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014B1 -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 Google Patents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014B1
KR102272014B1 KR1020200083886A KR20200083886A KR102272014B1 KR 102272014 B1 KR102272014 B1 KR 102272014B1 KR 1020200083886 A KR1020200083886 A KR 1020200083886A KR 20200083886 A KR20200083886 A KR 20200083886A KR 102272014 B1 KR102272014 B1 KR 102272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piece
river
fixing
excav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헌
Original Assignee
(주)리버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버앤텍 filed Critical (주)리버앤텍
Priority to KR102020008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0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퍼가 구비된 앵커를 회전 굴착 압입하여 지중에 매설함에 따라 폭이 가변되는 정착 유닛이 앵커에 구비된 구조로부터, 사용자 직관적으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지중 매설 및 하천호안 및 하상 보강 공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앵커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RIVERBANK AND RIVER BED PROTECTION STRUCTURE USING GROUND ANCHOR ASSEMBLY}
본 발명은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직관적으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하천호안 및 하상의 보강공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호안이나 바닥면 등에는 흐르는 물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고 물의 범람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최근들어 자연환경과의 조화 및 친환경 자재를 이용한 하천 조성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의 설치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들어 하천의 호안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시공석을 다양한 형태의 망태에 담아서 하천의 바닥이나 호안에 선택적으로 설치한 다음, 복토를 하여 시공석과 시공석 사이의 틈으로 자연스럽게 흙이 메워져 그 부분에 식물이 뿌리를 내려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돌망태 또는 스톤매트리스는 하천호안 또는 바닥에 시공하는 경우 유수력의 영향과 경사면의 정도에 따라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파손 또는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기초 공사 및 터파기 공사 시 절개지 등과 같이 지반이 붕괴될 우려가 있는 곳에는 흙막이 패널을 설치하여 지반의 붕괴를 방지한다.
이러한 흙막이 패널은 다수의 수직 빔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지반 내에 발생하는 토압이나 수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흙막이 패널과 연결된 어스앵커를 지반 내에 삽입 고정하여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통상적인 어스앵커 구조물은 지반에 천공된 앵커공으로 삽입되는 인장재와, 상기 앵커공에 채움 되어 경화되는 그라우트재와, 상기 인장재를 그라우트재 내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부와, 상기 외부로 노출된 인장재의 말단을 수직 빔 또는 흙막이 패널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어스앵커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정착부가 고정 설치된 인장재를 천공된 앵커공으로 삽입한 후 그라우트재를 체워 매운 다음 일정시간을 경과시켜 그라우트재를 경화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인장재는 지반에 묻혀 고정된 상태가 되며 외부로 일부 노출된 상태가 되는데, 이 노출된 부분은 고정부를 이용하여 흙막이 패널이나 수직 빔에 고정설치 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함으로써 토압이나 수압이 발생하더라도 어스앵커에 의해 지반이 붕괴되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되는 어스앵커 구조물은 그라우팅재를 이용해야 하므로 시공 및 시설비가 많이 소요되고 그라우팅재가 경화되기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반이 연약할 경우 그라우팅재와 토사의 경계부에 슬립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인장력이 점차 약해져 결국 붕괴되므로 연약지반에는 설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착부에 확장부를 구비하여 슬립현상을 방지한 것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확장부가 축소되지 못함에 따라 시공 완료 후 수거하기 어려워 그대로 방치함으로써 자재의 낭비 및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한편, 현재 건축물 기초공사나 토목공사 및 녹화공사 현장에서는 연약한 지반 상에 콘크리트 구조물(옹벽 등)이나 철구조물(낙석방지망 등)을 설치 고정되도록 지반의 암벽에 일정깊이의 구멍을 뚫고, 구멍 속에 소정길이의 축봉 선두부에 확장걸림판을 갖는 앵커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앵커 축봉의 후미 나사부에 체결된 너트를 통해 콘크리트나 철 구조물을 고정 설치하여 연약한 지반을 보강하도록 하고 있다.
