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948B1 - 기계적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을 겸비한 생분해성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계적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을 겸비한 생분해성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948B1
KR100537948B1 KR10-2003-0039905A KR20030039905A KR100537948B1 KR 100537948 B1 KR100537948 B1 KR 100537948B1 KR 20030039905 A KR20030039905 A KR 20030039905A KR 100537948 B1 KR100537948 B1 KR 100537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matic
aliphatic polyester
acid
weight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555A (ko
Inventor
김진년
김상필
박병식
김인국
박양호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948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와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 수지인 폴리유산에 유연성과 수지간 상용성을 향상시키기는 동시에 기계적강도와 투명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게 하기위해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성과 물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폴리유산 30~70중량부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70~30중량부, 그리고 상기 혼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올레핀 수지 10~300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함량이 10~30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계적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을 겸비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플라스틱은 뛰어난 물성과 함께 값이 싸고 가벼운 특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포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무수히 쏟아져 나오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일반 포장용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재료는 연소 시의 높은 발열량으로 인하여 소각로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또한 그런 플라스틱 제품은 매립, 처리하여도 화학적, 생물학적 안정성 때문에 거의 분해하지 않고, 잔류하여 매립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소열량이 낮고, 토양 중에서 분해되며, 매립 시에도 자연 분해함으로써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를 이룰 수 있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어 여러 가지 용도로 응용되고 있다.
분해성 플라스틱과 관련된 기술을 세분하면 생분해 기술, 광분해 기술 그리고 이들 두 기술을 조합 한 생·광분해 기술로 나뉘어진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는 PHB(Poly-β-hydroxybutylate)등과 같은 미생물 생산 고분자, 미생물 생산 바이오케미칼(Biochemical)을 합성원료로 한 고분자, 화학적으로 합성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키틴(chitin)등의 천연고분자 및 전분 등을 첨가한 플라스틱 등 여러 형태가 있으며,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생분해성 재료로는 폴리락트산, 전분 혼합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은 기존 플라스틱과 유사한 물성, 가격 경쟁력을 가지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안이 시도 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폴리에틸렌수지와 변성전분을 혼합시킨 조성물에 관한 기술, 폴리유산 수지에 변성올레핀을 혼합시킨 기술, 폴리유산 수지에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한 조성물 및 이의 필름용도에 관한 기술, 폴리유산 수지에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조성물에 관한 기술 및 폴리유산 수지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한 조성물에 관한 기술 등이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성과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와 전분을 혼합시킨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성형체에 관한 특허(한국특허등록 0197899), 폴리유산 수지에 변성올레핀을 혼합시켜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고 분해속도 제어가 가능한 조성물 특허(JP09-316310A), 폴리유산 수지에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 시킨 특허는 Tg값이 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것으로 이 조성물을 이용한 인플레이션 필름이나, 적층필름(JP2002-327107A, JP2002-273845A), 폴리유산 수지에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만든 조성물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발포입자와 발포성형체(JP2002-327037A), 폴리유산 수지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특허(EP1227129A), 폴리유산 수지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한 조성물로 인열강도가 향상된 필름(한국특허공개 2003-0022514) 등이 있다.
그러나,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폴리에틸렌수지와 변성전분을 혼합시킨 경우 기존의 합성수지가 가진 우수한 물성이 전분의 함유로 인한 손실, 특히 기계적 강도, 투명성 등의 손실을 감수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폴리유산 수지에 변성올레핀을 혼합시킨 특허의 경우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고 분해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장점이 있으나, 이것은 폴리유산과 일반올레핀이 서로 상용성이 좋지 않은 점을 개선하기 위해 변성올레핀을 사용한 것으로,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값싼 일반올레핀과의 가격 경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유산 수지에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시킨 예의 경우에 는 폴리유산 수지에 Tg 값이 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특허의 경우는 내열성의 저하와 고무상 성질이 있어 실용적인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폴리유산 수지에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만든 조성물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발포입자와 발포성형체에 관한 특허의 경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가교역할에 의해 발포용도로만 이용이 가능할 뿐이다.
