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408B1 -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408B1
KR100538408B1 KR10-2003-0041681A KR20030041681A KR100538408B1 KR 100538408 B1 KR100538408 B1 KR 100538408B1 KR 20030041681 A KR20030041681 A KR 20030041681A KR 100538408 B1 KR100538408 B1 KR 100538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heat sink
generator
vehic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500A (ko
Inventor
서희욱
Original Assignee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408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16Synchronous generators
    • H02K19/22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windings each turn of which co-operates alternately with poles of opposite polarity, e.g. heteropola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4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rectification
    • H02K11/049Rectifiers associated with stationary parts, e.g. stator cores
    • H02K11/05Rectifiers associated with casings, enclosures or bra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8Cooling of commutators, slip-rings or brushes e.g. by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히트싱크로부터 외부로 연장시켜야 하는 출력단자를 히트싱크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부품수와 조립공정을 최소화하고, 더 나가서 연장부분의 연장방향을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형성하여 호환성이 크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히트싱크(91)의 일부분을 리어 브라켓의 밖으로 연장시킨 연장 플레이트부(310)와, 그 연장 플레이트부에서 돌출시키되 관통구멍(330)을 가진 체결부(320)(360)로 출력단자(300)를 형성한 후, 상기 관통구멍(330)에 단자 보울트(340)를 조립하여서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OUTPUT TERMINAL STRUCTURE OF ALTERNA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출력단자를 별도로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히트싱크부재로부터 단자부를 연장한 후, 이 단자부에 단자 보울트를 직접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하나로서, 축받침부를 가진 리어 브라켓(10)과 프론트 브라켓(20)으로 이루어진 케이스(30), 그리고 그 케이스 내부에 설치하되 일단부에 풀리(40)가 고정된 샤프트(60)와, 이 샤프트에 고정된 로터(70)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 고정된 스테이터(50)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로터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슬립링(71)과, 슬립링에 접동하는 한 쌍의 브러시(81)와, 이 브러시를 수납한 브러시 어셈브리(80)와, 상기 스테이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정류기 어셈브리(90)와, 브러시 어셈브리에 감착된 히트싱크(91)와, 이 히트싱크에 접촉된 채 상기 스테이터에서 발생한 교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레귤레이터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차량의 엔진이 시동될 때 엔진의 회전력을 발전기의 풀리가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회전자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어짐에 따라 폴은 자화되고, 이때 발생한 기자력에 의해 고정자에서 발생되어지는 교류 전류는 정류기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후,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어지는 출력단자를 통하여 차량의 각종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여분의 전기는 배터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처럼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초기 구동시에는 타여자 방식인데 반해, 일단 발전을 시작하면 자여자 방식이 된다.
따라서, 차량용 교류발전기에는 초기 발전을 위해 전류가 공급되고, 계속 발전할 때는 발전 전압을 체크하여 레귤레이터로 보내어질 수 있게 하는 L단자와, 단자에 출력을 발생하는 출력단자를 인출하고 있는 바 이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 2에서의 출력단자(100)는 상, 하 히트싱크(91)의 사이에 단자 플레이트(101)를 끼운 채 나사로 고정하고, 상기 단자 플레이트(101)의 끝단에 암나사를 가공하여 단자 보울트(102)를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출력단자 구조는 단자 플레이트(101)의 두께를 가능한 얇게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암나사구간이 짧아 체결력이 부족하며, 더 나가서 헛돌면서 나사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너트로 체결할 경우, 단자 플레이트(10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토퍼를 히터싱크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출력단자(200) 구조(교류발전기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시킨 타입)를 보인 것으로, 일측단을 터미날 단자 즉, 히트 싱크(91)에 고정 스크류(201)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외부로 인출되어지는 단자 보울트(206)에 절연 몰드1(203), 절연몰드2(204)를 끼워 너트(205)로써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출력단자 구조에 있어서도 별도의 단자 보울트(206)를 상기 히트싱크(91)와 결합하여야 하고, 그 중간에 절연몰드1(203), 절연몰드2(204)를 개입시켜 이들 모두를 너트(205)로써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고자 하는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히트싱크로부터 외부로 연장시켜야 하는 출력단자를 히트싱크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부품수와 조립공정을 최소화하고, 더 나가서 연장부분의 연장방향을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형성하여 호환성이 크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히트싱크의 일부분을 리어 브라켓의 밖으로 연장시킨 연장 플레이트부와, 그 연장 플레이트부에서 돌출시키되 관통구멍을 가진 체결부로 출력단자를 형성한 후, 상기 관통구멍에 단자 보울트를 조립하여서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단자(300)의 구성도이고, 도 5는 그 일부 단면도,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단자(300)의 구성도이고, 도 7은 그 일부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특징적인 구성은 상기한 히트싱크(91)의 일부분을 리어 브라켓의 밖으로 연장시킨 연장 플레이트부(310)와, 그 연장 플레이트부 끝에서 돌출시키되 관통구멍(330)을 가진 체결부(320)(360)로 출력단자(300)를 구성한 후, 상기 관통구멍(330)에 단자 보울트(340)를 조립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실시하는데 있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 보울트(340)가 발전기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타입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 보울트가 발전기의 축방향(후방)으로 돌출되는 타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발전기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타입은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부(320)를 발전기의 축방향으로 형성하면서 그 체결부(320)에 형성하는 관통구멍(330)을 발전기의 반경방향으로 형성하고, 여기에 단자 보울트(340)를 조립하는 것이며, 단자 보울트(340)의 조립 상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다.
또한, 발전기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타입은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부(360)를 발전기의 반경방향으로 형성하면서 그 체결부(360)에 형성하는 관통구멍(330)을 발전기의 축방향으로 형성하고, 여기에 단자 보울트(340)를 조립하는 것이며, 역시 단자 보울트(340)의 조립상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출력단자(30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연부재(350)를 감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절연부재(350)는 히터코어(91)를 제작하는 시점에서 미리 덧씌워지는 형태로 제조하거나, 조립 후에 추가로 끼워주는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절연부재(350)의 모양은 출력단자(300)가 반경방향 돌출타입인가 축방향 돌출타입인가에 따라 각각의 모양이 달라질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히트싱크의 일측으로부터 여러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외부로 노출시켜야 하던 출력단자를 히트싱크 자체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이 연장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 단자 보울트를 끼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출력단자 부품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부품 및 조립공정의 감소로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던 종래에 비하여 접촉상태가 양호하기 때문에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며, 특히 단자 보울트의 노출 방향을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호환성이 커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차량용 교류발전기를 보인 측면도와 정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출력단자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출력단자 구조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출력단자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절연부재 감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리어 브라켓 20 : 프론트 브라켓
40 : 풀리 50 : 스테이터
60 : 샤프트 70 : 로터
80 : 브러시 어셈블리 90 : 정류기 어셈블리
91 : 히트싱크 300 : 출력단자
310 : 연장 플레이트부 320,360 : 체결부
330 : 관통구멍 340 : 단자 보울트
350 : 절연부재

