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042B1 -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042B1
KR100540042B1 KR10-2003-0066914A KR20030066914A KR100540042B1 KR 100540042 B1 KR100540042 B1 KR 100540042B1 KR 20030066914 A KR20030066914 A KR 20030066914A KR 100540042 B1 KR100540042 B1 KR 10054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oling air
spinning
lyocell multifilamen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770A (ko
Inventor
권익현
최수명
왕영수
김성룡
최재식
이태정
한석종
김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3-006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042B1/ko
Publication of KR2005003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6Washing or dry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3/00Complete machines for producing artificial threads
    • D01D13/02Elements of machines in combin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할 때 멀티필라멘트를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를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물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방사원액을 압출 방사하는 방사노즐과; 방사노즐에서 방사되는 용액방출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공기 공급부 및 냉각공기 흡입부와; 냉각된 용액방출사를 응고시키는 응고욕과; 응고된 용액방출사를 수세, 건조 및 유제 처리하는 수세 욕으로 구성되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방사노즐에서 방사되는 용액방출사가 통과하도록 상·하측이 개방된 상태로 마련되며, 일측에 냉각공기 공급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급 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냉각공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로 흡입홀이 형성되는 냉각챔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냉각공기의 공급부에서 흡입구에 이르는 도중 냉각구역을 벗어나 그 외의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냉각공기의 유출을 차단함으로써 냉각공기의 손실을 막아 좀 더 빠르고 효율적인 냉각 효과를 발생시킴으로 인해 방사시 필라멘트간의 점착을 막을 수 있어서, 냉각 기류의 안정화와 발생되는 가스의 즉각적인 배출, 필라멘트 전체의 균일한 냉각으로 인하여 방사성의 안정화와 기계적 물성 및 균제도가 우수한 라이오셀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Quenching apparatus for preparing Lyocell multi-filament}
본 발명은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할 때 멀티필라멘트를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섬유 용융방사는 합성수지 칩(chip)에 열을 가해 녹인 다음 이 용융수지를 스핀너렛(spinneret)을 통해 고압 하에 섬유상의 멀티필라멘트로 압출하고 형성된 멀티필라멘트에 차가운 냉각 풍을 강제로 불어줌으로써 모노 필라멘트들이 균일하게 냉각이 되도록 한 후 연신 및 권취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정 중 방사 안정성과 최종 권취된 원사의 균일성이 유지되는 것이다.
용융방사의 경우에는 분자의 유동성이 좋은 열가소성 상태에서 연신을 하고, 용액방사의 경우에는 용매와 비용매 그리고 폴리머 3성분으로 구성된 용액을 제조한 다음 습식 또는 건식 방사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건식방사의 경우에는 용매가 증발되는 동안 연신을 할 수 있으며, 습식방사의 경우에는 응고액 농도 및 온도 등에 의거하여 응고되는 과정에서 주로 연신이 이루어진다.
반면,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이하,NMMO)/물/셀룰로오스 3성분으로 구성된 방사용액은 80 ∼ 130℃ 범위의 고온상태이므로 일반적인 습식방사와 같이 바로 방사노즐을 응고욕에 침지시켜 방사하면 탈용매에 따른 빠른 응고로 인해 충분한 연신성능과 물성을 확보하기 힘들며, 약 10,000poise의 고점도 셀룰로오스 용액은 건식방사만으로는 용매 증발을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습식과 건식방사공법이 적절히 조합된 건·습식방사공법이 필요하며 특히, 이 과정에서 방사노즐과 응고욕 계면사이에 있는 공기층(이하 air gap)을 최대한 활용하여 물성 및 방사성 개선을 시도할 수 있다.
