko) 트롤 전개판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