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591U - 자동차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6591U KR20000016591U KR2019990001618U KR19990001618U KR20000016591U KR 20000016591 U KR20000016591 U KR 20000016591U KR 2019990001618 U KR2019990001618 U KR 2019990001618U KR 19990001618 U KR19990001618 U KR 19990001618U KR 20000016591 U KR20000016591 U KR 2000001659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end frame
- slip ring
- rectifier
- rot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4—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rectification
- H02K11/049—Rectifiers associated with stationary parts, e.g. stator cores
- H02K11/05—Rectifiers associated with casings, enclosures or brack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7/00—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K47/02—AC/DC converters or vice versa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에 절연체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작업성의 향상과 원가절감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품누락을 방지하여 불량발생의 원인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드라이버엔드프레임(11)과 슬립링엔드프레임(12)상간에 압입되는 스테이터어셈블리(15)와 스테이터어셈블리(15)의 내방으로 설치되는 로터샤프트(17), 로터샤프트(17)의 중도에 설치되는 로터어셈블리(25), 로터어셈블리(25)의 슬립링(19) 외방에는 로터 및 스테이터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일정한 형태로 유지하여주는 전압조정기(26)와 전압이 조정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여주기 위한 정류기(30)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교류발전기(10)에 있어서; 상기 양극방열판(38)을 슬립링엔드프레임(12)에 스크류(50)로 고정시 쇼트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극방열판(38)과 슬립링엔드프레임(12)상간에 개재되는 절연체(51)를 양극방열판(38)상에 결합되는 터미널어셈블리(45)의 터미널몰드(52)에 일체로 형성하여 양극방열판(38)과 슬립링엔드프레임(12)상간에 개재되어 절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에 절연체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작업성의 향상과 원가절감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품누락을 방지하여 불량발생의 원인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정류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교류발전기는 엔진전장품의 하나로서 엔진과 밸트로 연결되어 소모된 배터리의 전원을 충진시켜주고 다른 전장품으로 작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교류발전기는 프론트 및 리어하우징 상간에 압입되는 스테이터어셈블리와 이의 내방에서 로터샤프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로터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상기 로터어셈블리의 슬립링의 외방에는 발전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여 배터리로 인가하여 충전하기 위한 정류장치와 발전된 전압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전압조정기가 더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정류장치는 발전과정에서 생산된 전류를 정류하여주고 배터리로의 충전시 배터리전압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우드와 상기 다이오우드에서 발생하는 열원을 발산시킬 수 있는 방열판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정류기(1)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터리볼트(1')를 가지는 양극방열판(2)과, 절연체(Insulator), 음극방열판(3) 및 터미널어셈블리(4)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리벳(5)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정류기(1)는 스크류(6)에 의하여 전압조정기(7)와 함께 슬립링엔드프레임(8)상에 고정되어진다.
상기 양극방열판이 슬립링엔드프레임과 스크류로서 결합하게되면 슬립링엔드프레임이 (-)극을 가지게 됨으로서 직접적인 연접이 있을 경우에는 쇼트현상으로 인한 정류기의 작동불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재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슬립링엔드프레임(8)과 양극방열판(2)상간에 절연체(9)를 개재하고, 스크류(6)와 양극방열판(2)상간에도 절연체(10)를 개재하여 쇼트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많은 부품수를 구비하여야 함으로서 전체적인 조립공정이 복잡하여지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낮아지게됨은 물론, 조립과정에서 부품(특히 절연체)이 누락될 경우에는 실차장착 후 작동과정에서 쇼트현상이 일어나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에 절연체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작업성의 향상과 원가절감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품누락을 방지하여 불량발생의 원인을 배제하여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교류발전기의 전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교류발전기를 A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3은 전압조정기가 결합된 종래기술의 정류기를 발췌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전압조정기가 결합된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정류기의 발췌 평면도.