지반에 구조물을 고정 지지하는 앵커의 일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689769호 "암반용 앵커"(이하 선행기술)가 있다.
선행기술은 기존 어스앵커에 비해서 탁월한 장점이 있지만 구조상 앵커를 암벽구멍에 고정설치 작업에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있다.
선행기술은, 예컨대 승강체에 의해 확장걸림판들이 균등하게 확장되지 않거나 앵커가 암반 구멍에 삽입 후 초기에 걸리지 않고 헛바퀴가 도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앵커를 구성하는 각 부품 간의 조립제작이 까다로우며 사용하기에도 다소 불편함이 있는 것이므로 이를 좀더 개량된다면 사용자로 하여금 더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6897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 직관적으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하천호안 및 하상의 보강공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호안(riverbank) 및 하상(river bed)에 설치되는 바닥망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망에 사석(沙石)이 채워지는 복수의 매트리스; 보강공사가 필요한 굴착 대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굴착 천공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매트리스에 고정되는 볼트 헤드와,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굴착용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 상기 앵커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천공에 매설된 상기 앵커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앵커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며 관통된 상기 앵커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굴착용 나사산과 맞물리는 승강용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부재가 상기 굴착용 나사산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앵커의 외주면으로부터 폭이 증대되는 확장 부재를 포함하는 정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확장 부재는, 상기 상부 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힌지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단부와, 상기 제1 힌지편에 상기 제1 상단부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단부를 가지며, 상기 앵커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경사 회동하는 제1 윙 브라켓과, 상기 하부 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힌지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단부와, 상기 제2 힌지편에 상기 제1 하단부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단부를 가지며, 상기 앵커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경사 회동하는 제2 윙 브라켓과, 상기 제1 윙 브라켓과 상기 제2 윙 브라켓 각각의 말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코어 힌지와, 상기 스토퍼의 하면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힌지편이 관통되는 상부 고정회전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 부재는, 상기 앵커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앵커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는 관통홀이 형성된 와셔와, 상기 와셔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확장 부재의 양측 상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힌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부재는, 상기 굴착용 나사산과 맞물리는 상기 승강용 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승강 너트와, 상기 승강 너트의 양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확장 부재의 양측 하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힌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각각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굴착 천공에 매설된 상기 앵커의 상기 볼트 헤드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굴착 대상면은 연약지반을 가진 하안이나 호안 또는 해안의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매트리스는, 개비온 매트리스 또는 스톤 매트리스 중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하천호안(riverbank) 및 하상(river bed)에 설치되는 바닥망을 포함하며, 바닥망에 사석(沙石)이 채워지는 복수의 매트리스; 보강공사가 필요한 굴착 대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굴착 천공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구비되어 매트리스에 고정되는 볼트 헤드와,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굴착용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 앵커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천공에 매설된 앵커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스토퍼; 및 스토퍼의 저면에 배치되어 앵커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며 관통된 앵커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부 부재와, 상부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굴착용 나사산과 맞물리는 승강용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에 연결되어 하부 부재가 굴착용 나사산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앵커의 외주면으로부터 폭이 증대되는 확장 부재를 포함하는 정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지중에 매설해 넣는 과정에서 점차 폭이 확장됨으로써 연약 지반이라도 확실하게 고정되어 유수력의 영향과 경사면의 정도에 따라 슬라이딩 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제반 보강공사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직관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보강 공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부재는, 상부 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힌지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단부와, 제1 힌지편에 제1 상단부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단부를 