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355Y1 -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355Y1
KR200160355Y1 KR2019960057174U KR19960057174U KR200160355Y1 KR 200160355 Y1 KR200160355 Y1 KR 200160355Y1 KR 2019960057174 U KR2019960057174 U KR 2019960057174U KR 19960057174 U KR19960057174 U KR 19960057174U KR 200160355 Y1 KR200160355 Y1 KR 200160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vehicle
generator
rear bracket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048U (ko
Inventor
이병진
Original Assignee
에릭 발리베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 발리베,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 발리베
Priority to KR2019960057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355Y1/ko
Publication of KR19980044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0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5Mounting arrangements for bearing-shields or end pl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브라켓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종에 따라 차량 엔진에 장착되는 발전기 조립부의 위치등이 서로 상이하거나 장착 사양이 일부 변경 되는 경우에는 종전의 브라켓을 그대로 이용할 수 없게 되어 변경된 모델에 맞는 새로운 브라켓을 신규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프론트브라켓(2)측 후렌지(21)는 프론트브라켓(2)과 일체로 되는 단일 사출물로 형성되고, 리어브라켓(3)측 후렌지(31)는 리어브라켓(3)과 별개로 구성되어 리어브라켓(3)에 후렌지(31)가 체결구(5)에 의해 조립되게 구성하여 차종에 따라 발전기가 장착되는 조립부의 위치등이 서로 상이하거나 조립부의 중심 위치와 장착 사양이 일부 변경시 후렌지를 교체시키는 것만으로 차량 엔진에 발전기가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임.

Description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브라켓 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브라켓측 후렌지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차종에 따라 엔진에 장착되는 발전기 장착부의 위치가 일부 변경되더라도 차량 엔진에 발전기가 조립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리어브라켓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차량용 발전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자(1)가 프론트 브라켓(2)과 리어브라켓(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자(1)의 내측에 샤프트가 구비되는 회전자가 배설되며, 리어브라켓(3)측에는 전압조정기 및 정류자가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는 풀리(4)가 조립되어 엔진의 동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차량용 발전기는 차량의 엔진이 시동될 때, 엔진과 연결되는 풀리와 함께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서 발생되는 교류 전류는 정류기를 통해 직류로 변환된 후, 차량 시스템에 연결되는 B+단자를 통해 차량의 각종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여분의 전기는 베터리에 저장하고, 발전기가 계속 회전하여 베터리의 전압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전압조정기가 L단자를 통한 베터리의 전기 충전 상태를 체크하여 발전기의 발전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발전기에는 차량 엔진에 장착되어 차량 엔진의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차량 엔진에 장착되는 후렌지(21)(31)를 종래에는 양쪽 브라켓(프론트브라켓(2)과 리어브라켓(3))성형시 일체로 성형되는 단일 사출물로 제작구성하므로서 차종에 따라 발전기가 장착되는 조립부의 위치등이 서로 상이하거나 조립부의 중심 위치와 장착 사양이 일부 변경되는 경우에는 종전의 브라켓 특히, 리어브라켓(3)을 그대로 이용할 수 없게되어 변경된 모델에 맞는 새로운 리어브라켓을 신규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은 엔진과의 조립을 위한 발전기에 형성되는 조립부의 브라켓 성형시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일체형 즉 일부 품목에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 설계되는데 따른 상호 호환성이 결여되는데서 비롯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장착 사양이나 모델 등이 일부 변경되더라도 여러 차종에 적용되어질 수 있게하여 종래와 같이 차종변경시 리어브라켓을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였던 번거러움 등을 줄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프론트브라켓과 조립되어 고정자의 한쪽만을 고정하도록 된 리어브라켓에 후렌지가 분리 조립되는 분할형으로 형성하여 차종 및 장착사양이 일부 변경시 리어브라켓에 그에 맞는 후렌지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발전기가 차량 엔진에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차량용 발전기의 정면도와 일측면도를 도시한 도면.
제3도와 제4도는 종래 차량용 발전기의 정면도와 일측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자 2 : 프론트브라켓
3 : 리어브라켓 4 : 풀리
5 : 체결구 21, 31 : 후렌지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차량용 발전기의 정면도와 일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발전기의 고정자(1)가 고정되는 프론트 브라켓(2)과 리어브라켓(3)에 차량 엔진에 장착되는 후렌지(21,31)를 형성함에 있어서, 프론트 브라켓(2)측 후렌지(21)는 프론트브라켓(2)과 일체로 되는 단일 사출물로 형성되고, 리어브라켓(3)측 후렌지(31)는 리어브라켓(3)과 별개로 구성되어 리어브라켓(3)에 후렌지(31)가 체결구(5)에 의해 조립되는 조립식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용 발전기를 차량 엔진에 장착되어지도록 조립시, 먼저 프론트 브라켓(2)과 일체로 되는 프론트 브라켓측 후렌지(21)가 차량엔진에 장착되어지도록 조립 체결한 다음, 차량 엔진에 형성되는 조립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후렌지(31)를 리어브라켓(3)의 조립부에 고정되게 체결구(5)로 조립 고정한 후 상기 후렌지(31)가 차량 엔진에 형성되는 조립부에 장착되어지도록 체결하는 방법을 통해 차량용 발전기가 차량 엔진에 조립 장착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차종 및 장착 사양이 일부 변경시 엔진의 조립부에 조립되어질 수 있도록 된 후렌지를 리어브라켓에 조립하는 것 즉, 차량 엔진에 형성되는 조립부의 중심과 리어브라켓과 별개로 제작되는 후렌지의 조립공 중심이 일치되는 후렌지로 교체시키는 것만으로 차량 엔진에 발전기가 장착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발전기를 여러 타입의 장착 사양을 가지는 차량 엔진에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 엔진에 조립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리어브라켓에 형성되는 후렌지를 리어브라켓과 별개로 형성하여 체결구로 조립되는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서 장착 사양이나 모델 등이 일부 변경시 리어브라켓에 조립되는 후렌지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발전기를 차종에 관계없이 조립 장착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지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용 발전기가 고정자(1)가 고정되는 프론트 브라켓(2)과 리어브라켓(3)에 차량 엔진에 장착되는 후렌지(21,31)를 형성함에 있어서, 프론트 브라켓(2)측 후렌지(21)는 프론트브라켓(2)과 일체로 되는 단일 사출물로 형성되고, 리어브라켓(3)측 후렌지(31)는 리어브라켓(3)과 별개로 구성되어 리어브라켓(3)에 후렌지(31)가 체결구(5)에 의해 조립되는 조립식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브라켓 구조.
KR2019960057174U 1996-12-26 1996-12-26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브라켓 구조 KR200160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174U KR200160355Y1 (ko) 1996-12-26 1996-12-26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브라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174U KR200160355Y1 (ko) 1996-12-26 1996-12-26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048U KR19980044048U (ko) 1998-09-25
KR200160355Y1 true KR200160355Y1 (ko) 1999-11-01