도 6은 도 5의 C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정류기
45; 터미널어셈블리
51; 절연체
52; 터미널몰드
100; 정류기
이하 첨부되는 도면관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교류발전기의 전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교류발전기를 A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5는 전압조정기가 결합된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정류기의 발췌 평면도, 도 6은 도 5의 C부위를 발췌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용 교류발전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드라이버엔드 및 슬립링엔드프레임(11,12)상간에는 스테이터코어(13)와 스테이터코일(14)로 구성되는 스테이터어셈블리(15)가 압입고정된다.
상시 스테이터어셈블리(15)의 내방으로는 드라이버엔드프레임 및 슬립링엔드프레임(11,12)에 압입되는 베어링(16)에 의하여 지지되는 로터샤프트(17)가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로터샤프트(17)의 중도에는 로터코일(18)을 권취하여 후방의 슬립링(19)과 연결시킨 스풀보빈(20)이 압입되고, 상기 스풀보빈(20)의 외방으로는 다수개의 로터폴을 가지는 로터코어(21,22)가 결합되어 스풀보빈(20)을 수용하는 구성의 로터어셈블리(25)가 구비된다.
상기 로터어셈블리(25)의 슬립링(19) 외방에는 로터 및 스테이터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일정한 형태로 유지하여주는 전압조정기(26)와, 전압이 조정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여주기 위한 정류기(3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정류기(30)는;
다수개의 압입형다이오우드를 압입한 음극방열판(34)과 상기의 압입형다이오우드(35,36)과 함께 배터리볼트(37)를 함께 가지는 양극방열판(38), 작동시 소음을 저감시키는 콘덴서(39) 및 트리오다이오우드를 에폭시로 고정하여 다수개의 터미널(43)을 가지는 터미널어셈블리(45)로 구성된다.
상기 정류기(30)는 전압조정기(26)와 함께 스크류(50)에 의하여 슬립링엔드프레임(12)에 고정되어 진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양극방열판(38)을 슬립링엔드프레임(12)에 스크류(50)로 고정할 경우 서로다른 전극에 의한 쇼트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극방열판(38)과 슬립링엔드프레임(12)상간에 개재되는 절연체(51)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생략하여 조립성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양극방열판(38)상에 각 터미널(43)의 위치를 결정하여 터미널어셈블리(45)를 구성하는 터미널몰드(52)에 절연체(51)를 일체로 형성하여 양극방열판(38)과 슬립링엔드프레임(12)상간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서 이들상간의 절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양극방열판(38)과 결합되는 터미널어셈블리(45)의 터미널몰드(52)를 슬립링엔드프레임(12)의 체결공(53)까지 연장하여 형성한 절연체(51)상에 스크류관통공(54)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스크류관통공(54)에는 체결공(53)의 내경까지 삽입되는 유지관체(55)를 일체로 더 형성하여 스크류(50)의 외경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정류기(30)의 전압조정기(26)와 함께 슬립링엔드프레임(12)에 결합되는 양극방열판(38)과 슬립링엔드프레임(12) 상간의 절연을 터미널어셈블리(45)를 구성하는 터미널몰드(52)에 일체로 형성하는 절연체(51)에 의하여 행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절연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부품수를 생략할 수 있어 원가상승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된다.
