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495B1 -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 첨가제, 동물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 첨가제, 동물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495B1
KR100536495B1 KR10-2003-0077911A KR20030077911A KR100536495B1 KR 100536495 B1 KR100536495 B1 KR 100536495B1 KR 20030077911 A KR20030077911 A KR 20030077911A KR 100536495 B1 KR100536495 B1 KR 100536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lergic
acid
disease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124A (ko
Inventor
김봉철
진미림
박은진
이화준
정형진
전향
신성섭
오진환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Priority to KR10-2003-007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4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3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래 추출물은 OVA 감작 마우스 모델과 인간 세포주 및 혈청에서 IgE를 감소시키고 Th2 사이토카인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며,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방출 억제 및 염증 활성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나타내므로, 상기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식품 첨가제,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또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 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제, 동물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Food additives, feed additives,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having anti-allergy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본 발명은 다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식품첨가제,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또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러지성 질환에는 과민증(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및 천식(asthma),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곤충알러지, 식품알러지, 약품알러지 및 두드러기(urticaria)가 있다. 이상과 같은 알러지성 질환은 세계 여러 나라의 인구 20 % 정도까지 발병하고 있으며 그 유병율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Wuthrich B., Int. Arch. Allergy Appl. Immunol., 90, pp3-10, 1989). 동물에서도 역시 인간과 유사하게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및 식품 알러지에 의한 설사 구토 등이 심각한 증상으로 보고되고 있고, 그 발생 빈도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최근 동물병원에 내원하는 환축의 20-30 %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Lund et al., J. Am. Vet. Med. Assoc., 214(9), pp1336-1341, 1999).
알러지성 질환은 IgE에 의해 매개되며, 이것은 타입 2 T 헬퍼(Th2) 세포, 비만세포 및 산성백혈구(eosinophil)가 이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증명해준다(Maggi E., Immunoyrchnology, 3, pp233-244, 1998; Pawankar R.,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1, pp3-6, 2001; Vercelli D., Clin. Allergy Immunol., 16 , pp179-196, 2002). IgE는 윤충감염(helminth infection) 또는 다른 자극 없이도, 사람 또는 다른 몇몇의 실험동물 종들의 혈청 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많은 면역글로불린 이형(isotype) 중 하나이다(Coffman RL. et al., J. Immunol. 136 , pp949-64, 1986). "Th2 가설"에 따르면 IgE은 Th2 세포, IL-4, IL-5 및 IL-13 같은 사이토카인에 의해 매개되는 체액성 면역이 우세한 면역학적조건에서 생성되기 쉽다(Maggi E., Immunotechnology, 3, pp233-244, 1998). 알러지 질환들의 발병과정에 대한 현재의 개념은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고, 그럼으로써 Stat6-매개신호경로를 통한 IL-4의 생성 및 T 세포에서 c-Maf, GATA3, NIP45 및 NFATc 같은 특이전사인자들의 활성화 및 결과적으로 알러지원(allergen)-특이적 T 헬퍼 2 CD4+ 세포의 발달을 야기한다. 한번 생성된 알러지원에 의해 활성화된 Th2 세포들은 IL-4, IL-5 및 IL-13을 분비한다. IL-4 및 IL-5는 B세포에 의한 IgE 및 IgGI의 생성을 유도하고, 골수에서의 산성백혈구의 발달을 자극하여, 염증이 생긴 조직으로 모이도록 유도한다(Erb KJ., Immunol. Today, 20 , pp317-322, 1999; Rothenberg ME., N. Engl. Med., 338 , pp1592-1600, 1998). IL-13은 IL-4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사이토카인으로, IL-4 수용체 알파사슬에 결합하여 IL-4, IgE 또는 산성백혈구와 무관하게 알러지 표현형을 유도한다(Wills-Karp M., et al., Science, 282, pp2258-61, 1998; Grunig G., et al., Science, 282, pp2261-2263, 1998).
또한, IgE는 두 개의 이소폼의 IgE 수용체와 순환하며 결합한다. 친화성 IgE 수용체(FcεRI)는 비만세포 및 염기성백혈구의 표면에 존재하고, 저친화성 IgE 수용체(FcεRⅡ 또는 CD23)는 림프구, 산성 백혈구, 혈소판 및 대식세포의 표면에 존재한다. 알러지성 질환의 발병기전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비만세포상의 IgE 수용체의 교차결합, 알러지원을 만난 후 결과적인 비만세포의 탈과립인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비만세포에 의해 방출된 분자는 히스타민, 헤파린, 프로테아제 및 자유 라디칼을 포함하며, 혈관확장, 장관내 및/또는 기관지 평활근 수축, 점액분비 및 국소 단백질 분비와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매개한다. 비만세포의 초기매개 반응에 따라 산성백혈구, 염기성백혈구 및 림프구의 유입이 6-24시간 후에 발생한다. 이 후기단계의 반응은 끊임없이 항원에 노출된 조직의 만성적 염증을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항히스타민, 스테로이드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용 의약품 및 류코트리엔 길항제와 같은 조성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조성물들은 주로 증후성의 효과에 유용한데, 과도한 체액성 면역을 완화하거나 IgE 생산을 억제하는 것과 같은 알러지성 질환의 근본적인 치유에 요구되는 예방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혈청 IgE 수치를 감소시켜 알러지성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가설은 키메릭 항-IgE 항체(CGP-51901)와 재조합 인간화 모노클로날 항체의 임상적 시험에 의해 증명되었다(rhuMAB-F25)(Fahy JV. et al., Am. J. Respir. Crit. Care. Med., 155, pp1828-1834,1997). IgE 합성과 분비를 저해하는 디아실 벤지미다졸 동족체와 세균성 폴리사카라이드에 관해 각각 US 특허 6,369,091호와 US 특허출원공개 20020041885호에 기술되어 있다. 몇몇 동양 의약 처방(Yang et al., 2001)과 진득찰(Siegesbeckia glabrescens)와 같은 약초(Kim HM. et al., Phytother Res., 15, pp572-576, 2001)는 IgE-감소 활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많은 약초들이 히스타민 방출 저해제 또는 항 염증용 의약품의 풍부한 원천인 것이 발견되어 왔다.
인류의 문화가 발달하고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서 식품은 양적 증대와 더불어 질적인 개선을 가져왔고, 편리함이 두드러지는 식품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졌다. 그 결과 대량생산과 대량 소비되는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등의 식품들이 식탁에 오르는 일이 많아졌고 매일 새로운 종류의 식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식품첨가제의 사용을 동반하고 있다.