Family

ID=1948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174U KR200160355Y1 (ko) 1996-12-26 1996-12-26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3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048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329B1 (ko) 전기 회전 기계
US6747384B2 (en) Alternator hybrid magnet rotor design
US4100440A (en) Alternator-rectifier-regulator unit or mushroom shape for vehicular service
KR0164062B1 (ko) 알터네이터용 회전자 축
US6984904B2 (en) Voltage regulator structure of vehicle generator
US7554232B2 (en) Protective cover which is intended to be mounted on the rear bearing of a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lternator and alternator-starter comprising one such cover
JP2004248354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US7038340B2 (en) Bearing device and AC generator for vehicles using the same
JP2004080841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構造
US20040080235A1 (en) High power permanent magnet hybrid alternator rotor
KR200160355Y1 (ko) 차량용 발전기의 리어브라켓 구조
US8405257B2 (en) Direct current machine
CN202384886U (zh) 车辆发电机及其保护罩盖
US7205691B2 (en) Alternator sub-component construction built inside existing automotive generator housing
JP3183035B2 (ja) 車両用発電機
KR200158236Y1 (ko)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JPH05268753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KR100406720B1 (ko)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의 브러쉬 홀더와 전압 조정기의체결 구조
KR0138929Y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KR100538408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CN100483897C (zh) 车辆用交流发电机的输出端子结构
KR100258843B1 (ko) 알터네이터의 b+ 단자 고정구조
KR100255596B1 (ko) 스타팅모터와 제너레이터를 일체화한 구조
KR20000013022A (ko) 자동차 교류발전기용 전압조정기
KR20000004817U (ko) 발전기의 출력단자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