가지며, 앵커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경사 회동하는 제1 윙 브라켓과, 하부 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힌지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단부와, 제2 힌지편에 제1 하단부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단부를 가지며, 앵커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경사 회동하는 제2 윙 브라켓과, 제1 윙 브라켓과 제2 윙 브라켓 각각의 말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코어 힌지와, 스토퍼의 하면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제1 힌지편이 관통되는 상부 고정회전 가이드를 포함함으로써, 회전시키며 지중으로 눌러내림에 따라 폭이 가변, 즉 벌어지도록 하면서 기존의 앵커는 지중에 확실하고 깊숙히 박혀 고정될 수 있으므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을 포함한 다양한 지중 매설 공사에 적용할 수 있는 등 범용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부재는, 앵커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앵커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는 관통홀이 형성된 와셔와, 와셔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확장 부재의 양측 상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힌지편을 포함함으로써, 회전시키며 지중으로 눌러내리는 과정에서도 흘러내리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하는 상단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회전 굴착 압입 동작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확장 및 정착 지중 매설 구조물을 손쉽고 효율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부재는, 굴착용 나사산과 맞물리는 승강용 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승강 너트와, 승강 너트의 양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확장 부재의 양측 하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힌지편을 포함함으로써, 제자리에 고정된 상단부에 비하여 화전 굴착 압입 동작에 따라 상승하며 폭이 넓어지는 확장 및 정착 지중 매설 구조물을 손쉽고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매트리스 각각의 저면에 구비되어 굴착 천공에 매설된 앵커의 볼트 헤드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며, 굴착 대상면은 연약지반을 가진 하안이나 호안 또는 해안의 경사면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연약지반의 토사 유실 방지 구조를 손쉽고 효율적으로 마련하는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매트리스에 비하여 적은 골재량으로도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골재 채취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환경 친화적인 공사 및 시공이 가능한 특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매트리스는, 개비온 매트리스 또는 스톤 매트리스 중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건설 및 시공 현장에 폭넓게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의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을 경사면에 시공한 실제 예를 기존의 매트리스와 비교한 것으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예를, 도 1(c)는 기존의 시공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매트리스 중 스톤 매트리스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도 3(a)의 IV-IV 선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 개념도
도 5는 도 1의 V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매트리스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와 고정되는 매트리스에 장착되는 고정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굴착 대상면에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을 경사면(40)에 시공한 실제 예를 기존의 매트리스(5)와 비교한 것으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예를, 도 1(c)는 기존의 시공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매트리스 중 스톤 매트리스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a)의 IV-IV 선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V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매트리스(50)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와 고정되는 매트리스(50)에 장착되는 고정구(6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굴착 대상면(40)에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미설명 부호로 70은 부직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스토퍼(20)가 구비된 앵커(10)를 회전 굴착 압입하여 지중에 매설함에 따라 폭이 가변되는 정착 유닛(30)이 앵커(10)에 구비되고, 이러한 앵커(10)는 매트리스(50)에 고정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매트리스(50)는 하천호안(riverbank) 및 하상(river bed)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닥망(51)을 포함하며 바닥망(51)에 사석(55, 沙石)이 채워지는 것이다.
앵커(10)는 보강공사가 필요한 굴착 대상면(40)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굴착 천공(41)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구비되어 매트리스(50)에 고정되는 볼트 헤드(11)와,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굴착용 나사산(12)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스토퍼(20)는 앵커(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천공(41)에 매설된 앵커(1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정착 유닛(30)은 상, 하부 부재(31, 32) 사이에 확장 부재(33)가 포함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상부 부재(31)는 스토퍼(20)의 저면에 배치되어 앵커(1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며 관통된 앵커(10)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이다.
하부 부재(32)는 상부 부재(31)의 하부에 배치되어 굴착용 나사산(12)과 맞물리는 승강용 나사산(32t)이 형성된 것이다.