특히 정류기(30)의 조립 및 생산과정에서 관련부품이 줄어들고 별도의 절연체를 구비할 경우 작은 크기의 절연체가 조립과정에서 누락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쇼트현상등으로 야기될 수 있는 품질저하와 같은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에 절연체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작업성의 향상과 원가절감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품누락을 방지하여 불량발생의 원인을 배제하여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 드라이버엔드프레임(11) 및 슬림립엔드프레임(12)상간에 압입되는 스테이터어셈블리(15);상기 스테이터어셈블리(15)의 내방으로 설치되는 로터샤프트(17);상기 로터샤프트(17)의 중도에 설치되는 로터어셈블리(25);상기 로터어셈블리(25)의 슬립링(19) 외방에는 로터 및 스테이터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일정한 형태로 유지하여주는 전압조정기(26);다수개의 압입형다이오우드를 압입한 음극방열판(34)과 상기의 압입형다이오우드(35,36)과 함께 배터리볼트(37)를 함께 가지는 양극방열판(38), 작동시 소음을 저감시키는 콘덴서(39) 및 트리오다이오우드를 에폭시로 고정하여 다수개의 터미널(43)을 가지는 터미널어셈블리(45)를 포함하여 전압이 조정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여주기 위한 정류기(30)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교류발전기(10)에 있어서;상기 양극방열판(38)을 슬립링엔드프레임(12)에 스크류(50)로 고정시 쇼트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극방열판(38)과 슬립링엔드프레임(12)상간에 개재되는 절연체(51)를 양극방열판(38)상에 결합되는 터미널어셈블리(45)의 터미널몰드(52)에 일체로 형성하여 양극방열판(38)과 슬립링엔드프레임(12)상간에 개재되어 절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절연체(51)는 터미널몰드(52)를 슬립링엔드프레임(12)의 체결공(53)까지 연장하여 스크류관통공(54)을 일체로 형성하고;상기 스크류관통공(54)에는 스크류(50)의 외경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공(53)의 내경까지 삽입되는 유지관체(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1618U KR20000016591U (ko) | 1999-02-04 | 1999-02-04 | 자동차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1618U KR20000016591U (ko) | 1999-02-04 | 1999-02-04 | 자동차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6591U true KR20000016591U (ko) | 2000-09-25 |
Family
ID=5475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1618U KR20000016591U (ko) | 1999-02-04 | 1999-02-04 | 자동차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16591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1197B1 (ko) * | 2001-09-13 | 2005-03-08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자동차용 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스터드어셈블리 |
-
1999
- 1999-02-04 KR KR2019990001618U patent/KR2000001659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1197B1 (ko) * | 2001-09-13 | 2005-03-08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자동차용 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스터드어셈블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29719B2 (en) | AC generator for vehicles | |
US8692427B2 (en) | Automotive alternator rectifying apparatus | |
US7456532B2 (en) | Dynamoelectric machine | |
GB2473535A (en) | Grounding bush for a rotor busbar in a generator | |
US20020140300A1 (en) | Vehicle ac generator | |
US7282825B2 (en) | Structure of rectifier for automotive alternator ensuring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 |
US7816835B2 (en) | Tandem AC generator for vehicle and method of producing brush assembly thereof | |
KR20000016591U (ko) | 자동차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터미널어셈블리 | |
KR100484011B1 (ko) | 자동차 교류발전기용 슬립링엔드커버 | |
KR20000016590U (ko) | 자동차발전기용 정류기 | |
KR200158236Y1 (ko) |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 |
US20200313496A1 (en) | Voltage regulator assembly with a brush holder for a rotary electrical machine | |
KR100471197B1 (ko) | 자동차용 교류발전기용 정류기의 스터드어셈블리 | |
KR20000016662U (ko) | 자동차 교류발전기의 배터리단자어셈블리 | |
KR100538408B1 (ko) |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 |
US9131612B2 (en) | Automotive alternator rectifying apparatus | |
CN210041499U (zh) | 一种电机 | |
KR20080022726A (ko) |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 | |
KR19990041040U (ko) | 자동차용 교류발전기의 히트싱크어셈블리. | |
KR20180076176A (ko) |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sre 베어링 | |
KR20030023279A (ko) | 자동차 교류발전기용 팬 일체형 로터어셈블리 | |
KR101378065B1 (ko) | 자동차용 교류발전기의 스풀 구조 | |
KR19990014117U (ko) | 자동차 교류발전기의 캐패시터 장착구조 | |
KR20070028702A (ko) | 자동차용 교류발전기 | |
KR20080002206A (ko) |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