Claims (4)

  1. 축받침부를 가진 리어 브라켓(10)과 프론트 브라켓(20)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그리고 그 케이스 내부에 설치하되 일단부에 풀리(40)가 고정된 샤프트(60)와, 이 샤프트에 고정된 로터(70)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 고정된 스테이터(50)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로터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슬립링(71)과, 슬립링에 접동하는 한 쌍의 브러시(81)와, 이 브러시를 수납한 브러시 어셈브리(80)와, 상기 스테이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정류기 어셈브리(90)와, 브러시 어셈브리에 감착된 히트싱크(91)와, 이 히트싱크에 접촉된 채 상기 스테이터에서 발생한 교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진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있어서,
    상기한 히트싱크(91)의 일부분을 리어 브라켓의 밖으로 연장시킨 연장 플레이트부(310)와, 그 연장 플레이트부에서 돌출시키되 관통구멍(330)을 가진 체결부(320)(360)로 출력단자(300)를 구성한 후, 상기 관통구멍(330)에 단자 보울트(340)를 조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단자(300)는 그 체결부(320)를 발전기의 축방향으로 형성하면서 그 관통구멍(330)을 발전기의 반경방향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단자(300)는 그 체결부(360)를 발전기의 반경방향으로 형성하면서 그 관통구멍(330)을 발전기의 축방향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단자(300)는 그 연장 플레이트부(310) 및 체결부(320)(360)를 연속하여 감싸는 절연부재(350)를 감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KR10-2003-0041681A 2003-06-25 2003-06-25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KR100538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681A KR100538408B1 (ko) 2003-06-25 2003-06-25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681A KR100538408B1 (ko) 2003-06-25 2003-06-25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500A KR20050001500A (ko) 2005-01-07
KR100538408B1 true KR100538408B1 (ko) 2005-12-23

Family

ID=3721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681A KR100538408B1 (ko) 2003-06-25 2003-06-25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4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500A (ko) 200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3372B2 (ja) 回転電機
US6657336B2 (en) Modified output terminal structure of AC generator
JP2006325376A (ja) 車両用回転電機
JP2008072793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01037180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3974560B2 (ja) 回転電機
US7535137B2 (en) Alternator
KR100538408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US7205691B2 (en) Alternator sub-component construction built inside existing automotive generator housing
JP3845433B2 (ja) 車両用発電機の出力端子構造
JP5840282B1 (ja) 回転電機
KR200158236Y1 (ko)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KR20000016662U (ko) 자동차 교류발전기의 배터리단자어셈블리
KR100471197B1 (ko) 자동차용 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스터드어셈블리
KR20000013022A (ko) 자동차 교류발전기용 전압조정기
KR20030056767A (ko)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KR20000016590U (ko) 자동차발전기용 정류기
KR20020076430A (ko) 자동차용 발전기의 터미널
KR200160355Y1 (ko)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브라켓 구조
JP3746024B2 (ja) 車両用回転電機
KR20000016591U (ko) 자동차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
KR20000005857U (ko) 자동차 교류발전기용 레귤레이터의 소자조립구조
KR19990029130U (ko) 발전기용 단자커버
KR19980016950U (ko)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KR20180071814A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