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511B1 -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 Google Patents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511B1
KR100537511B1 KR10-2003-0066024A KR20030066024A KR100537511B1 KR 100537511 B1 KR100537511 B1 KR 100537511B1 KR 20030066024 A KR20030066024 A KR 20030066024A KR 100537511 B1 KR100537511 B1 KR 100537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ource
voltage controlled
controlled oscillator
frequency voltage
v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9812A (ko
Inventor
전상윤
이흥배
서춘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511B1/ko
Priority to DE602004022750T priority patent/DE602004022750D1/de
Priority to EP04255738A priority patent/EP1519480B1/en
Priority to US10/945,906 priority patent/US7145407B2/en
Priority to JP2004276288A priority patent/JP4815580B2/ja
Publication of KR2005002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2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resistance and either capacitance or inductance, e.g. phase-shift oscillator
    • H03B5/2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resistance and either capacitance or inductance, e.g. phase-shift oscillator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4Astable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0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 H03B5/12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the amplifier comprising a pair of transistors, wherein an output terminal of each being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other, e.g. a cross coupled pair
    • H03B5/1215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the amplifier comprising a pair of transistors, wherein an output terminal of each being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other, e.g. a cross coupled pair the current source or degeneration circuit being in common to both transistors of the pair, e.g. a cross-coupled long-tailed pai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2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the amplifier comprising one or more 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 H03B5/124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the means comprising transistors used to provide a variable capacitance
    • H03B5/1253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the means comprising transistors used to provide a variable capacitance the transistor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에 관해 개시된다. 개시된 발진기는 두개의 FET 트랜지스터에 의한 차동형 발진부; 그리고 상기 기판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에 의한 전류원;을 구비한다. 바이폴라트랜지스터에서 전류가 에미터(emitter)에서 베이스(base)를 거처 컬렉터(collector)로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1/f 잡음이 상당히 작다. 본 발명은 이러한 BJT를 전류원으로 적용함으로써 RF CMOS VCO의 전류원에서 발생하는 1/f 잡음을 감소 시키며, 궁극적으로 VCO의 위상 잡음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Radio Frequency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본 발명은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Radio Frequency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RF VCO)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위상 잡음(phase noise)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위상 잡음은 발진 신호의 시간축 파형에 위상이 조금씩 밀리고 틀어져서 파형이 찌그러지는 정도로서 정의되는데, 이는 MOS 소자(device)로 구성된 전류원(current source)의 1/f 잡음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1/f 잡음은 MOS 소자에서와 같이 게이트(gate) 아래에 형성되는 채널(channel)을 통해 전류가 소오스(source)에서 드레인(drain)으로 측방향(lateral direction) 이동할 때에 Si과 SiO2사이에서 생기는 전자의 재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소자 자체의 잡음으로 정의된다.
최근 CMOS VCO 설계시 위상 잡음에 취약한 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VCO의 전류원에서 발생하는 1/f 잡음이 VCO의 LC 탱크(tank)로 업컨버젼(upconversion)됨으로써 위상 잡음을 악화시킨다. 이를 막기 위해서 별도의 능동 소자 및 수동 소자가 사용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MOSFET를 갖는 차동형 발진부(OSC)와 하나의 MOSFET에 의한 전류원(SRC) 사이에 인덕터와 캐패시터에 의한 로우패스필터(LC-type low pass filter)를 마련하여 전류원의 드레인으로 부터의 잡음을 여과시킨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원(SRC)의 드레인로우패스필터를 부가함과 아울러 전류원의 소스에 인덕터(Ls)에 의한 로우패스 필터를 마련하여 전류원의 소스를 통한 잡음의 유입을 억제한다.
한편,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전류원을 두개의 MOSFET 에 의한 캐스코드(cascade)형으로 구성하여 전류원의 채널 길이 변조 (channel length modulation)현상을 감소시켜 1/f 잡음이 VCO의 LC 탱크로 업컨버젼되는 현상을 차단한다. 이는 부가적인 능동 소자 및 수동 소자가 필요하게 되는데 VCO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고 대량 생산 시 VCO의 단가 또한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무선 통신 단말기의 시스템에 적용되면서 직접 변환 구조(direct conversion structure)에서 I/Q (Inphase/Quadrature) 신호 발생시 부가적인 수동 소자의 증가로 인해 VCO출력에서 나오는 I/Q 신호 부정합(mismatching)이 발생될 확률이 높아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과제는 전압제어발진의 전류원으로 부터의 잡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유형에 따르면,
실리콘 기판에 대해 나란한 측방향(lateral direction)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두개의 FET 트랜지스터에 의한 차동형 발진부; 그리고
상기 실리콘 기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에 의한 전류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가 제공된다.
