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975B1 - 2바늘 재봉기 - Google Patents

2바늘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975B1
KR100536975B1 KR1019980050582A KR19980050582A KR100536975B1 KR 100536975 B1 KR100536975 B1 KR 100536975B1 KR 1019980050582 A KR1019980050582 A KR 1019980050582A KR 19980050582 A KR19980050582 A KR 19980050582A KR 100536975 B1 KR100536975 B1 KR 10053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ewing machine
needle
hooks
sp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549A (ko
Inventor
마코토 타나카
노리유키 히로세
아키라 마에다
마사히코 타나카
켄지 키타다
히로유키 카제하레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45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05B35/06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for attaching small textile pieces, e.g. labels, belt loops
    • D05B35/068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for attaching small textile pieces, e.g. labels, belt loops for attaching belt loop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0Needle bars for multiple-needle sewing machines
    • D05B55/12Needle bars for multiple-needle sew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 D05B3/025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with a pair of needles mounted on the needle-ba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05B55/16Needle-bar drives with provision for disengaging individual needle ba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22Devices for stopping drive when sewing tools have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 D05B69/24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ascertaining sewing-tool positio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2바늘 재봉기는 2개의 바늘(7)(7)과, 상기 2개의 바늘에 대응하도록 각각 배치된 2개의 후크(27a)(27b)와, 상기 2개의 후크(27a)(27b)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후크간격조절수단(33-35)과, 상기 후크간격조절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6)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상기 후크간격조절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37-41)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후크간격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보빈교환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용하고, 상기 2개의 수직후크간격을 소정간격 확대하는 폭 확대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2바늘 재봉기
본 발명은 동시에 2개의 바늘침을 구동하여 재봉작업을 하는 2바늘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옷종류로서의 피작업물 상에 벨트루프(옷의 허리춤에 혁대 등을 끼우기위한 고리)를 재봉하는 벨트루프 재봉기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2바늘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2바늘 재봉기의 예로서 여러 가지 타입의 벨트루프 재봉기가 개발되었으며, 이들 각 재봉기는 다수의 벨트루프를 재봉하는데 사용되며, 이 벨트루프는 진(jean), 바지, 스커트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피작업물(재봉될 물건)의 허리부분에 재봉되어 벨트를 착용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와 같은 종래 벨트루프 재봉기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재봉기는 미국특허 제5,588,384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종래 벨트루프 재봉기(1)는 재봉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재봉기본체(2), 벨트루프 형성장치(3), 벨트루프 공급장치(4)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각 장치는 재봉기본체(2)에 결합되어 있다.
재봉기본체(2)는 예를들어 2바늘 싸이클의 재봉기(2개의 바늘이 한주기를 이루면서 작동하는 재봉기)로 구성되어 있다. 재봉기 암(6)의 내부(도 7 좌측)에는 바늘봉 구동기구(21)(도 8)가 배치되며, 이 구동기구(21)에는 재봉기의 상부 샤프트(22)(도 8)와 연계하여 바늘봉(8)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늘봉(8) 하단에는 바늘 스토퍼(8a)가 고정되는 한편, 평행으로 배치된 2개의 바늘(7)(7)은 각각 바늘 스토퍼(8a)에 각각 고정된다.
또, 재봉기 암(6)의 아랫쪽에는 길고 좁은 재봉기베드(5)가 배치되며, 이 베드(5)는 재봉기암(6)에 대해 평행하면서 대향으로 배치된다. 재봉기 베드(5)의 상부표면에 바늘구멍(9a)을 포함하는 바늘판(9)이 배치되며, 바늘구멍(9a)을 통해 바늘(7)이 삽입된다. 바늘(7)의 수직이동위치에 한쌍의 홀드 피트(10)가 배치되며, 이 홀드 피트(10)는 탄성력에 의해 바늘판(9)의 상부표면과 압접(壓接)되어 옷감(S)을 유지한다. 홀드 피트(10)(10)는 공지된 옷감 홀드장치(도시안됨)에 의해 지지되며, 바늘판(9)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재봉기 베드(5)의 내부에서 바늘(7)의 수직이동위치에 공지된 한쌍의 수직 후크(27a)(27b)가 배치되며, 각 후크는 그 내부에 밑실이 감긴 보빈을 담고 바늘(7)과 함께 작용하여 스티치를 이루게된다. 수직후크(27a)(27b)와 함께 연계하여 회전하는 하부 샤프트(26a)(26b)(27a)(27b)(도 8)는 상기 상부 샤프트에 각각 접속된다.
벨트루프 재봉기(1)에서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재봉기암(6)의 자유단측에서 작업하며, 편의상 이 자유단측을 도 7에는 FS로 표시하고, 그 반대측을 BS로 표시하였다. 재봉기본체(2)의 자유단측FS 일부에는 상기 벨트루프 형성장치 및 벨트루프 공급장치(4)가 배치된다.
벨트루프 형성장치(3)는 벨트루프를 형성하기위한 긴 루프재료(12)를 재봉기본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 FS측으로 이송하며, 이 루프재료의 공급소스(도시안됨)는 재봉기본체(2)의 BS측에 배치된다. 또, 벨트루프 형성장치(3)는 루프재료(12)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벨트루프를 형성하게된다.
즉, 재봉기베드(5)에 거의 평행하게 루프 송출 베이스(13)가 배치되며, 디스크형으로된 옷감 이송 기어(14)가 루프송출수단으로서 루프송출베이스(13)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 옷감 이송기어 (14)의 외주면에는 송출 티드(15)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동작중에 옷감 이송기어(14)는 루프재료(12)의 상부표면과 접촉하고, 루프재료(12)는 루프송출 베이스(13)로 공급되며, 루프송출 모터(도시안됨)의 구동에 따른 옷감 이송기어(14)의 회전으로 인해 루프재료(12)가 FS측에 설치된 공급위치로 소정량 송출된다.
루프재료(12) 이송방향 즉 도 7의 화살표 B방향으로 루프송출 베이스(13)의 하류에는 절단수단(16)이 배치되어 루프재료(12)를 소정의 길이 만큼 절단하는데 사용된다. 절단수단(16)은 고정날 및 가동날이 배치되며, 고정날은 루프재료(12)의 통로 하향방향으로 고정 장착되고, 가동날은 정상적으로는 루프재료(12)의 통로 상향방향으로 위치하다가 실린더 등의 절단구동수단(도시안됨)에 의해 하향이동할 수 있어 루프재료(12)를 절단하는데 고정날과 함께 협동하여 동작하게된다.