폴리유산 수지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특허의 경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별도로 혼합하고 있으며, 인열강도가 향상된 필름용 수지조성물 특허에서도 불필요하게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별도로 혼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적 강도와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 수지인 폴리유산에 유연성과 수지간 상용성을 향상시키기는 동시에 기계적강도와 투명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게 하기위해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성과 물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기계적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을 겸비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유산 30~70중량부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70~30중량부, 및 상기 혼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올레핀 10~30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수지 조성물을 필름용도로 적용하기 위하여 가소제, 핵제, antiblocking agent, 가교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폴리유산은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분자량은 10,000 이상 이다. 이들 폴리유산은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성분으로 ROOC-Ar-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 테레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2,6-디카르복실산, 디페닐술폰산디카르복실산, 디페닐메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알킬렌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는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14)구조를 가지는 숙신산, 글루탈산, 말론산, 옥살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아젤라산, 노난디카르복실산과 이들의 알킬 또는 아릴에스테르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이상)구조를 가지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이나 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헥사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5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구성되는 알킬렌글리콜이나 폴리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이나 하기 일반식(1)로 표현되는 분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지방족 2가 알콜인 1,2-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3-펜탄디올, 1,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1,4-헥산디올, 1,5-헥산디올, 1,2-옥탄디올, 1,3-옥탄디올, 1,4-옥탄디올, 1,5-옥탄디올, 1,6-옥탄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될 수 있다.
(1)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이다.
폴리올레핀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의 모노머로 이루어진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성분에서 방향족 성분이 10~30몰%로 조절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20몰%가 가장 좋다. 이는 방향족이 10몰%이하일 경우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성질이 지방족폴리에스테르와 유사하여 폴리유산과 혼합하여 필름을 제조할 경우 결정성으로 인해 인열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폴리유산과의 융점차이로 인해 2차 가공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방향족이 30몰% 이상일 경우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고무상 성질이 강해져 필름 제조시 달라붙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방향족 성분이 10~30몰%로 조절된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상기 폴리유산의 혼합비에서 폴리유산의 혼합비가 30중량%이하 일 경우는 기계적 물성, 투명성 등이 감소하며 70중량%이상 일 경우는 유연성이 부족하며, 필름의 신율에 문제가 발생한다.
폴리올레핀의 경우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 함량 조절이 가능하나, 폴리올레핀의 함량에 비례하여 분해성이 감소하므로 용도에 따라 함량의 조절이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이들 혼합물의 2차 가공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가소제로는 폴리유산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올레핀에 상용하는 것으로 에테르 에스테르계 가소제나 옥시산 에스테르계, 글리콜계 가소제가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솔비톨, 글리세린(글리세롤),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n-부틸 시트래이트 등이 있다. 이들 혼합물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핵제로는 탈크를 포함한 일반적인 여러 무기입자가 사용 될 있으며, 본 핵제에 사용된 무기입자는 유기 윤활제와 병행하여 사용되는데 유기 윤활제로는 지방족 탄화수소계 윤활제나 지방족 아미드계 윤활제 등이 사용된다. 또한, 필름으로 성형 시 용융장력의 저하시킬 목적으로 가교제가 사용되는데 본 수지에 첨가될 수 있는 가교제로는 유기 과산화물 화합물, 금속 착제,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본 조성물에는 또한 용도에 따라 자외선 방지제, 항균/항취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산화방지제, 안료 등의 물질을 첨가제로 부가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상기의 폴리유산,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첨가물 등이 소정량 혼합되어 2축 혼련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을 통해 제조된다. 펠렛형태로 제조된 조성물을 2차 필름가공 시 특별한 조건없이 T-다이 필름이나, 인플래이션 필름(인플래이션 필름)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구조와 장단점을 가진 2개의 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각각의 장점을 저해하지 않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조성물 배합에 실용성과 가공성 등의 물성을 배가하기 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을 통해 특히 필름용도에 필요한 기계적강도, 투명성, 유연성, 가공성 등의 물성 향상이 이루어진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필요한 측정 및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행하였다.
(1) 기계적 강도 (인장강도 ; ASTM D 882)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온도 20±2℃, 상대습도 65±2%인 상태에서 인장속도 500mm/분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필름의 길이방향을 MD, 폭방향을 TD로 표시하였다.