동독특허 218,124에 의하면 3급 아민옥사이드계 수용액을 사용하여 셀룰로오스 용액을 방사함에 있어 필라멘트끼리의 점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 갭을 사용했다고 보고 되었으며, 미국특허 4,261,943에 의하면 50 ∼ 300mm범위의 에어 갭에 필라멘트끼리의 점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용매인 물을 분무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 WO96-21758에 의하면, 필라멘트 냉각을 위해 에어 갭에 공기의 온도 및 습도가 다른 두 종류의 공기를 부여함으로써 점착성을 개선하고 피브릴을 감소시켰다고 보고 되고 있다. 미국특허 5,589,125에 의하면 셀룰로오스 섬유 제조시 에어 갭에서 내부와 외부의 양방향 냉각기류 장치의 도입으로 필라멘트간의 점착 없이 효율적인 방사를 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장치가 복잡해지며 냉각 기류의 와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스핀너렛(2)을 빠져나온 멀티 필라멘트(3)가 균일 냉각이 되지 않으면 각 필라멘트마다 고화지점이 달라지고 이로 인해 모노 필라멘트 사이에 굵기의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데트 롤러(8)를 지나면서 연신이 되면 가는 필라멘트와 굵은 필라멘트 사이에 신도 및 자연 연신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저신도 모노 필라멘트에서 부분적으로 단사가 발생하고 이것이 공정상에서의 단사나, 제품상에 모우(fluff) 등의 결함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방사공정상에 냉각(quenching)장치(4, 6)를 설치하여 강제 냉각을 통해 멀티 필라멘트(3)들을 균일하게 냉각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여기서 방사 공정에서의 냉각이란 스핀너렛(2)을 통해 배출된 고분자 용융물을 공기나 물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냉각, 고화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로써 멀티 필라멘트(3)간의 냉각편차를 줄여 섬유 균제도를 향상시키고, 극세사 또는 고 드래프트(Draft) 방사시 냉각에 의해 용융 점도를 증가시켜 스핀너렛(2) 직하에서의 사절을 방지하며, 균일 냉각으로 고화 거리가 일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각 필라멘트(3)의 균일한 배향 및 결정화가 발생하여 결국 균일한 물성을 갖는 원사를 얻게 된다.
그러나 이때 외부공기를 끌어들여 섬유 다발에 균일한 속도분포를 갖도록 냉각풍을 불어주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일 뿐 아니라, 계절에 상관없이 온도와 습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야 하므로 비용도 매우 많이 들게 된다.
또한, 기존의 냉각장치에서는 냉각구역이 냉각장치의 냉각공기의 공급구와 냉각공기의 흡입구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냉각공기가 냉각구역을 흐르는 동안 냉각공기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필라멘트수의 증가에 따른 냉각의 불균일과 필라멘트끼리의 점착 등의 공정 불안 요인이 있어,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필라멘트 섬도와 물성수준을 고려하여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냉각공기의 외부유출을 막고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냉각챔버(chamber)를 구비한 냉각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냉각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냉각공기의 안정화와 발생되는 가스의 즉각적인 배출과 함께 필라멘트 전체의 균일한 냉각으로 인하여 방사성의 안정화와 필라멘트간의 점착을 막을 수 있게 하여 기계적 물성 및 균제도가 우수한 라이오셀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면부에 설치된 냉각공기 공급부 및 후면부에 설치된 흡입부와 이를 둘러싼 냉각챔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용 냉각장치에 관계된다. 이러한 냉각장치는 특히 NMMO 같은 용매중의 셀룰로오스 용액으로부터 라이오셀 멀티 필라멘트를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스를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물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방사원액을 압출 방사하는 방사노즐과; 상기 방사노즐에서 방사되는 용액방출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공기 공급부 및 냉각공기 흡입부와; 냉각된 용액방출사를 응고시키는 응고욕과; 응고된 용액방출사를 수세, 건조 및 유제 처리하는 수세 욕으로 구성되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노즐에서 방사되는 용액방출사가 통과하도록 상·하측이 개방된 상태로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급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냉각공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로 흡입홀이 형성되는 냉각챔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챔버는 일측에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공급댐퍼가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흡입하는 흡입댐퍼가 마련되며, 상기 공급댐퍼와 상기 흡입댐퍼의 양측 면에 냉각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챔버판이 마련되며, 일측 챔버판은 상기 공급댐퍼 또는 상기 흡입 댐퍼 측으로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공기의 풍량 조절을 위하여 상기 흡입댐퍼의 크기가 상기 공급댐퍼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일측 챔버판은 개폐를 위하여 상기 공급댐퍼 또는 상기 흡입 댐퍼측으로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 