상기 유형의 본 발명에 따른 발진기에 있어서, 상기 FET 는 p 타입이고 상기 바이폴라트랜지스터는 NPN 형인 것이 제조 공정 및 특성 상 유리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르면,
실리콘 기판에 대해 나란한 측방향(lateral direction)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두개의 FET 트랜지스터에 의한 차동형 발진부; 그리고
상기 기판에 대해 횡방향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에 의한 전류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가 제공된다.
상기 두번째 유형의 발진기에서, 상기 FET 는 p 타입이고, 상기 바이폴라트랜지스터는 PNP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표준 깊은 N-Well CMOS 공정을 통해서 얻어진 NPN BJT (vertical bipolar-junction-transistor; 이하 BJT)를 도시한 단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형 기판(P substrate)에 깊은 N-Well CMOS 공정으로 성능이 우수한 수직형 NPN BJT가 구현 될 수 있다. CMOS 공정에서 NMOS의 n+소오스와 n+드레인을 위한 확산공정에서 n+ 에미터 및 n+ 컬렉터를 동시에 형성한다. 그리고 NMOS의 P-Well 및 p+ 콘택트를 위한 확산 공정에서 BJP의 p+베이스를 동시에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유사한 방법으로 역시 횡형 또는 종형으로서 PNP 또는 NPN BJT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발진기에 적용되는 NPN 또는 PNP BJT는 CMOS 공정 중 부수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바이폴라트랜지스터는 p형 기판(P substrate)에 깊은 P-Well CMOS 공정으로 수직형 PNP BJT로서 구현 될 수도 있다. CMOS 공정에서 PMOS의 p+소오스와 p+드레인을 위한 확산공정에서 p+ 에미터 및 p+ 컬렉터를 동시에 형성한다. 그리고 PMOS의 N-Well 및 p+ 콘택트를 위한 확산 공정에서 BJP의 n+베이스를 동시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바이폴라트랜지스터는 p형 기판(P substrate)에 CMOS 공정으로 횡형 PNP BJT를 구현 할 수가 있다. CMOS 공정에서 PMOS의 p+소오스와 p+드레인을 위한 확산공정에서 p+ 에미터 및 p+ 컬렉터를 동시에 형성한다. 그리고 PMOS의 N-Well 및 p+ 콘택트를 위한 확산 공정에서 BJP의 n+베이스를 동시에 형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발진기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가 전류원으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FET 는 p 타입, 그리고 바이폴라트랜지스터는 NPN 형인 것이 제조 공정 및 특성 상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 기판에 대해 횡방향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가 의한 전류원으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FET 는 p 타입이고, 상기 바이폴라트랜지스터는 PNP 형인 것이 제조 공정 및 특성 상 유리하다.
도 4에서 보듯이 BJT는 1/f 잡음에 있어서 MOS 소자에 비해 상당히 작다. 그러나, RF IC와 같은 고주파 회로에서는 이 BJT가 CMOS 공정으로 인해 부가적으로 생긴 구조이기 때문에 주파수 특성은 좋지가 않아 사용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적용한 부분은 고주파를 요구하는 부분이 아니고 DC 블락에서 업컨버전되는 잡음 때문에 RFIC의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을 발견했고 이 DC 블락에 CMOS공정을 이용한 기생 BJT를 사용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표준 BJT 공정을 이용한 BJT VCO는 성능은 우수하나 CMOS VCO에 비해 전류 소비가 많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 CMOS VCO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CMOS 트랜지스터에 의한 발진부와 수직형 NPN BJT 및 횡(종) 방향 PNP BJT에 의한 전류소스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전류제어발진기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진기의 한 실시예는 RF CMOS VCO의 위상 잡음을 개선 하기 위한 전류원으로 수직형 NPN BJP로 적용한다. NPN BJT는 발진부(OSC)에 마련된 FET의 소스에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진기의 다른 실시예는 RF CMOS VCO의 위상 잡음을 개선하기 위한 전류원으로 종형 PNP BJT를 적용한다. 여기에서 PNP BJT는 발진부(OSC)에 마련된 공진코일(L) 측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사용된 BJT는 1/f 잡음이 작기 때문에 VCO의 LC 탱크로 업컨버젼되어 VCO의 위상 잡음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경미하다. 아래의 식은 전류원의 1/f 잡음이 VCO의 위상 잡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아래의 식에서와 같이 전류원의 1/f 잡음()이 작을수록 VCO의 위상 잡음은 개선 된다. 여기서, △ω 는 오프셋 주파수 (offset frequency)이다.