식품 첨가제(또는 식품 첨가물)는 식품의 제조, 가공, 또는 보존을 위해 식품에 첨가, 혼합, 침윤 기타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식품첨가제의 종류에는 천연물과 합성품의 두 종류가 있으며, 보통 그 기능과 용도에 따라 분류한다. 현재 한국에서 식품첨가물로 허가되어 있는 품목은 화학적 합성품 370여종, 천연첨가물 50여종이며, 주로 용도에 따라 서 보존료, 살균제, 산화방지제, 착색료, 발색제, 표백제, 조미료, 감미료, 착향료, 팽창제, 강화제, 개량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및 안정제, 피막제, 껌 기초제, 소포제, 용제, 이형제, 방충제, 품질개량제와 기타 식품제조용 첨가제 등으로 분류되어 쓰이고 있는 것들이다.
한편, 기능성식품은 식품의 1차 기능인 영양기능, 2차 기능인 감각기능 이외에 3차 기능인 생체조절 기능이 잘 나타나도록 개발된 식품을 말한다. 식품이 나타낼 수 있는 생체조절 기능에는 항암, 혈압강하, 콜레스테롤 저하, 혈전 저해, 당뇨 예방, 노화억제 등이 있다. 기능성식품은 생체조절 기능에 의해 만성질환을 예방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개인 및 국가의 의료비를 경감하며, 건강사회 구현으로 풍요로운 복지국가를 형성하는데 직접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따라서, 식품에 이러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특정한 기능을 갖는 소재를 식품 첨가제로 식품에 사용할 수도 있다.
사료란 가축 및 애완동물의 생명을 유지하고 젖·고기·알·털가죽 등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유기(有機) 또는 무기(無機)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로, 좋은 사료는 영양소의 함량이 많고 가축에게 유해한 성분이 없으며 생산량이 많을 뿐 아니라 항상 쉽게 구할 수 있고 언제나 신선하고 소화율이 높은 것이어야 하며 영양가·주성분·유통(流通)·수분함량·배합상태 및 가공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사료첨가제는 사료에 첨가하여 질병의 예방, 결핍물의 보충, 사료효율의 증진 및 성장촉진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식용 첨가제을 말하며, 비타민제, 푸로비타민제, 항생물질, 항균제, 항산화제, 항곰팡이제, 효소제, 생균제, 아미노산제 및 미량 광물질이 있다. 일반적 의미로는 가축 및 애완동물의 생명유지와 축산물 생산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에너지와 단백질 공급을 주로 하는 가축사료에 소량을 첨가 또는 보충하여줌으로서 사료의 효과를 높여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질을 사료첨가제라고 하여,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동물약품과 구분한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또는 미화하기 위하여 바르거나 뿌리는 기타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변화 혹은 기능장애를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화장품 원료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의 요청에 따라 조금씩 변화되어 왔는데, 과거에는 합성 화학물질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최근 들어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품이 많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화장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중에 방부제, 계면활성제, 색소, 자외선 흡수제 및 기타 성분들이 오히려 피부세포를 자극하거나,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거나 하여 결국에는 피부에 염증을 유발시킴으로써 피부 부작용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된 피지성분, 땀성분 및 화장품 성분 중의 지방산, 고급알콜, 단백질 등이 피부상에 존재하는 피부상재균들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에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방부제는 모두 화학 합성을 통해 제조되어 방부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소량의 사용에 의해서도 피부의 자극성과 독성이 크기 때문에 피부 알러지(Andrea Counti et al., Contact Dematitis, 37, pp35-36, 1997), 피부 부종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그 외 향료 등 각각의 구성 성분에 의하여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Maibach H. I., Contact Dermatitis, 6, pp369-404, 1980). 또한, 최근에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피부에 다소 부작용이 있더라도 각종 기능을 가진 성분을 포함한 다양한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다. 화장품 부작용의 증상은 화장품 알러지, 화장품에 의한 자극성 피부염, 기존에 있던 피부염이 악화되는 경우 등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성분들의 효과를 최대한 증진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피부 알러지 및 염증을 막아주는 것은 화장품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다양한 항알러지 및 항염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조성물의 주성분인 다래 (Actinidia arguta)는 다래나무과(Actinidiaceae)에 속하며 시베리아, 중국 북부, 한국이 원산지이다. 이와 유사한 종으로는 30종 이상이 보고되어 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취다래 (A. kolomikta), 개다래 (A. polygama), 섬다래(A. rupa)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키위로 알려진 참다래(A. chinensis or A. deliciosa) 역시 다래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다래는 미후도라는 한약재로 사용되는데, 다래나무 및 동속 근연식물의 과실을 포함하고, 성질이 차고 독성이 없으며 간장질환과 위장질환의 치료 또는 비뇨기결석 치료에 처방되어 왔으나(신동의약보감-전통동양약물데이타베이스,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동방미디어주식회사, 1999), 알러지 질환 및 비알러지성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관해서는 사용된 바가 없다.