루프재료(12)의 이동방향 즉 도 7의 화살표B방향으로 절단수단(16)의 하류, 즉 공급위치에는 한쌍의 전후 루프수용부재(17)가 배치됨으로써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형성된 벨트루프를 지지한다. 이 루프수용부재(17)는 각각 L형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그 선단은 벨트루프 아래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 2개의 루프수용부재(17) 사이에는 안내봉(19)이 배치되며, 이 안내봉(19)은 벨트루프의 일단측으로부터 하향절곡되어 L형상으로 된다. 안내봉(19)은 공급위치로 이송된 루프재료(12)의 위치를 유지하는 작용을 하며, "루프 상승봉"으로도 언급될 수 있다. 즉,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벨트루프의 2개의 단부위치가 포크(20)에 의해 절곡될 때 안내봉(19)이 루프재료(12)의 측면을 소정의 위치로 들어올려 루프재료(12)를 차례로 정렬하므로 절곡부위의 위치가 변위되지 않고 함께 완전하게 중첩될 수 있다.
이후, 벨트루프 공급장치(4)는 소정길이의 벨트루프 2개의 단부부근을 2개의 루프수용부재(17)로 공급위치에서 유지시킬 뿐만아니라 2개의 단부부근을 절곡하여 재봉위치로 이송한다. 벨트루프 공급장치(4)는 한쌍의 우측포크 및 좌측포크(20)를 포함하며, 이 포크들 사이에 소정길이의 벨트루프의 2개의 양단부근이 공급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 양쪽 끝부분을 180도로 접어서 포개며, 이때 접히는 끝부분이 아랫쪽으로 포개지도록하여 재봉위치에 이송시키게된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2개 포크(20)의 각 선단부(20a)는 정상적으로는 공급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후퇴상태로 위치하며, 공기실린더와같은 포크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전진 및 후퇴하게된다.
상기와같은 구조의 종래 벨트루프 재봉기에 따르면, 먼저 루프재료(12)는 옷감 이송기어(14)의 회전운동에 기인하여 루프송출 베이스의 상부표면으로부터 공급위치로 송출되어 2개의 루프수용부재(17)에 의해 아래에서 지지되며, 동시에 이와같이 송출된 루프재료(12)는 상향이동하여 안내봉(19)에 의해 일측으로 정렬된다. 다음에, 2개의 포크(20)가 후퇴위치로부터 BS방향을 향해 공급위치로 전진하고 2개의 포크(20) 선단부(20a)가 벨트루프에 삽입된다. 이후 루프재료(12)의 베이스단부측이 절단수단(16)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벨트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2개의 포크(20)의 선단부(20a)는 회전하여 180도(즉 접히는 부분이 완전히 포개지는 것)로 벨트루프의 양단부를 절곡하며, 이때 접히는 끝부분이 아랫쪽으로 포개지도록 절곡된다. 이와같이 절곡된 벨트루프는 포크(20)(20)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공급위치로부터 재봉부S의 재봉위치로 이동된다. 이후 옷감 유지 피트(10)가 하향이동하여 재봉부S 및 벨트루프를 바늘판(9) 상에 유지시킨다. 또, 포크(20)가 후퇴하여 벨트루프로부터 인출된 후 예를들어 벨트루프 중 2개의 양측이 접힌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2개의 바늘(7)를 이용하여 소정의 재봉패턴에따라 재봉되며, 이때 바늘(7)은 각각 바늘봉 구동수단에 의해 지지되므로 벨트루프는 재봉부S의 소정의 위치에서 재봉될 수 있다.
한편, 바늘봉(8)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바늘(7) 사이 간격은 벨트루프의 길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위해 2개의 바늘 사이의 간격을 달리하는 다수의 바늘봉(8)을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선정하여 벨트루프의 길이에따라 바늘봉구동수단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는 바늘 스토퍼(8a)에 대해 옷감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바늘을 이동 및 조절할 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2개의 바늘(7) 사이의 간격을 벨트루프의 길이에 따라 조절할 때 2개의 바늘에 대해 대향배치된 2개의 후크 사이의 간격도 같은 방법으로 조절가능해야 한다.
이 때문에 종래 벨트루프 재봉기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 개의 후크(27a)에 대해 축방향으로 다른 후크(27b)를 이동 및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즉, 크랭크기구(23)가 상부샤프트(22)의 베이스단부에 배치되고, 크랭크기구(23)에 의해 상부샤프트(22)의 회전이 하부베이스 샤프트(24)에 전달되며, 이 하부베이스 샤프트(24)는 재봉기 베드(5) 내에서 상부샤프트(22)와 평행으로 배치된다. 또, 재봉기 베드(5) 내에는 제1하부샤프트(26a) 및 제2하부샤프트(26b)가 각각 배치되며, 이들은 상호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고 하부베이스 샤프트(24)에 대해서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하부베이스 샤프트(24)의 회전은 기어기구(25a)에 의해 제1하부샤프트(26a) 및 제2하부샤프트(26b)로 전달되며, 기어기구(25a)는 샤프트(24)(26a)(26b)에 각각 배치된 기어들로 구성된다.
제1수직후크(27a)는 제1하부 샤프트(26a)의 선단에 고정된다. 한편, 제2하부샤프트(26b)와 같은 축 상에는 제2하부샤프트(26c)가 배치되고, 제2하부샤프트(26b) 및 제3하부샤프트(26c)의 상호 대향 양단은 각각 스크류(29)에 의해 슬리브형 조인트(28)에 고정되고, 이들 샤프트는 축방향으로 일체로 이동가능하면서 조절가능하다. 제3하부샤프트(26c)의 상향으로 제4하부샤프트(26d)가 배치되며, 이 제4하부 샤프트(26d)의 일단에는 축방향으로 제2수직후크(27b)가 고정되는 반면, 축방향으로 타단에는 기어기구(25b)를 개재하여 제3하부샤프트(26c)가 접속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제1수직후크(27a) 및 제2수직후크(27b)는 바늘 스토퍼(8)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2개의 바늘(7)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각각 설치되고, 스크류(29)를 이완하여 조인트(28)에 대해 축방향으로 제3하부샤프트(26c)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면 제3하부샤프트(26c)의 돌출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 제4하부샤프트(26d)는 제3하부샤프트(26c)의 돌출길이가 축방향으로 변화함에따라 이 제3하부샤프트(26c)와 일체로 축방향으로 이동 및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제3하부샤프트(26c) 및 제4하부샤프트(26d)는 재봉기베드(5)와 다른 케이싱(5A)에 의해 지지되며, 이 케이싱(5A)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선술한 구조에 따르면, 2개의 바늘(7) 사이의 간격이 벨트루프의 길이에 따라 조절될 때 조인트(28)의 스크류(29)가 이완되어 제3하부샤프트(26c) 및 제4하부샤프트(26d)의 축방향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2수직후크(27b)가 위치가 변화된 바늘(7) 바로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이후 조인트(28)의 스크류(29)는 체결되어 제2하부 샤프트(26c)을 고정시키고, 다시 전술한 벨트루프 재봉작업을 실행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벨트루프 재봉기는 2개의 바늘(7) 사이의 간격 조절에 따라 2개의 수직후크(27a)(27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때마다 스크류(29)를 이완시켜야 하므로, 2개의 수직후크(27a)(27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벨트루프 재봉기에서 발생하는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벨트루프 재봉기와 같은 2바늘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양태에 따른 2바늘 재봉기는 바늘봉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고 간격이 변경가능한 2개의 바늘침과, 상기 2개의 바늘침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2개의 수직후크와, 상기 2개의 수직후크의 간격을 변경하는 후크간격 조절수단과, 상기 후크 간격조절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상기 후크간격조절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후크간격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2바늘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보빈교환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용하고, 상기 2개의 수직후크 간격을 소정간격 여는 확대하는 폭확대수단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따라 