(2) 유연성 (신도 ; ASTM D 882)
상기 인장강도와 같은 조건에서 필름이 파단할 때까지의 신율을 구하였다.
(3) 투명성 (HAZE : ASTM D 1003)
ASTM D 1003 분석 조건으로 HAZE%를 구하였다.
(4) 분해도 (KS M-3100-1)
입자 크기가 20㎛ 이하인 TLC 등급의 셀룰로오스를 표준시료로 하여 동일조건에서 시험물질을 퇴비화하여 45일간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누적량(아래 계산식 이용)으로부터 시험물질의 생분해도를 계산하여 표준시료의 분해도를 100으로 할 때 이에 대비된 시험물질의 생분해도를 %로 표현하였다.
Dt= [ {(CO2)T- (CO2)B} / ThCO2] ×100
(CO2)T: 시험 물질이 담긴 용기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누적량
(CO2)B: 퇴비 물질이 담긴 용기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누적량
ThCO2: 이론적 이산화탄소 발생량 계산
ThCO2= MTOT × CTOT × (44/12)
MTOT: 분석 시작 단계에서 첨가된 시험물질 중 총 건조 고형분의 량(g)
CTOT : 시험물질의 총 건조 고형분에 포함된 유기탄소의 비율(g/g)
44,12 : 이산화탄소의 분자량과 탄소의 원자량
(실시예 1)
폴리유산으로는 카길 다우사의 PLA수지 30kg,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로 이루어지며, 이중 방향족 성분이 30몰%를 차지하는 것으로 70kg,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10kg, 기타 첨가제로 가소제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10kg, 구연산염 화합물 5kg, 아미드계 윤활유 0.5kg, 가교제로 유기 과산화물 0.1kg을 혼합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얻어진 펠렛을 충분히 제습 건조하여 블로운필름 압출기를 통해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투명도, 신도, 분해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1,2,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50kg, 가소제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15kg, 구연산염 화합물 7.5kg, 아미드계 윤활유 0.75kg, 가교제로 유기 과산화물 0.15k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100kg, 가소제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20kg, 구연산염 화합물 10kg, 아미드계 윤활유 1kg, 가교제로 유기 과산화물 0.2k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200kg, 가소제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30kg, 구연산염 화합물 15kg, 아미드계 윤활유 1.5kg, 가교제로 유기 과산화물 0.3k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300kg, 가소제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40kg, 구연산염 화합물 20kg, 아미드계 윤활유 2.0kg, 가교제로 유기 과산화물 0.4k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폴리유산 50kg,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50k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폴리유산 70kg,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30k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에서 방향족 성분을 10몰%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에서 방향족 성분을 20몰%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폴리유산으로는 카길 다우사의 PLA수지 30kg,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로 이루어지며, 이중 방향족 성분이 30몰%를 차지하는 것으로 70kg, 기타 첨가제로 가소제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10kg, 구연산염 화합물 5kg, 아미드계 윤활유 0.5kg, 가교제로 유기 과산화물 0.1kg을 혼합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상태로 제조하였다. 얻어진 펠렛을 충분히 제습 건조하여 블로운필름 압출기를 통해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에서 시편을 제작하여,인장강도, 투명도, 신도, 분해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폴리유산으로는 카길 다우사의 PLA수지 30kg,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로 이루어지며, 이중 방향족 성분이 30몰%를 차지하는 것으로 70kg,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500kg, 기타 첨가제로 가소제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60kg, 구연산염 합물 3kg, 아미드계 윤활유 3kg, 가교제로 유기 과산화물 0.6kg을 혼합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상태로 제조하였다. 얻어진 펠렛을 충분히 제습 건조하여 블로운필름 압출기를 통해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투명도, 신도, 분해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폴리유산으로는 카길 다우사의 PLA수지 30kg,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100kg, 전분 70kg, 전분가소제로 에틸렌글리콜을 7kg 기타 첨가제로 가소제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20kg, 구연산염 합물 10kg, 아미드계 윤활유 1.0kg, 가교제로 유기 과산화물 0.2kg을 혼합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상태로 제조하였다. 얻어진 펠렛을 충분히 제습 건조하여 블로운필름 압출기를 통해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투명도, 신도, 분해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로 이루어지며, 이중 방향족 성분이 30몰%를 차지하는 것으로 30kg,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100kg, 전분 70kg, 전분가소제로 에틸렌 글리콜을 7kg 기타 첨가제로 가소제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20kg, 구연산염 합물 10kg, 아미드계 윤활유 1.0kg, 가교제로 유기 과산화물 0.2kg을 혼합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상태로 제조하였다. 얻어진 펠렛을 충분히 제습 건조하여 블로운필름 압출기를 통해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투명도, 신도, 분해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폴리유산 10kg,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90k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폴리유산 90kg,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10k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대신에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에틸렌글리콜, 1,4- 부탄디올로 이루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 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에서 방향족 성분을 40몰%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0㎛ 두께의 인플래이션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1 (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에서 방향족 성분이 30몰%인 경우)
