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435B1 -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435B1
KR100540435B1 KR1019970025099A KR19970025099A KR100540435B1 KR 100540435 B1 KR100540435 B1 KR 100540435B1 KR 1019970025099 A KR1019970025099 A KR 1019970025099A KR 19970025099 A KR19970025099 A KR 19970025099A KR 100540435 B1 KR100540435 B1 KR 10054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gas combustion
magnetic power
power unit
combus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692A (ko
Inventor
조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1997002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435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8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연소기기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써모커플과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의해서 동작되는 가스연소기기의 초기 점화동작시에,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일정시간동안 강제적으로 전류를 인가해서 빠른 점화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는, 인가되는 전원을 정류시켜서 출력하는 정류수단과; 점화스위치와; 가스유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와; 상기 점화스위치를 동작시킨 직후, 상기 정류수단에서 출력되는 정류신호가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로 인가되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파정류에 의해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가 강제로 홀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
본 발명은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써모 커플과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의해서 동작되는 가스연소기기의 초기 점화동작시에,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일정시간동안 강제적으로 전류를 인가해서 빠른 점화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레인지나 가스오븐레인지 등의 일반적인 가스연소기기에서는 써모커플로부터 발생된 기전력에 의해서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를 홀딩시키도록 하고 있다. 물론 상기 써모 커플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이 증가되어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를 홀딩 할 때까지는 사용자가 노브(knob)를 잡고 있어야만 하였다.
이 경우, 사용자가 노브를 잡고 있어야 하는 시간은 소정시간 이상이 필요하고, 이것으로 인해서 가스연소기기의 사용상에 많은 불편을 야기시켰다. 다시 말해서 소정시간 이상이 소요된 후에야 만 버너의 점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빠른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써모커플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이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를 충분히 홀딩시키기까지 사용자는 노브를 잡고 있어야만 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불편한 점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 점화 초기에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강제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점화장치가 제안되어있다. 이 점화장치는 써모커플에서 기전력이 증가되어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를 홀딩 할 때까지 사용자가 노브를 잡고 있어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빠른 점화동작을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 설명의 점화장치를 제 1 도를 참조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제 1 도는 종래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회로도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입력해서 가스연소기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압시키기 위한 트랜스(1)와, 상기 트랜스(1)를 거쳐 인가되는 전류를 직류로 정류시키는 정류회로(3)와, 상기 정류회로(3)에서 정류된 전류에서 완전한 직류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대용량의 전해 캐패시터(5)가 구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콕 노브(cock knob)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온/오프 동작하는 콕 노브 키(7)와, 상기 콕 노브 키(7)의 온/오프 동작을 감시하여 온 동작시에 후술되는 릴레이(11)의 코일단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9)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9)에서 인가하는 신호에 의해서 접점을 온/오프시키는 릴레이(11)가 포함된다.
상기 릴레이(11)의 접점을 통해서는 상기 대용량의 전해 캐패시터(5)로부터 인가되는 직류가 전류 제한용 저항(R1∼Rn)을 통해서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MPU1∼MPUn)로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다음은 상기 구성에 따른 가스연소기기의 점화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가스연소기기에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1)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가스연소기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변압시켜서 출력한다.
상기 트랜스(1)로부터 출력되는 변압된 전원은 정류회로(3)에서 전파 정류 된 후, 콘덴서(5)를 통해서 직류전원으로써 릴레이(11)의 접점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콘덴서(5)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은 제 2 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완전한 직류전원이다.
이와 같이 상기 릴레이(11)의 접점이 온 동작이 이루어지는 순간에 직류전원이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MPU1∼MPn)로 인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콕 노브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상기 콕 노브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 콕 노브 키(7)가 온 상태가 된다.
상기 콕 노브 키(7)의 온상태로의 전환은 마이크로컴퓨터(9)에서 검출되고, 마이크로컴퓨터(9)는 릴레이(11)의 코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출력단으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에 의해서 릴레이(11)는 동작되어서 릴레이 접점이 온상태가 되고, 따라서 상기 릴레이 접점에 인가되어 있던 직류전원이 마그네틱 파워유니트(MPU1∼MPUn)로 인가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써모커플(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해서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가 홀딩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이, 사용자는 잠깐 동안의 콕 노브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것 만으로도 가스연소기기를 점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는, 전원단에서 완전한 직류를 얻기 위해서 대용량의 전해 캐패시터를 사용하였다. 상기 대용량의 캐패시터 사용은, 가스연소기기의 히로 기판(PCB)의 크기를 크게 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의 제어단에서 릴레이를 사용함에 의해서 회로 기판(PCB)이 커짐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제조비용이 높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비용의 단가를 낮추면서 회로 기판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는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는, 교류전원전압을 정류시켜서 출력하는 정류수단; 점화스위치; 가스유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 정류수단으로부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로 출력되는 정류된 전압을 스위칭함과 아울러 이를 위하여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및 점화스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정류된 전압에 의해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가 강제로 홀딩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류수단는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를 홀딩시키기 위하여 전파 정류된 전압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 회로 기판의 크기를 확대하였던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므로서 제조 비용의 하락 및 기판 크기를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회로도이다.
먼저, 구성을 먼저 설명하면,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입력해서 가스연소기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압시키기 위한 트랜스(21)와, 상기 트랜스(21)를 거쳐 인가되는 교류전압을 전파 정류시키는 정류회로(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콕 노브(cock knob)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온/오프 동작하는 콕 노브키(27)와, 상기 콕 노브 키(27)의 온/오프 동작을 감시하는 마이크로컴퓨터(29)와, 상기 콕 노브 키(27)의 온 동작시에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9)의 출력단에 저항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가 접속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자는 공급전원(V2)에, 에미터단자는 저항을 통해서 자신의 베이스단자 및 다른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접속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자는 상기 정류회로(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콜렉터단자는 저항(R1∼Rn)을 통해서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MPU1∼MPUn)에 연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이 이루어진다.
트랜스(21)는 외부에서 인가하는 교류전원을 입력하고, 가스연소기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승압시켜서 출력한다. 상기 트랜스(21)의 2차측에 유도된 전압은 정류회로(23)로 입력되고, 상기 정류회로(23)에서 정류되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정류회로(23)는 전파 정류회로를 이용한다.
상기 정류회로(23)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정류된 전원의 출력 파형도를 제 4 도에 도시하고 있다. 제 4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정류회로(23)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정류신호는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턴-온 동작시에 콜렉터단자를 통해서 마그네틱 파워유니트(MPU1∼MPUn)로 인가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콕 노브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이 동작에 따라서 콕 노브 키(27)는 온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콕 노브 키(27)의 온 동작은 마이크로 컴퓨터(29)에서 검지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9)는 상기 콕 노브 키(27)의 온 동작이 검지되면, 사용자가 가스연소기기를 점화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출력단자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 출력되는 하이신호에 의해서 트랜지스터(Q2)는 턴-온 되고, 이와 연동해서 트랜지스터(Q1)도 턴-온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이 턴-온 되면, 상기 트랜지시터의 에미터단자와 콜렉터단자가 도통되면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자에 인가되고 있던 전파정류가 전류제한용저항(R1∼Rn)을 통해서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MPU1∼MPUn)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MPU1∼MPUn)에는 전파정류가 인가되어서,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가 가스연소기기의 가스유입구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의 동작을 강제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사용자는 잠깐 동안의 노브를 동작시키는 것만으로도 가스연소기기의 점화동작이 가능함과 동시에, 써모커플에서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를 홀딩시킬 수 있는 크기의 기전력을 발생시키기 전에 점화를 가능케한다. 즉, 빠른 점화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와 동일하게 빠른 점화동작이 이루어지면서도 대용량의 전해 캐패시터와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써 회로 기판 크기의 축소와 더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제 1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 2 도는 점화동작 시에 제1도의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걸리는 전압 파형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회로도.
제 4 도는 점화동작 시에 제3도의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걸리는 전압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1: 트랜스 3,23: 정류회로
5: 캐패시터 7,27: 콕 노브 키
9,29: 마이크로컴퓨터 11: 릴레이
R1∼Rn: 저항 Q1,Q2: 트랜지스터
MPU1∼MPUn: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