제어수단이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동안 구동수단은 후크간격 조절수단을 구동시켜 후크간격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후크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후크간격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 2개의 후크간의 간격이 폭확대수단에 의해 소정량만큼 자동으로 확대되며, 그 결과 2개의 후크주변의 청소와 같은 유지보수 및 보빈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보빈의 교체시에 보빈교체스위치만을 작동시킬 수 있고, 2개의 후크간의 간격을 소정량만큼 확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빈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양태의 2바늘 재봉기에 있어서 2개의 후크 중 하나가 고정되고, 다른 후크는 가동후크로서 상기 고정후크에 대해 진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후크간격 조절수단, 구동수단 및 전달수단을 2중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2바늘 재봉기를 콤팩트하고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제1양태의 2바늘 재봉기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2개의 후크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을 미소량 이동시킬 수 있는 미세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바늘과 후크의 첨단부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르면, 제1양태의 2바늘 재봉기에 있어서 폭확대수단이 2개의 후크 내의 보빈에 대한 교체시기를 검출할 수 있는 보빈교체검출수단을 포함하며, 이 보빈교체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 폭확대수단은 소정량 만큼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보빈교체 시에 자동으로 소정량 만큼 확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빈교체작업 시에 작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 간격이 확대된 상태로 위치하는 가동후크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제어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2바늘 재봉기의 유지보수 중에 또는 보빈교체작업 중에 2개의 후크간의 간격이 보다 벌어진다 하여도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그 초기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으며, 이에따라 후크간격을 또다시 조절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8양태에 따르면, 제1양태의 2바늘 재봉기에 있어서 후크간격조절수단은 수동으로도 구동될 수 있고, 후크간격 조절수단의 구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호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따라 구동수단을 사용할 수 없더라도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양태에 따르면, 가동후크의 초기위치를 검출하는 초기위치센서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가동후크를 정밀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양태에 따르면, 제1양태의 2바늘 재봉기에 있어서 그 2바늘 재봉기는 임의 폭을 갖는 벨트루프를 재봉위치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본 발명의 2바늘 재봉기는 피작업물에 벨트루프를 재봉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수동으로 후크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후크 주변에서 수동조절을 위한 공간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벨트루프공급수단의 설치에 대한 제약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양태에 따르면, 제10양태의 2바늘 재봉기에 있어서, 공급수단은 재봉기베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수단은 재봉기베드의 타측 하향부분에 배치되므로 주요재봉부분을 설정하기위한 충분한 작업공간 및 공급수단을 위한 충분한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바늘 재봉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재봉기베드(5)에는 가동후크를 저장하는 가동케이싱(31)이 배치되며, 이 가동후크는 제2수직후크(27b)(후술함)로서 작용하는 동시에 재봉기베드(5) 단부로부터 외측과 마주하는 제1수직후크(27a)와 대향하는 곳에 위치한다.
즉,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같이 재봉기베드(5)의 선단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후크지지 베이스(32)의 베이스 단부가 고정되며, 후크지지 베이스(32)는 직각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뻗는 최소한 2개의 측단이 상향으로 절곡되어 2개의 측부(32a)를 이루게된다. 2개의 측부(32a) 내측에 한쌍의 판형 안내부재(33)가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안내부재(33)의 상부면에는 선형 안내슬릿(33a)이 배치되며, 이 선형 안내슬릿(33a)은 수직후크(27b)의 이동방향으로 각각 뻗는다.
가동베이스(34)의 상부표면에는 가동베이스(34)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케이싱(31)이 고정되고, 가동베이스(34)의 하단면에는 한쌍의 피안내부재(35)(35)가 고정된다. 피안내부재(35)(35)는 각각 하향돌출하는 안내부(35a)(35a)를 포함하여 안내슬릿(33a)(33a)과 각각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안내부재(33), 가동베이스(34), 피안내부재(35) 등은 함께 후크간격 조절수단, 또는 이동안내수단을 이루게된다.
후크지지 베이스(32)의 베이스단부에는 재봉기베드(5)가 하향으로 배치되고, 가동케이싱(31)를 이용하는 구동수단으로서 펄스모터(36)가 고정되어 후크간격을 변화시키게되며, 펄스모터(36)의 상단에 위치하는 출력샤프트(36a)에는 웜(37)이 끼워진다. 한편, 후크지지베이스(32)에는 직각으로 가동케이싱(331)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회전샤프트(39)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후크지지베이스(32) 아래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있고, 웜(37)과 맞물림 결합하는 웜기어(38)가 회전샤프트(39)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웜(37) 및 웜기어(38)는 함께 웜기어기구를 형성한다. 또, 회전샤프트(39)의 중앙부에는 축방향으로 피니언(40)이 끼워지는 한편 가동베이스(34)의 하부면에는 랙(41)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랙(41)은 가동케이싱(31)의 이동방향으로 뻗는 동시에 피니언(40)과 맞물림 결합한다. 웜(37), 웜기어(38), 회전샤프트(39), 피니언(40) 및 랙(41)은 함께 펄스모터(36)의 회전으로 후크간격 조절수단으로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형성한다.
따라서, 펄스모터(36)의 정역전회전에 따라서 가동케이싱(31)은 재봉기베드(5)에 대해 진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적으로 배치된 제1수직후크(27a)와 가동적으로 배치된 제2수직후크(27b) 사이의 간격을 40mm - 70mm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 출력샤프트(36a)와 접속된 하부샤프트(36b)가 펄스모터(36)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며, 수조작 노브(36c)가 하부샤프트(36b)로부터 돌출한다. 펄스모터(36)가 고장나거나 전력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수조작 노브(36c)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펄스모터(36)가 구동되지 않을 때 조차도 제1수직후크(27a)와 제2수직후크(27b)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후크간격을 조절하기위한 수동모드를 스위치수단(후술함)을 조작하여 선택하고, 이어서 펄스모터(36)에 대한 전원공급을 중단하며, 이때 펄스모터(36)의 출력샤프트(36a)는 손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둔다. 펄스모터(36)가 웜기어(38) 등을 포함하는 전달수단에 의해 가동수직후크(27b)의 가동케이싱(31)에 접속되므로 펄스모터(36)가 그 회전상태가 되어도 가동케이싱(31)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없다.