한국특허등록 제344147호에서는 다래수액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하고 있고, 한국특허등록 제134024호에서는 참다래를 주재로 한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특허출원 제1996-10396호에서는 목화 다래 추출물 및 그의 간기능 보호제, 항암제로서의 용도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특허출원 제 2001-17524호에서는 다래 및 여러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다래의 항알러지 효과나 염증반응 억제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래 추출물의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Th2 사이토카인과 IgE의 인간 혈청내 수치 강하, 생쥐복강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방출저해율 및 부종에 대한 항염증 효과에 대한 시험관내 실험과 생체내 실험을 실시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다래 추출물이 Th2 사이토카인 및 IgE의 혈청내 수치를 낮춤으로써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방출을 저해하고 염증반응의 억제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다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h2 사이토카인과 IgE의 혈청 내 수치를 낮춰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방출을 저해하고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식품첨가제,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또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래는 다래(Actinidia arguta), 취다래(A. kolomikta), 개다래(A. polygama) 또는 동속근연식물을 포함하며, 다래나무의 과실, 줄기 또는 뿌리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다래 조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탄소수를 갖는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 %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하고,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등의 비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알러지성 질환은 과민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피부염, 알러지성 천식, 알러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곤충알러지, 식품알러지, 약품알러지 또는 두드러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비알러지성 염증질환은 일반적인 염증질환을 포함하며, 각종 피부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췌장염, 신장염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9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으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다래 조추출물은 물 또는 알콜성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래 조추출물은 다래 또는 다래 줄기를 건조시켜 분쇄화 한 후, 다래 건조 중량의 약 5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 %, 에탄올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의 추출 온도에서 약 0.5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1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3회 연속 추출하여 수득한 후, 여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에서 감압농축 한 후, 잔사를 진공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 또는 분사방식에 의한 건조법 등을 통하여 물,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다래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수득된 다래 추출물은 -20 ℃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이용한다. 또한, 다래 추출물의 건조 분말은 증류수에 일정농도로 용해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래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 다래 조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이를 현탁액의 약 1 내지 100 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 배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5회 분액깔때기로 분획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상기에서 수득된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의 항알러지 및 항염증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래 추출물의 OVA 감작 마우스 모델과 인간세포주 및 혈청에서 IgE 및 Th2 사이토카인의 강하효과, 비만세포(mast cell)로부터의 히스타민의 방출 억제 효과 및 염증 활성 억제 효과에 대한 시험관내 실험과 생체내 실험을 실시한 결과, 그 뛰어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에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터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 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식품첨가제용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20 내지 90 %의 고 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형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는 유당 카제인, 덱스트린, 포도당, 설탕, 솔비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를 식품에 보존료, 살균제, 산화 방지제, 향신료, 조미료, 감미료, 착향료, 팽창제, 강화제, 개량제, 유화제, 여러 가지 영양제,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료, 발색제,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소포제, 용제, 이형제, 방부제, 품질 개량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 또는 기타 식품제조용 첨가제 및 식품소재(부원료)의 필수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식품첨가제는 식품에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품은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다.
이들을 각각 나누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껌 제조시,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 0.5 g 또는 1 g, 껌베이스 90 g, 솔비톨 200 g, 연화제 1 g, 자일리톨 3 g, 유화제 12 g을 60 내지 70 ℃로 예비 가열한 믹서에 넣어 혼합한 후, 믹서내부 온도를 55 ℃로 유지시키면서 페퍼민트 향료를 9 g 첨가한 다음 30분 혼합한 다음 추출하여 압연하고, 24-48시간 숙성시킨 후 재단하고 포장하여 껌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과 제빵 제조과정에서 반죽할 때 첨가 사용하며, 소스, 양념장에도 첨가 사용하고, 또한 발효유 또는 요구르트 등에 분말이나 액상을 첨가하여 기능성 또는 기호성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생약 추출분말을 김치, 젓갈, 야채 가공에 직접 투입하여 맛 보존성, 항산화, 변색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육가공에서 햄, 소세지 등에 최종 위생처리제, 미생물 생장억제 목적으로 침지 또는 분무 살포하여 사용하며,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첨가물을 마늘, 파, 생강, 허브(herb), 감초 등을 섞어 향신료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수산가공식품인 어묵, 생선, 조미어포, 젓갈 등에도 침지, 분무 및 첨가 방법으로 사용하며, 김치, 단무지, 깍두기, 야채 절임 등에도 침지, 분무 및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를 제공한다.
상기의 동물사료 첨가제용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20 내지 90 %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용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터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 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보조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살아있는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각종보조제가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 성분, 건조 첨가제를 모두 혼합한 후, 액체 성분과, 가열 후에 액체가 되는 성분, 즉, 지질,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해 임의로 액화시킨 동물성 지방 및 식물성 지방 등과 같은 주성분 이외에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예방제 등과 같은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용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동물에게 단독으로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용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탑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로, 별도의 경구 제형으로, 주사 또는 경피로 또는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쉽게 투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독 일일 투여량 또는 분할 일일 투여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용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동물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추출물의 투여 형태는 이들을 비-독성 제약상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석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콩 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추출물의 투여형은 정제, 캡슐제, 산제, 토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연 젤라틴 캡슐제, 또는 시럽제 또는 액체 현탁액제,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투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투여 형태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다른 알러지 질환 및 비알러지성 염증 질환의 개선 및 예방상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이 동물사료 첨가제로 포함되는 동물사료는 동물의 식이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 곡분일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함유 곡분은 통상적으로 옥수수, 콩 곡분 또는 옥수수/콩 곡분 믹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동물사료 첨가제는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동물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식이는 상업상 중요한 포유류, 예를 들어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 동물 (래트, 마우스, 햄스터 및 게르빌루스쥐), 모피 소유 동물 (예, 밍크 및 여우), 및 동물원 동물 (예, 원숭이 및 꼬리 없는 원숭이), 뿐만 아니라 가축 (예, 고양이 및 개)에게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업상 중요한 가금에는 닭, 터키,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가 포함된다. 송어와 같은 상업적으로 사육되는 어류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한 동물용 사료 배합 방법은,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동물 사료에 건조 중량 기준으로 사료 1 ㎏당 약 5 g 내지 100 g의 양으로 혼입한다.
또한, 사료 혼합물은 완전히 혼합한 후, 성분들의 분쇄 정도에 따라 경점성의 조립 또는 과립 물질이 얻어진다. 이것을 매시로서 공급하거나, 또는 추가 가공 및 포장을 위해 원하는 분리된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때, 저장 중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물 사료에 물을 첨가하고, 이어서 통상의 펠릿화, 팽창화, 또는 압출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잉의 물은 건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염증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의 양이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0.01 내지 3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 %를 갖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염증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클린징, 세안제, 비누, 샴푸, 린스 및 트리트먼트에 첨가하여 알러지성 피부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하게 이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알러지성 피부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염증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위한 화장품, 세안제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샴푸, 린스,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α-토코페롤, d-α-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α-토코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트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 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α-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α-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카본블랙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β-알라닌칼슘, N-라우로일-β-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ε-라우로일-L-리진, Nε-팔미토일리진, Nα-파리토일올니틴, Nα-라우로일아르기닌, Nα-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α-아미노카프릴산, α-아미노라우린산 등의 α-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친산페닐, 살리친산옥틸, 살리친산벤질, 살리친산부틸페닐, 살리친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3 중량 %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화장료의 형태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비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체예로서는 세안크림, 세안폼, 클렌징크림, 클렌징밀크, 클렌징로션,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모이스처크림, 유액, 화장수, 팩, 에프터세이빙크림, 썬텐방지크림, 썬텐용 오일, 비누, 보디샴푸,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양모료, 육모료, 헤어크림, 헤어리퀴드, 세트로션, 헤어스프레이, 헤어브리지, 컬러린스, 컬러스프레이, 퍼머넌트웨이브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핸드크림, 립스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필수성분인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 이외에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필요에 따라 상기에 예시되는 것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 등)을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경피 적용 제제 개발 메뉴얼」 마츠모토미치오 감수 제 1판 (세이시 서원 1985년 발행) 등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조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피부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염증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위한 화장료 첨가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화장료 첨가물은 기존의 화장품 및 세안제재 등의 생산공정 과정이나 완제품 상에서 첨가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알러지성 피부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염증질환의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크림제, 로션제, 마사지 팩, 전신세정제, 비누제, 샴푸제, 기타 관리용 제제에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래 조추출물의 제조
(1-1) 물 용매를 이용한 다래 열수추출법
다래 조추출물(이하, 다래 열수추출물이라 함)을 수득하기 위하여, 먼저, 경동시장의 한약재상에서 건조된 다래(미후도, Actinidia arguta: 이하, 다래라고 함), 취다래(A. kolomikta), 개다래(A. polygama) 및 다래의 줄기(미후등)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분쇄한 상태의 다래와 다래 줄기 100 g을 1 리터의 증류수에 가하여 잘 교반한 다음 90 내지 95 ℃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액을 분리하였고 55∼65 ℃로 생약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 생약조성물 즉, 다래, 취다래 및 개다래의 열수추출물을 분말 엑스로 각각 15.6g, 16.2 g 및 17.0 g과 다래 줄기 열수추출물을 분말 엑스로 10.4 g을 얻었다.