챔버의 높이는 30 내지 15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공기의 온도는 5℃에서 25℃이고, 상기 냉각챔버 내의 상대습도 RH는 10% 내지 8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A) 셀룰로오스를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이하, NMMO)/물 혼합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원액(Dope)을 제조하는 단계; B) 방사노즐을 통해 상기 방사원액을 압출 방사하고 방사노즐을 통과한 용액방출사를 방사노즐 전면부에 설치된 냉각공기 공급부 및 방사노즐 후면부와 이를 둘러싼 냉각챔버로 이루어진 냉각장치의 냉각구역을 통과하여 냉각되는 단계; C) 상기 냉각된 방출사를 응고욕에 도달하도록 한 후, 이를 응고시켜 멀티필라멘트를 수득하는 단계; D) 수득된 멀티 필라멘트를 그 진행 방향을 전환하여 수세욕으로 도입하여 이를 수세, 건조 및 유제 처리하여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강도 5 내지 10 g/d, (2) 신도 3 내지 13%, (3) 균제도(U%) 3% 이하, (4) 절단강도 및 절단신도 변동률(CV%) 1% 이하, (5) 섬도 500 내지 3,000 데니어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냉각구역의 온도는 5℃에서 25℃이고, 냉각구역 내의 상대습도 RH는 10% 내지 8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장치의 냉각챔버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방사노즐(2) 일측부에 설치된 냉각공기 공급부(4) 및 방사노즐(2) 타측부에 설치된 냉각공기 흡입부(6)로 이루어진 냉각장치의 냉각구역에 추가로 그 주위를 둘러싼 냉각챔버(10a)를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냉각챔버(10a)를 설치하면 냉각공기의 공급부(4)에서 냉각공기의 흡입구(6)까지 이르는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냉각공기의 산란을 막고, 냉각공기가 방사노즐(2) 후면에 위치한 흡입구(6)까지 흐르는 동안의 손실을 막아서 효율이 높아지게 되며 따라서 냉각효과도 더 빠르게 발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냉각 방식에서 발생하는 방사팩간 필라멘트사조의 냉각, 고화 불균일화로 인한 균제도의 불량 및 이로 인한 염반불량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동시에 균일냉각으로 인하여 모우 및 사절에 의한 품질저하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공기 흡입부(6)는 냉각공기의 안정화와 발생되는 가스의 즉각적인 배출, 필라멘트 전체의 균일한 냉각으로 인하여 방사성의 안정화와 필라멘트간의 점착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오셀 멀티 필라멘트용 냉각장치는 냉각공기의 공급부에서 흡입구에 이르는 도중 냉각구역을 벗어나 그 외의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냉각공기의 유출을 차단함으로써 냉각공기의 손실을 막아 냉각공급구의 크기 , 냉각공기 속도 및 냉각공기량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챔버(10a)의 형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이 개방된 원통상의 챔버(10a)가 마련되고, 상기 챔버(10a)의 일측에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4)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급홀(12a)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10a)의 타측에 상기 냉각공기 흡입구(6)에 대응되는 위치로 흡입홀(1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챔버(10a)는 방사노즐(2) 전면부에 설치된 냉각공기 공급부(4) 및 방사노즐 후면부에 설치된 냉각공기 흡입부(6)가 있는 부분의 공간을 제외하고는 냉각공기의 공급부(4)와 흡입구(6) 사이의 일직선 거리를 지름으로 하는 원기둥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챔버(10a)의 높이는 30 내지 150 mm가 바람직하다. 이는 챔버(10a)의 높이가 30 mm 미만이면 냉각구역 이 외의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냉각공기를 효율적으로 막을 수 없으며 150 mm 초과이면 냉각장치 구조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챔버(10b)의 형태로, 방사노즐(2)의 일측에 마련되어 냉각공기 공급부(4)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공급댐퍼(12b)와, 방사노즐(2)의 타측에 마련되어 냉각공기를 일정한 흡입력으로 흡입하는 흡입댐퍼(14b)가 마련되며, 공급댐퍼(12b)와 흡입댐퍼(14b)의 양측 면에는 냉각공기가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챔버판(16b, 18b)이 마련되며, 일측 챔버판(16b)은 공급댐퍼(12b) 또는 흡입댐퍼(14b)측으로 슬라이드 개폐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챔버(10c)로 상술한 냉각챔버(10b)의 구조와 동일하며, 다만 흡입댐퍼(14c)측에서 흡입되는 냉각공기의 풍량조절을 위하여 흡입댐퍼(14c)의 크기를 공급댐퍼(12c)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측 챔버판(16c)은 개폐를 위하여 공급댐퍼(12c) 또는 흡입댐퍼(14c)측으로 힌지 결합되어 마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 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실시 예 및 비교 예에서 방사원액, 라이오셀 멀티 필라멘트 등의 특성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a) 필라멘트 점착
필라멘트 원사를 1m단위로 자르고 그 중 0.1m만 절취하는 방법으로 5개의 시료를 만든 후 107℃로 2시간 무하중 상태에서 건조한 다음 Image Analyser를 통해 육안으로 필라멘트의 점착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한가닥이라도 점착된 경우 'fail (F)', 그렇지 않은 경우 'pass (P)'로 판정한다.