여기서, 가동케이싱(31) 내에 배치된 가동후크를 포함하는 제2수직후크(27b)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고정적으로 배치된 제1수직후크(27a)에 대해서도 작용하는 구동력의 전달은 도 4에 나타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즉, 도 4에 있어서, 풀리(42)를 통해 재봉기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상부샤프트(22)에 크랭크기구(43)가 배치되며, 이 크랭크기구(43)의 크랭크암(43a)은 아랫방향으로 뻗는다. 크랭크암(43a)의 하단은 제1하부샤프트(44a)에 의해 편심으로 지지되고, 같은 방향으로 상부샤프트(22)의 회전이 크랭크기구(43)에 의해 변화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각도로 제1하부샤프트(44a)를 정역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하부샤프트(44b) 및 제3하부샤프트(44c)는 상호 평행으로 배치되어 그 각각의 일측단들이 제1하부샤프트(44a)를 사이에두고 수직방향으로 대향한다. 제1하부샤프트(44a)의 회전은 기어(45a)(45b)(45c)에 의해 제2하부샤프트(44b), 제3하부샤프트(44c)에 전달되며, 여기서 한 기어(45a)는 제1하부샤프트(44a)에 고정되고, 다른 기어(45b)(45c)는 각각 제2하부샤프트(44b) 및 제3하부샤프트(44c)에 고정되는 동시에 또다른 기어(45a)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수직후크(27a)는 제2하부샤프트(44b)의 선단에 고정된다.
한편, 제3하부샤프트(44c)의 선단부에는 스플라인(46)이 형성되어 있다. 제3하부샤프트(46)와 같은 축에는 제4하부샤프트(44d)가 배치되고, 제3하부샤프트(44c)와 대향하는 제4하부샤프트(44d)의 일단부에는 스플라인 실린더(47)가 고정되며, 이 스플라인 실린더(47)는 제3하부샤프트(44c)에 형성된 다른 스플라인(46)과 결합할 수 있다. 제4하부샤프트(44d)는 스플라인(46) 및 스플라인 실린더(47)에 의해 제3하부샤프트(44c)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 제4하부샤프트(44d)는 축방향으로 중간부분에서 2개의 절반부로 분리되며, 2개의 절반부는 유니버샬 조인트(48)에 의해 상호 접속된다. 이 유니버샬 조인트(48)가 배치됨으로써 제4하부샤프트(44d) 및 제3하부샤프트(44c)가 약간 경사지더라도 상호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4하부샤프트(44d)는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자체길이 및 제3하부샤프트(44c)의 길이를 합친 축방향 전체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고, 제3하부샤프트(44c)의 토크가 항상 제4하부샤프트(44d)로 그 위치에 관계없이 전달될 수 있다.
또, 제4하부샤프트(44d)의 상향으로 제2하부샤프트(44b)와 같은 축상에 제5하부샤프트(44e)가 배치되고, 제5하부샤프트(44e)의 일단에 제2수직후크(27b)가 고정되어 제1수직후크(27a)와 대향하고, 축방향으로 제5하부샤프트(44e)의 타단에 고정된 기어(45d) 뿐만아니라 제4하부샤프트(44d)에 고정된 기어(45e)에 의해서 제5하부샤프트(44e)에는 제4하부샤프트(44d)의 회전이 전달된다.
제4하부샤프트(44d) 및 제5하부샤프(44e)는 함께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가동케이싱(31)에 각각 지지된다.
펄스모터(36)가 구동되고 그 결과 가동케이싱(31)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제4하부샤프트(44d) 및 제5하부샤프트(44e)가 가동케이싱(31)과 일체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결과 제1수직후크(27a)와 제2수직후크(27b)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블록도에 있어서, 펄스모터(36)의 구동은 모터구동회로(6)로부터 주어지는 구동펄스의 개수로 제어된다. 또, 펄스모터(36)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어부(5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축방향으로 제2수직후크(27b)의 이동의 초기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초기위치센서(51)도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초기위치센서(51)는 펄스모터(36)의 인근부분에 배치되는 한편, 전달형 광센서(52), 가동베이스(34)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액튜에이터(53)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동베이스(34)가 이동함에따라 액튜에이터(53)는 광센서(52)의 빛을 차단하므로 광센서(52)는 제어부(50)에 초기위치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2수직후크(27b)의 초기위치는 예를들어 제1수직후크(27a)에 대한 간격이 40mm 일 때 설정될 수 있다.
재봉기가 배치되는 테이블(도시안됨) 위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은 조작패널(55)이 배치되고, 이 조작패널(55) 상에는 보빈교체스위치(54), 리세트 스위치(58), 간격설정 스위치(59) 등이 배치된다.
수직후크(27a) 또는 다른 수직후크(27b)에 배치된 보빈실이 거의 없거나 보빈실의 색상 및 종류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즉 새로운 것으로 후크 내의 보빈을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보빈교체스위치(54)를 작동시킨다. 특히 보빈교체스위치(54)가 작동되면, 교체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50)가 모터구동회로(65)를 작동시킴으로써 펄스모터(36)가 구동하게되며, 그 결과 제1수직후크(27a)와 제2수직후크(27b) 사이의 간격은 한 후크로부터 보빈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간격, 예를들어 100mm 정도로 설정된다.
리세트 스위치(58)가 작동하면 리세트 신호가 발생한다. 리세트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50)는 모터구동회로(65)를 작동시킴으로써 펄스모터(36)를 구동하며, 그 결과 제1수직후크(27a)와 제2수직후크(27b) 사이의 간격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간격은 재봉기의 바늘(7)과 대응하며, 패널(55)에 배치된 간격설정스위치(59)가 작동한 이후 얻어지는 10키의 입력값(간격길이)이 제어부(50)에 포함된 저장부RAM(도시안됨)에 저장된다. 즉, 리세트스위치(58)가 작동하면 제어부(50)의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값이 독출되어 나온다.
조작패널(55)에 배치된 밑실권회량 설정수단이 작동하여 10키(603)의 입력값을 조작패널(55)에 배치된 보빈카운터(56)에 미리 설정한다. 이 입력값은 보빈의 밑실권회량 및 재봉기조건에따라 조작자가 설정한다. 이와는 달리 조작자는 밑실권회량량 및 재봉기조건을 입력하고 설정값은 상기 입력파라메터를 기초로 자동으로 모색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보빈카운터(56)는 재봉기 상부샤프트가 일단 회전할 때마다 한 개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상부샤프트 회전검출수단(66)의 출력을 카운트한다. 보빈카운터(56)의 카운트가 상기 설정값과 일치하면 검출신호가 발생한다. 검출신호를 받으면 제어부(50)는 모터구동회로(65)를 작동시켜 펄스모터(36)를 구동시키고, 그 결과 제1수직후크(27a)와 제2수직후크(27b) 사이의 간격은 한 개의 후크로부터 보빈의 제거를 용이하게하는 간격 예를들어 100mm 간격으로 설정한다.
조작패널(55) 상에는 상기 스위치들 외에도 여러 가지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다. 즉, 기능선택스위치(60), 우방향스위치(60R), 좌방향스위치(60L), 벨트루프 재봉기의 작동정지를 지시하는 정지스위치(61), 실삽입스위치(62), 벨트루프의 공급에 대한 재시도를 지시하는 셋백 스위치(64) 등이 배치된다.