Claims (2)

  1. 교류전원전압을 정류시켜서 출력하는 정류수단;
    점화스위치;
    가스유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상기 정류수단으로부터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로 출력되는 정류된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점화스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정류된 전압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가 강제로 홀딩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수단은, 전파정류회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
KR1019970025099A 1997-06-17 1997-06-17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 KR100540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099A KR100540435B1 (ko) 1997-06-17 1997-06-17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099A KR100540435B1 (ko) 1997-06-17 1997-06-17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692A KR19990001692A (ko) 1999-01-15
KR100540435B1 true KR100540435B1 (ko) 2006-03-22

Family

ID=3717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099A KR100540435B1 (ko) 1997-06-17 1997-06-17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4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176A (ko) * 1987-09-05 1989-05-13 홍고오 므쯔미 폴리카아보네이트의 제조방법
JPH08200674A (ja) * 1995-01-30 1996-08-06 Yamatake Honeywell Co Ltd 着火装置
KR970002104A (ko) * 1995-06-21 1997-01-24 가스오븐레인지의 독립형 자동점화장치
KR970007073A (ko) * 1995-07-31 1997-02-21 배순훈 가스오븐렌지의 전자제어콕크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176A (ko) * 1987-09-05 1989-05-13 홍고오 므쯔미 폴리카아보네이트의 제조방법
JPH08200674A (ja) * 1995-01-30 1996-08-06 Yamatake Honeywell Co Ltd 着火装置
KR970002104A (ko) * 1995-06-21 1997-01-24 가스오븐레인지의 독립형 자동점화장치
KR970007073A (ko) * 1995-07-31 1997-02-21 배순훈 가스오븐렌지의 전자제어콕크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692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3265B1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and cooking device
JP468353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540435B1 (ko) 가스연소기기의 점화장치
KR100347095B1 (ko) 가스연소기기의점화장치
US6690150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producing a power supply voltage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switch
KR100288931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대기소비전력제어회로
KR940002004Y1 (ko) 레인지 후드
JPH08255670A (ja) 電気ヒータ駆動装置
KR100210075B1 (ko) 전자렌지의 히터제어장치
KR100314429B1 (ko) 마이크로컴퓨터의폭주방지장치
GB2176910A (en) Electrical control means for gas flow to a burner
KR100205754B1 (ko) 전자식 전자레인지의 출력 제어회로
KR950000360Y1 (ko) 전자렌지의 자동전압전환 및 출력제어회로
JP2002168452A (ja) 調理機器
KR0126841Y1 (ko) 입력전압 안정화 회로
KR920007131Y1 (ko) 전자기기의 전원회로
JP3023198B2 (ja) 磁気制御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8339892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8266800A (ja) アイロン
JP2002168442A (ja) 調理機器
KR19980021841A (ko) 가스연소기구의 점화장치
JP2005507548A (ja) けい光ランプ用安全スターター
JPH06140147A (ja) 高周波加熱装置
JPH11308765A (ja) 電源装置
JPH04474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