확장 부재(33)는 상부 부재(31)와 하부 부재(32)에 연결되어 하부 부재(32)가 굴착용 나사산(12)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앵커(10)의 외주면으로부터 폭이 증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매트리스(50)는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은 스톤 매트리스(50)나,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비온 매트리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바닥망(51)과 윗망(52)을 포함하며, 이러한 바닥망(51)과 윗망(52) 사이에 사석(55)들이 채워진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바닥망(51)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철망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윗망(52)은 플렉시블한 와이어 로프가 패스너(52f)에 의하여 고정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패스너(52f)에 의하여 고정된 플렉시블한 와이어 로프들에 의하여 이루어진 윗망(52)은 많은 양의 사석(55)들을 채워넣고 유실되지 않게 부정 형상으로 고정할 수 있다는 구조적 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때, 바닥망(51)과 윗망(52) 사이에는 도 2(a)와 같이 고정핀(53a)으로 일정 위치마다 고정됨으로써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핀(53a)들 각각의 상단부에는 윗망(52)에 고정되는 상부고정 클립(53b)이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핀(53a)들 각각의 하단부에는 바닥망(51)에 고정되는 하부고정 클립(53c)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망(51)과 윗망(52) 사이에는 도 2(b)와 같이 고정핀(53d)으로 일정 위치마다 고정됨으로써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핀(53d)들 각각의 상단부에는 윗망(52)에 고정되는 상부고정 클립(53e)이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핀(53d)들 각각의 하단부에는 바닥망(51)에 고정되는 하부고정 클립(53f)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확장 부재(33)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크게 제1, 2 윙 브라켓(331, 332)이 코어 힌지(333)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측에는 상부 고정회전 가이드(334)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윙 브라켓(331)은 상부 부재(31)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힌지편(3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단부(331a)와, 제1 힌지편(313)에 제1 상단부(331a)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단부(331b)를 가지며, 앵커(10)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경사 회동하는 것이다.
이때, 제2 윙 브라켓(332)은 하부 부재(3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힌지편(3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단부(332a)와, 제2 힌지편(322)에 제1 하단부(332a)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단부(332b)를 가지며, 앵커(10)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경사 회동하는 것이다.
또한, 코어 힌지(333)는 제1 윙 브라켓(331)과 제2 윙 브라켓(332) 각각의 말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부 고정회전 가이드(334)는 스토퍼(20)의 하면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제1 힌지편(313)이 관통되는 것이다.
한편, 제1 윙 브라켓(331)은, 제1 힌지편(313)이 관통하는 제1 상단부(331a)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좌측 윙(331wa)과, 한 쌍의 제1 좌측 윙(331wa)의 상부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좌측 보강 커버편(331r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윙 브라켓(331)은, 제1 힌지편(313)이 관통하는 제2 상단부(331b)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우측 윙(331wb)과, 한 쌍의 제1 우측 윙(331wb)의 상부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우측 보강 커버편(331r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좌측 윙(331wa)과, 한 쌍의 제1 우측 윙(331wb) 각각의 말단부에 제2 윙 브라켓(332)의 말단부가 코어 힌지(333)에 의하여 도 3 및 도 7과 같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2 윙 브라켓(332)은, 제2 힌지편(322)이 관통하는 제1 하단부(332a)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좌측 윙(332wa)과, 한 쌍의 제2 좌측 윙(332wa)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좌측 보강 커버편(332r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윙 브라켓(332)은, 제2 힌지편(322)이 관통하는 제2 하단부(332b)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우측 윙(332wb)과, 한 쌍의 제2 우측 윙(332wb)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우측 보강 커버편(332r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2 좌측 윙(332wa)과, 한 쌍의 제2 우측 윙(332wb) 각각의 말단부에 제1 윙 브라켓(331)의 말단부가 코어 힌지(333)에 의하여 도 3 및 도 7과 같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부재(31)는,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앵커(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앵커(1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는 관통홀(312)이 형성된 와셔(311)와, 와셔(31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확장 부재(33)의 양측 상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힌지편(3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부재(32)는, 굴착용 나사산(12)과 맞물리는 승강용 나사산(32t)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승강 너트(321)와, 승강 