(b) 강도(g/d) 및 신도(%)
시료를 107℃로 2시간 건조 후에 인스트롱사의 저속 신장형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였는데, 80Tpm(80회 twist/m)의 꼬임을 부가한 후 시료장 250mm, 인장속도 300m/min으로 측정한다.
(c) 균제도(U%)
필라멘트 단위길이당 무게(또는 단면적)의 변동으로서, 게이쇼키사의 균제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d) 절단강도 및 절단신도 변동률(CV%)
실시 예 1과 비교예 1을 동일하게 각각 10회씩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준편차로 측정하였다.
(e) 방사안정성
방사안전성은 주어진 방사조건에서 노즐과 응고욕 표면사이의 공기층에서 발생되는 사절 필라멘트의 수로 나타내었으며 다음과 같이 정의하여 표현하였다
방사안정성 사절수 비고
S 0 ∼ 1 판정 기준은 방구 1000홀당주당 사절수로 평가
A 2 ∼ 4
B 5 ∼ 7
C 8 ∼ 14
D 15 ∼
[실시 예 1]
중합도(DPw)가 1,200(α-셀룰로오스 함량; 97%)인 펄프를 NMMO/H20, propyl gallate 0.01wt%를 사용하여 농도 11.5%의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셀룰로오스 용액을 방사노즐을 통해 방사하였다. 이때 방사노즐의 직경은 120mm이고 토출공 수가 각각 1200개인 방사 노즐을 사용하였으며, 토출공 직경은 150㎛를 이용하였다. 이 때 토출공 직경과 길이의 비(L/D)는 모두 4인 노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방사노즐(head temp. ; 110℃)로부터 토출된 용액은 공기층(air gap)거리 80mm를 통과하는 동안에 방사노즐 전면부에 설치된 냉각공기 공급부에서 온도/습도가 20℃/75%RH의 냉각공기를 5m/sec의 풍속으로 부여하고 방사노즐 후면부에 냉각공기 흡입부를 설치하고, 냉각공기의 공급부와 흡입구 사이의 냉각구역의 최대 거리 이하를 지름으로 하고 높이는 60 mm인 원기둥 모양의 냉각챔버를 설치한 냉각장치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나서 냉각공기의 안정화와 발생되는 가스의 즉각적인 배출을 하였다. 최종 필라멘트 섬도가 1,500 데니어가 되도록 토출량과 방사속도를 조절하여 방사하였다. 응고액 온도는 20℃, 농도는 물 80%, NMMO 20%로 조정하여 상부응고욕과 하부응고욕의 응고액을 순환하였다. 이때, 냉각공기와 응고액의 농도는 센서와 굴절계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응고욕을 빠져나온 필라멘트의 잔존 NMMO를 수세공정을 통해 제거하고 건조 후 권취하였으며, 이 때의 필라멘트 원사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2]
토출공의 수가 1000개인 방사노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원사를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된다.
[실시 예 3]
냉각공기를 4.5m/sec의 풍속으로 냉각공기량을 약 10% 줄여서 부여하고 높이 60 mm인 그림 4 의 사각형 모양의 냉각챔버를 설치한 냉각장치를 설치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2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원사를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된다.
[실시 예 4]
냉각공기를 4.2m/sec의 풍속으로 약 20% 줄여서 부여하고 높이 60 mm인 그림 5 의 사다리꼴 모양의 냉각챔버를 설치한 냉각장치를 설치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2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원사를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된다.
[비교예 1]
냉각구역 주위에 냉각챔버를 설치하지 않은 냉각장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원사를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된다.
[비교예 2]
토출공의 수가 1000개인 방사노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원사를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된다.
