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088Y1 - 배수용 유공 측구 - Google Patents

배수용 유공 측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088Y1
KR200451088Y1 KR2020080002821U KR20080002821U KR200451088Y1 KR 200451088 Y1 KR200451088 Y1 KR 200451088Y1 KR 2020080002821 U KR2020080002821 U KR 2020080002821U KR 20080002821 U KR20080002821 U KR 20080002821U KR 200451088 Y1 KR200451088 Y1 KR 200451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rainage
side wall
filter ma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964U (ko
Inventor
조우철
Original Assignee
조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우철 filed Critical 조우철
Priority to KR2020080002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08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9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0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기시 지표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배수용 유공 측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구와 접하는 지반의 내부로 침투하는 침투수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수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측구가 설치된 주위 지반의 세굴과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수용 유공 측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유공 측구는, 배수통로가 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과 접면하는 지반의 내부로 침투하는 침투수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측벽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구멍(이하 ‘유공’이라 함)이 다수 마련된 유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공부에 필터재가 부착된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수, 측구, 비탈면, 세굴, 유공, 필터재.

Description

배수용 유공 측구{Ditch with drainage hole}
본 고안은 우기시 지표수의 배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배수용 유공 측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구와 접하는 지반의 내부로 침투하는 침투수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수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측구가 설치된 주위 지반의 세굴과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수용 유공 측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탈면을 절취하거나 흙쌓기를 하여 도로, 철도, 단지 등과 같은 부지를 조성하는 경우, 비탈면으로 내려오는 지표수를 배수하여 비탈면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V형 측구 또는 U형 측구를 설치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재(주로 폴리에틸렌;PE)로 일정길이 제작된 것을 현장에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시공하고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측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에 표시한 'A'부는 '세굴부위'이고, 가상선인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부위인 도면부호 (E1)은 종래의 측구(1)에 형성된 날개부(3)까지의 '원지반'을 나타낸 것이며, 도면부호 (E2)은 세굴이 발생된 후의 지반으로, 지반의 내부로 침투하는 침투수가 측벽(2)이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점선 화살표와 같은 경로로 날개부(3) 위를 향하게 되는데, 이때 측벽(2) 주위의 토사가 함께 휩쓸려가서 측구(1)의 배수통로 내부로 유실되어 침식작용이 일어나면서 세굴이 발생되고, 세굴부위는 이미 약한 지반으로 변형되었기 때문에 오래되지 않아 측벽(2) 하부로 침투수를 포함하여 비탈면을 내려오는 지표수도 함께 침투하게 되어서 측구(1) 자체가 들뜨게 되어 결국에는 배수로 기능을 상실하며, 측구 하부로 침투한 침투수에 의해 비탈면의 붕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측구와 접하는 지반의 내부로 침투하는 침투수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측구가 설치된 주위 지반의 세굴과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배수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수용 유공 측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 측구의 측벽 상단부에 유공부가 형성된 연결 날개부를 부착함으로써, 비탈면의 세굴을 방지하고 침투수를 유도 배수하여 기존 측구의 내구성과 비탈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수용 유공 측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유공 측구는, 배수통로가 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유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측벽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공을 덮는 필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측벽의 외부면에는, 맨 아래에 위치하는 유공의 바로 아래부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필터재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재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측벽에 접하도록 하되, 상기 고정구는 유공에 긴밀하게 삽입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된 머리부로 이루어져 필터재에 통과시켜서 유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의 외부면에는, 맨 아래에 위치하는 유공의 바로 아래부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재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수통로가 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측벽이 형성된 측구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유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이면에는 필터재가 부착된 연결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강우시 지표수를 비롯하여 측벽의 상부에 형성된 유공에 의해서 측구와 접하는 지반의 내부로 침투하는 침투수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측구가 설치된 주위 지반의 세굴과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배수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지반의 세굴과 토사유출이 방지됨에 따라 측구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침투수의 배수 과정에서의 토사 유출을 막기 위한 필터재 및 이의 용이한 시공 방법에 의한 구조를 개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필터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비탈면 하부에 설치된 기존 측구의 측벽 상단부에 유공부가 형성된 연결 날개부를 부착함으로써, 비탈면의 세굴을 방지하고 침투수를 유도 배수하여 기존 측구의 내구성과 비탈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서, 도 1a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b는 그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은 배수통로가 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측벽(11)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11)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유공(13)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측벽에 접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유공(13) 부위를 덮는 필터재(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11)의 상부에 날개부(12)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재(14)를 측벽(11)에 접하도록 고정하기 위해서는 측구(1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가설로 배치를 하고 되메우는 방법에 의하거나, 또는 상기 측벽에 접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하여 할 수 있다.
상기 유공(13) 및 필터재(14)는 측벽(11)의 한쪽에만 이루어지거나 또는 양쪽 모두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유공(13)은 측벽(11)과 접면하는 지반(E)의 내부를 통해서 침투하는 침투수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필터재(14)는 유공(13)을 통해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필터재(14)는 미세한 토사를 여과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무수한 기공층을 보유하고 있어 통수력이 탁월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착하는 방법은 유공(13)을 제외한 측벽(11)의 외부면 일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측벽(11) 상부에 형성된 유공(13) 전체에 걸쳐서 필터재(14)를 부착하 기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부착된 필터재(14)의 표면과 측벽(11) 하부의 외부면이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토압에 의해서 필터재(14)가 측벽(11)의 외부면에서 흘러내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측벽(11) 상부에서 맨 아래에 위치하여 형성된 유공(13)의 바로 아래 부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필터재(14)의 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받침턱(11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에 설치되며, 도 1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유공 측구(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벽(11)의 상부에 연장된 날개부(12)를 통해서는 표면수가 유도되고, 측벽(11)과 접면하는 지반(E)의 내부로 침투하는 침투수는 필터재(14)를 거쳐서 유공(13)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어서 배수되는데, 이때 침투수가 필터재(14)를 통과하면서 필터재(14)에 의해서 토사가 유공(13)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침투수만 유공(13)으로 배수된다.