도 7a는 종래 기술의 위상 잡음 특성이고 도 7b는 본 발명을 적용해서 얻은 개선된 위상 잡음 특성이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5GHz 대역에서 기존의 FET를 전류원으로 이용하는 종래 발진기에 비해 BJT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발진기가 약 7dB 정도의 위상 잡음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준 BJT 공정을 이용하여 BJT만으로 구성된 VCO는 전류와 전압의 관계가 exponentially 비례하기 때문에 그 만큼 전력 소모가 많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BJT를 표준 BJT 공정이 아닌 CMOS공정을 통해서 부가적으로 얻어 전류원으로 적용함으로써 RF CMOS VCO의 전류원에서 발생하는 1/f 잡음 및 전력 소모를 감소 시키며, 궁극적으로 VCO의 위상 잡음을 향상시킨다. 또한, CMOS VCO의 그 동안 고질적인 고유의 약점을 극복 하기 위해 BJT의 우수한 특성을 CMOS 공정에서 구현 함으로써 CMOS RFIC 분야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RF CMOS VCO구조에서 전류원에서 발생하는 1/f 잡음에 의한 위상 잡음을 대폭 개선하고 추가 소자 및 공정이 불 필요함으로 대량 생산 시 VCO의 단가가 낮아진다. 이는 즉, 본 발명에 의해 특성이 좋고 가격이 싸고 초 소형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 한다. 표준 BJT 공정을 이용하여 BJT만으로 구성된 VCO는 양질의 BJT를 구현 하기 위해 가격이 비싸며, 전류와 전압의 관계가 exponentially 비례하기 때문에 그 만큼 전력 소모가 많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BJT를 표준 BJT 공정이 아닌 CMOS공정을 통해서 부가적으로 얻어 특성이 좋지 않더라도 전류원으로 적용함으로써 RF CMOS VCO의 전류원에서 발생하는 1/f 잡음 및 전력 소모를 감소 시키며, 궁극적으로 VCO의 위상 잡음을 향상시킨다. 또한, CMOS VCO의 그 동안 고질적인 고유의 약점을 극복 하기 위해 BJT의 우수한 특성을 CMOS 공정에서 부가적으로 구현 함으로써 CMOS RFIC 분야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단말기 내에서의 I.Q.신호 발생시 일어나는 I.Q.신호 부 정합을 줄일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주로 고주파 발진기에 적합하며, 필요에 따라 저주파 발진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발진기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의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 다른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의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의 일부 구조를 보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NPN BJT와 MOSFET의 1/f 잡음 비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의 제1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의 제2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위상 잡음에 대한 모의 실험을 을 비교해 보이는 그래프이다.

Claims (6)

  1. 실리콘 기판에 대해 나란한 측방향(lateral direction)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두개의 FET 트랜지스터에 의한 차동형 발진부;
    그리고 상기 실리콘 기판에 대해 FET 트랜지스터와 수직 방향(vertical directon)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것으로 상기 FET 트랜지스터에 비해 1/f 잡음이 작으며 FET 트랜지스터를 제작하는 CMOS 공정에서 같이 제조되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에 의한 전류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ET 는 p 타입인 것을 특징을 하는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트랜지스터는 NPN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4. 실리콘 기판에 대해 나란한 측방향(lateral direction)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두개의 FET 트랜지스터에 의한 차동형 발진부; 그리고
    상기 기판에 대해 횡방향으로 전류가 유동하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에 의한 전류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FET 는 p 타입인 것을 특징을 하는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트랜지스터는 PNP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KR10-2003-0066024A 2003-09-23 2003-09-23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KR100537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024A KR100537511B1 (ko) 2003-09-23 2003-09-23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DE602004022750T DE602004022750D1 (de) 2003-09-23 2004-09-21 Spannungsgesteuerte Hochfrequenzoszillatorschaltung
EP04255738A EP1519480B1 (en) 2003-09-23 2004-09-21 Radio frequency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10/945,906 US7145407B2 (en) 2003-09-23 2004-09-22 Radio frequency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2004276288A JP4815580B2 (ja) 2003-09-23 2004-09-24 高周波電圧制御発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024A KR100537511B1 (ko) 2003-09-23 2003-09-23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812A KR20050029812A (ko) 2005-03-29
KR100537511B1 true KR100537511B1 (ko) 2005-12-19

Family

ID=3419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024A KR100537511B1 (ko) 2003-09-23 2003-09-23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45407B2 (ko)