(1-2) 물-알콜 혼합용매를 이용한 다래 열수추출법
다래 조추출물(이하, 다래 에탄올 열수추출물이라 함)을 수득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같이 분쇄된 다래(미후도, Actinidia arguta) 100 g에 30 %, 50 %, 70 % 에탄올 수용액 1 ℓ를 가해 잘 교반한 다음, 열을 가해 70 내지 90 ℃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액을 분리하였고 55∼65 ℃에서 생약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 생약조성물 즉, 다래 30 %, 50 % 및 70 % 에탄올 열수추출물을 분말 엑스 로 각각 11 g-13 g 얻었다.
실시예 2. 다래의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다래(미후도, Actinidia arguta) 열수 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하였다.
(2-1)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 분리
상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또는 조추출물) 5 g을 50 ㎖의 증류수에 녹인 후에 클로로포름 50 ㎖와 함께 분별 깔때기(separatory funnel)에 넣어서 강하게 섞은 후에 클로로포름 불용성층(수층)과 클로로포름 가용성층을 분리하였다. 다시 클로로포름 불용성층(수층)에 클로로포름 50 ㎖을 가한 후, 혼합하고 분획하여 다래 클로로포름 불용성 분획 및 다래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을 수집하였다.
(2-2)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분리
상기 실시예 (2-1)의 다래 클로로포름 불용성 분획(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 50 ㎖를 가하여 섞은 후에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고, 추가로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 분획(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 50 ㎖를 넣어서 혼합 후,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수층)을 수집하였다.
상기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및 남은 수층을 감압 농축한 후에 동결건조하여 다래 클로로포름 분획 0.34 g, 다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05 g, 다래 물 분획 4.61 g을 얻어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다래 추출물 분획
상기 실시예 (2-2)의 다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에 대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aisogel IR-60-W-40:63 mm)를 수행하였는데, 전개용매로는 클로로포름:메탄올:물 혼합용매 ([1]90:11:1, [2]60:10:1, [3]60:20:2) 및 메탄올[4]을 사용하였고, 시간당 300 ㎖로 수행하여 4 개 추가 분획물을 얻었다.
2,784 mg의 다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얻어진 각 분획은 [1] 2,381 mg, [2] 135 mg, [3] 148 mg, [4] 98 mg 이였다.
상기 다래 열수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 및 각 분획물을 사용하여 TLC(TLC plate: Merck사, 전개용매 : 클로로포름:메탄올:물 = 9:5:1)를 실시하였다(도 1a 참조). 도 1a에서 레인 1은 다래 열수 추출물이고, 레인 2는 다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고, 레인 3은 다래 추출물 실리카겔 분획[4], 레인 4는 다래 추출물 실리카겔 분획[3], 레인 5 는 다래 추출물 실리카겔 분획[2], 레인 6은 다래 추출물 실리카겔 분획[1] 이다.
그리고, 다래 추출물 실리카겔 분획 [1] 및 [2]에 대하여 2D-TLC를 실시하였으며. 1차 전개용매로는 클로로포름:메탄올:물 = 9:5:1, 2차 전개용매로는 클로로포름:아세톤:물 = 3:8:0.5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도 1b 및 1c 참조).
실험예 1. 다래추출물에 의한 U266B1 세포주의 IgE 생산 억제
(1-1) 다래 추출물의 효능 비교
IgE를 생산하는 인간 B cell 세포주인 U266B1 세포(lymphoblastoma 세포주)를 사용하여 다래 추출물에 의한 IgE 생산의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U266B1 세포(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를 RPMI-1640 배지(15 % FBS, 2 mM L-glutamine, 10 mM HEPES, 1 mM sodium pyriuvate, 50 ㎍ streptomycin, 100 U/㎖ penicillin 첨가)가 담긴 24-웰 배양 플레이트에서 37 ℃, 5 % CO2의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준비된 세포를 다시 2 ×105 세포/웰의 농도로 조정을 한 후, 먼저 LPS(2 ㎍/㎖)로 처리하고 실시예 (1-1)과 (1-2)에서 준비된 다래, 개다래, 취다래, 다래 줄기의 열수추출물 및 다래의 30 %, 50 %, 70 % 에탄올 열수추출물을 각각 100 ㎍/㎖의 농도로 처리하였고, 대조군에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2 μM) 또는 배지(RPMI-1640)를 처리하였다. 위와 동일한 배양 조건에서 7일간 배양한 후에, 배지의 IgE 농도를 ELISA 방법(PharMingen; San Diego, CA)으로 측정하였다.
표 1에서 다래, 개다래, 취다래의 열수 추출물 모두가 대조약물인 덱사메타손만큼 IgE 생산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한 다래 열수 추출물의 경우 50 % 에탄올 수용액에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다래 줄기의 열수 추출물 또한 다래 추출물과 유사한 정도의 효능을 보였다.