이렇게 침투수는 유공(13)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수되므로, 배수용 유공 측구(10)가 설치된 주위 지반(E)의 세굴과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배수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도 2a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b는 그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로서, 도 3a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그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한데, 즉 측벽(11)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유공(13)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유공(13)에 필터재(14)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은 동일하며 그 작용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단지, 필터재(14)를 측벽(11)의 상부 외부면에 부착하는 방법 및 구조가 일부 차이가 있다.
먼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필터재(14)를 고정구(15)를 이용하여 측벽(11)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구(15)는 유공(13)에 긴밀하게 삽입되도록 끼움돌기(15a)가 형성된 머리부로 이루어져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그 재질은 우레탄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15)는 다수개의 유공(13)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측벽(11)의 길이방향에서 맨 오른쪽과 맨 왼쪽에 위치한 것에 끼움돌기(15a)를 필터재(14)에 통과시켜서 유공(13)에 결합함으로써, 필터재(14)를 측벽(11)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5)의 끼움돌기(15a)는 유공(13)의 크기에 비해 조금 크게 형성함이 적합한데, 그러면 유공(13)에 결합되어 벌어질려고 하는 복원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측구(10)의 바닥면에서부터 맨 아래에 위치한 유공(13)까지는 배수에 필요한 유효단면을 가지는 '통수부'라 할 수 있고, 측벽(11)의 상부에서 맨 위에 있는 유공(13)과 맨 아래에 있는 유공(13) 사이의 범위는 '유공부'라 할 수 있는데, 상기한 유공부는 침투수를 배수하고, 측구(10)와 접면한 지반의 세굴 및 토사유입방지를 위한 부위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도면에서 통수부와 유공부의 크기가 비슷하게 나타나 있으나, 실제는 배수용량과 침투수의 수량에 따라서 결정되어진다.
또한, 고정구(15)를 4개 사용하여 필터재(14)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상,하부를 확실하게 고정하여 필터재(14)가 전체적으로 측벽(11)의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상기한 유공부의 상,하 범위는 길이에 비해 좁으므로 필터재(14)의 양단부에 각각 1개씩만 고정하여도 무난하며, 필터재(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중간부위에 고정구(15) 1개 정도 더 고정하여 중간부위가 측벽(11) 외부면에서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다수개의 유공(13) 중에서 2개의 부위에만 고정구(15)를 결합하면 되므로, 필터재(14)를 측벽(11)에 고정하는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측벽(11)의 외부면에 받침구(16)를 형성하여 필터재(14)의 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받침구(16)는 측벽(11)의 상부에서 맨 아래에 위치하는 유공(13)의 바로 아래부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측벽(11) 외부면에서 필터재(14)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수평으로 연결되어서 위로 연장된 형태이다.
상기 받침구(16)는 측벽(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는 지반에 형성한 배수용 유공 측구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필터재(14)를 받침구(16)에 끼우둔 상태에서 설치하며, 설치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설치홈의 내측면에 필터재(14)의 상부가 밀착되며, 그 상태는 토압에 의해 유지하고 있게 된다.
물론,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유공 측구를 설치하기 전에 측벽(11)의 외부면 일정부위에 접착제를 살짝 도포하여 필터재(14)의 상부를 측벽(11)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로서, 유공부가 형성된 연결 날개부를 기존 배수용 측구에 연결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는 비탈면 하부에 설치된 기존 측구(20)에 적용할 수 있으며, 비탈면의 세굴을 방지하고 침투수를 유도 배수하여 기존 측구(20)의 내구성과 비탈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유공 측구는, 설치되어 있는 기존 측구(20)에서 비탈면 쪽에 접하고 있는 측벽(21)의 상단부에 연결 날개부(30)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날개부(30)는 다수개의 유공(33)이 형성된 판상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고, 지반과 맞닿게 되는 이면에는 필터재(14)를 부착할 수 있으며, 지형에 맞 는 폭과 길이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날개부(30)를 측구(20)에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연결 날개부(30)의 일단부를 측구(20)의 측벽(21) 상단부에 맞대어 연결핀(31)를 사용하여 측벽(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고정하여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날개부(30)는 지반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질 합성수지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판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측단면 형상이 비탈면의 지형에 맞는 경사면(32a)과 수평면(32b)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측구(20)에 부착된 연결 날개부(30)의 타단부는 원지반상에 고정핀(34a)이나 앵커(34b)를 이용하여 지반에 밀착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지표수와 침투수를 측구(20) 내부로 유도 배수하여, 배수 기능을 향상시키고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날개부(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탈면의 맨 아래에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비탈면에 접하게 되는 한쪽 측벽(21)에만 연결 날개부(30)를 연결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비탈면의 경사지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측구(20)에는 측벽(21) 양쪽에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유공 측구의 단면 형상은 'V'형 또는 'U'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재(폴리에틸렌; 이하, 'PE'라 함.) 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유공 측구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 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서, 도 1a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b는 그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도 2a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b는 그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로서, 도 3a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그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로서, 유공부가 형성된 연결 날개부를 기존 측구에 연결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측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측구 11, 21 : 측벽
11a : 받침턱 12 : 날개부
13, 33 : 유공 14 : 필터재
E : 지반 15 : 고정구
15a : 끼움돌기 16 : 받침구
30 : 연결 날개부 31 : 연결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배수통로가 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측벽(21)이 형성된 측구(20)에 있어서,
    상기 측벽(21)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유공(33)이 형성되고 비탈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그 측면 형상이 비탈면의 지형에 맞는 경사면(32a)과 수평면(32b)을 가지는 연결 날개부(30)와; 상기 연결 날개부(30)의 지반과 맞닿게 되는 이면에 부착되는 필터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유공 측구.
KR2020080002821U 2008-03-03 2008-03-03 배수용 유공 측구 KR200451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821U KR200451088Y1 (ko) 2008-03-03 2008-03-03 배수용 유공 측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821U KR200451088Y1 (ko) 2008-03-03 2008-03-03 배수용 유공 측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64U KR20090008964U (ko) 2009-09-08
KR200451088Y1 true KR200451088Y1 (ko) 2010-11-24