표 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홀의 갯수 1200 1000 1000 1000 1200 1000
주입냉각공기 속도(m/sec) 5.1 5.1 4.5 4.2 5.1 5.1
흡입 냉각공기 속도(m/sec) 4.2 4.2 4.1 4.0 4.0 4.1
방사안정성 A A S S D C
점착성 P P P P F F
절단강도(g/d) 7.5 7.2 7.3 7.1 6.0 6.3
절단강도변동률(CV%) 2.5 2.9 2.8 2.6 7.9 8.5
절단신도(%) 6.0 5.5 5.9 5.6 5.0 4.8
절단신도변동률(CV%) 5.4 5.9 5.0 4.5 9.7 9.8
균제도(U%) 1.48 1.30 1.50 1.39 3.02 2.65
본 발명에 따른 라이오셀 멀티 필라멘트용 냉각장치는 냉각공기의 공급부에서 흡입구에 이르는 도중 냉각구역을 벗어나 그 외의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냉각공기의 유출을 차단함으로써 냉각공기의 손실을 막아 냉각공급구의 크기 및 냉각공기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효율적인 냉각 효과를 발생시킴으로 인해 방사시 필라멘트간의 점착을 막을 수 있어서, 냉각 기류의 안정화와 발생되는 가스의 즉각적인 배출, 필라멘트 전체의 균일한 냉각으로 인하여 방사성의 안정화와 기계적 물성 및 균제도가 우수한 라이오셀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 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의 제조장치의 냉각챔버를 나타낸 간략도.

Claims (8)

  1. 방사노즐, 냉각공기 공급부, 냉각공기 흡입부 및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 장치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노즐에서 방사되는 용액방출사가 통과하도록 상·하측이 개방되어 있는 냉각장치는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고,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에 대응하여 상기 냉각장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급댐퍼;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흡입하고, 상기 냉각공기 흡입부에 대응하여 상기 냉각장치 타측에 형성되는 흡입댐퍼; 및
    상기 공급댐퍼와 상기 흡입댐퍼의 양측 면에 마련되어 냉각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챔버판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챔버판 중 어느 하나는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챔버판 중 일측 챔버판은 상기 공급댐퍼 또는 상기 흡입댐퍼 측으로 슬라이드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댐퍼의 크기가 상기 공급댐퍼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 챔버판은 상기 공급댐퍼 또는 상기 흡입댐퍼 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챔버의 높이는 30 내지 15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기의 온도는 5℃에서 25℃이고, 상기 냉각챔버 내의 상대습도 RH는 10% 내지 85%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3-0066914A 2003-09-26 2003-09-26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KR10054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914A KR100540042B1 (ko) 2003-09-26 2003-09-26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914A KR100540042B1 (ko) 2003-09-26 2003-09-26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770A KR20050030770A (ko) 2005-03-31
KR100540042B1 true KR100540042B1 (ko) 2005-12-29

Family

ID=3738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914A KR100540042B1 (ko) 2003-09-26 2003-09-26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335B1 (ko) 2007-12-27 2012-08-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라이오셀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되는라이오셀 필라멘트 섬유, 및 타이어 코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980B1 (ko) * 2006-12-28 2008-04-28 주식회사 효성 단면 변동 계수가 낮은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CN105821502B (zh) * 2016-05-27 2018-01-26 浙江显昱纤维织染制衣有限公司 一种纺丝机的冷却箱
CN110578179A (zh) * 2018-06-08 2019-12-17 郑州中远氨纶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纤维素纤维长丝的生产方法及生产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335B1 (ko) 2007-12-27 2012-08-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라이오셀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되는라이오셀 필라멘트 섬유, 및 타이어 코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770A (ko)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2413B2 (en) Lyocell multi-filament for tire cor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575378B1 (ko)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방법
US7713459B2 (en) Cellulose fiber for using as industrial materials
KR19980701273A (ko) 압출물 제조방법(manufacture of extruded atricles)
KR100824980B1 (ko) 단면 변동 계수가 낮은 셀룰로오스 멀티 필라멘트
KR100687597B1 (ko) 라이오셀 섬유용 방사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섬유의 제조 방법
IE920053A1 (en)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haped cellulose article
KR100486812B1 (ko) 타이어 코드용 라이오셀 멀티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9974B1 (ko) 균일도가 우수한 의류용 라이오셀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JP4593667B2 (ja) 産業用セルロース繊維
KR100540042B1 (ko)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 제조용 냉각장치
KR100652089B1 (ko) 셀룰로오스 멀티필라멘트 제조 방법
KR100488607B1 (ko) 라이오셀 멀티필라멘트용 방사노즐 및 냉각장치
KR101003977B1 (ko) 폴리케톤 섬유의 제조 방법
KR20130077493A (ko) 라이오셀 섬유용 방사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 섬유의 제조 방법
KR100865135B1 (ko) 의류용 라이오셀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20120090115A (ko) 라이오셀 섬유용 방사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 섬유의 제조 방법
KR20070100481A (ko) 라이오셀 섬유용 방사 구금, 및 이를 이용한 라이오셀섬유의 제조 방법
KR101427815B1 (ko) 산업용 아라미드 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