LPS 자극 처리 IgE(IU/㎖)
- 배지 187.8 ±8.4
+ 배지 392.9 ±3.4
+ 다래 열수추출물 228.8 ±7.1
+ 개다래 열수추출물 233.2 ±5.8
+ 취다래 열수추출물 211.7 ±7.9
+ 다래 줄기 열수추출물 241.5 ±5.8
+ 다래 30% 에탄올 열수추출물 306.2 ±16.5
+ 다래 50% 에탄올 열수추출물 201.9 ±27.6
+ 다래 70% 에탄올 열수추출물 266.8 ±17.0
+ 덱사메타손 203.6 ±30.9
(1-2) 다래의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의 효능 비교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된 다래 클로로포름 분획, 상기 실시예 2-2의 다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물 분획에 의한 U266B1 세포의 IgE 생산 억제 효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래의 클로로포름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물 분획은 모두 30 ㎍/㎖ 농도로 U266B1 세포주에 처리하였다. 표 2에서 다래 열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덱사메타손보다 강한 IgE 생산 억제 효능이 나타났다.
LPS 자극 처리 IgE (IU/㎖)
- 배지 117.4 ±7.6
+ 배지 212.5 ±11.8
+ 상기 실시예(1-1)의 다래 열수추출물 151.7 ±11.9
+ 클로로포름 분획 206.7 ±15.6
+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23.3 ±8.1
+ 물 분획 218.9 ±13.3
+ 덱사메타손 138.9 ±2.1
(1-3)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추출물 분획의 효능 비교
실시예 3에서 준비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분획[1] 내지 [4]에 의한 U266B1 세포부의 IgE 생산 억제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서 실험예 1-1과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분획[1] 내지 [4]은 모두 10 ㎍/㎖ 농도로 U266B1 세포주에 처리하였다.
표 3에서 실리카겔 분획 [1]과 [2]에서 활성이 나타나고 있다.
LPS 자극 처리 IgE (IU/㎖)
- 배지 379.7 ±13.2
+ 배지 540.4 ±35.1
+ 실시예 (2-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298.1 ±9.7
+ 실리카겔 분획 1 293.5 ±12.5
+ 실리카겔 분획 2 307.6 ±24.1
+ 실리카겔 분획 3 453.1 ±17.3
+ 실리카겔 분획 4 396.9 ±26.8
+ 덱사메타손 277.6 ±12.4
실험예 2. OVA-감작 마우스 모델에서 다래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능 실험
(2-1) 흰자위알부민 감작 마우스 모델 (Ovalbumin-sensitized mouse model) 준비
흰자위알부민 감작 마우스 모델은 알러지의 동물 모델로 많이 사용되는 동물 실험 모델이다. 6 주령의 BALB/c 마우스 암컷(서울대 동물 실험 센타)을 1주일간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7 주령 째에 20 ㎍의 흰자위알부민(OVA, chicken egg albumin, crude grade V; Sigma사)과 2.25 mg의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ImujectAlum; Pierce사)를 함께 섞어서 100 ㎕의 에멀젼 상태로 만든 다음 마우스에 복강 주사하고 부스팅을 위해 14일 째에 다시 한번 주사하였다.
부스팅을 한 후 30 마리의 마우스를 3 군으로 나누어서 실시예(1-1)에서 준비된 다래 열수추출물(300 ㎍/mouse/day), 덱사메타손(10 ㎍/mouse/day), 음용수(100 ㎕/mouse/day)를 11일간 매일 구강 투여하였다. 25일째에 마우스를 희생한 다음 혈청과 비장(spleen)을 채취하였다.
(2-2) 혈청 흰자위알부민-특이 IgE, IgG1, IgG2a, IgG2b 농도 분석
위에서 채취된 혈청에서 흰자위알부민 특이(ovalbumin-specific) IgE, IgG1, IgG2a, IgG2b의 농도를 ELISA 방법(PharMingen사)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4에 정상마우스의 각 항체 농도에 대한 흰자위알부민 감작 마우스의 각 항체의 상대적인 농도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을 복용한 마우스에서 흰자위알부민에 대한 IgE가 1/3 수준 이하로 감소되었고 알러지에 관여하는 또 다른 항체인 IgG1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덱사메타손을 복용한 마우스에서도 비슷하게 IgE와 IgG1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세포성 면역에 관여하는 IgG2a의 경우 다래 열수추출물을 복용한 마우스에서는 2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덱사메타손을 복용한 마우스의 혈청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다래 추출물이 알러지를 유발하는 IgE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정상적인 면역 작용에 관여하는 IgG2a를 증가시킴으로써 알러지 체질을 근원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정상마우스 음용수 다래 열수추출물 덱사메타손
IgE 1.0 ±0.0 7.6 ±0.2 2.2 ±0.5 2.0 ±0.6
IgG1 1.0 ±0.0 5.1 ±0.1 3.3 ±0.3 3.1 ±0.3
IgG2a 1.0 ±0.1 2.1 ±0.4 4.6 ±0.3 1.9 ±0.4
IgG2b 1.0 ±0.0 1.4 ±0.1 1.5 ±0.2 1.2 ±0.1
(2-3) 비장 세포의 사이토카인 발현 분석
다래 추출물을 복용한 마우스의 면역 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의 발현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 실험예 (2-1)에서 준비된 비장으로부터 하기와 같이 비장세포를 준비하였다.