특히 기능선택스위치(60)는 자동작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며, 이 모드에서 펄스모터(36)를 구동하여 후크간격을 조절하고, 수동모드는 손으로 노브(36c)를 조작하여 후크간격을 조절하며, 세팅모드는 여러 가지 재봉조건 및 다른 파라메터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작동모드에서 우방향스위치(60R) 또는 좌방향스위치(60L)가 작동하면 제어부(50)가 모터구동회로(65)를 작동시켜 펄스모터(36)를 제어하며, 이때 우방향스위치(60R) 또는 좌방향스위치(60L)가 한번 작동할때마다 제2수직후크(27b)는 소정량 예를들어 0.1mm 만큼 좌우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후크간격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와같은 경우 미세조절을 위한 단위간격은 0.1mm가 된다. 그러나, 더욱 미세한 조절을 위해서는 펄스모터의 해상도, 바늘의 위치조절 해상도 등에 따라 단위간격이 결정된다.
또, 제어부(50)에 배치된 타이머는 화살표를 각각 갖는 2개의 스위치(60R)(60L)가 아래로 가압되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한다. 특히 2개의 화살표로 표시된 스위치(60R)(60L)의 가압시간이 소정의 시간(0.7초)을 경과하면 제2수직후크(27b)가 소정의 속도로 연속하여 이동한다. 가압시간이 소정의 시간(0.7초)을 초과하면 즉 스위치를 가압한 후 1.4초가 지나면 제2수직후크의 이동속도가 증대한다.
또, 도 1이 아니라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은 벨트루프 공급수단이 재봉기베드(5)의 일측에 배치되고, 재봉기베드(5)의 타측에는 펄스모터(36)가 배치되며, 그 결과 재봉기베드(5)에 주요 재봉부분을 배치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벨트루프 공급수단을 배치하기에 충분한 배치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펄스모터(36)를 재봉기베드(5)의 햐향부분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능선택스위치(60)의 상태를 판정한다(스텝S1). 기능선택스위치(60)의 상태에 따라서 자동작동모드, 수동작동모드 또는 설정모드를 설정한다(스텝S2-S4).
수동작동모드가 설정되면 좌우방향스위치(60R)(60L)의 출력신호, 보빈카운터 검출신호, 리세트신호, 간격설정 스위치출력신호 등을 무효화한다(스텝S5).
자동작동모드가 설정되면 좌우방향스위치(60R)(60L) 중 하나가 스위치 온이 되었나의 여부를 점검한다(스텝S6). 스위치 중 하나가 온이되면 미세조절이동처리 루틴(도 11)이 실행된다(스텝S7). 그리고 보빈카운터 검출신호가 입력되었나의 여부를 점검한다(스텝S8). 보빈카운터 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보빈교체스위치(54)의 작동에 기인하여 보빈교체신호가 입력되었나의 여부를 점검한다(스텝S9). 보빈카운터 검출신호 또는 보빈교체 스위치(54)가 입력되면 보빈교체과정이 실행된다(스텝S10). 보빈교체과정 중에 전술한 바와같이 펄스모터(36)가 제어되어 제2수직후크(27b)가 이동하면서 제1수직후크(27a)로부터 100mm 만큼 더욱 멀어진다.
다음에, 리세트신호를 입력하였나의 여부를 점검하고(스텝S11), 리세트신호가 입력되면 리세트과정을 실행한다(S12). 리세트과정에서 전술한바와같이 2개의 수직후크(27a)(27b)를 바늘(7)(7)들 사이의 간격과 같게하기위해 미리 저장된 바늘간격데이타를 독출하고 2개의 수직후크(27a)(27b)가 현재의 바늘간격(길이)과 같은 간격이 되도록 제2수직후크(27b)를 이동시키기위해 펄스모터(36)가 제어된다.
상기 미세조절 이동과정 이외에도 우방향스위치(60R), 좌방향스위치(60L)가 턴온이되면 제어부(50)의 내장 타이머가 설정되고(스텝S19), 이것에 의해 우방향스위치(60R) 또는 좌방향스위치(60L)의 온 시간이 0.7초를 초과하였나의 여부를 점검한다(스텝S20). 온 시간이 0.7초를 초과하면 펄스모터(36)를 제어하여 제2수직후크(27b)가 좌우방향으로 V속도로 연속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우방향스위치(60R) 또는 좌방향스위치(60L)의 온 시간이 0.7초를 초과하였나의 여부, 즉 스위치동작의 시작직후부터 측정하여 온 시간이 1.4초를 초과하였나의 여부를 점검하고(스텝S22), 온 시간이 1.4초를 초과하면 펄스모터(36)를 제어하여 상기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속도V 보다 빠른 속도Vh로 연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우방향 스위치(60R) 또는 좌방향 스위치(60L)의 온 시간이 0.7초에 미치지 못하여 현재의 스위치가 오프로되면 펄스모터(36)를 제어하여 제2수직후크(27b)를 좌우방향으로 0.1mm만큼 이동시킨다(스텝S24).
그리고, 설정모드가 설정되면 간격설정 스위치(59)가 턴 온되었나의 여부를 점검하고(스텝S13), 턴 온이된 경우 10키(63)로 입력값을 저장하는 공정을 실행한다(스텝S14). 그리고 밑실권회량 설정수단이 턴 온되었나의 여부를 점검하고(스텝 S15), 턴 온이 되었으면 10키(63)의 입력값을 보빈카운터(56)에 설정한다(스텝S16).
상기 자동작동모드에서 우방향스위치(60) 또는 좌방향스위치(60L)가 작동하면 제어부(50)는 모터구동회로(65)를 작동시켜 펄스모터(36)를 제어함으로써 우방향스위치(60R), 또는 좌방향스위치(60L)가 한 번씩 작동할때마다 우방향 또는 좌방향으로 제2수직후크(27b)를 예를들어 0.1mm 만큼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2개의 후크 사이의 간격이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 있어서 미세조절의 단위간격을 0.1mm로 설정하고 있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펄스모터(36)의 해상도, 바늘의 위치조절 해상도에 따라 그 간격이 조절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루프 재봉기에 있어서 원하는 벨트루프 재봉간격을 설정하기 위해 2개의 바늘이 목표 바늘간격을 갖도록 바늘봉 구동수단(21)에 의해 바늘봉이 지지되는 바늘정지기를 선정하고 대응 바늘봉(8)을 바늘봉구동수단(21)에 장착한다.