너트(321)의 양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확장 부재(33)의 양측 하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힌지편(322)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천의 호안이나 하상 또는 해안의 경사면(40)과 같은 굴착 대상면(40)에 시공할 수 있도록, 다시 도 1과 함께, 도 5 및 도 6과 같이 복수의 매트리스(50) 각각의 저면에 구비되어 굴착 천공(41)에 매설된 앵커(10)의 볼트 헤드(11)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구(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천호안 및 하상의 보강용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경사면(40)에 시공할 경우 종래의 매트리스(5) 두께(d2)에 비하여 얇은 두께(d1)의 매트리스(50)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골재 사용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우선, 고정구(60)는, 크게 코어편(65)에 제1 고정편(61)과 앵커고정 절개부(64)를 구비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코어편(65)은 매트리스(50)의 저면과 맞닿는 상면을 가지는 것이며, 제1 고정편(61)은 코어편(65)의 일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코어편(65)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경사면(40)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앵커고정 절개부(64)는 제1 고정편(61)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코어편(65)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만큼 절개 형성되며, 볼트 헤드(11)와 연결되는 앵커(10)의 몸체부(13) 외주면이 걸림 고정되는 상단부 라운드부(64r)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경사면(40)을 따라 매설된 앵커(10)의 볼트 헤드(11)에 앵커고정 절개부(64)를 조준하여 고정구(60)를 걸어두기만 하면, 경사면(40)을 따라 자연스럽게 중력방향으로 제1 고정편(61)과 후술할 제3 고정편(63)이 지반에 매몰될 것이고, 코어편(65)은 경사면(40)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게 고정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고정구(60)는, 볼트 헤드(11)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게 코어편(65)과 제1 고정편(61)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유지편(66)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앵커(10)의 볼트 헤드(1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편(65)의 중심을 관통하여 코어편(65)의 상면에 걸림 고정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볼트 헤드(11)가 코어편(65)의 상면에 걸림 고정되는 경우에는, 간격 유지편(66)은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구(60)는, 코어편(65)의 타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코어편(65)에 대하여 절곡 돌출되며 매트리스(50)의 저면으로부터 삽입 내장됨과 동시에, 경사면(40)에 안착될 매트리스(50)에 수용되는 자갈과 암석을 포함한 충진재(이하 미도시)들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2 고정편(6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고정편(62)은 경우에 따라 도 5(a) 및 도 6(a)와 같이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고정구(60)는, 코어편(65)의 타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코어편(65)의 좌우 양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경사면(4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3 고정편(63)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코어편(65)에 대하여 한 쌍의 제3 고정편(63) 각각이 이루는 경사각도(제1 각도(θ1))는, 코어편(65)에 대하여 제1 고정편(61)이 이루는 경사각도(제2 각도(θ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고정편(61)은, 코어편(65)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간격 유지편(66)에 대하여도 대략 직교되게 형성되도록 하거나, 코어편(65)의 일측 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각도(θ2)가 제1 각도(θ1)보다 작은 것은, 볼트 헤드(11)와 함께 앵커(10)의 상단부 외주면에 고정구(60)에 대하여 매트리스(50) 저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고정구(60)는, 도 6과 같이 제1 고정편(61)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어 앵커고정 절개부(64)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매설 사면(61s)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고정편(61)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 매설 사면(61s)은 경사면(40)에 원활하게 삽입 매설되도록 하는 스파이크(spike)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고정구(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3 고정편(63)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매설 사면(63s)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한 쌍의 제3 고정편(63)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 매설 사면(63s)은, 전술한 제1 매설 사면(61s)과 함께 경사면(40)에 원활하게 삽입 매설되도록 하는 스파이크(spike)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지중 매설 시공 과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볼 것이며, 참고로 도 7에 표시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우선, 작업자가 도 7(a)와 같이 굴착 대상면(40)에 천공(41)을 형성하고, 도 7(b)와 같이 양커(10)를 천공(41)에 삽입할 때, 정착 유닛(30)은 대략 스토퍼(20)의 직하부에서 최대한 좌우 양옆으로 폭을 줄인 상태이다.
이후, 작업자가 회전 굴착기(이하 미도시)에 볼트 헤드(11)를 고정시켜 돌리면서 천공(41)의 바닥면에 대하여 압입하는 동작을 실시함에 따라 도 7(c)와 같이 하부 부재(32)는 굴착용 나사산(12)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서 확장 부재(33)가 절첩되며 폭을 넓히게 된다.