먼저, 각각의 비장을 하나로 모은 다음 무균 상태에서 부수어 균질화시켰다. RPMI-1640 배지를 부어 헹군 다음, 나일론 망(60 ㎛ pore size)으로 큰 덩어리를 걸러내고 1500 rpm에서 5분 원심 분리하여 침전된 세포만 분리한 다음 RPMI 1640(FBS 10 % 첨가) 배지에 첨가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비장 세포를 24 웰-플레이트에 최종 농도가 5 ×106 세포/㎖/웰이 되도록 접종하였다. 배양액에 흰자위알부민(100 ㎍/㎖)을 첨가한 후 37 ℃에서 3 일간 이산화탄소(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고, 배양이 끝난 후에 배양액을 채취하여 ELISA 방법으로 알러지와 관련있는 사이토카인(IL-4, IL-5, IL-12, 인터페론-감마)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을 복용한 마우스의 비장세포는 알러지를 유발하는 Th2 사이토카인인 IL-4와 IL-5를 감소시키고 알러지를 억제하는 Th1 사이토카인인 IL-12와 인터페론-감마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덱사메타손의 경우는 Th1 및 Th2 사이토카인 모두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덱사메타손은 전반적인 면역을 억제하는 반면 다래 추출물은 알러지를 유발하는 Th2 사이토카인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상마우스 OVA 감작 마우스
음용수 다래 열수추출물 덱사메타손
IL-4 21.6 ±11.8 159.5 ±15.7 76.5 ±10.0 23.1 ±8.7
IL-5 0.5 ±0.8 2573.6 ±42.0 1638.3 ±33.3 884.1 ±80.7
IL-12 1626.0 ±58.5 906.2 ±66.0 1321.2 ±92.4 297.7 ±16.4
인터페론-감마 14.1 ±19.6 1016.0 ±25.6 1688.2 ±15.8 470.5 ±38.6
단위: pg/㎖
실험예 3. 인간 PBMC에서 Th1/Th2 사이토카인의 조절
다래 추출물의 인간 PBMC에서 Th1/Th2 사이토카인의 조절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 말초 혈액 단핵세포(PBMCs)는 IgE의 고 기저 혈청수치를 가진 알러지 환자의 총혈액으로부터 피콜 하이파큐를 이용하여 준비하였고, 10 % FBS를 첨가한 RPMI 배지에서 배양했다. PBMCs는 실시예 (1-1)에서 준비된 다래 열수추출물 100 ㎍/㎖와 식물성 혈구응집소(phytohemagglutinin, PHA) 5 ㎍/㎖와 함께 처리되었다. 이후 5 % CO2 농도와 37 ℃ 환경에서 48시간 배양 후, 세포 배양 상층액 내 IL-5, IL-13, IL-10 과 인터페론-감마의 수치를 ELI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에 나타낸 것처럼 다래 열수추출물이 Th2 사이토카인의 혈청내 수치를 유의적으로 낮춤을 보여준다. IL-5 및 IL-13의 수치는 각각 52 % 및 47 %가 낮춰졌다. 반면 인터페론-감마 즉, Th1 사이토카인의 혈청내 수치는 3.2배 증가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래 추출물이 Th1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고, 동시에 Th2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2 사이토카인의 하향조절은 IgE 합성과 알러지성 염증의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예전에 보고된 바 있다.
PHA 자극 처리 IL-5 IL-13 IL-10 인터페론-감마
- - 92.2 ±6.4 0 ±0 0 ±0 53.3 ±30.2
+ 배지 518.1 ±120.3 667.8 ±46.5 480.3 ±15.3 334.1 ±277.7
+ 다래 열수추출물 248.5 ±62.0 355.7 ±93.1 570.2 ±56.3 1067 ±345.1
단위: pg/㎖
실험예 4. 인간 혈청내 IgE의 수치 감소
다래 추출물이 인간 혈청내 IgE 수치를 감소시키는지를 관찰하기 위해서, 두 명의 알러지 환자(각각 알러지 비염과 알러지 피부염을 가진 환자 K와 E)에게 상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건조중량으로 1g)을 42일 동안 매일 경구 복용시켰으며, 그 환자들의 IgE 혈청 수치는 매 두주마다 ELISA로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 두 명의 환자의 IgE 혈청내 수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42일 후에는 약 3분의 2이상 감소했으며, 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환자 E의 피부염 증상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하기 표 7 참조).
1 일 14 일 28 일 42 일
알러지 환자 K 950.8 IU/㎖ 855.6 IU/㎖ 679.1 IU/㎖ 266.1 IU/㎖
알러지 환자 E 278.3 IU/㎖ 236.0 IU/㎖ 189.2 IU/㎖ 95.0 IU/㎖
실험예 5. 생쥐 복막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방출 저해
비만세포(mast cell)로부터 히스타민의 방출은 알러지 반응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다래 추출물의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방출에 대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각각의 생쥐는 에테르로 마취되었으며, 복막강에 0.1 % 젤라틴을 함유한 티로이드 완충용액 B(Tyrode buffer B, NaCl, glucose, NaHCO3, KCl, NaH2PO4) 20 ㎖를 주입했다. 그리고 나서 복부를 약 90초 동안 부드럽게 마사지했다. 복막강을 주의 깊게 개방한 후, 복막 세포를 함유하는 용액을 파스테르 피펫으로 흡입했다. 그리고 나서 복막세포는 실내온도에서 10분 동안 150 x g의 속도로 침전시킨 후 티로이드 완충용액 B에 다시 재부유시켰다. 비만세포는 여트의 방법(Yurt RW. et al., J. Biol. Chem., 252, pp518-521, 1977)으로 생쥐 복막세포의 주요 구성성분으로부터 분리되었다. 1 ㎖의 티로이드 완충용액 B에 현탁된 복막 세포는 0.225 g/㎖ 메트리자마이드(metrizamide, 밀도 1.120 g/㎖)로 충진해 400 ×g 속도로 15분 동안 실온에서 원심분리했다. 완충용액-메트리자마이드 경계면에 남아있는 세포는 흡입되고 폐기되었다. 펠렛 속의 세포는 세척 후 칼슘을 함유한 티로이드 완충용액 A 1 ㎖내에 재현탁되었다. 티로이드 완충용액 B 1 ㎖ 내 현탁된 복막세포는 0.225 g/㎖(밀도 1.120 g/㎖)의 메트리자마이트 2 ㎖로 충진해 400 ×g 속도로 15분 동안 실온에서 원심분리했다. 펠렛 속의 세포는 세척 후 칼슘을 함유한 티로이드 완충용액 A 1 ㎖내에 재현탁되었다.
비만 세포는 24-웰 배양플레이트의 각 웰당 0.4 ㎖의 배양액에 2 ×105 세포/웰의 양으로 첨가되었다. 세포는 37 ℃에서 하룻밤동안 배양되었고, 항-DNP24-BSA IgE 0.5 ㎍/㎖로 감작화 되었다. IgE로 세포를 감작화시킨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는 PIPES 완충용액 0.5 ㎖로 두 번 세척하고, PIPES 완충용액(대조군) 200 ㎕, 크로몰린(10-4M) 또는 상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100 ㎍/㎖)을 첨가하여 37 ℃에서 10분 동안 전처리 배양했다. 비만세포는 항원인 DNP24-BSA 20 ng/㎖로 30분 동안 감작화되었고 배지로 방출된 히스타민은 ELISA로 측정되었다(ALerCHEK사).
