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495B1 -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495B1
KR102140495B1 KR1020180009870A KR20180009870A KR102140495B1 KR 102140495 B1 KR102140495 B1 KR 102140495B1 KR 1020180009870 A KR1020180009870 A KR 1020180009870A KR 20180009870 A KR20180009870 A KR 20180009870A KR 102140495 B1 KR102140495 B1 KR 10214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frame
permeable
longitudinal direction
pit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991A (ko
Inventor
황주연
Original Assignee
황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연 filed Critical 황주연
Priority to KR102018000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4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지된 측구의 외측에 빗물침투구조물을 설치하되, 빗물침투구조물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이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됨으로써, 노면 위로 흘러내리는 빗물의 일부가 측구본체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흘러가고, 또 다른 빗물의 일부는 빗물침투구조물의 투수틀에 형성된 다수의 투수홀을 통하여 땅속으로 신속하게 침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에 그레이팅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입구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유입구와 통하는 배수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구본체의 외측에 지면으로 내리는 빗물이 유입되어 땅속으로 침투되게 하는 빗물침투구조물이 설치되는 빗물침투형 측구에 있어서, 상기 빗물침투구조물은 측구본체의 외측면 하부에 받침대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 측구본체의 외측 상부에는 걸림턱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투수틀이 길이방향으로 수평 설치되고, 이 바닥투수틀의 외측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하부캡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하부캡의 외측면이 받침대의 외측수직면과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 설치되며, 상기 하부캡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이 수직 설치되고, 상기 투수틀의 상부에는 내측면 상부에 상기 걸림턱과 대면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상부커버대가를 설치한 뒤에 상부커버대와 투수틀를 연결대를 이용하여 결합설치하며 양측 걸림턱 사이의 상부에 그레이팅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A prefabricated side gutter for rainwater infiltra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지된 측구의 외측에 빗물침투구조물을 설치하되, 빗물침투구조물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이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됨으로써, 노면 위로 흘러내리는 빗물의 일부가 측구본체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흘러가고, 또 다른 빗물의 일부는 빗물침투구조물의 투수틀에 형성된 다수의 투수홀을 통하여 땅속으로 신속하게 침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및 도시개발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로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하수도로 다량의 빗물이 한꺼번에 집중되므로 도심지가 침수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하지 못함에 따라 지하수와 하천용수가 부족하게 되며, 그로인하여 도시 열섬현상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집중적으로 빗물이 하수구로 배수되게 됨에 따라 하수구의 통수단면이 커져야 했고, 그로인하여 하수구 및 측구 설치에 따른 소요비용이 증가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근래 들어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연구 개발의 결과로서 개발된 측구는 특허등록 제10-1201544호(발명의 명칭 : 지중침투형 측구 조립체)의 발명의 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로 유입되어 모아지는 빗물을 안내 배출하는 배수관(120)의 측벽에 다공성 배수영역(126)을 형성하고, 다공성 배수영역(126)의 외측에 땅속의 쇄석층 사이에 쇄석입자 및 토사 등이 다공성 배수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쇄석차단부(130)를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공성 배수영역(126)은 상부덮개(110)의 유입구(112)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 중 일부를 땅속으로 배출하도록 투수성을 갖는 석탄회, 바탐애쉬(bottom Ash), 현무암, 고로슬래그, 폐콘크리트골재 중 어느 하나가 일정량 포함된 시멘트 몰탈로 이루어져서 다공성 배수영역(126)에 무수히 많은 공극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이는 다공성 배수영역(126)에 형성되는 무수히 많은 공극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그들 공극이 쉽게 막혀서 빗물이 배수관 외측의 땅속으로 침투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었다.