제1수직후크(27a)와 제2수직후크(27b) 사이의 간격을 2개의 바늘(70) 사이의 간격과 같게 설정하기 위해 서로 다르면서 사용빈도가 높은 2종류 이상의 바늘정지기의 바늘간격을 미리 제어부(50)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되는 바늘정지기의 개수가 선택되어 제어부(50)의 메모리로부터 호출되면 목표바늘간격은 매번 입력할 필요없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10키를 이용하여 작동패널(55)의 기능 선정스위치(60)를 동작시켜 현재사용할 바늘정지기의 개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설정된다. 그 결과 현재 바늘간격에 대응하는 후크간격에 대한 데이터가 제어부(50)의 메모리로부터 독출되어 제어부(50)에 입력된다. 그 데이터를 받으면 제어부(50)는 구동펄스를 펄스모터(36)에 보내어 펄스모터(36)를 구동시키고, 그 결과 제1수직후크(27a)와 제2수직후크(27b) 사이의 간격을 2개의 바늘(7) 사이의 간격과 같게 할 수 있다. 한편, 조작패널(55)의 기능선택 스위치(60)를 작동하여 현재사용하는 바늘정지기의 개수를 나타낼 수 없을 때 수동으로 후크간격을 조절하는 모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2개의 우방향 스위치(60R) 및 좌방향 스위치(60L)를 작동시켜 구동펄스를 펄스모터(36)로 보냄으로써 펄스모터(36)를 구동시키고, 그 결과 제1수직후크(27a)와 제2수직후크(27b) 사이의 간격을 2개의 바늘(7) 사이의 간격과 같게한다.
또, 펄스모터(36)의 구동동작과 특히 관련하여 설명하면, 펄스모터(36)가 일단 구동되면 제2수직후크(27b)는 상승하여 초기위치로 이동하며, 이 초기위치는 초기위치센서(51)의 광센서(52)가 액튜에이터(53)를 검출한 위치가된다. 이후 펄스모터(36)는 더욱 구동되어 제2수직후크(27b)가 초기위치로부터 설정위치로 상승할 수 있게된다. 제2수직후크(27b)가 초기위치를 통해 설정위치로 이동하는 이유는 펄스모터(36)를 구동하는 펄스의 개수에 따라 정확하게 제2수직후크(27b)를 위치시키기 때문이다. 다음에, 2개의 우방향스위치(60R) 및 좌방향스위치(60L)가 작동하여 후크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하고, 미세조절이 완료되면 기능설정 스위치(60)가 작동하여 후크간격의 조절을 완료하기 때문이다.
제1수직후크(27a) 및 제2수직후크(27b) 사이의 간격이 바늘봉(8)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바늘(7) 사이의 간격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정되면, 요부 재봉부분이 재봉기베드(5)에 설치된 XY테이블에 배치된다. 이것에 반응하여 벨트루프를 재봉하기위한 준비완료상태가 설정되며, 그 결과 벨트루프는 포크기구(도시안됨)에 의해 주요 재봉부분으로 이동한다. 이후 재봉시작 스위치가 작동하면 소정의 재봉작업이 실행되어 벨트루프를 주요재봉부분에 재봉한다.
상기 재봉동작이 실행되는 동안 재봉종류가 상이하여 2개의 수직후크(27a)(27b)에서의 밑실의 종류를 교체할 때 보빈교체 스위치(54)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보빈교체 스위치(54)로부터 제어부(50)로 보빈교체신호가 출력되며, 보빈교체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50)는 구동신호를 펄스모터(36)에 가하고, 펄스모터(36)의 작동으로 제2수직후크(27b)가 제1수직후크(27a)로부터 더욱 분리된다. 이것에 반응하여 펄스모터(36)의 출력샤프트(36a) 및 이 출력샤프트(36a)에 끼워진 웜(37)을 함께 회전하고, 그 결과 웜(37)과 맞물려있는 웜기어(38)가 회전한다. 또, 웜기어(38)의 회전으로 웜기어(38)를 지지하는 회전샤프트(39)에 끼워져 있는 피니언(40)이 회전하고 연속하여 피니언(40)과 맞물린 랙(41)이 이동하며, 그 결과 랙(41)을 지지하는 가동베이스(34)와 함께 가동케이싱(31)이 이동하여 재봉기베드(5)의 단부로부터 멀리 분리이동된다. 그 결과 가동케이싱(31) 내에 배치된 제2수직후크(27b)가 제1수직후크(27a)로부터 더욱 분리된다. 한편, 최대분리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도시안됨)가 가동케이싱(31)을 검출한 시점에서 이 분리이동은 정지된다. 즉, 제1수직후크(27a) 및 제2수직후크(27b)에서의 보빈(도시안됨) 중 어느하나가 교체될 때 제1수직후크(27a) 및 제2수직후크(27b)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므로 보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보빈교체동작이 완료되면 작동패널(55) 상의 리세트 스위치(58)가 하향 가압되어 리세트 스위치(58)로부터 제어부(50)로 리세트 신호가 출력되고, 이 출력신호에 반응하여 제어부(50)는 펄스모터(36)에 구동펄스를 가하고, 펄스모터(36)의 구동에 의해 제2수직후크(27b)가 제1수직후크(27a)에 접근하도록 이동한다. 그 결과 펄스모터(36)의 출력샤프트(36a)는 제2수직후크(27b)가 제1수직후크(27a)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웜(37)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웜(37)과 맞물린 웜기어(38)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대방향으로 웜기어(38)가 회전함에따라 웜기어(38)를 지지하는 회전샤프트(39)에 끼워진 피니언(4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따라 피니언(40)과 맞물린 랙(41)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어서 랙(41)을 지지하는 가동베이스(34)와 함께 가동케이싱(31)이 이동하여 재봉기베드(5)의 단부에 접근한다. 그 결과, 가동케이싱(31)에 배치된 제2수직후크(27b)가 제1수직후크(27a)에 접근한다. 한편, 제2수직후크(27b)를 제1수직후크(27a)에 접근시키기위해 펄스모터(36)에 보내는 구동펄스의 개수는 제2수직후크(27b)가 제1수직후크(27a)로부터 분리될 때 펄스모터(36)에 보냈던 구동펄스의 개수와 같게 설정된다.