Family

ID=4129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821U KR200451088Y1 (ko) 2008-03-03 2008-03-03 배수용 유공 측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0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991A (ko) * 2018-01-26 2019-08-05 황주연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678B1 (ko) * 2009-11-19 2011-02-25 박정규 프리캐스트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수구조물
KR100965522B1 (ko) * 2010-03-04 2010-06-24 주식회사 비엔디코퍼레이션 경사면 측구를 위한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측구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407B1 (ko) * 2005-11-03 2006-08-30 동신기술개발 주식회사 도로 경사면용 배수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407B1 (ko) * 2005-11-03 2006-08-30 동신기술개발 주식회사 도로 경사면용 배수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991A (ko) * 2018-01-26 2019-08-05 황주연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KR102140495B1 (ko) * 2018-01-26 2020-08-07 황주연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64U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83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KR200451088Y1 (ko) 배수용 유공 측구
KR100789976B1 (ko)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KR100751590B1 (ko) 앵커플레이트가 필요없는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
KR101023983B1 (ko) 타입식 배수용 측구의 시공 방법
KR100756664B1 (ko) 터널배수공법
KR100932106B1 (ko)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
KR100973089B1 (ko) 드레인 벨트를 이용한 지하수 배수장치
JP5650995B2 (ja) 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水抜き構造、及び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水抜き構造の施工方法
KR100699710B1 (ko) 하천의 호안블록구조
KR200414038Y1 (ko) 옹벽식측구용 배수필터
JP2003253611A (ja) 境界ブロック
JP4985983B2 (ja) 道路用排水設備の施工方法
JPH07207639A (ja) 海浜安定化装置
JP2000054474A (ja) 排水性薄層舗装用暗渠ブロック
KR102159178B1 (ko) 유이엠에이 측구 시공방법
KR101811377B1 (ko) 콘크리트 블록 및 콘크리트 블록 네트 시공방법
KR101023507B1 (ko) 타입식 배수용 측구
KR200222408Y1 (ko) 수로 일체형 옹벽용 블록
KR200392245Y1 (ko) 드레인보드 고정 구조
JP2011122339A (ja) 道路橋継目部の排水構造
JP2000008312A (ja) 路面の地下浸透貯水構造
KR200390739Y1 (ko) 터널배수공법용 거푸집
KR20070042131A (ko) 친환경 조립식 배수관
KR200253366Y1 (ko) 연약지반 탈수용 주름 배수관의 앵커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