또한, 집중 호우로 인하여 다량의 빗물이 배수관(120)으로 유입되었 때, 배수관 내부를 빠르게 흘러가는 빗물이 다공성 배수영역(126)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배수관(120)을 통하여 하천으로 바로 배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201544호(발명의 명칭 : 지중침투형 측구 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된 측구의 외측에 빗물침투구조물을 설치하되, 빗물침투구조물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이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됨으로써, 노면 위로 흘러내리는 빗물의 일부가 측구본체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흘러가고, 또 다른 빗물의 일부는 빗물침투구조물의 투수틀에 형성된 다수의 투수홀을 통하여 땅속으로 신속하게 침투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에 그레이팅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입구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유입구와 통하는 배수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구본체의 외측에 지면으로 내리는 빗물이 유입되어 땅속으로 침투되게 하는 빗물침투구조물이 설치되는 빗물침투형 측구에 있어서, 상기 빗물침투구조물은 측구본체의 외측면 하부에 받침대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 측구본체의 외측 상부에는 걸림턱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투수틀이 길이방향으로 수평 설치되고, 이 바닥투수틀의 외측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하부캡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하부캡의 외측면이 받침대의 외측수직면과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 설치되며, 상기 하부캡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이 수직 설치되고, 상기 투수틀의 상부에는 내측면 상부에 상기 걸림턱과 대면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상부커버대가를 설치한 뒤에 상부커버대와 투수틀를 연결대를 이용하여 결합설치하며 양측 걸림턱 사이의 상부에 그레이팅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는, 공지된 측구의 외측에 빗물침투구조물을 설치하되, 빗물침투구조물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이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됨으로써, 노면 위로 흘러내리는 빗물의 일부가 측구본체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흘러가고, 또 다른 빗물의 일부는 빗물침투구조물의 투수틀에 형성된 다수의 투수홀을 통하여 땅속으로 신속하게 침투됨에 따라 홍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효과와, 투수틀에 형성된 다수의 투수홀을 통하여 땅속으로 신속하게 침투되어 지하수의 고갈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측구보다 하수구로 배수되는 빗물량이 감소됨에 따라 하수구의 통수단면이 감축되어 공사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와, 본 발명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설치시간이 단축되어 시공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을 빗물침투 구조물의 벽체와 바닥체로 사용함에 따라 배수측구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그 달라진 크기에 맞추어 투수틀를 절단하여 조립하면 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침투형 측구(100)의 일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측에 그레이팅(13)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입구(11)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유입구(11)와 통하는 배수공간(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지된 측구본체(10)의 외측에는 지면으로 내리는 빗물이 유입되어 땅속으로 침투되게 하는 빗물침투구조물(20)이 설치된다.
상기 빗물침투구조물(20)은 측구본체(1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개의 받침대(21)와, 받침대(21) 상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22)과, 측구본체(1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투수틀(22)의 상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13)이 포함된다.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빗물침투형 측구(1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반(18)에 판 구덩이에 매립되는 것으로, 빗물침투구조물(20)의 외측과 하부에 쇄석(17)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모래(16)를 포설하며, 지상으로 노출되는 빗물침투형 측구(1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보도블럭(15)을 설치하여 빗물침투형 측구(100)에 대한 설치작업을 완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의한 빗물침투형 측구(100a)는, 상측에 그레이팅(13)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입구(11)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유입구(11)와 통하는 배수공간(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구본체(10a)의 외측에는 지면으로 내리는 빗물이 유입되어 땅속으로 침투되게 하는 빗물침투구조물(20a)이 설치된다.
상기 빗물침투구조물(20a)은 측구본체(10a)의 외측면 하부에 받침대(23)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 측구본체(10a)의 외측 상부에는 걸림턱(14)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3)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투수틀(24)이 길이방향으로 수평 설치되고, 이 바닥투수틀(24)의 외측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하부캡(25)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하부캡(25)의 외측면이 받침대(23)의 외측수직면과 볼트 및 나사와 같은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 설치되며, 상기 하부캡(25)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22)이 수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투수틀(22)의 상부에는 내측면 상부에 상기 걸림턱(14)과 대면하는 걸림턱(26)을 구비한 상부커버대(27)를 설치하되, 상부커버대(27)의 상면이 측구본체(10a)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게 상부커버대(27)를 투수틀(22) 상부에 안착시킨 뒤에 상부커버대(27)와 투수틀(22)를 연결대(28)를 이용하여 결합설치하며, 양측 걸림턱(14,26) 사이의 상부에 그레이팅(13)이 설치된다.