히스타민 방출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으로 계산되었다:
저해율(%) = 100 ×(PIPES 완충용액 처리시 방출된 히스타민양-약제 처리시 방출된 히스타민양)/(PIPES 완충용액 처리시 방출된 히스타민양-IgE로 감작하지 않고 약제도 처리하지 않은 상태로 배양시 방출된 히스타민양)
그 결과, 하기 표 8에서 다래 열수추출물이 100 ㎍/㎖에서 대략 44 %까지 히스타민 방출을 저해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된 크로몰린만큼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처리 크로몰린(대조군) 다래 열수추출물
저해율(%) 52 ±13 44 ±10
실험예 6. 아라키돈산으로 유도된 마우스 귀의 부종에 대한 항염증 효과
다래 추출물의 아라키돈산으로 유도된 마우스 귀의 부종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마우스(8주령 수컷 BALB/c)를 자유롭게 물을 먹을 수 있게 하여 18시간동안 절식한 후 15마리를 3개의 그룹으로 나눴다. 염증은 각 마우스의 오른쪽 귀에 아라키돈산(0.5 ㎎/20 ㎕ 아세톤)의 국소적 적용에 의해 유도되었다. 왼쪽 귀는 음성대조군으로 사용되었으며 부형제(20 ㎕ 아세톤)가 투여되었다.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200 ㎎/㎏ in water) 투여군에는 아라키돈산 적용 1시간전에 경구 투약했다. 양성대조군 그룹에는 아라키돈산 적용 1시간 전에 인도메타신(10 ㎎/㎏, 경구투여)이 투여되었다. 염증은 1시간동안 수반되었고 그 이후 실험동물은 희생되었다. 각 귀로부터 6mm 직경의 평원반 단편을 얻어 무게를 측정했다. 어떤 처리도 받지 않은 대조군 마우스의 부종지수는 7.2 ±1.1 ㎎이었다. 그러나 실험동물이 다래추출물로 처리되었을때 부종지수는 2.7 ±0.8 ㎎으로 62.5 %가 감소했다. 인도메타신으로 처리된 양성대조군 귀는 무처리 귀와 비교해 부종 지수가 81.9 % 감소했다(하기 표 9참조).
이와 같은 결과로, 다래추출물이 이 실험모델에서 인도메타신과 대등한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처리 부종지수(㎎) 저해율(%)
대조군 7.2 ±1.1 -
다래 열수추출물 2.7 ±0.8 62.5
인도메타신 1.3 ±0.3 81.9
실험예 7. 아토피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 실험
알러지성 질환을 가진 동물에서 항알러지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Nc/Nga 마우스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한편, 다수의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실험에 사용되어 온 Nc/Nga 마우스는 인터페론 감마의 생산량이 적어 Th1 면역이 억제되고 Th2 사이토카인과 IgE이 과잉 생산되어 일반적인 환경에서 사육될 경우 생후 8주령부터 자연적으로 피부염이 발생하는 마우스 모델로서 인간의 아토피성 피부염 연구에 적합한 모델로 알려져 있다(Vestergaar CH. et al., J. Clin. Invest., 104, pp1097-1105, 1999).
먼저, 실험을 위하여 7 주령 Nc/Nga 암컷 마우스 15마리(SLC; Shizuoka, Japan)를 세 군으로 나눈 후 1주일간 새 환경에 적응시켰다. 8주령 때부터 16주령 때까지 처치군에는 실시예 (1-1)에서 준비된 다래 열수추출물(300 ㎍/mouse/day)을 매일 구강 투여하였고 대조군에는 덱사메타손(10㎍/mouse/day)과 음용수(100 ㎕/mouse/day)를 구강 투여하였다. 12주째와 14주째에 피부염 증상의 진행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긁는 횟수(20분당 긁는 시간)를 측정하였고, 16주에는 마우스를 희생하여 혈액 내의 IgE, IgG1, IgG2a를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또한 Th1/Th2 사이토카인의 생산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마우스로부터 비장세포(splenocyte)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준비한 후 24-웰 배양 플레이트(5 ×106 cells/㎖/well)에 옮겼다. 그리고 ConA(1 ㎍/㎖)를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한 후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배양액 속의 IL-4, IL-5, IL-12와 인터페론 감마를 정량하였다.
실험 결과 12주, 14주째에 마우스의 긁는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다래 추출물이 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인 덱사메타손 만큼 마우스의 가려움 증상을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2a: 12 주째 관찰 결과, 도 2b: 14주째 관찰 결과 참조).
또한, 하기 표 10은 다래 열수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 혈액 내 IgE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보여 준다. 하기 표 11을 보면, 다래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로부터 준비된 비장세포의 IL-4와 IL-5 생산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인터페론 감마와 IL-12의 생산량은 뚜렷이 증가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다래 추출물은 덱사메타손과 유사하게 가려움 증상의 개선, 혈액내 IgE 농도 저하, 비장세포의 Th2 사이토카인 생산 억제 효능을 보였으나 덱사메타손과는 달리 알러지의 억제에 기여하는 Th1 사이토카인 즉 IL-12와 인터페론 감마의 생산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래 추출물이 강한 면역억제제인 스테로이드성 약물과는 달리 Th2 면역을 억제하는 동시에 Th1 면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알러지 증상을 개선하고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gE IgG1 IgG2a
음용수 1572.9 ±77.4 242.2 ±14.2 177.5 ±17.2
다래 열수추출물 699.0 ±348.5 263.4 ±21.1 263.5 ±16.2
덱사메타손 130.0 ±55.3 247.3 ±10.8 148.0 ±14.8
단위: pg/㎖
IL-4 IL-5 IL-12 인터페론 감마
음용수 151.9 ±2.2 778.3 ±34.1 1925.7 ±134.5 10407.5 ±130.8
다래 열수추출물 24.1 ±5.2 248.0 ±17.8 2346.2 ±98.4 15847.9 ±1693.1
덱사메타손 42.7 ±19.4 646.5 ±51.7 201.2 ±12.1 10096.4 ±192.4
단위: ng/㎖
실험예 8. 독성 실험
마우스를 사용하여 다래 추출물의 반복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암컷 Balb/c 마우스를 열 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어서 매일 150 mg/kg 체중의 용량으로 상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을 4 주간 투여하였고 대조군은 물을 투여하였다. 독성의 징후는 체중의 변화, 혈액학적 분석, 조직검사를 통해서 4 주 동안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다래 추출물은 그 투여 가능 용량인 150 ㎎/㎏에서 사망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으며,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조직검사, 혈액검사 등에서 전혀 유의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어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체중 및 육안 관찰: 어떠한 비정상적인 체중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음.
