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264B1 -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 Google Patents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264B1
KR100537264B1 KR20030059178A KR20030059178A KR100537264B1 KR 100537264 B1 KR100537264 B1 KR 100537264B1 KR 20030059178 A KR20030059178 A KR 20030059178A KR 20030059178 A KR20030059178 A KR 20030059178A KR 100537264 B1 KR100537264 B1 KR 100537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block
safety cover
shaped buffer
cross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5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4187A (ko
Inventor
최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to KR2003005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2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0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 이 안전커버(1)는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재생고무로 성형된 십자형 완충블럭(2)과 이에 조립되는 아이자형 완충블럭(3)이 서로 삽입된 상태로 층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의 중앙부와 아이자형 완충블럭(3)의 상하부에 각각 일자형 철근(4a)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4)가 내장되며, 상기 보강부재(4)의 철근(4a) 좌우측 선단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원통형의 체결관(4b)이 용접에 의해 부착고정되고, 상기 보강부재(4)의 체결관(4b)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그 상하단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5)가 구비된 구조로서, 상기 안전커버는 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교각과 같은 원기둥 뿐만아니라 벽체 및 사각기둥에도 간편하게 안전커버를 설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완충블럭이 무늬를 이루기 때문에 도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재생고무의 완충력과 보강부재의 내구성을 이용하여 도로 시설물을 보다 완벽하게 보호하면서도 차량의 파손이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A safety cover for protecting a road equipment}
본 발명은 도로의 각종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각 등과 같은 원형기둥에 설치되어 차량과의 충돌에 의해 도로 시설물을 보호함과 더불어 그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차량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주하는 차량의 증가와 지상부지의 한계로 인하여 지상에 고가도로가 많이 건설되고 지하에도 주차장을 위시한 편의시설 등이 많이 건설되고 있는 바, 상기 고가도로의 경우 지상에 교각을 세우고 고가도로를 건설하게 되고, 지하주차장이나 건축물의 경우 지하면적 등의 활용면적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기둥을 세워 공간을 최대로 확보하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고가도로 및 교각(옹벽, 교문, 신호등, 전주, 지하주차장 기둥 등)은 용지, 각종 민원 및, 사업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로시설기준과 시행규칙을 저급도로 기준에 맞도록 설계하여 시공되고 있는 바, 이에 따라 대형차량의 회전반경부족 및 운전자의 부주의 등으로 구조물의 손상이 예상되었고, 심지어 교각의 파손으로 교량 상부구조물의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1) 또는 기둥의 전방에 흙이 채워진 드럼통(102)을 설치하여 각각의 드럼통(102)을 연결하거나 혹은, 폐타이어(103)를 적층하여 교각(101) 또는 원형기둥의 전방에 설치하여 도로 시설물과 차량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드럼통(102)이나 폐타이어(103)의 경우 그 설치와 해체가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교각(101)과 같은 원형기둥을 완벽하게 보호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고, 대부분 교각(101)이나 기둥의 전방에 상기와 같은 드럼통(102) 및 폐타이어(103)가 설치되어 도로의 미관을 훼손하게 됨과 더불어 면적을 많이 차지하여 교통흐름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교각(101)이나 기둥에 있어서는 대체로 차량의 주행이나 보행자 등의 보행에 방해를 주지 않는 위치에 건설하고 있는 관계로 차량의 운전자가 이를 쉽게 발견하거나 식별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각 등과 같은 원형기둥에 설치되어 차량과의 충돌에 의해 도로 시설물을 보호함과 더불어 그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차량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재생고무로 성형된 십자형 완충블럭과 이에 조립되는 아이자형 완충블럭이 서로 삽입된 상태로 층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의 중앙부와 아이자형 완충블럭의 상하부에 각각 일자형 철근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철근 좌우측 선단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원통형의 체결관이 용접에 의해 부착고정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체결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그 상하단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과 아이자형 완충블럭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가 구비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가 보강부재의 체결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연결 보울트와, 이 연결 보울트의 상하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각 연결 보울트에 삽입고정되는 다수의 연결 링크와, 이 연결 링크를 상기 연결 보울트에 고정하기 위해 와셔를 매개로 연결 보울트의 상하단에 체결되는 너트 및, 상기 연결 보울트의 하단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된 십자형 완충블럭과 아이자형 완충블럭을 지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받침대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 안전커버의 경우 다수의 십자형 완충블럭과 아이자형 완충블럭의 조립에 의해 구성되는 바,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과 아이자형 완충블럭의 조립수에 따라 안전커버의 폭이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과 아이자형 완충블럭의 내부에 삽입고정된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 보울트가 삽입됨으로써 서로 조립되고,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안전커버의 내구성이 증대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안전커버의 체결력 또한 증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전커버는 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교각과 같은 원기둥 뿐만아니라 벽체 및 사각기둥에도 간편하게 안전커버를 설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완충블럭이 무늬를 이루기 때문에 도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재생고무의 완충력과 보강부재의 내구성을 이용하여 도로 시설물을 보다 완벽하게 보호하면서도 차량의 파손이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커버가 