상기 이실시예에 의한 빗물침투형 측구(100a)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반(18)에 판 구덩이에 매립되는 것으로, 빗물침투구조물(20a)의 외측과 하부에 쇄석(17)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모래(16)를 포설하며, 지상으로 노출되는 빗물침투형 측구(100a)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보도블럭(15)을 설치하여 빗물침투형 측구(100a)에 대한 설치작업을 완성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의한 빗물침투형 측구(100b)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삼실시예가 이실시예와 다른 점은 삼실시예에 포함하는 측구본체(10b)의 일측 상면, 즉 빗물침투구조물(20b) 쪽의 측구본체(10b) 상면에 그레이팅(13)의 높이만큼 높이가 낮아지게 그레이팅안착부(29)가 형성되어 빗물침투구조물(20b) 반대쪽의 유입구(11) 벽면에 형성되는 그레이팅 걸림턱(13a)과 상부커버대(27) 내측의 걸림턱(26) 사이에 그레이팅(13)이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점이 다르므로 삼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삼실시예에서 설치되는 그레이팅(13)은 도 6과 같이 측구본체(10b) 상측과 빗물침투구조물(20b) 상측에 하나의 그레이팅(13)를 설치하거나, 도 7과 같이 측구본체(10b) 상측과 빗물침투구조물(20b) 상측을 각기 별도의 그레이팅(13)을 설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의한 빗물침투형 측구(100c)는 이,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사실시예가 이,삼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바닥투수틀(24)이 설치되는 위치에 바닥투수틀(24) 대신에 가운데에 상하로 통하는 하부배수공간(31)이 형성된 사각테형 바닥판(30)이 설치되고, 이 바닥판(30)의 하부배수공간(31)에는 바닥투수틀(24)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바닥투수틀(24a)이 삽입 설치되고, 바닥판(30)의 외측면과 바닥판(30)의 상측에 수직 설치되는 투수틀(22)이 연결대(28)에 의해 볼트로 결합되는 부분이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투수틀(22)과 바닥투수틀(24,24a)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 외부 전체면에 다수의 투수홀(22a)이 형성되고 직사각 관체로 형성되어 이들 투수틀(22,24,24a)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사각구멍이 형성되며, 이들 투수틀(22,24)의 내부에 보강지지대(22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투수틀(22,24,24a)의 보강을 위한 보강지지대가 없어도 무방하다.
상기 투수틀(22,24,24a)은 특허등록 제10-1458540호(발명의 명칭 :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의 발명에 포함되는 투수틀본체와 동일한 형태의 것을 적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공지된 종래발명에 포함되는 투수틀본체는 사각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투수틀본체살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태에서 다수의 길이방향 지지살 들이 투수틀본체살 들의 내측에서 다수개의 투수틀본체살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투수틀본체살과 길이방향지지살의 사이에 투수홀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다르게 설명하면, 외형이 직사각형이 되는 코일스프링이 압축되지 아니한 자유높이를 유지하도록 코일스프링의 코일선(투수틀본체살)에 길이방향으로 길이방향 지지살을 결합한 형태의 구조로 형성하여서 직사각형 코일스프링의 외주면에 코일선을 따라 많은 면적의 투수공간(투수홀:22a)이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구조인 것이다.