또, 재봉동작 중에 설정되는 보빈카운터(56)의 카운트가 0 이될 때 보빈카운터(56)는 제어부(40)에 보빈교체신호를 출력하며, 그에따라 제어부(50)는 구동펄스를 펄스모터(36)에 가하여 펄스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제2수직후크(27b)를 제1수직후크(27a)로부터 멀어지게할 수 있다. 즉, 이경우에도 또한 보빈케이스가 간단하게 교체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공지의 밑실잔여량 검출수단을 배치할 수도 있다. 즉, 밑실잔여량 검출수단이 밑실의 사용종료를 검출하여 더 이상의 밑실이 남아있지 않음을 확인하면 2개의 후크(27a)(27b)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루프 재봉기에 따르면 2개의 수직후크(27a)(27b) 사이의 간격을 펄스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펄스모터(36)를 구동시켜 설정할 수 있으며, 2개의 수직후크(27a)(27b) 사이의 간격은 간단하고도 정밀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 웜(37)이 가동가능한 제2수직후크(27b)를 이동시키기위한 펄스모터(36)의 출력 샤프트(36a)에 끼워지고, 또한 제2수직후크(27b)를 포함하는 가동케이싱(31)이 웜(37)과 맞물린 웜기어(38)를 통해 이동하므로 제2수직후크(27b)에 하중이 가해져도 펄스모터(36)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의 전달이 웜기구에서 차단되며, 이 웜기구는 웜(37), 웜기어(38)로 구성된다. 즉, 제2수직후크(27b)에 하중이 가해져도 제2수직후크(27b)가 이동할 수 없는 가능성이 없다. 이 때문에 2개의 수직후크(27a)(27b)가 항상 안정된 형태로 미리 설정된 간격을 변화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 제2수직후크(27b)를 후크간격 조절 이후 후크지지 베이스(32)에 고정할 수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가동가능한 제2수직후크(27b)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위한 초기위치센서(51)가 배치되고, 제2수직후크(27b)의 초기위치가 초기위치센서(51)를 사용하여 검출되므로 제어부(50)는 초기위치로부터 얻어진 펄스모터(36)의 펄스개수에 따라 제2수직후크의 설정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수직후크(27b)는 고정밀도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또, 보빈교체 스위치(54)는 2개의 수직후크(27a)(27b) 중 최소한 하나에 대해 밑실을 채우도록 제어부(50)에 신호를 출력하므로, 예를들어 밑실이 모두 사용되어 더 이상 밑실이 남아있지 않을 때 또는 밑실의 종류를 교체해야할 때 2개의 수직후크(27a)(27b)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으며, 보빈교체 스위치(54)가 작동하면 가동후크인 제2수직후크(27b)가 제어부(50)에 의해 이동할 수 있어 제1수직후크(27a)로부터 더욱 멀리 분리된다. 이 때문에 보빈교체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보빈교체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같이 벨트루프 공급수단은 재봉기베드(5)의 일측에 배치되고 펄스모터(36)가 재봉기베드(5)의 타측 또는 하향으로 배치되므로 주요재봉부를 설정하기위한 충분한 공간뿐만 아니라 벨트루프공급수단을 설치하기위한 충분한 공간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직후크가 사용되지만 수평후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2개의 후크 모두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2바늘 재봉기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벨트루프 재봉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종류의 2바늘 재봉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2바늘 재봉기는 2개의 바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2개의 후크와,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후크간격 조절수단과, 후크간격 조절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의 구동을 후크간격 조절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과, 후크간격을 제어하기위해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제어수단이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동안 구동수단은 후크간격 조절수단을 구동시켜 2개의 후크 사이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조절한다. 즉, 수동으로 후크를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2개의 후크 중 하나가 고정되고 다른 후크가 고정된 후크에 대해 진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후크간격 조절수단, 구동수단 및 전달수단을 2중으로 배치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2바늘재봉기를 콤팩트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제어수단은 2개의 후크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을 미소량 이동시키는 미세량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2개의 바늘 사이의 간격, 후크의 첨단부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즉,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2개의 후크를 각각 수직후크로 하고, 2개의 수직후크의 각 보빈을 상호 대향하여 배치하고 있고, 또한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확대하는 폭확대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소정량만큼 자동으로 확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후크의 주변기 청소와 같은 2바늘 재봉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할 뿐만아니라 보빈의 교체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폭확대수단은 보빈을 교체할 때 사용하는 보빈교체스위치를 포함하고, 폭확대수단은 보빈의 교체시 간단히 보빈교체 스위치를 작동함으로써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소정량 확대할 수 있으므로 보빈의 교체가 용이하다.
또, 폭확대수단이 2개의 후크에 대한 보빈교체시기를 검출하는 보빈교체시기 검출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폭확대수단이 보빈교체시기 검출수단의 출력을 이용하여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소정량 확대할 수 있으므로 보빈교체시기에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확대할 수 있고, 이에따라 보빈교체작업 중에 작업자의 부담을 겸감시킬 수 있다.
또, 간격이 확대된 상태로 위치하는 가동후크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제어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현재의 2바늘 재봉기의 유지보수 중에 또는 보빈교체작업 중에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이 보다 벌어진다 하여도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그 초기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으며, 이에따라 후크간격을 또다시 조절할 필요가 없다.
후크간격조절수단은 수동으로도 구동될 수 있고, 후크간격 조절수단의 구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호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수단을 사용할 수 없더라도 2개의 후크 간의 간격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구동수단의 구동을 후크간격 조절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은 웜기어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후크간격이 조절된 후 가동후크의 이동을 방지하게 되며, 그 결과 설정된 후크간격이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 가동후크의 초기위치를 검출하는 초기위치센서가 배치되므로 가동후크를 정밀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 구동수단은 펄스모터로 구성되므로 구동수단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비용도 낮출 수 있다.
또, 본발명의 2바늘 재봉기는 임의 폭을 갖는 벨트루프를 재봉위치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본 발명의 2바늘 재봉기는 피작업물에 벨트루프를 재봉하므로 수동으로 후크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후크 주변에서 수동조절을 위한 공간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벨트루프 공급수단의 설치에 대한 제약성을 줄일 수 있다.
또, 공급수단은 재봉기베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수단은 재봉기베드의 타측 하향부분에 배치되므로 주요재봉부분을 설정하기위한 충분한 작업공간 및 공급수단을 위한 충분한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루프 재봉기의 정면도.
도 2 -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요부 저면도.
도 3 -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요부 측면도.
도 4 - 제2후크수단으로 토크를 전달하는 통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 - 본발명에 사용되는 제어시스템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요부 블록도.
도 6 -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작동패널의 정면도.
도 7 - 종래 벨트루프 재봉기의 요부 사시도.
도 8 - 종래 재봉기에 사용된 가동후크수단에 토크를 전달하는 통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7에 나타낸 종래 벨트루프 재봉기의 사시도.
도 9 -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가동안내수단의 단부에 대한 길이방향 단면도.
도 1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흐름도.
도 11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절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9)

  1. 바늘봉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고 간격이 변경가능한 2개의 바늘침과,
    상기 2개의 바늘침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2개의 수직후크와,
    상기 2개의 수직후크의 간격을 변경하는 후크간격 조절수단과,
    상기 후크 간격조절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상기 후크간격조절수단에 전달하는 전달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후크간격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2바늘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보빈교환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용하고, 상기 2개의 수직후크 간격을 소정간격 확대하는 폭확대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바늘 재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후크 중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후크는 상기 고정된 후크에 대해 진퇴가능한 가동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바늘 재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2개의 후크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을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미세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바늘 재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확대수단은 상기 2개의 후크 내의 상기 보빈을 교체하는 시기를 검출하는 보빈교체시기 검출수단을 포함하며, 보빈교체시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폭확대수단이 상기 2개의 후크 사이의 간격을 소정량 확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바늘 재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확대수단은 간격이 확대된 위치에 유지되는 가동후크를 그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바늘 재봉기.
  6. 제1항에 있어서,
    후크간격 조절수단은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상기 후크간격 조절수단의 구동 및 수동에 의한 상기 후크간격조절수단의 구동을 상호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바늘 재봉기.