교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커버를 이루는 완충블럭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블럭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블럭과 완충블럭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면, 도로에 설치된 교각(6) 등과 같은 원형기둥의 외측에 설치되는 안전커버(1)가 구비되되, 상기 안전커버(1)는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재생고무로 성형된 십자형 완충블럭(2)과 이에 조립되는 아이자형 완충블럭(3)이 서로 삽입된 상태로 층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의 중앙부와 아이자형 완충블럭(3)의 상하부에 각각 일자형 철근(4a)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4)가 내장되며, 상기 보강부재(4)의 철근(4a) 좌우측 선단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원통형의 체결관(4b)이 용접에 의해 부착고정되고, 상기 보강부재(4)의 체결관(4b)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그 상하단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5)가 구비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안전커버(1)는 다수의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고, 또한 폐타이어와 같은 경질의 재생고무로 이루어진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의 내부에 강관과 철근(4a)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4)가 삽입고정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안전커버(1)는 다수의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의 조립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의 조립수에 따라 안전커버(1)의 폭이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의 내부에 삽입고정된 보강부재(4)의 체결관(4b)에 상기 연결부재(5)가 체결됨으로써 각각의 완충블럭들을 서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안전커버(1)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면서 교각(6)의 하부에 감겨져 고정되는 바, 설치되는 교각(6)의 외주면 크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연결부재(5)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를 갖는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을 조립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의 경우 그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보강부재(4)가 내장설치되고, 상기 아이자형 완충블럭(3)의 경우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보강부재(4)가 내장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완충블럭은 서로 용접된 철근(4a)과 체결관(4b)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4)를 완충블럭 사이에 넣고 성형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블럭에 내장되는 보강부재(4)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에 삽입되는 보강부재(4)의 경우 두개의 철근(4a)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되게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철근(4a)의 좌우측 단에 용접으로 각각 강관으로 이루어진 체결관(4b)을 수직되게 부착하여 성형한 것이며, 또한 상기 아이자형 완충블럭(3)에 삽입되는 보강부재(4)의 경우 하나의 철근(4a)을 중심으로 그 좌우측단에 각각 상기 체결관(4b)이 용접에 의해 부착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완충블럭을 연결하여 안전커버(1)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5)의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4)의 체결관(4b)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연결 보울트(5a)와, 이 연결 보울트(5a)의 상하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각 연결 보울트(5a)에 삽입고정되는 다수의 연결 링크(5b)와, 이 연결 링크(5b)를 상기 연결 보울트(5a)에 고정하기 위해 와셔(5c)를 매개로 연결 보울트(5a)의 상하단에 체결되는 너트(5d) 및, 상기 연결 보울트(5a)의 하단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된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을 지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받침대(5e)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 보강부재(4)의 원통형 체결관(4b)이 수직방향으로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5)의 연결 보울트(5a)를 체결관(4b) 내부에 삽입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 보울트(5a)의 상하단을 각각 연결 링크(5b)와 와셔(5c) 및 너트(5d)로 조립함으로써 각각의 연결 보울트(5a)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시키며, 이렇게 조립된 상기 연결 보울트(5a)의 하단에 지면과 접촉되는 받침대(5e)를 나사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5e)의 경우 상기 연결부재(5)가 빗물 등에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재(5)를 지면에서 대략 10cm 정도 이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인 바, 이를 위하여 상기 받침대(5e)의 길이를 대략 10cm로 성형하며, 상기 받침대(5e)의 하단에는 다수의 발톱이 형성되어 받침대(5e)가 지면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교각(6)이나 원기둥 등을 감싼 상태로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상기 안전커버(1)는 재생고무에 보강부재(4)를 삽입하여 블럭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그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아니라 해체가 간편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을 높여줄 수 있고, 상기 안전커버(1)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그 충격을 최소화하면서도 차량의 파손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커버(1)의 십자형 완충블럭(2)에 야광 테이프나 야광 페인트를 도포함으로써 야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안전커버(1) 자체의 외적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커버(1)의 경우 설치되는 도로 시설물에 따라 그 적용범위를 달리할 수 있는 바, 원형기둥(가로등, 전주, 교각, 이정표 지지대)은 그 원주율 만큼 안전커버(1)를 조립하여 높낮이나 폭을 맞추어주고, 사각기둥이나 옹벽의 경우에는 상기 안전커버(1)를 펼친 상태로 앵커 볼트 등을 체결시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에 의하면, 안전커버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교각과 같은 원기둥 뿐만아니라 벽체 및 사각기둥에도 간편하게 안전커버를 설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완충블럭이 무늬를 이루기 때문에 도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재생고무의 완충력과 보강부재의 내구성을 이용하여 도로 시설물을 보다 완벽하게 보호하면서도 차량의 파손이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커버가 교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커버를 이루는 완충블럭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블럭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블럭과 완충블럭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전커버 2 : 십자형 완충블럭