최종적으로, 하부 부재(32)가 최대한 상승하게 되면 도 7(d)와 같이 확장 부재(33)가 절첩되어 앵커(10)의 몸체부(13) 외주면에 대하여 최대로 큰 폭으로 절첩됨으로써 지중에 견고한 정착 구조를 마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주요부인 지반앵커 어셈블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매설시 더욱 확실하고 견고한 고정 매설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정착 유닛(30)을 앵커(10)의 상하부를 따라 복수로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앵커(10)의 상하부에 정착 유닛(30)이 서로 교차되게,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앵커(10)의 회전 굴착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첩되어 지중에서 이른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절첩된 정착용의 구조물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하천호안 및 하상에 설치되는 바닥망(51)을 포함하며, 바닥망(51)에 사석(55)이 채워지는 복수의 매트리스(50); 보강공사가 필요한 굴착 대상면(40)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굴착 천공(41)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구비되어 매트리스(50)에 고정되는 볼트 헤드(11)와,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굴착용 나사산(12)이 형성된 앵커(10); 앵커(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천공(41)에 매설된 앵커(1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스토퍼(20); 및 스토퍼(20)의 저면에 배치되어 앵커(1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며 관통된 앵커(10)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부 부재(31)와, 상부 부재(31)의 하부에 배치되어 굴착용 나사산(12)과 맞물리는 승강용 나사산(32t)이 형성된 하부 부재(32)와, 상부 부재(31)와 하부 부재(32)에 연결되어 하부 부재(32)가 굴착용 나사산(12)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앵커(10)의 외주면으로부터 폭이 증대되는 확장 부재(33)를 포함하는 정착 유닛(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지중에 매설해 넣는 과정에서 점차 폭이 확장됨으로써 연약 지반이라도 확실하게 고정되어 유수력의 영향과 경사면의 정도에 따라 슬라이딩 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제반 보강공사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직관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지중 매설 및 하천호안 및 하상의 보강 공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부재(33)는, 상부 부재(31)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힌지편(3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단부(331a)와, 제1 힌지편(313)에 제1 상단부(331a)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단부(331b)를 가지며, 앵커(10)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경사 회동하는 제1 윙 브라켓(331)과, 하부 부재(3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힌지편(3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단부(332a)와, 제2 힌지편(322)에 제1 하단부(332a)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단부(332b)를 가지며, 앵커(10)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경사 회동하는 제2 윙 브라켓(332)과, 제1 윙 브라켓(331)과 제2 윙 브라켓(332) 각각의 말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코어 힌지(333)와, 스토퍼(20)의 하면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제1 힌지편(313)이 관통되는 상부 고정회전 가이드(334)를 포함함으로써, 회전시키며 지중으로 눌러내림에 따라 폭이 가변, 즉 벌어지도록 하면서 기존의 앵커는 지중에 확실하고 깊숙히 박혀 고정될 수 있으므로, 연약지반을 포함한 다양한 지중 매설 공사에 적용할 수 있는 등 범용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부재(31)는, 앵커(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앵커(1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는 관통홀(312)이 형성된 와셔(311)와, 와셔(31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확장 부재(33)의 양측 상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힌지편(313)을 포함함으로써, 회전시키며 지중으로 눌러내리는 과정에서도 흘러내리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하는 상단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회전 굴착 압입 동작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확장 및 정착 지중 매설 구조물을 손쉽고 효율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부재(32)는, 굴착용 나사산(12)과 맞물리는 승강용 나사산(32t)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승강 너트(321)와, 승강 너트(321)의 양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확장 부재(33)의 양측 하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힌지편(322)을 포함함으로써, 제자리에 고정된 상단부에 비하여 화전 굴착 압입 동작에 따라 상승하며 폭이 넓어지는 확장 및 정착 지중 매설 구조물을 손쉽고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매트리스(50) 각각의 저면에 구비되어 굴착 천공(41)에 매설된 앵커(10)의 볼트 헤드(11)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구(60)를 더 포함하며, 굴착 대상면(40)은 하천 호안이나 하상 또는 해안의 경사면(40)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지반의 토사 유실 방지 구조를 손쉽고 효율적으로 마련하는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하천호안 및 하상의 보강용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경사면(40)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매트리스(50)에 비하여 적은 골재량으로도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골재 채취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환경 친화적인 공사 및 시공이 가능한 특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매트리스(50)는, 개비온 매트리스 또는 스톤 매트리스 중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건설 및 시공 현장에 폭넓게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의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직관적으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지중 매설 및 하천호안 및 하상의 보강 공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앵커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앵커