  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후크의 초기위치를 검출하는 초기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바늘 재봉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바늘 재봉기는 피작업물의 재봉위치로 임의의 폭을 갖는 벨트루프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2바늘 재봉기는 상기 피작업물에 상기 벨트루프를 재봉하는 재봉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바늘 재봉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재봉기베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재봉기베드의 타측 하향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바늘 재봉기.
KR1019980050582A 1997-11-25 1998-11-25 2바늘 재봉기 KR100536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75897 1997-11-25
JP97-322758 1997-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549A KR19990045549A (ko) 1999-06-25
KR100536975B1 true KR100536975B1 (ko) 2006-06-28

Family

ID=1814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582A KR100536975B1 (ko) 1997-11-25 1998-11-25 2바늘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05304B1 (ko)
KR (1) KR100536975B1 (ko)
CN (1) CN110775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994A (ko) * 2020-03-04 2021-09-15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변경 가능한 바늘 간격을 가능하게 하는 이중 바늘 재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873A (ja) * 1999-03-29 2000-12-12 Juki Corp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JP2004049610A (ja) * 2002-07-22 2004-02-19 Brother Ind Ltd 縫製装置及び縫製装置の報知制御プログラム
JP2006095271A (ja) * 2004-09-03 2006-04-13 Brother Ind Ltd 2本針ミシンの駆動力伝達装置
JP4782526B2 (ja) * 2005-09-30 2011-09-28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5507040B2 (ja) * 2007-07-26 2014-05-28 Juki株式会社 2本針ミシン
JP2010115359A (ja) * 2008-11-13 2010-05-27 Brother Ind Ltd ミシンの釜駆動機構
CN102493131B (zh) * 2011-12-03 2012-12-05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钉襻机的送料装置
CN102605560B (zh) * 2012-04-05 2013-03-06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能调节旋梭位置的双针钉襻机
CN102619027B (zh) * 2012-04-05 2013-01-30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具有送料结构的双针钉襻机
CN102605571B (zh) * 2012-04-05 2013-01-30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剪线结构的双针钉襻机
CN102605572B (zh) * 2012-04-05 2013-04-17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具有传动结构的双针钉襻机
CN105986369B (zh) * 2015-02-16 2020-05-01 Juki株式会社 带环材料的缝合方法以及带环缝制缝纫机
EP3812496A4 (en) * 2018-06-22 2022-01-12 Technica Co., Ltd. DOUBLE NEEDLE LOCKSTITCH SEWING MACHINE
CN110761003B (zh) * 2018-07-27 2021-11-23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针梭间隙自动调节机构及缝纫机
CN111118758B (zh) * 2018-10-31 2021-08-27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针梭配合自动调节机构及缝纫机
CN111118759B (zh) * 2018-10-31 2021-07-23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针梭配合自动调节机构及缝纫机
CN109468764A (zh) * 2018-12-29 2019-03-15 吴江市宝鑫机械有限公司 一种双针式缝纫机
CN109652930B (zh) * 2019-01-21 2021-07-13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双针机针位调节机构及缝纫机
CN113373600B (zh) * 2020-03-09 2022-07-22 启翔股份有限公司 可变针距的双针缝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481U (ja) * 1993-05-12 1994-11-22 ジューキ株式会社 2本針ミシン
JPH0685685U (ja) * 1993-05-21 1994-12-13 ジューキ株式会社 二本針ミシン
JPH09140977A (ja) * 1995-11-20 1997-06-03 Brother Ind Ltd ミシン
JPH09140970A (ja) * 1995-11-20 1997-06-03 Brother Ind Ltd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768A (en) * 1898-10-04 brautigam
US785168A (en) * 1904-05-07 1905-03-21 Singer Mfg Co Revolving-hook sewing-machine.
BE785562A (fr) * 1972-06-29 1972-12-29 Herstal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effectuer le doubling sur machine a tricoterles bords-cotes a double fonture.
US4043283A (en) * 1975-07-17 1977-08-23 Amf Incorporated Sewing apparatus employing twin needles
US4256048A (en) * 1979-10-09 1981-03-17 Amf Incorporated Knife mechanism for twin needle sewing apparatus
US4407210A (en) * 1982-04-09 1983-10-04 Amf Incorporated Twin needle with adjustable throat plate and feed plate
IT8521675V0 (it) * 1985-04-30 1985-04-30 Rockwell Rimoldi Spa Macchina per cucire atta ad eseguire simultaneamente cuciture sui bordi opposti di un semilavorato.
NL8601914A (nl) * 1985-08-03 1987-03-02 Opti Patent Forschung Fab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inzetten van een ritssluitingbandsegment in de randgebieden van twee stofbanen.
JPH0581481A (ja) 1991-09-24 1993-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パターン認識装置
US5396825A (en) 1993-06-16 1995-03-14 Selmer Corporation Air flow valve for musical instru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481U (ja) * 1993-05-12 1994-11-22 ジューキ株式会社 2本針ミシン
JPH0685685U (ja) * 1993-05-21 1994-12-13 ジューキ株式会社 二本針ミシン
JPH09140977A (ja) * 1995-11-20 1997-06-03 Brother Ind Ltd ミシン
JPH09140970A (ja) * 1995-11-20 1997-06-03 Brother Ind Ltd ミシ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994A (ko) * 2020-03-04 2021-09-15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변경 가능한 바늘 간격을 가능하게 하는 이중 바늘 재봉 방법
KR102403905B1 (ko) 2020-03-04 2022-05-30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변경 가능한 바늘 간격을 가능하게 하는 이중 바늘 재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549A (ko) 1999-06-25
CN1107755C (zh) 2003-05-07
CN1222599A (zh) 1999-07-14
US6305304B1 (en)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975B1 (ko) 2바늘 재봉기
US6164224A (en) Buttonhole darning sewing machine
JP5318547B2 (ja) ミシン
KR101266354B1 (ko) 재봉기
JPH05192464A (ja) ミシンの布押え駆動装置
CN101245533B (zh) 嵌条缝制缝纫机
JP2000300874A (ja) ボタン孔ミシン
JP4198236B2 (ja) 2本針ミシンおよび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JP5468236B2 (ja) 玉縁縫いミシン
KR101267428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JPH09140974A (ja) ミシン
KR20020079597A (ko) 보턴 사뜨기 재봉틀
KR20030051252A (ko)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KR101195727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JP2005137694A (ja) ミシン
JPH11221390A (ja) 2本針ミシン
JP2841299B2 (ja) 零送り設定スタートミシン
JP2850519B2 (ja) ミシンの送り量修正装置
JPH03191986A (ja) ミシン
JP3292439B2 (ja) ミシン
JP4522540B2 (ja) 穴かがりミシンの制御装置
JP3192566U (ja) ベルト−ループ・ミシン
US20210230782A1 (en) Sewing machine
JPH10118363A (ja) ジグザグミシンの縫い模様及びジグザグミシンの縫い模様の形成方法
JP2001096084A (ja) 穴かがり縫い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