(2) 혈액학 검사: WBC, 림프구(lymphocyte), 단핵구(monocyte), 호중구 (neutrophil), 호산구(eosinophil), 호염구(basophil), RBC, 헤모글로빈 (hemoglobin), 혈소판(platelet)의 수에 있어서 어떠한 이상 징후도 발견되지 않았음.
(3) 혈청생화학 검사: 혈청을 이용한 생화학 검사 결과 AST, ALT, LDH, 빌리루빈(bilirubin), 크레아티닌(creatinine), 글루코즈(glucose), 콜레스테롤 (cholesterol), 미네랄(minerals), 알부민(albumin), BUN, 리파아제(lipase), 아밀라제(amylase)의 수치에 있어서 어떤 이상 징후도 보이지 않았음.
(4) 조직 검사: 신장, 비장, 간, 흉선의 조직에서 어떤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음.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첨가제, 사료 첨가제 및 화장료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제조예로 이용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캔디의 제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1 g
말티톨...................................55 g
환원물엿................................44.5 g
올리고당.................................0.2 g
구연산...................................0.1 g
상기한 원료를 배합하여 당업계의 통상적인 캔디 제조방법으로 탈모예방에 효과적인 캔디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2. 음료의 제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전체 900 ㎖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3. 비누 제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1~30 (%)
유지......................................적당량
수산화나트륨..............................적당량
염화나트륨................................적당량
향료.......................................소 량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에 의해 비누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로션 제조 1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3.00 (%)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1.00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1.00
시트르산나트륨..............................0.10
시트르산....................................0.05
감초 엑기스.................................0.20
1,3-부틸렌글리콜............................3.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에 의해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로션 제조 2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3.00 (%)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1.00
수용성 콜라겐 (1 % 용액).....................1.00
시트르산나트륨...............................0.10
시트르산.....................................0.05
1,3-부틸렌글리콜.............................3.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로션 제조 3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4.00 (%)
갈조 엑기스..................................1.00
시트르산나트륨...............................0.10
시트르산.....................................0.05
1,3-부틸렌글리콜.............................3.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크림 제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알레이트.............2.0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5.00
세틸알코올...................................4.00
스쿠알렌.....................................6.0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6.00
스핑고당지질.................................1.00
1.3-부틸렌글리콜.............................7.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팩 제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5.00(%)
폴리비닐알코올...............................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1.00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2.00
1,3-부틸렌글리콜..............................3.00
에탄올........................................5.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팩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 미용액 제조
실시예 1-1의 다래 열수추출물.................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 수용액).........12.00
크산탄검(2 % 수용액)..........................2.00
1,3-부틸렌글리콜..............................6.00
진한 글리세린.................................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 수용액).................5.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다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Th2 사이토카인 및 IgE의 혈청 내 수치를 낮춰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방출을 저해하고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므로 과민증, 알러지성 비염,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식품 알러지 및 두드러기와 같은 알러지성 질환 및 비알러지성 염증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식품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식품에 첨가할 경우, 이취를 없애고 독특한 풍미를 가미시켜 음식의 맛과 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알러지성 질환 또는 비알러지성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에 이용될 수 있으며, 크림, 스킨, 로션,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비누 등의 다양한 화장료에서 항알러지 및 항염증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 는 다래 실리카겔 분획물의 TLC 사진으로, 도 1a 는 추출물 및 분획물들의 TLC 결과에 관한 도이고, 도 1b 는 실리카겔 분획 1의 2D-TLC 분석결과사진이고, 도 1c 는 실리카겔 분획 2의 2D-TLC 분석결과에 관한 도이며,
도 2a 내지 2b 는 아토피성 피부염 Nc/Nga 마우스에 다래 추출물을 투여한 후 관찰한 피부 가려움증상에 대한 결과에 관한 것으로, 도 2a 는 아토피성 피부염 Nc/Nga 마우스에 다래 열수추출물 투여 12주째에 관찰한 피부 가려움증상 결과에 관한 도이고, 도 2b 는 아토피성 피부염 Nc/Nga 마우스에서의 다래 열수추출물 투여 14주째에 관찰한 피부 가려움증상 결과에 관한 도이다.

Claims (30)

  1. 다래과실(Actinidia arguta)의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첨가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03-0077911A 2003-11-05 2003-11-05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 첨가제, 동물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911A KR100536495B1 (ko) 2003-11-05 2003-11-05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 첨가제, 동물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911A KR100536495B1 (ko) 2003-11-05 2003-11-05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 첨가제, 동물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438A Division KR100536857B1 (ko) 2005-10-21 2005-10-21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99436A Division KR100533702B1 (ko) 2005-10-21 2005-10-21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동물사료 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124A KR20050043124A (ko) 2005-05-11
KR100536495B1 true KR100536495B1 (ko) 2005-12-14

Family

ID=3724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911A KR100536495B1 (ko) 2003-11-05 2003-11-05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 첨가제, 동물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712B1 (ko) * 2007-05-17 2009-02-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탄닌 함유 목천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 조성물
KR101026878B1 (ko) * 2009-01-19 2011-04-06 (주)애드바이오텍 사료 첨가제
KR20140065102A (ko) * 2012-11-21 2014-05-29 주식회사 삼부메디칼 만병초, 비수리 및 다래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220193163A1 (en) * 2019-04-24 2022-06-23 G&P Bioscience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actinidia polygama extract for alleviating skin damage or moisturizing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124A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983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and related spec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and non-allergic inflammatory diseas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MXPA06005546A (es) Composicion alimenticia que comprende glucosamina.
KR100794360B1 (ko) 항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문주란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63547B1 (ko)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WO2002045733A1 (ja) 鎮痒または抗掻痒活性を有する経口剤
KR100536857B1 (ko)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536495B1 (ko)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 첨가제, 동물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3702B1 (ko)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동물사료 첨가제
KR20090095039A (ko) 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러지 화장료 조성물
JP2014129290A (ja) 皮膚障害防護治療剤
KR20130008761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CN108158841B (zh) 鹌鹑蛋活性成分ovoinhibitor糖蛋白在抗过敏中的应用
KR20210123548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0554947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1211A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89938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450143B1 (ko) 타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6998044B2 (ja) 亜鉛トランスポーター発現促進剤
KR20220045322A (ko)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3147780A (ja) Il-8産生抑制用及び/又はコラゲナーゼ産生抑制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35301A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00124628A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30134425A (ko) 산수유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조성물
KR20200124590A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5