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100B1 -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 Google Patents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100B1
KR100537100B1 KR10-2000-0062625A KR20000062625A KR100537100B1 KR 100537100 B1 KR100537100 B1 KR 100537100B1 KR 20000062625 A KR20000062625 A KR 20000062625A KR 100537100 B1 KR100537100 B1 KR 100537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rinkable tube
polyester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1865A (ko
Inventor
송준명
김영석
박종민
송경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주식회사 무 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주식회사 무 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0-006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10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22Electrostatic or magnetic shi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6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coating or encapsulating of electronic pa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 디올 성분에 대해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1∼20몰%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수지와 안료가 용융혼합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열수축성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콘덴서에 피복후 피복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후공정으로 건조과정에서도 피복밀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Description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Polyester-based thermal contraction tube}
본 발명은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 콘덴서의 보호와 전기절연을 위해 피복되는 폴리에스테르계의 열수축성 튜브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 콘덴서의 보호와 전기절연을 위해서 콘덴서 피복용도로는 열수축성 튜브를 사용하는 바, 종래에 열수축성 튜브는 합성수지제인 폴리염화비닐수지(PVC)로 제조되어 왔다.
열수축성 튜브의 적용예를 살펴보면, 열수축성 튜브로 전해콘덴서를 피복하여 230∼250℃에서 2∼3초간 가열, 수축시킨 후 70∼80℃ 물로 세정하여 건조와 내열시험을 병행하여 160℃에서 3분 정도의 건열처리를 한 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피복막의 시험으로서는 핀홀과 낙하시험을 행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해 콘덴서의 피복용도로 폴리염화비닐수지제의 열수축성 튜브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는 있지만, 폴리염화비닐수지는 내열성과 강도가 약하여 핀홀 시험 후 건열처리를 하면 찢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제품 상태가 불량할 뿐만 아니라 낙하시험에서 합격률이 낮다. 이 때문에 내열성과 강도가 우수한 수지로 전해 콘덴서를 피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폴리염화비닐수지제는 재활용이 불가능하며, 소각시 다이옥신이 발생되어 환경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여러국가에서 경원시되어 현재 그 대체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공개특허 1974-32972호에서는 콘덴서용 수축튜브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한 결과, 콘덴서에 피복, 수축시킨 후 건열처리에서도 콘덴서의 구성부에 완전히 밀착되어 콘덴서의 보호와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튜브를 얻을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열수축성 튜브를 콘덴서에 피복, 수축시 콘덴서의 상단면, 하단면까지 피복하게 되며, 또한 콘덴서 측면부의 굴곡부위에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밀착성은 콘덴서에 피복, 수축공정 이후 진행되는 고온의 세정공정과 건조공정에서 피복튜브의 형태변형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밀착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수지조성물이 국내특허출원 제2000-2686호에 제시된바 있다.
그런데, 상술한 조성물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덴서의 세척공정과 건조공정에서는 우수한 피복성능을 보였으나, 200℃ 이상의 특수 건조공정에서는 완벽한 피복 밀착성을 보이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콘덴서에 피복, 수축시킨 후 건열처리에도 콘덴서의 구성부에 완전히 밀착되어 우수한 콘덴서의 보호능과 전기절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열수축성 튜브를 제조하기 위해 연구노력하던 중, 특정함량의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공중합 성분을 함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특정 두께의 특정 수축률을 갖는 열수축성 튜브로 콘덴서를 피복한 결과, 상기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복, 수축시킨 후 건열처리에서도 콘덴서의 구성부에 완전히 밀착되어 우수한 콘덴서의 보호능과 전기절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는 전체 디올성분에 대해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1∼20몰%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고유점도가 0.65∼1.0dl/g인 공중합 수지 80∼97.99중량%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안료를 용융혼합하여 제조된 수지 1∼2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튜브를 구성하는 수지조성물 중 공중합에 의해 전체 디올성분 중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성분을 1∼20몰%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소정량의 전체 디올성분 중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혼합하여 그 혼합물의 공중합 성분으로서 전체 디올성분 중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성분을 1∼20몰% 함유하도록 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공중합 성분은 1∼20몰%인 것이 바람직한 바, 얻어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가 적정한 결정성을 보여 튜브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양이다. 만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수지 중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공중합 성분이 1몰% 미만이면 튜브 성형이 어려우며, 20몰%를 초과하면 얻어진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의 결정화 진행의 저하가 커져 내열성능이 저하되므로 적당하지 않다.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공중합 성분을 함유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통상의 폴리에틸렌테프탈레이트 수지의 제조방법에 준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어,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형성성 유도체와 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에스테르형성성 유도체를 반응시킨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할 때 디올 성분의 1∼20몰%를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로서 치환하면 가능하다.