상기 투수홀(22a)은 투수틀(22,24,24a)의 외부 전체면에 다수의 구멍이나 다수의 장공을 형성하는 것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상기 투수틀(22,24,24a)의 내부에 형성되는 사각구멍과 그레이팅(13)의 내부에 필터(미도시)를 삽탈가능하게 설치하여 담배꽁초나 낙엽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한 빗물침투형 측구(100)의 조립은, 공지된 측구본체(10)의 외측에 받침대(21)를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한 뒤에 받침대(21)의 상부에 본 발명에 포함되는 투수틀(22)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며, 측구본체(1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유입구(11)의 상부에 그레이팅(13)을 안착 설치한다.
이때, 유입구(11)의 양측 내벽 상부에는 그레이팅 걸림턱이 형성되어서 그레이팅(13)의 양측 하부가 그레이팅 걸림턱에 얹히게 되며, 투수틀(22)의 상부에도 그레이팅(13)을 안착 설치한다.
이렇게 조립된 빗물침투형 측구(100)을 지반(18)에 굴착한 구덩이에 삽입한 뒤에, 받침대(21)와 투수틀(22), 그리고 투수틀(22) 상측에 얹히는 그레이팅(13)으로 구성되는 빗물침투구조물(20)의 하부와 외측에 쇄석(17)을 채워넣고, 쇄석(17)의 상부에 모래(16)를 포설하며, 모래(16)의 상부에 보도블럭(15)을 설치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침투형 측구(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때, 빗물침투형 측구(100)의 상부는 지상으로 노출되며 보도블럭(15)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빗물침투형 측구(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비가 내리면 빗물 중의 일부는 측구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그레이팅(13)과 유입구(11)를 통하여 배수공간(12)으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배수되게 된다.
그리고, 빗물침투구조물(20) 측으로 내리는 빗물은 빗물침투구조물(20)의 상측에 설치된 그레이팅(13)으로 유입되는데, 이 빗물침투구조물(20) 측의 그레이팅(13) 하부에는 외부면 전둘레에 투수홀이 형성된 투수틀(22)이 설치되어서 이 투수틀(22)의 상측면에 형성된 투수홀을 통하여 그 투수틀(2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게 되고, 이 투수틀(22)의 외측면과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투수홀을 통하여 투수틀(22) 외측의 쇄석(17) 측으로 빠져나가게 되며, 쇄석(17)측으로 빠져나가는 빗물은 지반(18)으로 침투되게 된다.
이때, 지반에 물이 많이 포함되어 투수틀(22) 내의 빗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에는 투수틀(22)의 내부에 빗물이 머물러 있다가 지반에 포함된 물이 하측으로 스며들어 빗물이 스며들 공극이 형성되면, 투수틀(22)에 내부에 머물던 빗물이 투수틀(22)의 외측과 하부에 형성된 투수홀을 통하여 지반(18)으로 침투되게 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의한 빗물침투형 측구(100a)의 조립은, 측구본체(10a)의 외측에 빗물침투구조물(20a)을 설치하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빗물침투구조물(20a)의 조립작업은 측구본체(10a)의 외측에 받침대(23)를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한 뒤에 받침대(23)의 상부에 바닥투수틀(24)을 길이방향으로 수평 설치하며, 바닥투수틀(24)의 외측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하부캡(25)을 설치하되,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그 다음에 상기 하부캡(25)의 개구부에 투수틀(22)을 삽입 설치한 뒤에 받침대(23)의 외측 수직부와 하부캡(25)의 외측면을 나사나 볼트, 리벳 등의 연결부재로 결합 설치하며, 투수틀(22)의 상부에는 상부커버대(27)를 설치하는데, 상부커버대(27)의 걸림턱(26)이 측구본체(10a)측을 향하도록 상부커버대(27)를 투수틀(22)의 상부에 적층한 뒤에 상부커버대(27)와 투수틀(22)의 외측면을 연결대(28)로 연결한다.
이때, 연결대(28)에는 상하로 장공을 포함하는 볼트구멍을 형성하여 그 볼트구멍으로 볼트를 체결하여 상부커버대(27)를 투수틀(22)의 상부에 결합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측구본체(10a)의 유입구(11)에 그레이팅(13)을 삽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측구본체(10a)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14)과 상부커버대(27)의 내측 걸림턱(26) 상부에 또 다른 그레이팅(13)이 얹히도록 설치하여 빗물침투형 측구(100a)에 대한 조립작업을 완성한다.