3 : 아이자형 완충블럭 4 : 보강부재
4a : 철근 4b : 체결관
5 : 연결부재 5a : 연결 보울트
5b : 연결 링크 5c : 와셔
5d : 너트 5e : 받침대
6 : 교각

Claims (2)

  1.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재생고무로 성형된 십자형 완충블럭(2)과 이에 조립되는 아이자형 완충블럭(3)이 서로 삽입된 상태로 층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의 중앙부와 아이자형 완충블럭(3)의 상하부에 각각 일자형 철근(4a)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4)가 내장되며, 상기 보강부재(4)의 철근(4a) 좌우측 선단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원통형의 체결관(4b)이 용접에 의해 부착고정되고, 상기 보강부재(4)의 체결관(4b)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그 상하단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5)가 구비된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가 보강부재(4)의 체결관(4b)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연결 보울트(5a)와, 이 연결 보울트(5a)의 상하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각 연결 보울트(5a)에 삽입고정되는 다수의 연결 링크(5b)와, 이 연결 링크(5b)를 상기 연결 보울트(5a)에 고정하기 위해 와셔(5c)를 매개로 연결 보울트(5a)의 상하단에 체결되는 너트(5d) 및, 상기 연결 보울트(5a)의 하단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된 십자형 완충블럭(2)과 아이자형 완충블럭(3)을 지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받침대(5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KR20030059178A 2003-08-26 2003-08-26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KR100537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9178A KR100537264B1 (ko) 2003-08-26 2003-08-26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9178A KR100537264B1 (ko) 2003-08-26 2003-08-26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258U Division KR200291867Y1 (ko) 2002-07-05 2002-07-05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187A KR20040004187A (ko) 2004-01-13
KR100537264B1 true KR100537264B1 (ko) 2005-12-22

Family

ID=3731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9178A KR100537264B1 (ko) 2003-08-26 2003-08-26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2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078B1 (ko) 2011-02-10 2012-10-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보호장치
KR20200087510A (ko) 2019-01-11 2020-07-21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시설물용 안전커버 및 그 성형방법
RU2809830C1 (ru) * 2023-06-01 2023-12-1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руппа Полипластик"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объект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99B1 (ko) * 2004-11-30 2007-04-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및 그러한 충격흡수장치의 설치 방법
ES2316230B1 (es) * 2006-05-24 2010-01-05 Asesoria Inmobiliaria Gran Europa, S.L. Protector de pilares.
KR100821375B1 (ko) * 2006-10-27 2008-04-11 최치정 주차장용 보호대
KR100838625B1 (ko) * 2007-12-24 2008-06-16 박영식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기둥의 충격 흡수장치
CN101718080B (zh) * 2009-11-10 2011-07-06 中铁大桥勘测设计院有限公司 复合材料桥梁防撞装置
CN101962942A (zh) * 2010-10-22 2011-02-02 长沙理工大学 桥墩防撞装置
CN102080362B (zh) * 2010-12-29 2012-10-03 中铁七局集团有限公司 隔离式桥墩防撞装置
WO2013097198A1 (zh) * 2011-12-30 2013-07-04 南京工业大学 一种缓冲吸能型腹板增强复合材料防撞装置
CN105696525A (zh) * 2016-03-30 2016-06-22 南京工业大学 一种桥墩用钢桁架与复合材料混合防撞保护系统
CN106087780A (zh) * 2016-08-08 2016-11-09 北京交通大学 一种用外贴材料提高桥墩耐久性的方法
CN106758990A (zh) * 2017-02-13 2017-05-31 江苏特安可科技工程有限公司 公路桥墩柔性防撞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078B1 (ko) 2011-02-10 2012-10-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보호장치
KR20200087510A (ko) 2019-01-11 2020-07-21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시설물용 안전커버 및 그 성형방법
RU2809830C1 (ru) * 2023-06-01 2023-12-1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руппа Полипластик"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объект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187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264B1 (ko)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RU2334045C2 (ru) Сборный дорожный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барьер
KR101778300B1 (ko) 교량용 방호울타리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126070A (ko) 이동식 다목적 가교
JP4310444B1 (ja) 道路橋用幅員拡張材
KR100619807B1 (ko) 교통시설물 보호용 전기시설
KR20090102355A (ko) 지주형 시설물의 하부보호구조
KR200291867Y1 (ko)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KR20050021421A (ko) 도로용 가드레일
JP2004176400A (ja) 道路用幅員拡張材とその設置方法
JP5043879B2 (ja) 道路橋用幅員拡張材の設置方法
KR100879160B1 (ko)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KR20090049900A (ko) 지주의 지지구조
KR101388253B1 (ko) 도로 시설물의 기초 시공 방법
KR20110017141A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JP2007297897A (ja) 支柱構造体
KR200341904Y1 (ko) 스프링 구조를 갖는 경계용 안전 펜스
KR20090105123A (ko) 충격 방호 구조물
KR200248390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의 충격흡수형 안전시설물
KR100467085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시설물 설치구조
KR100592184B1 (ko) 충격흡수형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KR200432877Y1 (ko) 가로등
KR20100056086A (ko) 날개형 블록
KR200463274Y1 (ko) 작업성을 증진시킨 지주용 하부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