그리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수지의 분자량은 고유점도 0.65 이상이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표시하기 때문에 적당하고, 고유점도가 1.0 이상이면 150㎛ 이하의 얇은 두께를 갖는 필름 성형이 불가능하므로, 고유점도 0.65∼1.0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공중합에 의해 전체 디올성분 중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공중합 성분을 1∼20몰% 함유하는 공중합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함께, 본 발명의 열수축성 튜브를 구성하는 수지조성물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안료가 용융혼합된 수지를 포함한다.
안료를 함유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첨가할 경우, 전체 수지조성물의 결정화 속도를 조절하여 가공성이 용이하며 열수축성 튜브를 콘덴서에 피복수축시킨 후 170℃에서 3분간 건열처리하면 콘덴서의 구성부에 실질적으로 공간이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공중합 수지에 안료를 함유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첨가할 때 그 첨가량은 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 첨가량이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 속도조절에 효과가 없으며, 20중량% 초과면 결정화 속도가 급격하여 연신튜브 성형이 어렵다.
한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함유된 안료의 양은 10∼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튜브 조성물은 상기의 조성에 결정화 속도의 미세한 조절을 위해 벤조익산 또는 스테아린산의 금속염을 0.01∼1.0중량% 추가로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벤조익산 또는 스테아린산의 금속염을 첨가하여 피복할 콘덴서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화 속도를 변화시켜 내열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1∼5중량%를 추가로 첨가하여 유연성과 밀착성을 보완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수지에는 필요할 경우 안정제, 안료, 염료, 점토류, 활제, 난연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열수축성 튜브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내열성의 향상을 위해 외부입자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입자의 예로는 칼슘카보네이트, 탈크, 클레이, 마이카,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실리카, 칼슘메타실리케이트,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 등의 무기입자와 테프론 파우더 등의 유기입자 등이 있으며, 이들 중 두가지 이상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실리카, 탈크 등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공중합 성분을 함유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수지로부터 열수축성 튜브를 제조하는 데는 튜브방식과 인플레이션 방식 등의 성형법에 의해 용융압출하여 관상체를 형성한 후 이축연신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예를들면, 상기 공중합체를 익스트루더의 환상다이로부터 압출하여 미연신의 관상체를 얻고, 그 관상체를 냉각조에서 급냉시킨 후 공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혼합물의 이차전이점 온도이상 유동점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면서 공기와 질소 등의 압축기체를 투입하여 팽창시켜 관상체의 직경방향으로 연신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도 디프렌셜 스피드 롤 등을 사용하여 연신해서 열수축성 튜브를 얻는다. 이 이축연신은 관상체의 압출성형에 연속해서 실시하거나 미연신 상태에서 롤에 권취한 후 실시하여도 좋다. 미연신의 관상체를 제조하는 데에는 이축연신후의 열수축성 튜브의 두께가 50∼100㎛ 범위가 적절하며, 미연신의 관상체를 이축연신하는 데는 이축연신 후의 열수축성 튜브의 비등수 수축율이 직경방향으로 40∼60%, 길이방향으로 5∼15%가 적절하다. 연신배율은 1.7∼2.5배, 길이방향의 연신배율을 1∼1.5배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1∼20몰%를 함유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고유점도가 0.65∼1.0dl/g인 공중합 수지 80∼97.99중량%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안료를 용융혼합하여 된 수지 1∼2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폴리에스테르계 전해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를 제조하여, 콘덴서(길이 24mm, 외경 12.5mm, 하부에서 2∼5mm에 곡면으로 요철구조를 갖고 그 부위 중 제일 깊은 곳은 직경 11mm로서 하부보다 4mm 위치에 있는 것)에 내경 13.3mm, 두께 75㎛ 열수축성 튜브를 피복수축할 때에 그 피복수축 후의 건열처리(170℃×3분) 단계에서 콘덴서의 구성부에 실질적으로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된다.