이렇게 이실시예에 의한 빗물침투형 측구(100a)를 설치한 상태에서 비가 내리면 빗물 중의 일부는 측구본체(10a)의 상부에 설치된 그레이팅(13)과 유입구(11)을 통하여 배수공간(12)으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배수되게 된다.
그리고, 빗물침투구조물(20a) 측으로 내리는 빗물은 빗물침투구조물(20a)의 상측에 설치된 그레이팅(13)으로 유입되는데, 이 빗물침투구조물(20a) 측의 그레이팅(13) 하부에는 빗물이 유입될 제2배수공간(32)이 형성되어서 그 제2배수공간(32)으로 빗물이 유입된다.
그 제2배수공간(32)의 하측에는 바닥투수틀(24)이 설치되고, 외측에는 투수틀(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투수틀(24)과 투수틀(22)은 외부면 전둘레에 투수홀이 형성되어서 투수틀(22)의 외측과 바닥투수틀(24)의 하측을 통하여 위의 빗물이 쇄석(17) 측으로 빠져나가게 되며, 쇄석(17)측으로 빠져나가는 빗물은 지반(18)으로 침투되게 된다.
이때, 지반에 물이 많이 포함되어 제2배수공간(32)내의 빗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2배수공간(32)의 내부에 빗물이 머물러 있다가 지반에 포함된 물이 하측으로 스며들어 빗물이 스며들 공극이 형성되면, 제2배수공간(32)의 내부에 머물던 빗물이 바닥투수틀(24)과 투수틀(22)에 각각 형성된 투수홀을 통하여 지반(18)으로 침투되게 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삼실시예에 의한 빗물침투형 측구(100b)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삼실시예가 이실시예와 다른 점은 삼실시예에 포함하는 측구본체(10b)의 일측 상면, 즉 빗물침투구조물(20b) 쪽의 측구본체(10b) 상면에 그레이팅(13)의 높이만큼 높이가 낮아지게 그레이팅안착부(29)가 형성되어 빗물침투구조물(20b) 반대쪽의 유입구(11) 벽면에 형성되는 그레이팅 걸림턱(13a)과 상부커버대(27) 내측의 걸림턱(26) 사이에 그레이팅(13)이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점이 다르므로 삼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삼실시예에서 설치되는 그레이팅(13)은 도 6과 같이 측구본체(10b) 상측과 빗물침투구조물(20b) 상측에 하나의 그레이팅(13)를 설치하거나, 도 7과 같이 측구본체(10b) 상측과 빗물침투구조물(20b) 상측을 각기 별도의 그레이팅(13)를 설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의한 빗물침투형 측구(100c)는 이,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사실시예가 이,삼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바닥투수틀(24)이 설치되는 위치에 바닥투수틀(24) 대신에 가운데에 상하로 통하는 하부배수공간(31)이 형성된 사각테형 바닥판(30)이 설치되고, 이 바닥판(30)의 하부배수공간(31)에는 바닥투수틀(24)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바닥투수틀(24a)이 삽입 설치되고, 바닥판(30)의 외측면과 바닥판(30)의 상측에 수직 설치되는 투수틀(22)이 연결대(28)에 의해 볼트로 결합되는 부분이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의 일 내지 사실시예 모두가 투수틀(22,24)의 내 외부 전체면에 다수의 투수홀(22a)이 형성되고 직사각 관체로 형성되어 빗물침투구조물(20,20a,20b)측으로 유입된 빗물이 땅속으로 빠르게 스며들게 되는 것이다.