11...볼트 헤드
12...굴착용 나사산
13...앵커(10)의 몸체부
20...스토퍼
30...정착 유닛
31...상부 부재
311...와셔
312...관통홀
313...제1 힌지편
32...하부 부재
32t...승강용 나사산
321...승강 너트
322...제2 힌지편
33...확장 부재
331...제1 윙 브라켓
331a...제1 상단부
331b...제2 상단부
331ra...제1 좌측 보강 커버편
331rb...제1 우측 보강 커버편
331wa...제1 좌측 윙
331wb...제1 우측 윙
332...제2 윙 브라켓
332a...제1 하단부
332b...제2 하단부
332ra...제2 좌측 보강 커버편
332rb...제2 우측 보강 커버편
332wa...제2 좌측 윙
332wb...제2 우측 윙
333...코어 힌지
334...상부 고정회전 가이드
40...굴착 대상면
41...굴착 천공
50...매트리스
51...바닥망
52...윗망
52f...패스너
53a, 53d...고정핀
53b, 53e...상부고정 클립
53c, 53f...하부고정 클립
55...사석
60...고정구
61...제1 고정편
61s...제1 매설 사면
62...제2 고정편
63...제3 고정편
63s...제2 매설 사면
64...앵커고정 절개부
64r...상단부 라운드부
65...코어편
66...간격 유지편
70...부직포
θ1...제1 각도
θ2...제2 각도

Claims (6)

  1. 하천호안(riverbank) 및 하상(river bed)에 설치되는 바닥망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망에 사석(沙石)이 채워지는 복수의 매트리스;
    보강공사가 필요한 굴착 대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굴착 천공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각각에 고정되는 볼트 헤드와,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굴착용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
    상기 앵커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천공에 매설된 상기 앵커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앵커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며 관통된 상기 앵커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굴착용 나사산과 맞물리는 승강용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부재가 상기 굴착용 나사산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앵커의 외주면으로부터 폭이 증대되는 확장 부재를 포함하는 정착 유닛; 및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각각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굴착 천공에 매설된 상기 앵커의 상기 볼트 헤드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각각의 저면과 맞닿는 상면을 가지는 코어편과,
    상기 코어편의 일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어편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굴착 대상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편과,
    상기 제1 고정편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코어편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만큼 절개 형성되며, 상기 볼트 헤드와 연결되는 상기 앵커의 몸체부 외주면이 걸림 고정되는 상단부 라운드부를 가지는 앵커고정 절개부와,
    상기 볼트 헤드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게 상기 코어편과 상기 제1 고정편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유지편과,
    상기 제1 고정편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어 상기 앵커고정 절개부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매설 사면과,
    상기 코어편의 타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어편에 대하여 절곡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각각의 저면으로부터 삽입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굴착 대상면에 안착될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각각에 수용되는 자갈과 암석을 포함한 충진재들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2 고정편과,
    상기 코어편의 타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어편의 좌우 양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굴착 대상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3 고정편과,
    상기 한 쌍의 제3 고정편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제2 매설 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굴착 대상면은 하천의 호안이나 하상 또는 해안의 경사면이며,
    상기 코어편에 대하여 상기 한 쌍의 제3 고정편 각각이 이루는 경사각도는, 상기 코어편에 대하여 상기 제1 고정편이 이루는 경사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앵커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 부재는,
    상기 상부 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힌지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단부와, 상기 제1 힌지편에 상기 제1 상단부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상단부를 가지며, 상기 앵커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경사 회동하는 제1 윙 브라켓과,
    상기 하부 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힌지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단부와, 상기 제2 힌지편에 상기 제1 하단부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단부를 가지며, 상기 앵커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경사 회동하는 제2 윙 브라켓과,