이와같이 제조된 전해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를 콘덴서에 열수축시켜 피복한 후 밀도가 1.342∼1.353인 경우가 피복 밀착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50℃에서 6시간 동안 열풍순환식 건열기에서 건조한 전체 디올 성분 중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을 5몰% 공중합한 PET 공중합체(고유점도 0.83) 95.4중량%와, 안료 30중량%를 함유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5중량%, 스테아린산의 소듐염 0.1중량%,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2중량%를 혼합하여 환상다이가 설치된 익스트루더로부터 실린더 온도 220∼280℃, 다이온도 260℃에서 외경 7mm, 두께 150㎛의 관상체를 압출하여 40℃ 수조에서 냉각하여 롤에 권취하였다.
얻어진 관상체의 말단부에 0.7kg/㎠의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90℃ 온수에서 가열하여 팽창과 동시에 디프렌셜 스피드 롤을 사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주어 길이방향 연신배율 1.05, 직경방향 연신배율 2.0, 연신속도 10m/분으로 동시이축연신하였다.
얻어진 열수축성 튜브는 내경 13.3mm, 두께 75㎛, 직경방향의 수축율 48%, 길이방향의 수축율은 8%이었다.
실시예 2∼5 및 비교예 1∼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튜브를 제조하되, 다만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조성 및 함량을 변경하였다.
조 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공중합 수지의 고유점도(dl/g)
공중합 수지함량(중량%) 공중합 수지 중 디올성분에 대한 CHDM 함량(몰%) 안료가 함유된 PBT 함량(중량%) PBT 중 안료함량(중량%) 소듐스테아레이트 함량(중량%) 엘라스토머의 함량(중량%)
실시예 1 95.4 5 2.5 30 0.1 2 0.83
2 95.4 10 2.5 30 0.1 2 0.81
3 82.7 17 15 30 0.3 2 0.75
4 91.95 5 5 20 0.05 3 0.82
5 92.9 6 3 20 0.1 4 0.86
비교예 1 95.4 - 2.5 30 0.1 2 0.81
2 95.4 30 2.5 30 0.1 2 0.73
3 97.9 5 - - 0.1 2 0.64
4 67.9 4 30 30 0.1 2 0.86
5 94.0 4 2.5 30 1.5 2 0.83
6 90.4 5 2.5 30 0.1 7 0.83
(주)CHDM: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PB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실험예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6에 따라 얻어진 열수축성 튜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피복밀착성: 얻어진 열수축성 튜브를 직경 12.5mm의 콘덴서에 피복하고 260∼280℃에서 8초간 열처리 수축시켜 튜브가 완전히 밀착된 콘덴서를 얻었다.
○: 콘덴서의 외벽에 완전밀착,
×: 콘덴서의 외벽에 완전 밀착되지 않고 요철부위 발생
(2)건열내열성
얻어진 열수축성 튜브를 직경 12.5mm의 콘덴서에 피복하고 260∼280℃에서 8초간 열처리 수축시켜 튜브가 완전히 밀착한 콘덴서를 170±5℃, 3분간 건열처리하였다.