EP (1) EP1519480B1 (ko)
JP (1) JP4815580B2 (ko)
KR (1) KR100537511B1 (ko)
DE (1) DE60200402275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7495B2 (en) * 2005-12-13 2009-01-13 Silicon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ESD protection of integrated circuit components
US20080258827A1 (en) * 2007-04-19 2008-10-23 Mediatek Inc. Radio frequency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US7663445B2 (en) * 2008-01-09 2010-02-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Voltage-control oscillator circuits with combined MOS and bipolar device
CN102412784B (zh) * 2011-11-30 2014-05-14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射级跟随器及采用该射级跟随器的压控振荡器
US10297591B2 (en) * 2014-04-16 2019-05-21 Newport Fab, Llc BiCMOS integration using a shared SiGe layer
US10290630B2 (en) 2014-04-16 2019-05-14 Newport Fab, Llc BiCMOS integration with reduced masking step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8377B4 (de) * 1998-02-27 2005-08-04 Infineon Technologies Ag Vollintegrierbare spannungsgesteuerte Oszillatorschaltung
JP2001345681A (ja) * 2000-05-31 2001-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振装置
US6469587B2 (en) * 2000-12-04 2002-10-22 Agere Systems Guardian Corp. Differential LC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JP2002329365A (ja) * 2001-04-27 2002-11-15 Ricoh Co Ltd 差動リニアアンプ回路
KR100423502B1 (ko) * 2001-11-20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공진기와 차동증폭기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US6764891B2 (en) * 2002-02-26 2004-07-20 Intel Corporation Physically defined varactor in a CMOS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15580B2 (ja) 2011-11-16
JP2005102226A (ja) 2005-04-14
EP1519480B1 (en) 2009-08-26
EP1519480A1 (en) 2005-03-30
US7145407B2 (en) 2006-12-05
KR20050029812A (ko) 2005-03-29
DE602004022750D1 (de) 2009-10-08
US20050062553A1 (en)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9596B2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wireless transceiver using the same
US7446617B2 (en) Low power consumption frequency divider circuit
US7095999B2 (en) Signal process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Chen et al. A 24-GHz Receiver Frontend With an LO Signal Generator in 0.18-$\mu $ m CMOS
US6292060B1 (en) Technique to generate negative conductance in CMOS tuned cascode RF amplifiers
US6822518B1 (en) Low noise amplifier
JP4566182B2 (ja) 周波数混合器
KR100537511B1 (ko) 고주파 전압제어발진기
US7362193B2 (en) Oscillator and an integrated circuit
US20040140511A1 (en) Semiconductor differential circuit, oscillation apparatus, switching apparatus, amplifying apparatus, mixer apparatus and circuit apparatus using same, and semiconductor differential circuit placement method
Chen et al. A 0.6 V, 4.32 mW, 68 GHz Low Phase-Noise VCO With Intrinsic-Tuned Technique in 0.13$\mu $ m CMOS
Wang et al. A 5.2-GHz CMOS T/R switch for ultra-low-voltage operations
KR100925128B1 (ko) 씨모스 제조공정으로 구현되는 병합형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이를 사용하는 전자회로
KR100492280B1 (ko) 표준 3중 웰 씨모스 공정에서 구현된 수직형 바이폴라정션 트랜지스터를 전류 소오스로 사용하는 회로
Wu et al. A 5.8-GHz high efficient, low power, low phase noise CMOS VCO for IEEE 802.11 a
EP1264400B1 (en) Integrated high-frequency mos oscillator
JP4719412B2 (ja) 半導体差動回路、それを用いた発振装置、増幅装置、スイッチ装置、ミキサ装置、回路装置、半導体差動回路の配置方法
US20060038623A1 (en) High frequency distributed oscillator using coupled transmission line
Kao et al. A high output power and low phase noise GaN HEMT VCO with array of switchable inductors
KR20080049530A (ko) 밀러효과를 이용한 전압제어 발진회로
Dermentzoglou et al. An Extra Low noise 1.8 GHZ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0.35 SiGe BiCMOS technology
US7112838B2 (en) Multipurpose metal fill
Wen et al. CMOS RFIC: Application to wireless transceiver design
EP1396930A1 (en) An oscillator and an integrated circuit
Itoh et al. High sensitivity 900-MHz ISM band trans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