    상기 제1 윙 브라켓과 상기 제2 윙 브라켓 각각의 말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코어 힌지와,
    상기 스토퍼의 하면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힌지편이 관통되는 상부 고정회전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앵커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는,
    상기 앵커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앵커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는 관통홀이 형성된 와셔와,
    상기 와셔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확장 부재의 양측 상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힌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앵커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는,
    상기 굴착용 나사산과 맞물리는 상기 승강용 나사산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승강 너트와,
    상기 승강 너트의 양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확장 부재의 양측 하단부가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힌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앵커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개비온 매트리스 또는 스톤 매트리스 중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앵커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KR1020200083886A 2020-07-08 2020-07-08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Active KR102272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886A KR102272014B1 (ko) 2020-07-08 2020-07-08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886A KR102272014B1 (ko) 2020-07-08 2020-07-08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014B1 true KR102272014B1 (ko) 2021-07-02

Family

ID=7689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886A Active KR102272014B1 (ko) 2020-07-08 2020-07-08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7329B1 (ko) * 2023-12-05 2024-06-21 태흥산업주식회사 말림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매트리스형 개비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769B1 (ko) 2005-03-10 2007-03-08 김유신 암반용 앵커
KR20110023018A (ko) * 2009-08-28 2011-03-08 주식회사 엔에이건설 사면보강용 쐐기앵커
KR20110011533U (ko) *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인스텍산업 힌지 구조
KR101193948B1 (ko) * 2012-02-20 2012-10-24 주식회사 태하 스톤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톤네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769B1 (ko) 2005-03-10 2007-03-08 김유신 암반용 앵커
KR20110023018A (ko) * 2009-08-28 2011-03-08 주식회사 엔에이건설 사면보강용 쐐기앵커
KR20110011533U (ko) *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인스텍산업 힌지 구조
KR101193948B1 (ko) * 2012-02-20 2012-10-24 주식회사 태하 스톤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톤네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7329B1 (ko) * 2023-12-05 2024-06-21 태흥산업주식회사 말림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매트리스형 개비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830B2 (en) Barrier wall made of sheet-pile components
KR101995840B1 (ko) 흙막이 공사용 다용도 엄지말뚝
CN108884652A (zh) 用于稳固边坡、不受约束土地等的互锁稳固系统
JP7498486B2 (ja) 植生マットの施工方法
KR102272014B1 (ko)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KR102434456B1 (ko)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8035360B (zh) 一种用于基坑支护的方法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74881B1 (ko) 시트 파일을 이용한 차수벽의 시공공법
JPH03504402A (ja) 建設方法及び建設用材
KR101384586B1 (ko) 매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방법
SU1060766A1 (ru)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е сооружение
KR102511387B1 (ko) 보강토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2047650A (ja) 組アンカー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674634B1 (ko) 사면보강용 앵커
KR101546723B1 (ko) 경사면 안정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안정화 시공 공법
KR101995201B1 (ko) 유이엠에이 친환경 사면침식방지 시공방법
KR20030052871A (ko) 패널 삽입식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JP3062534B2 (ja) 基礎地盤の改良工法
KR100711576B1 (ko) 터널 갱구 보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12653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57654B1 (ko) 복수개의 앵커삽입홀이 형성된 에이치형 파일
JP3360061B2 (ja) 山留め架構の先行板状切ばり
KR102548639B1 (ko) 상부망 결속형 석재 피복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538183B1 (ko) 정착부 확대가 가능한 그라운드 앵커 및 그 앵커를 이용한옹벽블록 및 사면블록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