○: 콘덴서의 외벽에 완전밀착,
×: 콘덴서의 외벽에 완전 밀착되지 않고 요철부위 발생
(3)열수내열성: 얻어진 열수축성 튜브를 직경 12.5mm의 콘덴서에 피복하고 260∼280℃에서 8초간 열처리 수축시켜 튜브가 완전히 밀착한 콘덴서를 100±2℃ 물에서 10분간 열수처리하였다.
○: 콘덴서의 외벽에 완전밀착,
×: 콘덴서의 외벽에 완전 밀착되지 않고 요철부위 발생
피복밀착성 건열내열성 열수내열성
실시예 1
2
3
4
5
비교예 1 × ×
2 × ×
3 × ×
4 × × ×
5 × × ×
6 ×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전체 디올 성분에 대해 사이클로헥신디메틸올 1∼20몰%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수지와 안료가 용융혼합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열수축성 튜브는 콘덴서에 피복후 피복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후공정으로 건조과정에서도 피복밀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정정)전체 디올성분에 대해 사이클로헥산디메틸올 1∼20몰%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고유점도가 0.65∼1.0dl/g인 공중합 수지 80∼97.99중량%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안료가 용융혼합된 수지 1∼2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안료를 용융혼합하여 제조된 수지는 안료를 10∼30중량%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3. 제 1 항에 있어서, 벤조익산 또는 스테아린산의 금속염을 0.01∼1.0중량% 더 함유하는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4. (정정)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1∼5중량% 더 함유하는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KR10-2000-0062625A 2000-10-24 2000-10-24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KR100537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625A KR100537100B1 (ko) 2000-10-24 2000-10-24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625A KR100537100B1 (ko) 2000-10-24 2000-10-24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865A KR20020031865A (ko) 2002-05-03
KR100537100B1 true KR100537100B1 (ko) 2005-12-16

Family

ID=1969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625A KR100537100B1 (ko) 2000-10-24 2000-10-24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06B1 (ko) * 2004-10-21 2006-08-28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다층 절연전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477A (ja) * 1995-02-09 1996-08-30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ー用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H09148177A (ja) * 1995-11-27 1997-06-06 Teijin Chem Ltd コンデンサー被覆用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性チューブ
KR19990038510A (ko) * 1997-11-06 1999-06-05 장용균 콘덴서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9990073446A (ko) * 1999-07-13 1999-10-05 손봉락 전해콘덴서용외장용기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477A (ja) * 1995-02-09 1996-08-30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ー用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H09148177A (ja) * 1995-11-27 1997-06-06 Teijin Chem Ltd コンデンサー被覆用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性チューブ
KR19990038510A (ko) * 1997-11-06 1999-06-05 장용균 콘덴서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9990073446A (ko) * 1999-07-13 1999-10-05 손봉락 전해콘덴서용외장용기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865A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6618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20010078083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500834B1 (ko) 전해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TW201516073A (zh) 一種含磷熱塑性聚酯及其所製成的含磷熱收縮套管
KR100537099B1 (ko)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KR100537100B1 (ko)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JP4802371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6630230B2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film using the same
KR100392161B1 (ko)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KR100353490B1 (ko)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JP3323399B2 (ja) 熱収縮性芳香族ポリエステルチューブ、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利用
KR20050117240A (ko) 폴리에스터 수축 필름
EP1655322B1 (en) Thermoplastic copolyester and method for producing heat-shrinkable tube by using the same
JPH1046014A (ja) 熱収縮性芳香族ポリエステルチューブ、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利用
JP4543743B2 (ja) 成形用二軸延伸ポリ乳酸フィルムおよび容器
KR100654100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457765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3809001B2 (ja) 環状丸管用熱可塑性樹脂チューブ
JPH09148177A (ja) コンデンサー被覆用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性チューブ
KR100814290B1 (ko) 콘덴서 피복용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튜브
KR101750925B1 (ko) 백색 열수축성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라벨
KR100562466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559951B1 (ko) 융착방지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제조방법
JP2003011217A (ja) 加工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129007A (ja) コンデンサー外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外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ラミネート金属板およびコンデンサー外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ラミネート金属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