표-2 (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에서 방향족 성분이 30몰%인 경우)
표-3 (폴리유산/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LLDPE : 30kg/70kg/10kg 인 경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 및 투명성 우수하며, 또한 가공성이 개선된 것이다. 또한, 특별한 장치가 없이 기존의 필름 성형기를 통해 다양한 필름 성형이 가능하며, 생분해 특징이 가장 크게 발휘될 수 있는 쓰레기 봉투, 쇼핑백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므로 실용성이 매우 우수한 조성물이다.

Claims (5)

  1. 폴리유산 30~70중량부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70~30중량부, 그리고 상기 혼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올레핀수지가 10~300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함량이 10~30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유산이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분자량은 10,000 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방향족 성분으로 ROOC-Ar-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지방족성분으로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14)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이상)구조의 디올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이나 하기 일반식(1)로 표현되는 구조의 지방족 2가 알콜류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
    상기 일반식 (1) 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수지는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타디엔 모노머 중 하나로 이루어진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름, 섬유, 또는 성형체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2003-0039905A 2003-06-19 2003-06-19 기계적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을 겸비한 생분해성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537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905A KR100537948B1 (ko) 2003-06-19 2003-06-19 기계적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을 겸비한 생분해성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905A KR100537948B1 (ko) 2003-06-19 2003-06-19 기계적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을 겸비한 생분해성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555A KR20040110555A (ko) 2004-12-31
KR100537948B1 true KR100537948B1 (ko) 2005-12-20

Family

ID=3738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905A KR100537948B1 (ko) 2003-06-19 2003-06-19 기계적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을 겸비한 생분해성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9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555A (ko)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3885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
US20200056037A1 (en) Biologically degradable film
KR20080067424A (ko) 다층구조를 가진 생분해성 시트
JP4629217B2 (ja) 制電性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KR100428687B1 (ko) 인열강도가 보강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102187340B1 (ko) 투명도와 유연성이 우수한 필름제조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1082397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537948B1 (ko) 기계적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을 겸비한 생분해성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220035142A (ko) 증가된 강도 및 기타 특성을 위해 소립자의 전분 및 전분계 물질을 합성 폴리머와 혼합
KR100537947B1 (ko) 기계적강도, 인열강도 및 유연성이 향상된 생분해성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090084372A (ko) 내열도 및 충격강도가 개선된 생분해성 폴리락트산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905896B2 (ja) 水蒸気バリヤー性が改善された生分解性フィルムおよび水蒸気バリヤー性のコントロール方法
KR100909776B1 (ko) 열수축성 필름용 생분해성 시트
JP2004237625A (ja) 生分解性樹脂からなる多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25476B1 (ko) 컷팅성 및 기계적강도가 향상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공중합체 의 제조방법
KR100551742B1 (ko) 신율과 이형성이 향상된 투명성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1615B1 (ko) 생분해성을 보유한 열수축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57936B1 (ko) 나노입자를 함유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551743B1 (ko) 해충 및 동물기피 기능이 부가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KR101059340B1 (ko) 내열도가 개선된 생분해성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551741B1 (ko) 개구성과 신율이 우수한 투명성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525475B1 (ko) 컷팅성이 향상된 제전성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및 그 제조방법
KR20060035384A (ko) 유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20110107453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4758007B2 (ja) 制電性可塑化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