10,10a,10b : 측구본체 11 : 유입구
12 : 배수공간 13 : 그레이팅
14,26 : 걸림턱 15 : 보도블럭
16 : 모래 17 : 쇄석
18 : 지반 20,20a,20b : 빗물침투구조물
21,23 : 받침대 22 : 투수틀
24,24a : 바닥투수틀 25 : 하부캡
27 :상부커버대 28 : 연결대
29 : 그레이팅안착부 30 : 바닥판
31 : 하부배수공간 32 : 제2배수공간
100,100a,100b,100c : 빗물침투형 측구

Claims (4)

  1. 삭제
  2. 상측에 그레이팅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입구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유입구와 통하는 배수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구본체의 외측에 지면으로 내리는 빗물이 유입되어 땅속으로 침투되게 하는 빗물침투구조물이 설치되는 빗물침투형 측구에 있어서,
    상기 빗물침투구조물은 측구본체의 외측면 하부에 받침대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 측구본체의 외측 상부에는 걸림턱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투수틀이 길이방향으로 수평 설치되고, 이 바닥투수틀의 외측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하부캡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하부캡의 외측면이 받침대의 외측수직면과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 설치되며, 상기 하부캡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이 수직 설치되고,
    상기 투수틀의 상부에는 내측면 상부에 상기 걸림턱과 대면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상부커버대가를 설치한 뒤에 상부커버대와 투수틀를 연결대를 이용하여 결합설치하며 양측 걸림턱 사이의 상부에 그레이팅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침투구조물 쪽의 측구본체 상면에 그레이팅의 높이만큼 높이가 낮아지게 그레이팅안착부가 형성되어 빗물침투구조물 반대쪽의 유입구 벽면에 형성되는 그레이팅 걸림턱과 상부커버대 내측의 걸림턱 사이에 그레이팅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투수틀 대신에 가운데에 상하로 통하는 하부배수공간이 형성된 사각테형 바닥판이 설치되고, 이 바닥판의 하부배수공간에는 바닥투수틀이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KR1020180009870A 2018-01-26 2018-01-26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KR10214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70A KR102140495B1 (ko) 2018-01-26 2018-01-26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70A KR102140495B1 (ko) 2018-01-26 2018-01-26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991A KR20190090991A (ko) 2019-08-05
KR102140495B1 true KR102140495B1 (ko) 2020-08-07

Family

ID=6761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870A KR102140495B1 (ko) 2018-01-26 2018-01-26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4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088Y1 (ko) * 2008-03-03 2010-11-24 조우철 배수용 유공 측구
KR101023537B1 (ko) * 2010-11-12 2011-03-21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1194234B1 (ko) * 2011-04-19 2012-10-29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측구형 침투시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544B1 (ko) 2012-02-17 2012-11-15 대한민국 지중침투형 측구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088Y1 (ko) * 2008-03-03 2010-11-24 조우철 배수용 유공 측구
KR101023537B1 (ko) * 2010-11-12 2011-03-21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1194234B1 (ko) * 2011-04-19 2012-10-29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측구형 침투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991A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272B1 (ko)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CN203546888U (zh) 一种渗透式雨水过滤井
KR100491410B1 (ko) 경사지의 배수구조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JP4268922B2 (ja) 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20090105254A (ko) 일체형 침투 집수정
JP3180226U (ja) 浸透桝
KR102055268B1 (ko) 조립식 지표수 침투집수정
KR101038336B1 (ko) 도로 l형 측구에 저류조 방식을 이용한 빗물분산과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비점 오염 저감 여과 장치
KR102140495B1 (ko)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101661520B1 (ko) 다기능 침투형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39874A (ko) 통수 개수로와 투수성 배수재를 이용한 연약지반 집배수 시스템
KR102290646B1 (ko)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KR20020033686A (ko)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KR101218752B1 (ko) 빗물저장침투장치
KR101717248B1 (ko) 침투형 배수로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2095538B1 (ko) 침투형 빗물받이 구조
KR102574196B1 (ko) 저류시스템의 시공방법
JP4119165B2 (ja) 通水ダクト式雨水浸透装置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